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차(茶)음료 소비 선호도 및 효능 인식 - 전북 익산시 대학생을 중심으로 -

        원은옥 ( Eun-ok Won ) 원광대학교 한국예다학연구소 2019 한국예다학 Vol.8 No.-

        요즘 현대인들은 건강음료에 대한 관심을 갖고 신체건강에 유익한 음료를 섭취하고 있다. 특히 성인기로의 과도기적 상태인 대학생들은 야식, 간식의 과다섭취 및 잦은 외식 등 식습관이 불규칙적이어서 바람직한 음료의 선택은 신체영양에 상당한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최근 음료시장은 커피의 소비량이 급격히 증가하여 일상화되었고, 스포츠음료, 과즙음료 등과 같이 기능성 음료를 선호하고 있다. 간편성과 기호성을 추구하는 젊은 세대들은 자동판매기와 24시간 편의점의 확산 등과 함께 다양한 음료를 손쉽게 얻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차와 같은 방식으로 마시는 음료를 모두 차 음료로 규정하고, 이것을 커피, 전통차, 과일차 및 허브티로 구분하여 차 음료에 대한 대학생들의 선호도와 효능을 인지하는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북 익산시에 거주하는 원광대학교와 원광보건대학교 남·여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차 음료 선호도 조사에서는 커피, 전통차, 과일차에 있어서는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이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 성분 인지도 평균차이 유의 검증 결과 커피의 카페인 성분과 과일차의 당류성분에 있어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Nowadays, modern people are interested in health beverages and consume drinks that are beneficial to their health. Especially college students who are developing into adults have irregular eating habits such as eating midnight snacks, engaging in excessive snacking and frequently eating out, so that the selection of desirable beverages wil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hysical nutrition. In the recent beverage market, consumption of coffee has increased steadily, and functional beverages such as sports drinks and juice drinks are preferred. Younger generations seeking simplicity and palatability can access a variety of beverages very easily with the proliferation of vending machines and 24-hour convenience stores. In this paper, all beverages that are drunk in the same way as drinking tea except synthetic beverages are defined as tea beverages and classified into traditional tea, coffee, juice tea, and herbal tea to investigate preference levels and perception of efficacy regarding these tea beverages by college students. To do this, the study assessed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living in Iksan, Jeonbuk. According to the survey on preferences regarding beverages based on gender, female students preferred coffee, traditional tea, and fruit tea more than males. As a result of investing the mean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level of tea ingredients, a meaningful difference was revealed in that female students were more aware of the caffeine component of coffee and the sugar component of fruit tea than male students.

      • 햇볕잭살 제다법 연구

        박상기 ( Park Sangi ),김종철 ( Kim Jongcheol ),조경환 ( Cho Kyounghwan ),황정규 ( Hwang Jungyu ),강은주 ( Kang Eunju ),임현정 ( Im Hyeonjeong ),신유진 ( Shin Yujin ) 원광대학교 한국예다학연구소 2016 한국예다학 Vol.3 No.-

        하동지역 잭살은 차(茶)와 연관되어 포괄적인 내용으로 쓰여 지고 있다. 하지만 차를 만들고 음용하는 지역 사람들에게 `잭살`은 발효차에 한정되어 통용되는 것이 보편화 되어 있다. 예컨대 녹차의 상대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잭살의 연원이 발효차와 관계 되어 형성되 왔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하동 잭살의 시원으로 언급 되고 있는 `칠불선원차`를 『동다송』에서 초의(草衣,1786∼1866)가 적시한 대로 제다 해 본 결과 백차로 본다. 일광위조와 건조의 방식, 차탕의 옅은 담황색에서 황색, 붉은색, 암갈색으로 변화는 과정이 증명한다. 발효차인 햇볕잭살은 햇볕 아래서 전 공정이 진행됨으로 칠불선원차에서 그 일단을 찾을 수 있다. 하지만 유념 공정의 추가로 수색과 건엽, 엽저등에서 차별성을 보이며 일쇄형 홍차로 구분된다. Jaeksal in Hadong region is associated with tea and is used to provide comprehensive information. Nevertheless, Jaeksal is commonly used with widespread effect for those who create and drink tea. For example, it is used as a relative concept of green tea. In this study, the origin of Jaeksal is mentioned with Chilbul temple tea, making tea this year in timely manner in “Dongdasong” resulting in white tea. The daylight way of counterfeiting and drying, changing to yellow, red, dark brown, light from light yellow proves this process. From the fermentation difference, Sunshine Jaeksal can find first grade in Chilbul temple tea as the tea proceeds under the sun. On the other hand, the distinction appears to add a fair mind. Dried leaves, wet leaves are Sun-dried black tea.

      • 화개지역 다소(茶所) 명칭의 오류에 관한 고찰

        박영식 ( Young Sik Park ) 원광대학교 한국예다학연구소 2015 한국예다학 Vol.1 No.-

        현대의 많은 문헌에는 화개지역을 ‘화개다소(花開茶所)’로 언급하고 있지만, 이 지역은 차만 전문적으로 생산하여 납공하는 고려시대 부곡제의 하층 촌락 집단인 ‘다소(茶所)’가 아니었다. 이의 원인은 현대에 들어와 8∼90년대 발간되기 시작한 차문화 개론서들 중 적지 않은책에서 화개를 다소로 표현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지금도 선행 문헌의 오류를 무비판적으로 답습해오고 있어 차 학문의 기초 학습과정에서부터 자연스럽게 잘못된 선입견이 생긴 것으로 보인다.『경상도지리지』등의 고문헌과 현대에 편찬된『화개면지』에는 화개가 현으로 독립하기전 진주목에 소속된 ‘화개부곡’이었던 것으로 기록되고 있으며, 이규보의 시문이나『부역실총』의 기록에는 화개를 ‘차소산(茶所産)’으로 표기하고 있다. 국어사전에 의하면 ‘차소산’은 단순히 ‘차의 생산지’를 의미한다고 풀이하고 있다. 사료(史料) 어디에도 화개지역이 ‘다소’였다는 흔적은 보이지 않는다. 아직 차문화 연구가 반세기도 넘지 않은 짧은 기간과 열악한 자료적 환경 속에서 선배차인들의 연구에서 발생되는 오류는 오히려 당연한 일일지도 모른다. 이러한 오류들을 찾고 비판적 관점에서 새롭게 재정립하는 것은 발전 지향적이어야 되는 현재의 몫이다. 화개 다소에 관한 오해가 바로 잡아지기를 기대한다. Although many historical records mention the Hwagae area as Hwagae-daso (meaning tea production area), Hwagae was not a kind of Daso (tea production area) that specialized in producing tea and offering to the government, a low-class village under the Bugok administrative system, in the Goryeo period. This error is attributed to the fact that many books on the introduction to tea culture published in the 1980s and 90s described Hwagae as a Daso. Nevertheless, such mistaken books have been accepted without criticism, thus creating prejudice on tea science even in its initial stage. Ancient records, including『Gyeongsang-do Jiriji』, and『Hwagae-myeon』 records published in modern times recorded Hwagae - before becoming independent as Hyeon (prefecture) - as Hwagae-bugok, an administrative unit of Jinju-mok, and Yi Gyu-bo``s collections of poems or『Buyeoksilchong』records mentioned Hwagae as Chasosanji (meaning, tea production site). According to the dictionary, Chasosanji means simply a tea production site. No historical records mention Hwagae as Daso. Given the short (less than 50 years) history of research on tea culture, and poor data environment, the previous studies`` errors are probably natural. Current research should pinpoint and correct these errors, reestablish tea culture research in the critical viewpoint, and redevelop the research. Misunderstanding of Hwagae-daso should also be corrected.

      • 중국 백차의 제다 방법으로 만든 한국 백차의 관능평가

        김영숙 ( Kim Young Suk ) 원광대학교 한국예다학연구소 2018 한국예다학 Vol.7 No.-

        요즈음은 차의 효능이 많이 알려지면서 건강을 위하여 차를 즐기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백차는 중국에서 처음 생산된 차로서 위조단계에서 산화과정을 거치면서 약하게 산화발효되어 우리나리의 불발효차인 녹차 보다 오래 저장할 수 있고, 백차 특유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 귀한 차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전통적인 중국 백차의 제다방법으로 현재 한국에서 자생하고 있는 4종의 일본품종(사에 미도리, 유타카 미도리, 야부기다, 금곡록)과 1종의 중국품종(안길백차)으로 백차를 제조하여 중국의 백모단과 관능평가를 통하여 제다에 의한 차의 품질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차의 품종에 따른 호(毫)의 유무에 따른 외형 및 향기에 차이가 있으나, 탕색과 맛에서는 모두 맑고 청아하여 중국의 백차의 품질특징과 비슷하였다. Many people drink tea for health because of its well-known benefits. Chinese white tea is only produced in China. This tea is stored longer than non-fermented Korean green tea because of its oxidative fermentation during the oxidation process in the withering stage of the tea leaf and has unique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we manufactured white teas from four Japanese tea species (Saemidori, Yutakamidori, Yabukita, Kanaya-midori) and one Chinese tea species (Anji white tea) grown in South Korea using the traditional method employed for manufacture of Chinese white tea. We then compared Baimudan, Chinese white tea and the teas prepared for the present study. The teas produced for this study were similar to Chinese white tea, Baimudan in color and taste, despite differences in the shape of tea leaves and tea scent.

      • 차 문화를 통한 군 인성교육 방법에 관한 연구

        박미경 ( Park Mi-kyeong ) 원광대학교 한국예다학연구소 2016 한국예다학 Vol.2 No.-

        본 논문은 차 문화의 인성 교육적 요소를 검토해 보고, 기존 프로그램을 군 실정에 맞게 인성 교육 내용을 보완, 방법을 모색해 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자는 기존 차 문화 프로그램은 자연사랑, 충효사상, 생활예절, 법률사회, 수기치인 덕목으로써 개인적, 사회적, 국가적, 자연적 영역을 모두 포함하고 있어 군 인성교육에 적합하다고 보고 차 문화의 인성교육 기본 체계도를 구성했다. 자기이해와 타인이해, 감정관리, 관계 개선, 의사소통, 희망적 미래설계, 협동 활동이다. 차 문화를 통한 인성교육 방법으로는 도입(문제의식화), 인지화(가치 규범을 바르게 이해하고 잘 판단하기), 심정화(가치규범을 깊이 느끼고 의욕 하기), 행동화(가치 규범에 따르는 행동을 실제로 해보면서 익히고 실천 성향 높이기), 정리(종합 정리와 일상에서 확대 적용 및 생활화)로 다섯 가지 과정인 교수-학습 기본 모형을 제시했다. 추후 차 문화를 통한 군 인성교육을 진행하면서 교육을 받은 집단과 받지 않은 집단의 사전·사후 검사를 통한 효과 검증이 양적·질적으로 다양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educational and personal elements of the tea culture and tries to find a method that can complement personal and educational contents of an existing program according to military situations. Moreover, an existing tea culture program includes all areas- individual, social, national and natural- which are virtues of natural love, loyalty and filial piety thought, life etiquette, and law societies in society that we regard as suitable education for character in the military. A basic system of character education of the tea culture was constructed: self-understanding, understanding of others, emotion management, relationship improvement, communication, promising future design, and cooperation. We suggest five courses of teaching-learning basic model as a method of character education through the tea culture: introduction (awareness of a problem), recognition (to understand and judge correctly the value norms), feelings (worth to feel deeply the norm motivation), enaction (to learn and practice the value norms while increasing tendency to try to do), and consolidation (summarizing, applying the value norms and making it a way of life) A pre-, post- inspection of a group given the education and group not given the education after doing military character education through the tea culture is suggested.

      • 인성교육을 위한 다도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백현기 ( Baek Hyeongi ) 원광대학교 한국예다학연구소 2016 한국예다학 Vol.2 No.-

        복잡한 현대사회의 다양한 문제로 정체성에 대한 혼란을 느끼고 의미 없이 하루하루를 보내는 무기력한 청소년들이 점점 많아지고 있다. 이런 청소년기 학생들에게 자신의 모습을 성찰하고 미래에 대한 긍정적인 자세를 갖게 하는 인성교육이 학교에서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다행히 요즈음 학교에서도 인성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느껴 방법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인성교육이 나에 대한 이해를 통해 남을 이해하고 그것이 결국 내 삶을 적극적으로 살아가며 자아실현에 이르는 길이라는 점은 자기인식을 통해 새로운 행동을 실천함으로써 건전한 자아 형성을 이루어가는 다도와 연관되기 때문에 인성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으로 다도교육을 활용할 수 있다고 보았다. 정서적으로 건강한 인간을 만들고자 하는 다도교육과 바람직한 인간을 길러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 인성교육은 그 지향점이 같다고 할 수 있다. Owing to the variety of problems resulting from the complexity of modern society, there are an increasing number of adolescents who feel an identity crisis and spend their day-to-day lives meaninglessly. For those adolescents, schools must implement systematic education of the character, which will allow them to reflect on themselves and have positive attitudes towards their future. Fortunately, these days, schools feel the need for an education of the character and discuss ways of implementing it effectively in the classroom. Furthermore, it is advisable to use a tea ceremony program because a tea ceremony program that offers the opportunity for self-reflection will help enhance the emotional growth of students. A tea ceremony program may be used as a teaching methodology for an education of character in class because the tea ceremony program, which has the purpose of fostering emotionally healthy human beings and the education of character with the objective of forming a desirable human being, have the same intention.

      • 공자의 인성론과 예

        김창진 ( Kim Changjin ) 원광대학교 한국예다학연구소 2016 한국예다학 Vol.2 No.-

        본 논문은 공자의 인성론과 함께 공자가 개인과 사회의 도덕적 윤리규범으로 도출한 예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난세를 살았던 공자는 세상이 혼탁한 이유를 인간이 인간으로서의 도리를 다하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보았다. 인간의 도리는 천명을 따르는 것으로, 공자는 천명에 순응하는 삶을 위하여 인간의 본성에 대해 탐구하였고, 그것을 기반으로 하여 가정윤리에서 출발하여 치국의 묘를 찾고자 하였다. 공자는 천명인 인간의 도리를 실천하는 본체를 인(仁)이라 하여, 인을 인간의 본성적 의미로 제시하였고 인의 실현을 예로 보았다. 또한 공자는 예를 통하여 인을 현실에 실현시키고자 하였기 때문에 예를 인간의 행동양식으로 규정하고, `극기복례`라고 하여 예의 실천을 천명을 따르는 것으로 보았다. 인을 본성으로 제시하고, 예를 인간의 도리, 즉 천명으로 규정하여, 개인의 도덕성을 확충하여 사회의 안정을 구현하고자 한 공자의 사상은 현시대의 인성교육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인간의 본성을 인으로 제시하여 사람이면 누구나 다 선하게 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하였고, 본성[仁]으로 돌아갈 수 있는 방법을 예로 제시한 것이 그것이다. 따라서 인성교육에서 공자의 인성론과 예가 갖는 의미가 크다고 볼 수 있겠다. This paper looks into Kungtzu` ethology and courtesy resulting in moral precepts of human and society. Kungtzu, living in a state of anarchy, explained that the world was corrupt because a human strayed from the right path. The right path abides by god` will and Kungtzu examined character for a life obeying god` will and tried to find out the wisdom of governing a nation from a family code of conduct on the basis of the examination. Kungtzu defined the entity executing god` will and human duty as perfect virtue and presented perfect virtue as the meaning of character and considered the realization of perfect virtue as courtesy. Kungtzu also tried to realize perfect virtue through courtesy and defined courtesy as human behavioral norm and thought realizing perfect virtue and following god` will as `Giving up the desire and going back to the mind which executes courtesy` Kungtzu` idea, which presented perfect virtue as character and defined courtesy as god` will in order to broaden individual virtue and realize social stabilization, is very important for current education of human nature. Kungtzu gave us a clue to make a human be good and return to perfect virtue. Kungtzu` ethology and courtesy have a huge influence on moral character education.

      • 『동다송(東茶頌)』에 나타난 차정신(茶精神)의 현대 차생활 적용방안 모색

        권정순 ( Kwon Jungsoon ) 원광대학교 한국예다학연구소 2017 한국예다학 Vol.4 No.-

        『동다송』은 한국차문화의 중흥조(中興祖)로 불리는 초의가 저술한 것으로 차에 대한 역사, 효능 등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과 함께 한국 차의 우수성을 예찬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문은 7언 한시 형식의 17송과, 근거를 밝히고 있는 협주 31개로 되어 있는데 원본은 발견되지 않은 가운데 몇 가지의 필사본이 전해지고 있다. 『동다송』에는 초의의 차정신과 함께 중국 문헌에 나오는 차에 대한 이론들을 창조적로 수용하여 소개하였고, 차를 대하는 자세로 중정(中正)의 정신을 강조하였으며, 평상심을 찾는 실천적인 차 생활을 강조하였다. 초의는 조선시대에 와서 쇠퇴한 차 문화를 크게 일으키는데 공헌을 하였으며, 무엇보다도 우리나라의 차가 중국의 차보다 우수하다고 주장하여 민족적인 자부심을 가질 수 있게 해주었다. 차는 인간의 건강을 증진시켜주는 것은 물론 정서적 안정과 사유의 지경을 넓혀주어 고매한 정신적 경지에 이르게 하는 기능이 있어 오랫동안 인격수양의 도구로도 사용되었다. 특히 평상심으로 행하는 실천적 차 생활은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건강 문제와 각종 병리적 현상을 치유하기 위한 방안이 될 수 있으며, 나아가 행복한 사회를 건설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동다송』에 나타난 차 정신을 현대의 차 생활 가운데 이해하고 적용할 것을 모색하는 일은 뜻깊은 일이 될 것이다. `DongDaSong`, a poem by ChoEui (a Tea Sage who revived Korean Tea Culture; also known as “The Saint of Korean Tea” or the “Father of Korean Tea”), provides general information, history and effects of tea, and celebrates the excellence of Korean tea. The text i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and consists of seven-character lines, 17 stanzas, and 31 parts. Two manuscripts exist but the original copy has not yet been found. In `DongDaSong`, ChoEui creatively accepted and introduced the theories of tea found in Chinese literature and `tea spirits.` He emphasized that one should maintain his impartiality when drinking tea and that one should restore balance to his mind by having tea every day. ChoEui contributed greatly to the development of tea culture that had slowly declined during the beginning of the Joseon Dynasty. He also claimed that Korean tea was superior to Chinese tea, and thus increased the national pride. Tea has long been known for its many health benefits. It promotes stable emotion and broadens minds and perspectives that serve to nurture one`s spirit. Importantly, drinking tea daily may solve many health problems and may even contribute to building a happier society. Therefore, efforts to understand and apply the ideas and spirits of tea discussed in `DongDaSong` will prove meaningful.

      • 19세기 영국의 금주운동과 차문화 확산 연구

        전정애 ( Jun Jung-ae ) 원광대학교 한국예다학연구소 2017 한국예다학 Vol.4 No.-

        오랜 시간 영국의 음료는 알코올이었다. 19세기에 대중적으로 차문화가 확산되는 데에는 영국 노동계급의 금주운동이 큰 역할을 하였다. 영국 차문화의 확산에는 기독교의 복음주의라는 사상적 배경이 있었으며 교회를 중심으로 실천되었다. 자선단체나 교회는 알코올 대신 차를 마시도록 선도하여 노동자의 가정이나 작업장에 비해 파격적이고 인격적인 찻자리를 마련하여 노동계급과 유소년의 정신적 위안을 주었다. 박애정신의 일환으로 노동자에게 차를 대접한 일은 당시 사회 전반에 확산된 금주운동과 더불어 영국의 차문화 확산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이다. 한편 노동계급의 차문화는 노동자의 자조 정신 함양과 함께 금주운동을 실천하는 노동자들의 자발적 참여로 실현되었다. 자조정신과 금주운동과 같은 건전한 생활 습관을 계몽하는 데에 차는 훌륭한 `절제 음료`가 되었다. 이로써 `술을 마시지 않기`로 번역됨직한 `Teetotal`이라는 용어가 `절대금주`라는 의미로 출현하게 된 것이다. 금주운동의 결과는 자연스럽게 술 소비의 감소와 차 소비의 증가로 이어졌으며, 장기적으로 전 계층이 차를 마시는 습관을 형성하게 된 것이다. 차는 기독교의 덕목을 실천하여 계급 간의 화합에 사용되는 매개체였고 노동자에게는 심신을 안정되게 하는 위로의 음료였다. 이처럼 차는 단순히 소비재로서 뿐만 아니라 계층 상호 간의 화합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세기 영국의 금주운동은 영국 차문화의 확산에 크게 기여하였다. For the past few centuries, alcoholic drinks have been an important beverage in Britain. Tea became the 19th century Britain`s most favorite beverage after beating out alcoholic beverage. The development of this popular culture was credited to the British working classes` temperance movements. Christians` evangelicalism played a spiritual role in spreading tea drinking culture among British workers. Churches and charities provided a cordial reception and tea ceremony to workers and boys, unaccustomed to humble tea drinking at their home and work. Along with the widespread temperance movement, this philanthropy of providing tea played a decisive part in establishing the popular culture of tea-drinking. Workers took part in temperance and teetotal movements, and prevailing self-help campaigns to keep human dignity. Tea served as a perfect “temperance beverage” which fostered a healthy lifestyle. The term “teetotal” which refers to “abstaining from alcohol” was first coined under this highly elated social atmosphere. As a result of temperance movements, the consumption of tea tended to increase while that of alcoholic drinks gradually declined. In the long run, people of all levels of society made the sound habit of drinking tea. Tea culture was founded on the spirit of the time and the community. In conclusion, tea culture can be said to be a popular culture reflecting the spirit of the 19th Century Britain. The temperance movements in the 19th Century Britain became a source of the Diffusion of Tea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