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김유정 '금 모티프' 소설 연구 : 「노다지」,「금」,「금따는 콩밭」을 중심으로

        최경아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김유정과 김유정의 소설에 대하여 그동안 많은 연구가 있었지만 ‘금 모티프’소설로서 중점적으로 연구된 논문은 그리 많지 않은 것 같다. 본 연구자는 올해로 김유정 탄생 100주년이 되는 해를 맞이하여 김유정과 김유정의 ‘금 모티프’ 소설에 대한 연구를 하게 되었다. 김유정의 소설 중에는 「노다지」,「금따는 콩밭」,「금」,「연기」등 ‘금’을 모티프로 한 소설이 무려 4편에 이르고 있다. 본고에서는 김유정이 살았던 1930년대의 사회적 상황과 ‘금 모티프’ 소설의 관계에 대하여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김유정의 소설「노다지」,「금」,「금따는 콩밭」,「연기」를 중심으로 ‘금 모티프’가 어떻게 형상화되었는지 분석하고 김유정 ‘금 모티프’소설의 의의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일제 강점기인 1930년대에 우리나라에서는 때 아닌 황금에 대한 열기로 온 사회가 떠들썩하였는데, 이는 우리나라에서 금을 채굴하여 일본의 대륙침략을 위한 발판으로서 자금을 마련하고자 금광업을 장려하는 정책을 폈던 치밀한 결과였던 것으로 드러났다. 흔히 문학이 사회를 비추는 거울이라고 할 때, 당시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를 반영하여 생성된 소설이 바로 ‘금’을 모티프로 한 소설이며, 1930년대에 발표된 ‘금 모티프’소설은 24편이 되고, 그중 4작품이 김유정의 소설인 것으로 파악된다. 김유정의 ‘금 모티프’ 소설을 분석한 결과, 그의 소설에서는 잠채꾼, 금광브로커, 농민, 광부, 지식인등의 인간군상과 이들이 황금을 찾는 과정에서 벌어지는 배신과 폭력, 황금 탐욕, 일확천금에 대한 허황한 꿈과 좌절, 황금에 대한 열망으로 백일몽 상태에 이르는 모습을 그린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이를 통하여 김유정의 소설에는 각계각층의 인물들이 황금을 쫓는데 동참하고 있으나 이들 대부분은 빈민이라는 사실을 주목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 단순히 황금만능주의로 치부될 것이 아니라 일제 강점기 일본의 정책과 가난을 모면하기 위한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다는 점이다. 김유정은 바로 이러한 현실에 대하여 철저하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김유정 소설의 특징인 해학성의 구현이 ‘금 모티프’소설에서도 유감없이 발휘되었고, 그의 독특한 언어표현은 금광 체험을 바탕으로 한 금광 용어로서 빛을 발하였다. So far there have been done many studies on Kim Yoojeong and his novel, but we couldn't see such a study focused on novels of gold. I personally have come to conduct researches on Kim Yoojeong and his novels pertaining to the gold motif commemorating the 100th anniversary of Kim Yoojeong's birth. There are as many as 4 volumes out of Kim Yoojeong's novels, [Rich mine], [Gold gathering bean farm], [Gold] and [Smoke]; they are based on the gold motif. I intended to clea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1930's social status and the gold motived novels from the main manuscript. Also, I went thorough analysis that how the gold motif's process of getting shaped around [Rich mine], [Gold], [Gold gathering bean farm] and [Smoke] and inspected the meaning of his novels. During the Japan's colonial rule of Korea in 1930's, unseasonable passion for gold had taken place in Korea, it had been assessed that this happened because of policy that encouraged the gold mining industry due to Japan fund raising for continent invasion by mining gold in Korea. Normally, if you say the literature is a mirror that reflects the contemporary society, a novel that reflected the social trend is one that motived by [Gold], that's in total 24 novels of the gold motif released from 1930's and it's grasped that 4 pieces out of the all belonged to Kim Yoojeong. For the research result of Kim Yoojeong's 'gold motif' novels, I saw a group of human beings like mineral robbers, gold mine brokers, farmers, miners and the intellectual, and nihil dreams about betrayal or violence, gold greed, and a dream of making a big fortune on a single occasion. And it showed how they reached a condition of being completely frustrated and the passion for gold allowing them a daydream. We also need to focus on various figures from each different class who joined chasing gold; most of them are poor, and it was enforced choice for them to avoid Japanese policies and poorness. Kim Yoojeong was fully recognizing the reality and humor of Kim Yoojeong was displayed in his 'gold motif' novel, and his special linguistic expressions could be shown by gold mining terms coming from his own experience

      • 패션업체의 내부마케팅 요인이 판매사원의 직무만족, 고객지향성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최경아 동덕여자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최근 패션기업들은 무한 경쟁체제가 심화됨에 따라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하나의 해결책으로 인적자원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게 되었다. 특히 매장의 고객접점 판매사원을 통합시키기 위한 가장 효율적 방법의 하나로 내부마케팅에 대한 전략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의류매장의 고객접점 판매사원을 일반판매원과 관리자측면인 샵마스터로 대상 나누어 그들의 직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내부마케팅 요인을 알아보고, 이러한 요인이 고객접점 판매사원의 직무만족과 고객지향성, 그리고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고객접점 판매사원 각 특성별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패션업체에서 기업경영의 일환으로 활용할 만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과 경기지역 백화점 및 로드샵에 근무하는 고객접점 판매사원(일반판매원, 샵마스터)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총 402부를 분석자료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12.0을 이용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으로는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다중회귀분석, ANOVA, t-test, 사후검정으로 Duncan test 등을 사용하였다. 이밖에 AMOS 16.0을 이용하여 연구모형의 적합도를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부마케팅이 고객접점 판매사원의 직무만족, 고객지향성, 직무성과의 모든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직무만족이 고객접점 판매사원의 고객지향성의 모든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직무성과의 모든 요인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고객지향성이 고객접점 판매사원의 직무성과의 모든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직위에 따른 집단 간 내부마케팅, 직무만족, 고객지향성, 직무성과의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모두 샵마스터 집단이 일반판매원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집단 간 내부마케팅, 직무만족, 고객지향성, 직무성과의 차이에서는 집단 간 차이가 있었으며, 40, 50대 이상의 연령층, 20년 이상의 총 경력을 가진 집단, 기혼자 집단, 그리고 500만원 이상의 고소득자 집단이 모든 변수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본사와의 계약을 통해 사업자로서 매장운영이 가능한 수수료제나 중간관리제의 샵마스터 집단이 월급이나 연봉제의 샵마스터나 일반판매원보다 모두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이직의도에서는 개인적 특성과 직무관련 특성에 따른 집단 간 차이가 있었으며, 일반판매원 집단이 샵마스터 집단보다 이직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 직무만족에서는 이직의도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직무성과에서도 이직의도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수정 후 구조방정식 모형의 추정 결과 연구모형의 연구요인들 간의 인과 관계를 설명하기에 무리가 없다. 하지만 본 연구의 가설과는 차이가 있었으며, 샵마스터와 일반판매원의 연구모형에서 대상 간 차이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패션업체의 내부마케팅 전략이 최종적으로 고객만족을 창출하고 시장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법을 통한 내부커뮤니케이션활동을 강화하고 직원들의 전문교육 확대와 활성화를 시키며, 공정하고 적정한 보상시스템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경영층에서는 직원들의 직무와 환경에 대한 만족도를 주기적으로 조사하여 이를 정책에 반영하고, 업무의 특성상 자율적인 재량권을 부여하여 직원들의 판단을 신뢰하고 지원해야 할 것이다.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identify effects of internal marketing of fashion retailers on job satisfaction, customer orientation, and job performance of shop managers and other sales staffs. Also, other purposes were to investigate effects of these factors on their intension to leave the job.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and distributed to shop managers and sales staffs who works at department stores or road shops located in the areas of Seoul or Gyeonggido. A total of 402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SPSS/PC Version 12.0,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confidence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OVA, and t-test were used. Also, Duncan multiple comparison test was used as a post hoc test an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carried out to identify the model fit using AMOS 16.0.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influences of internal marketing on all factors of job satisfaction, customer orientation, and job performance of customer contact salesperson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influences of job satisfaction on all factors of customer orientation and in job performance of customer contact salespersons.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influences of customer orientation on all factors in job performance of salespersons. Fourt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ternal marketing, job satisfaction, customer orientation, and job performance between a group of shop managers and a group of other sales staffs. Fift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ternal marketing, job satisfaction, customer orientation, and job performance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ixt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nsion to leave the job according to job related characteristics.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 group of shop manager and a group of sales staffs, and sales staff group showed higher intension. Seventh, significant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in the modified structural equation model were found to be appropriate. However, there was a discrepancy from the hypothesis in the study.

      • 신생아 돌보기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비교

        최경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임상에서의 신생아 돌보기의 적절한 중재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서 신생아 돌보기 구두교육 프로그램과 직접 실습을 포함하는 신생아 돌보기 시범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한 유사실험 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2002년 4월 24일부터 7월 15일까지 서울시 소재 Y대학 부속 병원에 입원하여 분만한 초산모 전수 중 실험군 Ⅰ(신생아 돌보기 구두교육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군)이 8명, 실험군 Ⅱ(신생아 돌보기 시범교육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군)가 10명으로 총 18명이었다. 프로그램의 효과는 신생아 돌보기 자신감과 교육만족도로 측정하였다. 교육전 조사는 신생아 돌보기 자신감을 정상분만 후 2-3일 째, 제왕절개 수술 후 5-6일째에 측정하였고, 교육후 조사는 퇴원 후 일주일째에 신생아 돌보기 자신감과 교육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P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χ^(2)-test, Mann-Whitney test, Wilcoxon signed ranks test의 통계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신생아 돌보기 시범교육을 제공받은 초산모 군(실험군 Ⅱ)은 신생아 돌보기 구두교육을 제공받은 초산모 군(실험군 Ⅰ)보다 교육후 자신감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Z=-2.803, P=.005). 2. 신생아 돌보기 시범교육을 제공받은 초산모군의 교육만족도는 신생아 돌보기 구두교육을 제공받은 초산모보다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지만 교육시기별 만족도 점수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p=.010). 이상의 연구결과 직접 실습을 포함하는 신생아 돌보기 시범교육 프로그램이 신생아 돌보기 구두교육 프로그램과 비교하여 초산모의 신생아 돌보기 자신감을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교육시기에 있어서 시범교육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초산모군이 만족도가 증진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임상에서 퇴원 당일날 실시하는 구두교육 프로그램보다는 퇴원을 미리부터 준비할 수 있는 신생아 돌보기 시범교육 프로그램을 활용하기를 권장한다. 그리고 추후연구는 좀 더 많은 연구대상자로 하여 연구하기를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appropriate discharge teaching method on newborn care for the first time mothers. This study employs quasi-experimental design to compare two teaching methods; verbal method (experimental group I) and the demonstration method (experimental group II). Data collection was done from April 24 to July 15 in 2002. The subjects were selected from one university affiliated hospital in Seoul. Eight mother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I and ten mother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II. A pretest on maternal confidence on newborn care was done 2-3 days after NSVD and 5-6 days after C-sec delivery. A post-test on maternal confidence and satisfaction on discharge teaching was done a week after discharge. Analysis of data was done by using of χ^(2)-test, Mann-whitney test, and Wilcoxon signed ranks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maternal confidence of the experimental group II at the post-tes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experimental group I (Ζ=-2.803, P=.005). 2. Overall satisfaction on the discharge teaching was similar for both groups but satisfaction on timing of the teaching was significant higher for the experimental group II (P= .010). In conclusion, it can be suggested that demonstration i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maternal confidence for the first time mothers in newborn care. Also, discharge teaching needs to start soon after the admission rather than near discharge date. Further study is suggested with a larger sample size.

      • Edvard Hagerup Grieg의 가곡집 <Sechs lieder Op.48>에 관한 연구 : 노르웨이 민속적 요소 및 선법 연구 중심으로

        최경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19세기 중반 유럽에서는 프랑스 혁명이 주축이 되어 민족주의가 대두되면서 그리그를 비롯해 그 당시 활동했던 각 나라 음악가들은 작품 속에 민족 고유의 색채를 접목시켜 그들만의 방식으로 민족주의를 표현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19세기 노르웨이 민족주의 음악을 대표하는 작곡가 에드바르드 그리그(Edvard Hagerup Grieg, 1843-1907)의 가곡집< Sechs Lieder Op.48 >에 관한 연구로 노르웨이 민속적 요소 및 선법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 당시의 음악적 작곡기법은 기존의 리듬과 더불어 대대로 전래되어지던 민속춤 리듬과 민요선율을 접목시켜 낭만주의 음악과 차별화를 두었다. 화성 또한 각 나라의 민속음악에 영향을 받은 음들을 사용하여 전통적인 장, 단음계와는 다른 음계를 바탕으로 음악을 만들기도 하였다. 그 외에도 자기 나라의 민속악기를 직접 연주하거나 혹은 민속악기의 주법을 다른 악기에 사용하는 특징들이 있었다. 이와 더불어 노르웨이 역시 백여 년의 긴 시간동안 음악에 영향을 주었던 교회선법의 혼용과 민속적 요소의 결합으로 음악을 더욱 다양하게 표현하였다. 본 논문에서 다뤄질 6곡을 통하여 가사의 섬세한 표현을 중요시 했던 그리그가 이를 음악적으로 어떻게 풀어내고 있는지 살펴보았으며 아울러 그의 작품 속에 녹여낸 노르웨이적인 요소와 선법적인 면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로 그리그의 가곡을 접하는 많은 연주자들이 그리그만의 풍부한 선율과 특징을 이해하고 보다 효과적이고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 온라인에서의 아바타 구성과 성정체성에 관한 연구 : 프리챌(Freechal) 사이트 이용자 분석을 중심으로

        최경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텍스트 기반환경에서 그래픽 기반환경으로 변화되면서 새롭게 등장한 가상신체(virtual body)의 일종인 아바타와 성정체성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이다. 온라인에서의 자아를 표현할 수 있는 또 다른 자원인 아바타를 이용자들이 구성하게 될 때, 연구자는 이것이 성정체성과 어떠한 관련을 맺는지를 다루고자 했다. 온라인과 성정체성에 관련한 기존 논의들은, 온라인의 기술적 특성에 의거해서 현실세계의 성정체성이 재구성될 수 있다는 잠재력에 주목하거나, 이와는 대조적으로 현실세계의 성정체성이 온라인에서 여전히 '반영'되어 나타난다고 주장한다. 연구자는 현실세계의 성정체성이 온라인을 매개로 재구성될 수 있다는 가능성과 잠재력을 부정하진 않지만, 현실세계에서 형성되어왔던 성정체성이 온라인에서의 성정체성을 구성시키는데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본다. 그래서 연구자는 온라인에서 구성된 아바타와 현실세계의 성정체성간의 관계가 어떠한가를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아바타를 구성하는 이용자들을 인터뷰하였다. 연구자는 아바타를 주로 소비하는 세대인 10대와 20대 중에서 나이변인을 제거하기 위해 20대 이용자에 한정시켜 인터뷰하였고, 이들이 공통적으로 이용하는 프리챌 사이트를 중심으로 연구했다. 본 연구에서 설정된 연구문제는 이용자들의 아바타 구성 동기, 아바타에서의 성정체성, 그리고 아바타구성과 현실세계 성정체성간의 관계에 관한 것이었으며,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용자들이 아바타를 구성하는 동기는 세가지로 나타났다. 첫 번째, 이용자들은 다른 이용자들이 구성한 아바타를 자신의 아바타와 비교하면서 자신만이 소외되었다고 느끼게 되었으며, 이러한 소외감에서 탈피하기 위해서 아바타를 구성한다. 두 번째, 이용자들은 온라인에서 다른 이용자들과 상호 작용하게 될 때, 현실세계의 자아를 표현할 수 있고, 그들에게 특정한 인상을 형성시켜줄 수 있기 때문에 아바타를 구성한다. 세 번째, 이용자들은 현실세계에서의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해서, 그리고 자신이 원하는 외양과 이미지로 아바타를 구성하여 대리만족 할 수 있기 때문에 아바타를 구성한다. 이러한 동기들에 의해 이용자들이 어떠한 아바타를 구성하는지를 살펴보면서 성정체성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분석하였다. 아바타를 구성할 때 아이템이 이용되는데, '쫄티', '핫팬츠'와 같은 아이템에 날씬함을 상징하는 여성성의 의미가 부여되어 있고, '총', '검', '문신' 등과 같은 아이템에 '힘'을 상징하는 남성성의 의미가 부여되어 있었다. 이렇게 의미화된 특정 아이템들을 이용하여 이용자들은 자신의 아바타를 여성적/남성적인 아바타로 구성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이용자들을 분석한 결과, 여성적인 이상적 자아와 남성적인 이상적 자아를 구성하는 경우와 남성다움에 부합하지 않는 이상적 자아를 구성하는 경우가 있었다. 여성적인 이상적 자아와 남성적인 이상적 자아를 연구자는 '성별화된 이상적 자아'라 정의하였으며, 이에서 벗어나는 이상적 자아를 '탈성별화된 이상적 자아'라 정의하였다. 그리고, '성별화된 이상적 자아'를 구성하는 경우가 주로 나타나며, 아바타에서 '성별화된 이상적 자아'로 온라인에서의 성정체성이 나타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온라인에서의 성정체성과 현실세계의 성정체성이 어떠한 관련을 맺는지를 분석하였는데, '성별화된 이상적 자아'를 구성하는 이용자들의 경우, 성별화된 가치와 욕망이 내면화되어 있었다. 이러한 가치와 욕망은 현실세계에서 성정체성이 형성될 때 내면화되는 것이며, 이를 매개로 현실세계에서 형성되어온 성정체성이 온라인에서의 성정체성에 '반영'된다. '탈성별화된 이상적 자아'를 구성하는 이용자들은 두가지로 분류될 수 있었다. 첫 번째는 현실세계에서의 성정체성을 재구성해왔기 때문에 현실세계의 성정체성이 온라인에서의 성정체성에 '반영'되지 않는 경우이다. 두 번째는 현실세계의 성정체성과 온라인에서의 성정체성이 연관된다고 볼 수 있는 경우이다. 이 경우, 남성 정체성에서 '외모'가 여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중요한 위상을 차지하기 때문에, '탈성별화된 이상적 자아'가 구성될 수 있는 것이라고 해석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대부분의 사례들이 현실세계에서 형성되어온 성정체성을 반영하여 '성별화된 이상적 자아'를 온라인에서 구성하며, '탈성별화된 이상적 자아'를 구성하는 사례 중 하나의 사례만이 현실세계의 성정체성을 반영시키지 않았다. 그러므로, 현실세계의 성정체성이 온라인에서의 성정체성에 반영된다고 결론 내릴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온라인에서의 정체성이 이용자들의 자유와 선택에 따라 규정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이것이 곧 현실세계에서 형성되어왔던 성정체성을 초월, 변화시키는 것이 아니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온라인의 기술적 특성으로 인해서 현실세계에서 형성되어온 성정체성을 재구성시킬 수 있다고 주장하기는 어렵다고 볼 수 있다. The change of on-line environment from text-based to graphic-based give rise to 'avatar'. This thesis focuses on the relation between avatar as a virtual body and gender-identity. The avatars that on-line users make for seIf-representation can reveal their close relation with gender-identity organized by the structure of a society. Some researches on on-line gender-identity pay attention to the possibility of de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of such identity based on the optimistic view of 'technology'. Other researches on on-line gender-identity reflect off-line gender-identity. This study doesn't deny all the possibility that 'technology' should intervene with a reformation of gender-identity. However, it is also that off-line gender-identity influences on-line gender-identity. Thus This study begins with questioning avatars and the off-line gender-identity. interviews with the avatar users helped answer this. Among teenagers and 20s who are main consumers of avatars restrict interviewees to 20s for excluding age variable. Through the interviews this study analyses the users' motifs for avatar-making, the gender-identity constructed by avatars, and the relation between avatar and off-line gender-identity. First, the reason users made avatars is to get out of a sense of alienation. the second reason is for users' self-representation, and to impress others. The third reason is to get rid of stress, and for satisfaction by making desirable self-image and appearance.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interviews, some users construct feminine and masculine ideal self, and some male users construct ideal self coincided with 'masculinity'. I define feminine/masculine ideal self as “gendered ideal self", and ideal self coincided with gendered ideal self as “de-gendered ideal self". The portion of “de-gendered ideal self" was quite low. Therefore on-line gender-identity appears to be ”gendered ideal self". Finally, the users who construct “gendered ideal self" appear to internalize genderd value and desire. This interpretation can lead to the conclusion that on-line gender-identity reflect off-line gender-identity. The users who construct “de-gendered ideal self" are devided into two case. One case indicate that on-line gender-identity doesn't reflect off-line gender-identity, because off-line gender-identity is deconstructed and reconstructed. However, the other cases can be interpreted as follows. Male users construct “de-gendered ideal self", because they are not subject to the appearance as a standard for judging individuals so much as women do. Although on-line gender-identity can be determined by users' free will to some extent, it cannot transcend and change completely gender-identity organized by the structure of a society. So it is also difficult to argue that 'technology' reform off-line gender-identity.

      • 슈만(Robert Alexander Schumann)의Faschingsschwank aus Wien Op. 26에 관한 연구

        최경아 성신여자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질서와 균형, 조화를 예술의 이상으로 삼았던 고전주의와 달리 19세기의 낭만주의 음악은 무엇보다도 자유와 환상, 그리고 주관성을 강조하고 추구했다. 이에 따라 피아노 음악에서도 자유로운 형식에 특정 분위기나 성격을 담아놓은 성격소품(character piece)이라는 새로운 장르가 나타나 크게 발전하게 된다. 슈만, 슈베르트, 멘델스존, 쇼팽, 브람스 등 많은 낭만주의 작곡가들이 다수의 성격소품을 남겼다. 그 중에서도 특히 슈만은 이 분야에서 문학적 요소를 더하여 낭만주의 피아노 음악을 한 단계 더 발전시킨 작곡가였다. 슈만의 성격소품은 그의 피아노 음악 가운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대부분 모음곡 형식으로 되어 있다. 슈만의 작품 중 상당히 외향적인 성격을 보여주는 「빈 사육제의 어릿광대」(Faschingsschwank aus Wien, Op.26)는 1838-1839년에 작곡되었으며 형식적으로나 양식적으로 슈만의 전형적인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이 작품은 슈만이 빈(Wien)에서 체험한 사육제의 소란스럽고 유쾌한 분위기를 환상적으로 표현한 모음곡으로, 론도 형식의 알레그로(Allegro), 3부형식의 로만체(Romanze), 작은 론도 형식의 스케르치노(Scherzino), 3부형식의 인터메초(Intermezzo), 그리고 소나타 알레그로 형식의 피날레(Finale)의 다섯 성격소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슈만은 이 작품에서 주로 짧은 동기나 악구를 동형진행(Sequence) 시키거나 변형, 반복하여 선율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다른 작곡가들의 선율이나 기존의 선율을 사용하기도 하는데, 예를 들면 5개음에 의한 하행 선율 진행인 ‘클라라 모토’(Motto von Clara), 독일 민요인「할아버지의 춤」, 프랑스 국가인「라 마르세에즈」(La Marseillaise)와 같은 선율을 차용하였다. 그는 또 당김음, 교차리듬, 부점리듬, 불규칙적인 액센트 등을 사용하여 다양한 리듬의 변화를 시도하였고, 7화음, 9화음, 빠르게 변화하는 반음계적 화성진행과 비화성음, 지속음(pedal point), 그리고 모호하고 빈번한 전조를 통해 화성적 색채감을 풍부하게 하였다. 「빈 사육제의 어릿광대」는 슈만의 피아노 음악에 나타나는 작곡 양식을 잘 보여주는 동시에 사육제의 축제적인 유쾌함과 그 특유의 서정성을 잘 표현한 뛰어난 성격소품의 대표적인 작품이라 할 수 있다. Different from classicism that idealizes art to be organized, balanced and harmonized, romanticism in the 19th century pursues liberty, fantasy and subjectivity. New genre called character piece helped advancing piano music further. The character piece delivers specific sentiment or characteristic in liberated forms. The pioneers in the character piece include Schumann, Schubert, Mendelssohn, Chopin, and Brahms. Schumann further improves romanticism piano music by adding literature factors. Schumann's character piece heavily weight among his piano music. Majority of his character piece consists of suites. Faschingsschwank aus Wien, Op.26 that was showed quite external character had composed in 1838 ~ 1839 and evaluated a Schumann's typical work, in formal and in stylish. This work is a suite that Schumann experienced the carnival in Wien and expressed an air of cheerful in fantastically. And this is organized of 5 character work, Allegro of a rondo form, Romanze of 3 part form, Scherzino of small rondo form, Intermezzo of 3 part form, and a finale of sonata allegro form. Schumann composed a melody mostly with sequencing a short motive or a clause in this work. Besides he used a existing melody and another composer's. For instance, he used Motto von Clara that is progressing a going down melody by 5 tones and he used the Grossvatertanz that is a German fork song and he used La Marseillaise that is the French national anthem. Also he tried to change the various of rhythm by using a syncopation and by using a crossing rhythm, a dotted rhythm and by using an irregular accent, and enriched a harmonic color sensation by the 7th chord and the 9th chord and by a chromatic progression and by a pedal point and by a none harmonic melody that is changed rapidly. Faschingsschwank aus Wien, Op.26 is a representative work of a character piece that show a composition form of Schumann's piano music and represent a festive pleasure and the peculiar lyricism well.

      • 영유아 안전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운영 실태 및 방해요인 분석 : -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

        최경아 호남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안전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운영 실태 및 방해요인을 살펴봄으로서, 영유아의 안전사고 예방과 안전 능력 향상을 위한 안전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영유아 안전교육에 대한 인식은 교사의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영유아 안전교육에 대한 운영 실태는 교사의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3. 영유아 안전교육에 대한 방해요인은 교사의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대상은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 중에서 편의표집으로 선정된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근무하는 영유아교사 248명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는 영유아 안전교육에 대한 인식과 운영 실태 및 방해요인을 조사하기 위하여 선행연구(김명주, 2015; 심용옥, 2005; 유정민, 2017; 최원희, 2015)를 참고하여 연구목적에 적절하게 설문지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의 일반적 배경은 빈도분석을 하였고, 질문지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α를 산출하였고, 연구문제에 따라 검정, t-검정, 일원변량분석과 Duncan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교사의 안전교육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위험한 상황에 대한 안전사고로부터 자신을 보호할 수 있는 능력 습득과 안전 수칙을 준수하는 생활습관의 형성이 중요한 목적으로 인식하였다. 영유아 대상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주제는 생활안전이었으며, 어렵다고 생각하는 주제는 성폭력 및 아동학대 예방교육이라고 응답하였다. 대부분의 영유아교사는 시청각 자료로 영유아 안전교육을 진행하고 있었으며, 안전교육의 대상연령을 고려하여 안전교육을 진행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영유아 안전교육은 만 3세부터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는 의견이 대부분 이였으며, 주 1~2회, 10분~20분 정도의 안전교육이 이루어져야 효율적이라고 응답하였다. 둘째, 영유아 안전교육에 대한 운영실태의 전반적인 경향은 대체로 잘 실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변인에 따라서는 교사의 연령이 많을수록 영유아 대상 안전교육을 잘 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력교사가 안전교육을 잘 진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집 교사가 유치원 교사에 비해 안전교육 계획과 운영을 잘 하고 있으며, 영아교사가 유아교사보다 안전교육 운영을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유아 안전교육을 진행할 때 교사가 느끼는 방해요인에 대해서는 어려움을 많이 느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유아의 안전교육을 실시하는데 있어서 방해요인의 순서로는 원의 관심 부족, 안전교육 목표 달성의 어려움, 안전교육 대상 연령의 부적절함, 교사의 전문성 부족, 안전교육을 진행할 시간의 부족, 교사 대상 연수의 부족의 순으로 응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development of safety education program to prevent safety accidents and improve safety of infants and children by exploring teachers' perception, operational status and intervening factors for safety education of infants and children. The research problems to achieve such objective are as follows. Research problem 1. Does the perception of infant and child safety education vary upon the teacher's variables? Research problem 2. Does the operational status of infant and child safety education vary upon the teacher's variables? Research problem 3.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intervening factors for infant and child safety education according to the teacher's variabl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48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 teachers who were se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from infant and child educational institution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infant and child safety education and the intervening factors for infant and child safety education, we used previous research (Kim, Myung-ioo, 2015; Shim, Yong-ok, 2005; Yu, Jeong-min, 2017; Choi, Won-hee, 2015) to modify and complement questionnaires as appropriate. SPSS 21.0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Cronbach's α was calculated to test the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and x2test, t-test, one-way ANOVA and Duncanpost-test were conducted according to there search probl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on the perception of infant and children safety education are demonstrated. The ability to protect oneself from safety accidents in dangerous situations and the formation of lifestyles that adhere to safety rules were recognized as important goals. The most important subject for infants and children was life safety, and the topics that were considered difficult were sexual violence and child abuse prevention education. Most teachers of infants and children conducted safety education with audio-visual materials. They replied that they were conducting safety education considering the age of the subjects. Most of them said argued that the safety education for infants and children is best done from 3 years old, and is effective when done 1 ~ 2 times a week for 10 ~ 20 minutes. Second, the general tendency of the operational status of safety education for infants and children seems to be well-practiced. In terms of the teachers' variables, the older the teacher, the better the safety education for infants and children. It was found that daycare center teachers are better than kindergarten teachers in safety education planning and operation, and the infant teachers are better at safety education operation than the daycare center teachers. Third, teachers did not feel much difficulty about the intervening factors during infant and child safety education. Intervening factors for safety education of infants and children were listed in the following order: lack of interest of the center, difficulty in achieving the safety education goal, inadequate age of the subjects of safety education, lack of professional expertise, lack of time to conduct safety education, and the lack of training for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