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의 자유에 대한 논고: 서구대학의 탄생과 진화사로부터

        천세영 ( Chun Se Yeoung ),( Wim J. C. M. Van De Grift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교육연구논총 Vol.37 No.4

        이 논고는 헌법에 보장된 대학의 자유에 대한 시론이다. 모든 생명성의 원천은 개체성에 있으며 개체성의 원천은 자유에 있다는 전제하에 대학도 하나의 생명체로서 자유를 보하지 않으면 존재하고 성장할 수 없다는 관점으로 대한민국 대학의 자유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 다만 대한민국 대학의 자유는 완전하지 못하고 그로써 대학의 생명 또한 완전하지 못하다는 입장을 견지하며 그 논거는 서구대학들이 탄생 과정에서 신으로부터 선천적 자유인 Freedom을 부여받은 것으로 그치지 않고 성장 과정에서 스스로의 노력으로 후천적 자유인 Liberty를 쟁취하여 왔다는 역사적 사실에서 찾아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이 논고는 대한민국 대학의 생명성이 freedom과 liberty를 모두 갖춘 온전한 자유를 어떻게 갖추어 나갈 것인가에 달려있음을 밝히려는 것이다. This article has been written about the academic freedom of university proclaimed by the Constitution of Republic of Korea. The position taken by this article is based on the proposition that a university cannot exist without its freedom and liberty which is the given condition of life and its individuality. By the way, the freedom and liberty of Korean university is not completely secured yet, which means then its life not matured as much as European universities who have been endowed or inherited with the freedom from God and equipped with the liberty acquired by themselves over the struggles for birth and survival. Therefore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life and individuality of Korean university could be only secured when it could have acquired the freedom and liberty as its pure form.

      • KCI등재

        장학론 발달사적 관점에서 살펴 본 ICALT 수업행동분석연구

        천세영 ( Chun Se-yeoung ),박세희 ( Park Se-hee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9 교사교육연구 Vol.58 No.3

        이 논문의 핵심 질문은 ‘장학은 과학적 탐구의 대상인가?’이다.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해 관련 이론과 문헌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장학이 이론적 측면에서 또한 제도적 측면에서 전개되어 왔는지를 살펴보고, 장학의 본질적 과업인 교사 교육과 교사 수업전문성 측정이라는 측면에서는 여러 가지 한계에 직면해 왔고, 그 대안으로써 최근에 이르러 ‘관찰 가능한 교사의 수업행동’에 대한 관심에 따른 양한 개발되어 온 측정도구들을 비교하였다. 그 중에서 ICALT(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of Learning and Teaching) 도구는 학교급과 교과목 등 다양한 교실 맥락 변인과는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교사의 수업전문성을 진단하는 데 있어 이론적 타당성과 신뢰성을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14년 최초 한국에서 적용된 연구결과에서는 신뢰도 지수인 크론바알파 >.80, 구조타당도 지수인 RMSEA지수< .08, CFI >.90, TLI>.90으로 모두 양호하게 판명되었다. 이처럼 장학론이 교사의 수업전문성 연구에 대한 과학적 시도를 본격적으로 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막연히 교육의 질이 교사의 질에 의존한다는 신념에만 의존하여 교사 교육 개선을 지향하여 왔던 종전의 방식들보다는 증거에 기반을 둔 개선 전략 수립도 가능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The key question in this paper is, 'Is supervision an object of scientific inquiry?' To answer this question, we first examined how the supervision has been developed from the theoretical and institutional perspectives, and faced several limitations in terms of measuring teaching skills and quality which is supposed to be tackled task by supervision for its improvement. This study compared the various measurement tools developed according to the interest in 'observable teacher's instructional and teaching behavior'. Among them, the ICALT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of Learning and Teaching) tool shows the better validity and reliability in diagnosing the teacher's teaching expertise, which is independent of various classroom context variables such as school levels and subjects. The first trial research conducted for Korean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2014 showed the highly significant reliability(cronbach aplha >.80) and model validity(TLI.>.90, CFI>.90, RMSEA<.08). As the supervision theory can be approached by the scientific inquiry to study the teaching skill in such a rigorous and evidence-based method rather than those conventional methods that have been pursuing the improvement of education based only on the simple beliefs that the quality of education depends on the quality of teacher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수업전문성 측정도구(ICALT)의 문항별 신뢰도 및 타당도에 관한 연구

        천세영(Chun Se yeoung),김득준(Kim Deuk joon),정일화(Jeong Il hwa) 한국교원교육학회 2018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5 No.3

        본 연구는 Van de Grift(2007)의 ICALT 도구가 한국적 상황에서 수업전문성을 측정하는 도구로 적용 가능한가를 확인하는 데 연구목적을 두고 진행되었다. ICALT 수업전문성 관찰도구는 6개의 교사의 수업행동 도메인과 1개의 학생의 수업참여도 도메인을 구성하는 총 35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자료는 2014, 2016, 2017년에 진행된 총 855개의 초등 및 중등 수업관찰이며,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ICALT의 요인구조와 각 문항이 한국 교사의 수업전문성을 측정하기에 적합한지를 분석하고자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행한 바, 모델 적합도를 나타내는 추정치의 값이 RMR 037, RMSEA .057, IFI .921, TLI .912, CFI .921 등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둘째, 모델 적합도를 떨어뜨리는 문항을 찾아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하였다. ‘전체(중등+초등)’ 집단과 ‘중등’ 집단은 4개 요인, ‘초등’ 집단은 3개 요인이 추출되었고, 문항별 용어 번역의 적합성을 개선함으로써 관찰도구의 문화 간 타당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This article is a report of the study which aimed to investigate how to improve the ICALT classroom observation tool of teaching behavior by analysing the model fitness together with reliability and validity of individual 32 items under 6 domains. Total 855 classroom observation data collected for three years, 2015,2016 and 2017, were used, and the observation was conducted by trained master teachers with over 20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Major findings are: First,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e ICALT tool has a good level of model fitness for every item under respective domain: major parameters are verified statistically meaningful, RMR 037, RMSEA .057, IFI .921, TLI .912, CFI .921. Seco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done to identify latent factors and examine how they are compatible with six ICALT domains. For the mixed group of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and the separate secondary teachers showed four factor grouping, while the separate elementary three. Such this variation within factors are found to get better reliability and validity of each items by translating the original English and Dutch words into more relevant Korean and local.

      • KCI등재

        스마트교육 요소로서의 디터러시 측정 연구

        천세영 ( Chun Se-yeoung ),이성은 ( Lee Seong-eun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교육연구논총 Vol.37 No.3

        이 연구는 스마트교육의 기저가 되는 디지털리터러시 능력을 측정하고, 국어와 수학성적과의 관계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종전의 3R에서 읽기(reading)와 쓰기(writing)는 문자해득력 곧 리터러시(literacy)로, 셈하기(reckoning)를 숫자해득력 곧 누머러시(numeracy)로 재개념화하고, 디지털해득력인 디터러시(diteracy)를 추가하여 ‘새로운 3R``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초중학생들을 대상으로 디터러시를 측정 분석하여 스마트리터러시에 대한 기초적 이해에 접근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디터러시 능력은 초등학교의 경우 학년이 높아짐에 따른 이해력 또는 문해력이 증가하는 반면, 중학교는 이해력 또는 문해력이 높아짐과 함께 디터러시 능력에 대한 숙달 정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디터러시와 국어성적, 수학성적과의 상관관계 분석한 결과 수학성적이 디터러시와 더 유의한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디터러시가 단순하게 알고 있는 지식을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상황에서의 정확한 정보의 파악과 수행능력을 측정하는 것으로, 보다 조작적이고 기술적인 정보처리과정, 문제해결력과 관계되는 수학성적과 더 밀접한 관계에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digital literacy of the basic ability of smart education an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with digital literacy, language and mathematics scores. In this study, reading and writing in conventional 3R was reconceptualized as ``literacy`` and reckoning as ``numeracy``. ``Diteracy`` or digital literacy has been added to the conceptual structure of the "new 3R". To measure and analyze the diteracy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the approach required a basic understanding to configure a smart literacy syst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iteracy was found to be higher as grades (year in school) went up for elementary students as their general understanding and skills increased regardless of smart device over time. Gains for secondary students were not as high in each successive grade and took longer. Second, diteracy was found to have mo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mathematics than language. Because diteracy doesn’t measure the simply knowledge but the ability to identify the exact information and to perform in certain situations, diteracy was shown to have the closer relationship with mathematics related to operational and technical information processing, problem solving

      • KCI등재

        유아ㆍ평생교육 재정투자 전략의 탐색

        천세영(Se Yeoung Chun)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06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15 No.2

          이 논문에서는 유아교육과 평생교육을 진흥하기 위한 정책수요가 어떠한 것들이 있으며, 그것을 지원하기 위한 재정수요는 어느 정도가 될 것이고,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재정대책은 무엇이 될 것인가를 탐색하였다. 탐색 결과, 저출산 고령화 사회라고 하는 자연스런 사회변화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학교교육 중심으로 경직된 교육체제로서는 어렵다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이를 위해서는 교육재정투자 전략 또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BR>  결론적으로 막대한 재정수요의 확충 못지않게 기존의 재원을 효율적으로 재배분하는 것을 포함한 종합적 대책이 요구되고 있으며, 그 대안으로서 학교교육 중심의 교육재정구조의 탈피, 수요자 중심의 재정구조 수립, 교육인적자원개발 및 관리 차원에서의 보다 종합적 재정투자 전략 수립이 검토되어야 한다.   This paper was written to answer the questions for improving the investment policies of lifelong learning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especially to find out the policy options for lifelong learning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estimate the necessities for their financing and to discuss about the future directions for implementing those policy options and financial investment. The main argument identified in the paper is that such a rigid and closed system of educational financing limited to public school-centered system needs to reexamined to open its boundary, which calls for a new approach.<BR>  One alternative suggested in the paper regarding is the more comprehensive approach for reallocation of the present investment in addition to the bigger securement of new financial resources. In order to implement in the practice, some of following measures are necessary to be employed; overcoming school-centered financing, on-demand financing, integrated funding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 KCI등재

        성인여성학습자의 학습욕구와 고등교육기회 접근형태간의 불일치 현상 탐구

        천세영(Chun Se Yeoung),이삼경(Lee Sam Kyoung) 한국평생교육학회 2009 평생교육학연구 Vol.15 No.2

        고등교육기회 획득 형태를 중심으로 성인여성학습자 즉 아줌마의 학습욕구와 교육제도간의 불일치 현상을 탐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정규 고등교육과정에서 성인여성학습자들이 4년제 대학(교)보다는 전문대학, 국 공립학교보다는 사립학교 그리고 이공계열보다는 인문사회계열로 편중되는 현상 등을 교육통계연보 자료 등을 분석해본 결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성인학습자이기 때문에 나타나는 것으로 여성성에 의한 결과가 아님을 학령기 여성학습자와의 비교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고등교육기회 접근 가능성의 여부에 따른 결과로서 성인여성 학습자의 학습욕구와 교육제도 간의 불일치 현상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성인여성학습자의 학습욕구와 교육제도간의 불일치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고등교육의 입학기회 확대뿐만 아니라 입학 후 성인여성학습자의 학습욕구에 맞는 다양한 교육제도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nconsistency between female adult leaners' learning desire and the educational system focused on the access of higher education. The analysis based on the data acquired from 「Statistical Yearbook of Education」 showed that female adult leaners prefer colleges to universities, public schools to private schools and the humanities to the faculty of science and engineering. As compared with school-aged female leaners, this phenomenon was caused by characteristics of the adult leaners not by their femininities. This phenomenon can be regarded as the access type difference to higher education of adult learners, which are caused by the inconsistency between female adult learners' learning desire and the educational system. In order to solve the inconsistency between female adult leaners' learning desire and an educational system, it is necessary to study and develop various educational system for female adult leaners' learning desire, and to expand higher education opportunity.

      • KCI등재

        한국교육모델 대안 탐색을 위한 소고:아프리카교육 문제와의 비교를 기반으로

        천세영(Chun Se-Yeoung) 한국교육행정학회 2017 敎育行政學硏究 Vol.35 No.2

        대한민국의 교육모델은 세계성을 갖출 수 있을 것인가가 본 논문의 질문이다. 이 논문에서 는 질문에 대한 답을 위해 기존 설명방식을 검토하고 특히 당면한 아프리카교육의 사례와 비 교를 통해 그 한계점과 대안을 탐색하였다.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현재까지 밝혀져 온 한국 교육발전의 요인들로서는 첫째 역사문화적 요인으로서 교육열과 숭문주의, 둘째 정책적 노력 요인으로서 저비용 양적성장정책, 셋째 초등학교에서부터 중학교 고등학교 그리고 대학으로 순차적인 단계를 밟은 발전 전략, 넷째 사립학교와 민간재원 의존 전략이 가장 대표적이다. 대한민국의 교육발전모델은 아직 그 설명이 완성되지 않은 상태이다. 위 네가지 요인들은 그 동안 연구를 통해 밝혀져 온 대표적인 예에 불과하다. 본 논문에서는 선행연구들이 주로 교 육외변인 관점에서 설명해 온 것에 비해 교육내변인이 대한민국 교육발전에 관여했을 수 있 었는가를 검토해보았다. 그 첫째는 교수학습미디어인 한글과 문맹퇴치 모델이며, 둘째는 자영 적경제체로서의 교육산업 모델이며, 셋째는 지방교육자치 모델이며, 넷째는 교육기회균등 모 델이다. The main question of this article is about the possibility of Korean model of educational development as a universal theory to be appliable to other countries. To find the answer, major literatures in this field were reviewed and particularly discussed with regard to African issue of emergence and its educational prospect, and followed by the alternative explanatory model building of Korean education. Four factors have been suggested as its contributors: first, education fever and inherited culture of literacy; second, low cost approach of quantity expansion at the risk of quality; third, sequential expansion of school opportunities from elementary thru secondary even to tertiary educaion; fourth, private schools’ participation and role of private expenditure. However these models are not yet fully convinced with a firm and scientific investigation. Alternative factors are discussed from the point of within education variable compared with the external one. These factors would be integrated into the Korean model building of educational development; they are, Hangul and its literacy power as the instructional medium; educational system as a self-grown industry; strong and autonomous local governance of education;and, equal opportunity oriented growth of education.

      • KCI등재

        사교육비경감대책'의 교육재정경제학적 접근

        천세영(Se Yeoung Chun)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04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13 No.2

        이 논문은 한국의 사교육비 문제에 접근하는 기존의 관점들을 상반되는 두 종류의 명제군을 설정하여 논증하려고 하였다. 첫 번째 명제군(p 명제)은 사교육과 공 교육은 별개의 실체이며 상호배타적이라는 전제에서 구성되며, 두 번째 명제군(e 명제)은 사교육과 공교육은 교육재화의 사유재적 성격과 공유재적 성격을 논리적으로만 구분할 뿐 교육시장의 거래 양식이라고 전제한다. 논증은 시론적으로 전개되었으다. 첫째 명제군은 우리 사회에서 그리고 한국 교육에서 ‘사교육’과 ‘사교육비’가 갖는 사회적 의미(social construct) 형성 과정을 밝힘으로써 위 명제임을 밝히려고 하였다. 한편 둘째 명제군은 한국에 엄연한 현실로 있는 사교육 시장이 실제로 어떤 방식으로 작동하고 있는가에 대해 밝혀봄으로써 그것이 ‘사실’이라는 의미에서 진임을 밝혀보려 하였다. 이와 같은 논의가 성립할 경우 한국의 사교육과 사교육비 문제는 공교육과의 대립적 논의 구조에서는 이해될 수 없으며, 교육경제학 관점에서 교육시장 균형론에서만 바르게 이해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This paper tried to prove the pair of two contradictory proposition group, P and E groups, regarding the private education and private cost of education in Korea. P proposition group is formulated by the premise that private education is in its nature an entirely different reality from public education, incompatible with each other. On the other hand, E group is formulated by the alternative premise that the two cannot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but partly be distinguishable logically. Under the E group, private and public education are regarded as the specific forms of education market. In this paper P group was testified about its fallacy according to the social construct of education in Korean society, particularly related to the ambiguous concept of private education and private cost of education, which, if proved true, induces the conclusion that private education must and can be abolished in the education market. This logic was discussed about its innate contradiction; that is, private education is 'not-being' or 'not-education' in its eventuality although P group attacks its existence and reality in the education market of Korea. Fallacy of P group proposition proved in the paper is proposing the alternative approach of E group for better understanding about Korean education. That is, private education is a specific form of education in Korean education and compatible with public education. Then, private cost of education could be optimized rather than eradicated, as P group attack, in a way in which Korean market of education can be returned to the equilibrium state. In order to reach to this kind of discourse, the economic perspective could help u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