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웹기반 협력학습 모형과 지원도구 분석

        김득준(Kim Deuk Joon) 한국교육실천연구학회(한국교육포럼) 2007 韓國敎育論壇 Vol.6 No.1

        이 연구는 웹기반 협력학습을 위한 효과적인 모형을 도출하고, 이러한 웹기반 협력학습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기술적 도구유형과 기능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웹기반 협력학습을 위한 모형을 도출하기 위해 연구자는 전통적인 교실기반 면 대 면 협력학습 모형과 절차 및 단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교실기반 면대면 협력학습 모형들은 공통적으로 준비, 도입, 전개, 정리 4가지 절차를 가지고 있으며, 각 절차는 공통적인 학습단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웹 기반 협력학습 활동은 학습자가 동료와 공유된 학습공간에 함께 있다고 느끼는 공존과정과, 동료들과 공동으로 학습활동을 할 수 있음을 인지하는 등의 인식과정, 그리고 의사소통 등의 상호작용 활동을 통해 특정과제를 협력하여 공동 목적을 달성하는 협력과정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웹기반 환경에서의 협력학습 지원도구는 협력의 과정과 목적에 따라 지식 개발 및 공유, 협력 및 학습자간의 상호작용 촉진, 커뮤니티 관리용도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 연구결과를 통해 효과적인 웹기반 협력학습 시스템을 설계하고 협력학습 과정과 절차에 부합하는 지원도구의 사용을 통해 정보간섭을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an effective model for web-based collaborative learning, and the types and functions of technical tools to support web-based collaborative learning. To derive a web-based collaborative learning model, this study analyzed the models, processes, and steps of the traditional classroom-based face-to-face collaborative learning. This analysis revealed that the classroom-based face-to-face models commonly had the four processes: preparation, introduction, development, and summary, and that each process had common learning steps. Furthermore, web-based collaborative learning activities consist of a coexistence process where the learners feel that they are in a learning space that they share with colleagues, a recognition process where they recognize that they can carry out learning activities jointly with colleagues, and a collaboration process where they collaborate on a specific task and achieve a common goal through interactive activities such as communication. The supporting tools for collaborative learning in the web-based environment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rocess and purpose of collaboration into knowledge development and sharing, collaboration and promotion of interactions among learners, and community management. It is expected that based on this web-based collaborative learning model, activity processes, and the types and functions of technical tools derived from this study, we could design an effective web-based collaborative learning system and minimize information interference through the use of supporting tools in tune with the collaborative learning process and procedure. In the future, follow-up studies are required to subdivide interactions and analyze the factors that improve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which are important in collaborative learning.

      • KCI등재

        학습자의 인식론적 신념과 질문과정의 관계

        김득준 ( Kim Deuk-joon ) 안암교육학회 2016 한국교육학연구 Vol.22 No.4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인식론적 신념을 Schommer(1990)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지식관과 학습관의 두 요인으로 재 구인하고, 이러한 학습자의 인식론적 신념과 질문과정의 관계를 탐구하였다. 연구결과 학습자의 학습관이 대학 수업에서 학습자의 질문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특히 학습자의 학습관이 질문과정에 있어서 질문생성의 원인이 되는 학습자의 인지적 혼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결론을 제시하였다. 이는 학습자가 인지적 불평형화를 경험한다고 반드시 인지적 혼란이 생성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결국, 이러한 인지적 불평형화가 질문생성의 전 단계인 인지적 혼란을 생성하고 교육적 대화로서의 질문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학습자가 가지고 있는 학습에 대한 신념이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인지적 혼란이 생성된다고 해서 이것이 바로 질문생성의 단계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며, 그 과정에 학습자의 학습관이 매개하고 있다는 결론 또한 제시하였다. 결국, 대학 수업에서 학습자의 인지적 불평형화를 끌어내는 교수자의 질문 또는 수업이 학습자의 인지적 혼란을 생성하고 이렇게 생성된 인지적 혼란이 질문생성의 단계로 전개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학습관에 대한 의미 있는 변화가 선행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epistemological beliefs and their questioning process. or this purpose, undergraduates and graduate students, studying at universities located in Daejeon and Chungchongbuk-do province, participated in this survey with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he scale suggested by Kim(2014) was used to measure student questioning behavior process and the scale proposed by Song(2009) was used to measure learners` epistemological beliefs. Based on the information from these scales, the effect of double mediation was measured with SPSS MACRO by Hayes, Preacher and Myers (2011)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se issues including the two parameters.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perspective of learning among the epistemological beliefs of learners had an influence on the actual questions mediated by cognitive confusion and the generation of questions. After all, it suggests that a meaningful change in the beliefs about the perspective of learning of learners must precede the development of questions generating level from the cognitive confusion level by questions and classes of teachers who lead un-equilibrium of learners` cognitive confusion in classes. Accordingly, there should be a deeper understanding on `how learners control their learning` based on the information and accurate measurements of beliefs about the nature of learning among the epistemological beliefs of learners in order to create questions in university classes as educational conversations. Also, educational program targeting effective learning strategies in higher education such as critical thinking training program to change epistemological beliefs of learners should be implemented.

      • KCI등재

        초등학생의 휴대폰 사용변화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김득준 ( Kim Deuk Joon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6 초등교육연구 Vol.2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휴대폰 사용변화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연구대상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 1·2차 년도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학교생활적응은 초등학생의 학습활동, 학교규칙, 교우관계, 교사관계 변인을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2차 년도의 조사기간에 초등학생의 전반적인 학교생활적응에는 부적인 변화가 있었으며, 학습활동과 학교규칙의 변화양상이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학교생활적응 변화가 휴대폰사용 변화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생활적응과 학교생활적응의 하위영역 가운데 학습활동적응과 교사관계적응 변화양상은 초등학생의 휴대폰사용 변화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초등학생의 학년이 변화하는 시점에는 성별에 따라 차별화된 학습활동적응과 학교규칙적응 교육이 필요하며, 휴대폰사용 여부에 변화가 발생 된 경우에는 학습활동적응과 교사관계적응을 위한 교육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hat is The impact of an mobile phone usage change of elementary student on school life adaptation. For this study, there was analysed a data of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KCYPS)` that was surveyed adolescent at the level of national in Korea at from 2010 to 2011, and elementary student`s school life adaptation was measured by through learning activity, compliance with school rules, relationship with friend, relationship with teacher. As a result, In the Study period, the overall school life adapt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had a negative change, changes of learning activity and compliance with school rule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gender. In addition, change in school life adaptation, depending on the type of mobile phone usage change were different, and change of school life adaptation and learning activity, relationship with teacher among sub-domain in school life adaptation were analyzed that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elementary student mobile phone usage change. Thus, differentiated adaptation teaching for learning activity and compliance with school rules is required, at the time of changing the grade of elementary school, if occurred at change of whether mobile phone use, adaptation teaching for learning activity and relationship with teacher is needed.

      • KCI등재

        초·중등교사의 수업전문성 측정을 위한 ICALT 수업관찰도구의 타당도 검증

        정일화(Jeong, Il-Hwa),김득준(Kim, Deuk-Joon) 한국교육평가학회 2020 교육평가연구 Vol.3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ICALT 수업관찰도구가 국내 초·중등학교 교사의 수업전문성 측정에 적합한지를 검증하고, ICALT 수업관찰도구를 이용한 학교급 간 교사의 수업전문성 측정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 Rasch 측정모형, 그리고 차별기능 문항(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ICALT 수업관찰도구는 첫째, 각 문항이 해당되는 수업전문성 영역의 구성개념을 잘 표상하고 있다. 둘째, 수업관찰전문가가 교사의 수업전문성 행동을 측정하면서 교사의 극단적인 수업행동반응에 의해서 문항이 해당하는 수업전문성의 구성개념을 표상하지 못할 가능성은 작게 나타났다. 셋째, 교사가 속한 수업전문성 영역을 평가하기에 적합한 문항으로 구성된 검사로 나타났다. 다섯째, 4점 척도를 사용하는 것과 각 척도의 지시사항이 적절하였다. 마지막으로, 일부 수업전문성 영역에서 학교급 간에 차별적으로 기능하는 문항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차별적 기능을 일으키는 중요 원인에 관한 연구와 차별적 기능 문항이 학교급 간 교사의 수업전문성 비교 연구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문항에 관한 내용분석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whether the ICALT class observation tool is suitable for measuring the teaching expertise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Korea and the validity of measuring the teaching expertise of teachers between school levels using ICALT tool. For the stud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asch measurement model, and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were used.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ICALT tool represents the composition of the teaching expertise that each question corresponds to. Second, as the class observer measures the teaching behavior, it is less likely that he/she could not measure the components of the relevant teaching expertise by the extreme teacher’s behavior. Third, ICALT tool is composed of questions suitable for evaluating the current level of teaching expertise. Fourth, the four-point scale and the instructions of each scale is appropriate. Finally, there are questions that functioned differentially between school levels in some of the areas of teaching expertise. Therefore, it seems that research into the major causes of relatively differential function and the study of content analysis about the questions to minimize the effect of differential function items on the comparative study of teaching expertise between school levels are needed.

      • KCI등재후보

        수업전문성에 관한 수업관찰도구의 측정학적 타당성 검증 및 학교 급별 차별기능문항 탐색

        이재홍(Lee Jae Hong),김득준(Kim Deuk Joon)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18 복지상담교육연구 Vol.7 No.2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수업전문성을 측정하는 수업관찰도구의 측정학적 타당성 검증과 교사의 학교 급간에 따라 수업관찰도구에서 차별적으로 기능하는 문항이 존재하는지 검토하였다. 수업관찰도구의 타당성 검토를 위해 ICALT 수업관찰도구로 측정한 초등학교 수업관찰 사례 384개 데이터와 중ㆍ고등학교 수업관찰 사례 600개 데이터를 대상으로 문항 적합도 검증, 피험자와 문항분포도 및 응답척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학교 급간에 따라 차별적으로 기능하는 문항의 검토를 위해 차별기능문항(DIF)분석을 실시하였다. 문항 적합도 검증 결과 ICALT 수업관찰도구 35개 문항의 내적합도는 .77 ~ 1.30, 외적합도는 .78 ~ 1.32, 양류상관계수는 .50 ~ .70로 문항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피험자의 능력분포와 문항의 난이도 분포를 비교한 결과 ICALT 수업관찰도구는 수업전문성이 낮은 교사를 변별하는데 적합한 문항으로 나타났으며, 응답척도 분석 결과 문항의 반응범주곡선이 평정척도 1에서 4에 이르기까지 다른 수준에서 명확하게 구분되어 4점 척도의 사용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급에 따른 ICALT 수업관찰도구의 차별기능문항분석결과 수업전문성 각 영역에서 차별적으로 기능하고 있는 문항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instructional indicators for improving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through the ICALT class observation tool used in the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on teacher s professionalism. In addition, through the assumption that the instructional indicators for the improvement of the teacher s instructional expertise may contain the differently functioning items of the teacher s school level.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ICALT class observation tool is a teaching behavior indicator for improving teacher s professionalism through class observation tool. And we confirmed that there are items that function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 In addition, the research on the important causes of discriminative function and the research on the method of minimizing the influence of the discriminative item function on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teaching expertise of the school class teacher were suggested.

      • KCI등재

        수업전문성 측정도구(ICALT)의 문항별 신뢰도 및 타당도에 관한 연구

        천세영(Chun Se yeoung),김득준(Kim Deuk joon),정일화(Jeong Il hwa) 한국교원교육학회 2018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5 No.3

        본 연구는 Van de Grift(2007)의 ICALT 도구가 한국적 상황에서 수업전문성을 측정하는 도구로 적용 가능한가를 확인하는 데 연구목적을 두고 진행되었다. ICALT 수업전문성 관찰도구는 6개의 교사의 수업행동 도메인과 1개의 학생의 수업참여도 도메인을 구성하는 총 35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자료는 2014, 2016, 2017년에 진행된 총 855개의 초등 및 중등 수업관찰이며,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ICALT의 요인구조와 각 문항이 한국 교사의 수업전문성을 측정하기에 적합한지를 분석하고자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행한 바, 모델 적합도를 나타내는 추정치의 값이 RMR 037, RMSEA .057, IFI .921, TLI .912, CFI .921 등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둘째, 모델 적합도를 떨어뜨리는 문항을 찾아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하였다. ‘전체(중등+초등)’ 집단과 ‘중등’ 집단은 4개 요인, ‘초등’ 집단은 3개 요인이 추출되었고, 문항별 용어 번역의 적합성을 개선함으로써 관찰도구의 문화 간 타당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This article is a report of the study which aimed to investigate how to improve the ICALT classroom observation tool of teaching behavior by analysing the model fitness together with reliability and validity of individual 32 items under 6 domains. Total 855 classroom observation data collected for three years, 2015,2016 and 2017, were used, and the observation was conducted by trained master teachers with over 20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Major findings are: First,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e ICALT tool has a good level of model fitness for every item under respective domain: major parameters are verified statistically meaningful, RMR 037, RMSEA .057, IFI .921, TLI .912, CFI .921. Seco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done to identify latent factors and examine how they are compatible with six ICALT domains. For the mixed group of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and the separate secondary teachers showed four factor grouping, while the separate elementary three. Such this variation within factors are found to get better reliability and validity of each items by translating the original English and Dutch words into more relevant Korean and loc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