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네발기기 자세의 유형에 따른 견흉관절 근육의 근활성도 비교

        차용호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Many researchers have recently studied the effects of exercise programs for the scapulothoracic muscles. In particular, strengthening exercise methods for the serratus anterior muscle have been extensively studied, because the muscle is essential for the proper movement patterns of the scapula. A variety of strengthening exercises in the quadruped position, various push-up plus exercises, and the use of exercise equipment have been employed to strengthen the muscle.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ree modified quadruped positions on scapulothoracic muscle activities in subjects with and without winged scapulae. 10 healthy adults without musculoskeletal disease and 10 subjects with winged scapular participated in this study. Surface electromyographic (EMG) activities of the serratus anterior, middle trapezius, lower trapezius, rhomboid, and the pectoralis major muscles were measured in the backward rocking, the neutral, and the forward rocking positions. The EMG activities of each muscle were compared using a two-way (group × positions) repeated ANOVA.In the result of the study, no significant interaction was found between the groups and the three variations of quadruped position. The EMG activities of the serratus anterior, rhomboid, and middle trapezius muscles in both group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order of forward rocking, neural position, and backward rocking position (p<0.05). The EMG activities of the lower trapezius muscle in both groups were significantly greater in forward rocking position than backward rocking position (p<0.05), however, they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any other positions in both groups. The EMG activities of the pectoralis major muscle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positions in either healthy or winged scapular groups (p>0.05).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progressive use of exercises in quadruped positions from the backward rocking position which requires relatively low scapulothoracic activities to the neural and the forward rocking positions. As a conclusion, the various quadruped positions must be selectively used to control the amount of load to the scapulothoracic muscles for the effective strengthening exercise according to the status of patients. 최근 견갑골이 정상기능을 하는데 필수적인 전거근의 근력증진 운동방법과 운동 효과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네발기기자세, 다양한 푸시업 플러스 운동 그리고 기구를 이용한 운동들이 전거근 근력증진 운동으로 자주 사용되고 있다.본 연구의 목적은 견갑골 익상군과 정상 대조군을 대상으로 네발기기 자세의 세 가지 유형에 따른 전거근, 중승모근, 하승모근, 능형근, 그리고 대흉근의 근활성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어깨 통증과 전거근 약화가 없는 건강한 성인 10명과 견갑골 익상군 10명을 대상으로 네발기기 자세의 일부 유형인 후방락킹 자세, 중립 자세, 전방락킹 자세를 유지하였을 때 전거근, 중승모근, 하승모근, 능형근, 대흉근의 근활성도를 표면 근전도 분석 시스템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정량화된 각 근육의 근활성도를 반복 측정된 이요인 분산분석(two-way repeated ANOVA)을 사용하여 각 근육의 익상의 유무에 따른 집단간의 비교와 네발기기 자세의 세 가지 유형에 따른 근활성도를 비교하였다.연구 결과 집단과 네발기기 자세 유형 사이의 상호작용은 없었다. 전거근, 능형근, 중승모근의 근활성도는 자세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5), 전거근, 능형근, 중승모근의 근활성도는 후방락킹 자세, 중립 자세, 전방락킹 자세 순서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하승모근은 두 집단 모두 전방락킹 자세에서 후방락킹 자세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대흉근의 근활성도는 자세 간 ,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이러한 결과는 네발기기 자세에서 견흉갑 근육의 근력증진 운동 시 운동부하를 결정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수도권 관리지역 세분화를 위한 토지적성평가 운용에 관한 연구

        차용호 경원대학교 산업환경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두 개의 용도지역이 통합되어 하나의 거대한 관리지역이라는 새로운 용도지역을 탄생시켰으나, 관리지역으로 지정된 것만으로는 체계적이며 합리적인 국토의 운영이 어려울 것이다. 더욱이 개발과 보전이라는 대립되는 개념의 용도지역이 하나로 통합되었기 때문에 토지의 활용정도에 따라 세분화가 필요하게 되었고, 관리지역을 계획관리지역, 생산관리지역, 보전관리지역으로 다시 세분하여 개발할 지역은 개발을 하도록 하고 보전할 곳은 그 용도에 따라 생산과 보전으로 관리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토지적성평가의 지침과 관리지역 세분을 위한 지침에 대한 문제점, 관리지역 세분을 위한 토지적성평가의 운용상의 문제점을 제시하기 위하여 사례 도시별 토지적성평가 비율을 비교?분석하고, 토지적성평가 값을 보전적성과 개발적성으로 구분하여 관리지역 세분된 면적과 비교하였다. 또한, 관리지역 세분을 위한 행정절차를 거치면서 세분면적의 변화와 토지적성평가의 결과 값을 비교하는 방법으로 토지적성평가가 관리지역 세분에 미치는 결과가 기초자료로서 적합한지도 검토하였다. 연구에서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언급한 것은 토지적성평가가 관리지역 세분을 위한 기초자료가 아닌 결정적인 기준이 되고 있다는 것이며, 이와 더불어 토지적성평가의 기초자료의 문제점, 평가지표의 획일성 등 지침의 문제점과 토지적성평가 운용상의 문제점으로는 평가단위의 오류를 지적하고 있다. 본 연구에 의해 도출된 관리지역 세분을 위한 토지적성평가의 바람직한 방향은 첫째, 토지의 적성평가의 지침이 지역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표를 제시하여야 하며, 둘째, 토지적성평가에서 지역 특성을 반영하는 지표들의 평가 기준을 최소행정단위가 아닌 행정구역 전체를 기준으로 토지적성평가를 시행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는 토지적성평가는 관리지역 세분을 위한 기준이 아닌 기초자료의 제공이라는 것을 간과하지 않도록 관리지역 세분의 지침을 수정하여야 한다. Although two zones were integrated into one large management area, creating new zoning, it would be hard to operate territory systematically and reasonably just by appointing management area. Moreover, as two zones of conflicting concepts of development and preservation were integrated into one, it required subdivision in accordance with the land's usability, and so we would like to subdivide the management area into plan management area, production management area, and preservation management area so that the land can be managed for development, production and preservation following the use of the land. This study, in order to suggest problems on guidelines for Land Suitability Assessment and Subdivision of Management Area and problems of Land Suitability Assessment operation for Subdivision of Management Area, compared and analyzed the Land Suitability Assessment rate by exemplary city, divided the values of the Land Suitability Assessment into preservation aptitude and development aptitude, and compared the with subdivided areas of management area. In addition, this study reviewed if the results of Land Suitability Assessment on the Subdivision of Management Area are appropriate as basic data by comparing the changes of subdivision area and the results of the Land Suitability Assessment while undergoing administrative procedure for Subdivision of Management Area. The biggest problem stated in the study is that the Land Suitability Assessment becomes decisive reference rather than basic data for Subdivision of Management Area; besides, the problems of basic data of the Land Suitability Assessment, uniformity of the Land Suitability Assessment and other problems of guidelines are pointed out while the error in assessment units is pointed out as for the problem of the Land Suitability Assessment operation. This study deduced desirable directions of the Land Suitability Assessment for the Subdivision of Management Area as follows: firstly, the guidelines of the Land Suitability Assessment shall suggest various indices to reflect local features; secondly, the assessment reference for the local feature indices of the Land Suitability Assessment shall be set up based on entire administrative areas rather than the smallest administrative unit. Finally, the guidelines of the Subdivision of Management Area shall be amended so as not to overlook that the Land Suitability Assessment is not the reference for the Subdivision of Management Area but for the provision of basic data.

      • 레이싱 타이어의 고속 내구 특성 연구

        차용호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study high speed endurance characteristics on racing tire. The racing tire is required high stiffness of sidewall for extreme handling performance. So the material and construction design of racing tire is different from passenger tire. The one of difference between racing and passenger tire is bias belted construction. The biased carcass tires can be increased sidewall stiffness and changed the performance and aspect of high speed endurance. I evaluate tires of various biased carcass angle of 2 or 3 plies. The racing tire with radial construction is vulnerable to high speed endurance due to heat generation by standing wave phenomenon. The main reason of racing tire failure on high speed is the heat generation. The heat generation is reduced as decreasing carcass angle. So racing tire with biased carcass is improved high speed endurance. 본 연구에서는 일반 타이어에서는 거의 사용하지 않은 Bias belted 구조를 적용하고 있는 레이싱 타이어의 Carcass 스펙에 따른 고속 내구 특성에 대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Bias belted 구조를 적용하면 Sidewall 강성이 증가하는데, 이는 엄청난 토크가 작용되는 타이어의 급격한 구제동 및 코너링 상황에 Carcass cord의 변형을 감소시키고 핸들링 및 제동 성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고속 내구 성능도 향상 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제조한 시험 세트별로 유한요소해석과 실내 특성 및 동특성 시험·평가를 병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타이어 유한요소해석 접지 형상 분석을 통해, Carcass 각도가 작아질수록 Camber -3°가 적용된 고하중하에서 접지압이 감소되는데, 이는 최대응력의 분산 효과로 고속 내구에 유리할 것이다. 2) 타이어 유한요소해석 SED 분석을 통해, Radial 구조가 Carcass 각도 77°의 Bias 구조가 되면서 SED가 크게 감소하며, Carcass 각도가 점점 더 작아질수록 SED도 완만하게 작아지는데, 이는 앞서 고속 내구 시험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Radial 구조가 Bias 대비 고속 내구에 불리함을 알 수 있다. 하지만 Carcass 각도 77°를 제외하고는 Carcass 2Ply 구조가 3Ply 대비 SED가 더 커서 고속 내구 시험에서 얻은 Carcass 2Ply 구조가 3Ply 대비 유리하다는 결과와 일치하지 않는다. 3) Bias는 Radial 대비 스탠딩 웨이브 현상이 감소하여 발열 온도가 낮아지는 효과가 있다. 그로 인해 고속 내구에 유리하다. 4) 레이싱 타이어 Carcass 2Ply 구조는 3Ply 대비 발열 온도가 낮으며, 그로 인해 고속 내구에 유리하다. 5) Carcass 각도가 작아질수록(Bias화 될수록) Side부 강성은 높아지고, 발열 온도는 낮아진다. 특히, Bead부 발열 온도 감소폭이 Belt부 대비 상대적으로 크며, Carcass 각도 72, 77º 사이에서 Bead부와 Tread부 발열 온도 역전 현상이 발생한다. 6) 타이어 Failure 양상은 Carcass 각도 90, 77º는 Bead부가 Tread부 대비 발열 온도가 높으므로 Bead부에서 주로 발생하며, 반대로 Carcass 각도 72, 68, 64º는 Tread부에서 주로 발생한다. 7) 고속 주행 하에서 타이어 Failure는 발열 온도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으며, 레이싱 타이어 Biased carcass 각도에 따라 타이어 부위별 강성 및 발열 온도 특성은 변화한다. 본 연구를 통해 타이어 유한요소해석 뿐 아니라, 다양한 시험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레이싱 타이어 구조 설계시, Tread부와 Sidewall부 강성 변화에 따른 발열 등의 타이어 특성이 변경되는 방향성을 예측 할 수 있었다. 그에 따라 레이싱 타이어 고속 내구 특성이 어떻게 변하는지 확인을 하였다. 또한 Bias belted 구조의 장단점을 확인함으로써, 고성능·고출력 차량용 타이어 개발에도 활용 가능할 것이다. 기존의 타이어 유한요소해석 SED 분석을 통해 타이어 내구 성능을 예측하였는데, Biased carcass 구조가 Radial 대비 고속 내구에 유리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Carcass 2Ply 구조가 3Ply 대비 고속 내구에 유리하다는 결과는 유추하지 못 했다. 이는 타이어 유한요소해석을 정해석으로 수행한 한계로 판단되며, 향후 유한요소해석을 동해석 조건으로 수행하는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TT/Cellulose 교편물의 CPB 염색에 관한 연구

        차용호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근래 삶의 질이 향상되고 편안함과 여가를 추구하게 되면서 섬유관련 제품, 의류제품에도 건강, 쾌적 개념의 기능성이 가미된 제품이 주목받고 있으며, 이에 따라 천연섬유와 새로운 개발소재에 대한 요구가 늘어가고 있다. 이런 요구에 대응하기 위한 기술력 고급화와 신소재에 대한 기술개발이 절실한데 이에 대응할 수 있는 적합한 신소재로 나일론과 폴리에스터의 대비 섬유인 PTT(Polytrimethylene terephrhalate)소재가 주목 받고 있다. PTT는 불과 수년 전에 개발된 신소재 섬유로써 신축성과 촉감이 우수해서 카시트, 카펫 등의 비의류용 분야에 적용이 되고 있으며 이러한 특징은의류 제품에 적용시 직물 보다는 환편의류 소재에 적합한 특성을 갖는다. 이를 기존 Cotton이나 인조 Cellulose계 섬유에 혼방 혹은 혼합하여 복합소재로 응용할 경우 고부가가치의 고품격 니트의류 소재로 그 특성을 효과적으로 표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지금까지 PTT/ 셀룰로즈 복합소재 환편물의 염색가공에 대해 연구되어진 보고가 없어 이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PTT의 신축성과 부드러운 촉감의 원사 특성을 살리면서 복합소재인 환편물에 적용할 수 있는 염색, 가공 기술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PTT 소재와 Cellulose계 복합소재의 품질이 우수한 최종 섬유제품 생산에 적합한 전처리, 염색, 가공 기술을 조사하고 기존에 진행되어진 소재별 염색가공 조건을 기초로 PTT/Cellulose계 복합소재의 고품질 염색가공 기술 조건을 확립하는 것을 중점적으로 연구하였다. 여기에 사용된 염색법은 일반 침염법에서 문제시 되어지는 피염물간 장력과 마찰에 의해 발생되어 질 수 있는 문제점을 최소화 할 수 있는 CPB(Cold-Pad-Batch) 염색법을 적용 하였고 CPB염색에서의 문제점인 Tailing 현상을 공정개선을 통해 해결할 수 있었다. Recently the quality of life has been improved and people are pursuing more leisure time. As a result, the functional products combined with the elements of health and pleasantness are attracting people’s attention in textile & clothing products, and the demand for natural textile and new materials are getting stronger. To cope with such a demand, the technology improvement and developing new materials are urgent. PTT(Polytrimethylene terephrhalate) is a new material which can be the proper answer to satisfy such a demand. PTT was developed just a few years ago. With its excellent elasticity and soft touch, it has been used in non-textile products including car seats, carpets and etc. These features are more suitable for circular knitting products rather than woven goods. If PTT is mixed up with cotton or artificial cellulose type textiles, it can reflect its high quality features in a high - value added knit clothing. However there’s no well-known official fixture of PTT/cellulose mixed dyeing process. Therefore it’s urgent to develop the dyeing and processing technology which can be applied to the circular knitting products, taking advantage of the elasticity and soft touch of PTT. This study examines pre-treating, dyeing, and finishing technology which are suitable for PTT/cellulose mixed products. In addition, it established high-quality dyeing process technology conditions of PTT/Cellulose based on existing dyeing process conditions. The dyeing technology used in this study is CPB dyeing method which minimizes the problems from tension and rubbing in ordinary exhaust dyeing method. The tailing problem of CPB was resolved through the process improvement.

      • 서울지역 미세입자 중 수용성 이온성분의 2차 생성입자 구성비율 추정

        차용호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서울지역은 인체에 유해하고 시정장애를 유발하는 미세먼지를 개선하기 위해 저유황유 및 청정연료의 공급 확대 및 저공해 차량의 보급, “수도권 대기환경개선에 관한 특별법”등과 같은 각종 저감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또한, PM10 농도를 단계적으로 저감시켜 2014년까지 40㎍/㎥ 로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해서는 PM10 중 PM2.5 가 차지하는 비율이 40~70% 를 차지하고 있으며, 환경 및 인체 위해성이 더 큰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 것을 고려하여 보다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PM10 과 함께 PM2.5 에 대한 환경기준을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미세먼지의 저감 대책을 효과적으로 세우기 위해서 환경 및 인체위해성이 크며, 2차 생성입자(Secondary pollutants)의 구성비율이 높을 것으로 추정되는 미세입자(Fine particle-PM2.5 이하)에 대한 계절에 따른 물리?화학적 특성을 해석하고 미세입자의 주요 구성물질이 수용성 이온(water-soluble ion)인 것을 고려하여 미세입자 중 수용성 이온성분의 음이온(Anion)과 양이온(Cation)간에 결합형태를 추정한 후 CMB(Chemical Mass Balance) 모델을 수행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서울지역 미세입자의 화학성분 분석 결과 수용성 이온성분의 점유율이 평균 36.5%로 가장 높았으며, 그 중 SO₄^(2-), NO₃^(-), NH₄^(+) 성분이 32.3% 를 점유하고 있어 수용성 이온성분의 평균 88.3%가 SO₄^(2-), NO₃^(-), NH₄^(+) 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미세입자 중 수용성 이온성분의 계절별 주요 구성 형태는 봄의 경우 (NH4₄)₂SO₄, NH₄NO₃, CaSO₄, K₂SO₄ 로 각각 8.986㎍/㎥, 3.486㎍/㎥, 0.726㎍/㎥, 0.678㎍/㎥ 의 중량농도로 봄철 전체 수용성 이온성분의 89.1%를 점유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름의 경우 (NH4₄)₂SO₄, NH₄NO₃, Na₂SO₄, CaSO₄, MgSO₄, KNO₃ 로 각각 4.717㎍/㎥, 1.823㎍/㎥, 0.924㎍/㎥, 0.488㎍/㎥, 0.459㎍/㎥, 0.450㎍/㎥ 의 중량농도로 93.1%를 점유, 가을의 경우 (NH₄₄)₂SO₄, NH₄NO₃, NH₄Cl, KNO₃, Ca(NO₃)₂, K₂SO₄ 로 각각 4.375㎍/㎥, 2.187㎍/㎥, 0.980㎍/㎥, 0.976㎍/㎥, 0.748㎍/㎥, 0.735㎍/㎥ 의 중량농도로 89.3%를 점유, 겨울의 경우 (NH4₄)₂SO₄, NH₄NO₃, NH₄Cl, Ca(NO₃)₂, K₂SO₄ 로 각각 6.148㎍/㎥, 7.648㎍/㎥, 1.856㎍/㎥, 1.277㎍/㎥, 1.215㎍/㎥ 의 중량농도로 나타났으며, 겨울철 전체 수용성 이온성분의 91.8% 를 해석하고 있다. Recently for improving fine particle harmful to humans and causing visibility obstruction, the Seoul Metropolis carries out diverse reduction policies, such as the extension of low sulfur oil fuel and clean fuel supply, low air-pollution vehicles supply, "Special Law for Improvement of Capital area Aero Environment." Seoul Metropolis also has a goal of reducing PM 10 concentration to 40㎍/㎥ till 2014year by stages. For attaining such goal, it should be considered there is a report showing the fact that the percentage of PM2.5 out of PM 10 reaches at 40-70%, which is more harmful to the environment and humans, thu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environmental standard on PM 10 as well as PM2.5 as part of effective control. This study, for considering the counterplan related the reduction of fine particle effectively, interprets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fine particle (under PM 2.5), which is estimated to have a high configuration ratio of secondary particle more harmful to the environment and humans, by season and analyzes CMB (Chemical Mass Balance) Model quantitatively after estimating the binding form between anion and cation of water-soluble ion considering the main structure materials of fine particle are water-soluble ion. As the results of chemical component analysis of fine particle in Seoul Metropolis, the share of water-soluble ion shows the highest rate of 36.5% in average and the materials of SO₄^(2-), NO₃^(-), and NH₄^(+) out of water-soluble ion is occupied as much as 32.3%, thus 88.3% of water-soluble ion in average is composed of SO₄^(2-), NO₃^(-), and NH₄^(+).. In the main seasonal composition of water-soluble ion among fine particles: in case of spring, (NH₄)₂SO₄, NH₄NO₃, CaSO₄, and K₂SO₄ show 8.986㎍/㎥, 3.486㎍/㎥, 0.726㎍/㎥, and 0.678㎍/㎥, respectively. Considering the weight concentration of them, they occupy 89.1% of the total water-soluble ion; in case of summer, (NH₄)₂SO₄, NH₄NO₃, Na₂SO₄, CaSO₄, MgSO₄,, and KNO₃ show 4.717㎍/㎥, 1.823㎍/㎥, 0.924㎍/㎥, 0.488㎍/㎥, 0.459㎍/㎥, and 0.450㎍/㎥, respectively, in the aspect of weight concentration, they occupy 93.1%; in case of fall, (NH₄)₂SO₄, NH₄NO₃, NH₄Cl, KNO₃, Ca(NO₃)₂, and K₂SO₄ show 4.375㎍/㎥, 2.187㎍/㎥, 0.980㎍/㎥, 0.976㎍/㎥, 0.748㎍/㎥, and 0.735㎍/㎥, respectively, in the weight concentration, they occupy 9.3%; and in case of winter, (NH₄)₂SO₄, NH₄NO₃, NH₄Cl, Ca(NO₃)₂, and K₂SO₄ show 6.148㎍/㎥, 7.648㎍/㎥, 1.856㎍/㎥, 1.277㎍/㎥, and 1.215㎍/㎥, respectively, they occupy 91.8%.

      • 腐蹄病 罹患牛의 蹄底角質 成分에 關한 硏究

        차용호 建國大學校 農畜開發大學院 1988 국내석사

        RANK : 247631

        本 調査는 1986年 6에부터 1987年 11月 사이에 경북상주지역의 4個 酪農牧場에서 飼育되어지고 있는 젖소의 腐蹄病 發症半 12頭와 非發症牛 12頭를 對象으로 後肢蹄底에서 新鮮한 角質層을 採取하여 蹄底角質의 水分量과 乾物量, 그리고 Ca, P, Mg의 量을 調査分析한 바 다음과 같은結論을 얻었다. 1. 蹄底角質의 平均水分量은 34.7±7.65 %이고, 平均乾物量은 65.3±7.74%이며 有機物은 主로 蛋白質이었다. 2. 蹄底角質乾物中 mineral은 Ca 0.13±0.05%, Mg 0.06±0.03%, P 0.022±0.010%로 mineral 成分은 극히 低置였다. 3. 各 牧場의 蹄底角質水分量 및 乾物量과 發症率은 各 牧場間에 有意差를 보였으며, 特히 水分量과 乾物量에 있어서 가장 差가 심한 A牧場과 D牧場에서 發症率에 큰 差를 보였다. 4. 各 牧場의 蹄底角質 mineral 成分을 比較한 바 Ca은 各 牧場間에 有意差가 없었고 P는 B목장에서, Mg은 各 牧場間에 有意差가 認定되었다. A survey was conducted to hoofs of foot-rot of cattle among 4 farms in Kyong Buk Sang-Ju province. Hoofs of 24 cattle were investigated from June, 1986 to November, 1987. Chemical composition(Ca, P, Mg, water and dry matter) in lower layer of hoofs of foot-rot of cattle were studied.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Mean±S.D. values of water and dry matter were 34.7±7.65% and 65.3±7.74%. Organic matters were chiefly composed of protein. 2. Mean±S.D. values of Ca, Mg, P were 0.13±0.05%, 0.06±0.03%, 0.022±0.01 and all contents were low values. 3. Water, dry matter and infection rate showed significant level among 4 farms, respectively. There were remarkable differences between A and D farm in infection rate. 4. There were a highly significant at 1%, 5% levels in Mean±S.D. values of Mg among 4 farms whereas Ca values were not significant.

      • 이민자 유입이 한국 지역경제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 - 공간 관계 분석과 SUR 모형을 중심으로 -

        차용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distribution of residences of the foreign population is spreading across the country, and the number of ethnic agglomerate is increasing. Therefore, the background of starting this research is the curiosity about what effects are caused by ethnic agglomerate on the local economy. Most of the previous researches on ethnic agglomerate tend to focus mainly on mutual aid for foreigners and ethnic businesses. On the other hand, this research intends to prove that immigration or ethnic agglomerate is an important variable that affects the local economy and the labor market of residents. The level of ethnic agglomerate is measured as a percentage of the foreign population or residential segregation. Therefore, in the effect of the influx of foreign population on the local economy, what kind of change occurs in the effect depending on the level of ethnic agglomerate is analyzed. This research explains that there are theoretical debates about the externalities of foreign neighbors. The supply-oriented theory is used, which states that regional economic growth is affected by the supply of production factors (manpower). As for the effect on the labor market, conflicting arguments are used depending on the Lump of labor theor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ubstitutes or complements. Through this, we are examining the effect of the influx of immigrants on the local economy. In order to reflect the spatial effect in the relationship of immigration on the local economy, spatial relationship and spatial cluster analysis are conducted. In addition, by applying a research method that analyzes at the same time through the simultaneous correlation of three variables of regional economic growth, unemployment, and employment, it is intended to increase the relevance of the analysis results. The independent variable is the foreign population, which is the sum of registered foreigners and foreign nationals who have been issued F4, measured on a regional basis. ‘Economically active foreign population’ is estimated from the foreign population, classified as permanent and temporary foreigners according to OECD standards, and classified as professional and non-professional foreigners. The analysis area is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nationwide, metropolitan area, non-metropolitan area, and rural area.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research, it has been proved that the foreign population intensively resides in a specific area, which has an effect on the economic growth and labor market of that area. It is analyzed that the inflow of the foreign population and ethnic agglomerate have an effect on the GRDP, unemployment, and employment. It is analyzed that there is a ‘spatial effect of immigration’ that cannot be revealed through econometric analysis. However, it is worth noting that the analysis results differ depending on the region. The main meaningful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According to the cluster map analysis, the foreign population, the proportion of the foreign population, and the residential segregation show a high level of spatial correlation and spatial clustering. In particular, in rural areas, spatial correlation is measured relatively high compared to metropolitan and non-metropolitan areas.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based on econometric analysis in rural areas, it is analyzed that there is no correlation between the foreign population and the employed over 65 years old, the foreign population and the agricultural, forestry and fishery workers. The influx of foreign populations increases the GRDP. In particular, in rural area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foreign population and the GRDP is 0.916, which is very high, and the spatial correlation is also very high. According to the panel random effect SUR analysis nationwide, it is analyz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ethnic agglomerate(proportion of foreign population or residential segregation), the higher the GRDP. In non-metropolitan regions, it is analyzed that the regions with a high proportion of foreign population reinforce the effect of economically active foreign population increasing the GRDP. According to the cross-sectional SUR analysis in rural areas, the higher the proportion of the foreign population, the more the moderating effect of economically active foreign population is to increase the GRDP. Although the inflow of the foreign population has an effect on increasing unemployment, it appears that i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employed people aged 65 and over and the increase in employment in the construction, manufacturing, agricultural, forestry, and fishery industries. In other words, the influx of foreign populations who serve both as factors of production and consumers increases regional economic growth. Unemployment and employment are mutually exclusive. According to the panel random effect SUR analysis in rural areas, the unemployment rate decreases as the foreign population increases in regions with a high proportion of foreigners compared to regions with a low proportion. In regions with a high proportion of foreign population in the country,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economically active foreign population intensifies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people employed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On the other hand, the economically active foreign population in non-metropolitan areas appears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employed people aged 65 and over.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dummy variables divided by region, in the metropolitan area, in regions with a high proportion of foreign population, those aged 65 and over and those employed in manufacturing are relatively higher. It is analyzed that spatial correlations and spatial clusters are formed in the local economy for each division of the foreign population. In particular, the economically active foreign population has a relatively high effect on GRDP, unemployment, and employment. It is analyzed that the non-professional foreign population has a greater positive effect on GRDP than the professional foreign population. The positive effect of the foreign population on the increase of employment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is analyzed to be greater than the effect on the increase in employment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In particular, the foreign population in rural areas appears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ose aged 65 and over and those employed in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One of the reasons for the unexpected analysis results in rural areas is the fact that the labor force required in rural areas is highly dependent on the foreign population due to the aging of the population and the phenomenon of Koreans avoiding engaging in agricultural, forestry and fishery.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analysis based on data suggesting that different policies for influx of foreigners need to be established according to regional classification are presented. In the case of the metropolitan area, the ‘Concentric Zone Model’ is applied, so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metropolitan area as one area and reflect it in the analysis of the foreign population inflow policy. In the case of rural areas, the influx of foreigners has positive effects, so the government's policies need to reflect these changes. In addition,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suggest that the level of ethnic agglomerate has a moderating effect. As for the proportion of the foreign population, ‘positive externalities of neighbors’ exist. However, the effect of residential segregation sometimes has some positive aspects from an economic point of view. For example, according to a cross-sectional SUR analysis across the country, it is analyzed that unemployment decreases as the number of economically active foreign population increases in regions with high residential segregation. This is not only a social point of view of good segregation or bad segregation, but also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into an ethnic enclave economy, so a comprehensive economic and social analysis is needed in the future. 외국인 인구가 지역에서 새로운 행위자로 등장하면서 외국인 인구의 거주 분포와 밀집 거주지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밀집 거주의 수준은 외국인 인구의 비율(%) 또는 거주 분리로 측정된다. 본 연구는 외국인 인구의 유입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효과에서 외국인 밀집 거주의 수준에 따라 그 효과에 어떤 변화가 발생하는지를 분석한다. 본 연구는 외국인 이웃의 외부효과에 대해 이론적 논쟁이 있음을 설명한다. 지역의 경제성장은 생산요소(인력)의 공급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는 공급중시이론을 활용하고, 노동시장에 미치는 효과는 노동총량설과 대체재 또는 보완재 관계에 따라 서로 대립하는 논쟁을 활용한다. 그리고, 이민의 공간적 효과를 반영하기 위해 공간분석을 시행하고, 지역 경제성장․실업․고용에 대해 동시에 한꺼번에 분석하는 연구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분석 결과의 적실성을 높이고자 한다. 분석지역은 전국 시군구, 수도권, 비수도권, 농촌의 4가지로 구분한다. 독립변수는 등록외국인과 동포(F4)를 합한 외국인 인구가 채택된다. ‘경제활동 외국인 인구’는 외국인 인구로부터 추정되고, OECD 기준에 따라 영구․준영구적 및 한시적 외국인으로 분류하고, 전문인력 및 비전문인력 외국인으로 분류한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보면, 외국인 인구의 유입 및 밀집 거주지는 지역내총생산, 실업, 고용에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량통계 분석을 통해 밝히지 못하는 ‘이민의 공간적 효과’가 있음이 분석되었다. 다만, 지역 구분에 따라 상이한 분석 결과가 나타난 점은 주목할 필요가 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클러스트 지도 분석에 따르면, 외국인 인구의 각 구분, 외국인 인구의 비율, 거주 분리는 높은 수준으로 공간적 연관성과 공간 군집이 형성되고 있다. 특히 농촌에서는 수도권, 비수도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공간적 연관성이 측정되었다. 또한, 계량통계 분석에 의한 상관관계를 보면, 농촌에서 외국인 인구 및 65세 이상 취업자, 외국인 인구 및 농업임업어업 취업자 간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외국인 인구의 유입으로 인해 지역내총생산(GRDP)이 증가한다. 특히 농촌에서 외국인 인구와 지역내총생산 간 상관계수는 0.916으로 매우 높고, 공간적 상관성도 매우 크게 나타났다. 전국 시군구에서 패널 확률효과 SUR 분석(조절변수)에 따르면, 외국인 밀집 거주의 수준(외국인 인구의 비율 또는 거주 분리)이 높을수록 지역내총생산 증가가 강화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비수도권에서 외국인 인구의 비율이 높은 지역은 경제활동 외국인 인구가 지역내총생산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강화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농촌에서 횡단면 SUR 분석에 따르면, 외국인 인구의 비율이 높을수록 경제활동 외국인 인구가 지역내총생산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강화하는 조절효과가 분석되었다. 다만, 거주 분리는 ‘이웃의 부정적 외부효과’가 발생할 여지가 있다. 전국 시군구에서 더미변수 분석에 의할 때 거주 분리의 수준이 높은 지역은 낮은 지역에 비해 지역내총생산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 인구의 유입은 실업에 부정적 효과가 있지만, 65세 이상 취업자 증가 및 건설업, 광제조업, 농업임업어업 취업자 증가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생산요소와 소비자 역할을 겸하는 외국인 인구가 유입되어 지역 경제성장은 증가하고, 실업과 고용은 서로 상쇄하는 측면이 있다. 패널 확률효과 SUR 분석에 따르면, 농촌에서 외국인 인구의 비율이 높은 지역은 낮은 지역에 비해 외국인 인구가 증가할수록 실업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시군구에서 외국인 인구의 비율이 높은 지역은 경제활동 외국인 인구가 증가할수록 건설업 취업자 증가가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비수도권에서 경제활동 외국인 인구는 65세 이상 취업자 증가에 대해 부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을 구분한 더미변수 분석에 따르면, 수도권에서 외국인 인구의 비율이 높은 지역은 65세 이상 취업자와 광제조업 취업자가 상대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외국인 인구의 각 구분 모두는 지역경제에 공간적 연관성과 공간 군집이 형성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경제활동 외국인 인구는 지역내총생산, 실업, 고용에 상대적으로 높은 효과를 나타냈다. 비(非)전문인력 외국인 인구는 전문인력보다 지역 경제성장(GRDP)에 긍정적 효과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외국인 인구가 광제조업 취업자 증가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는 건설업 취업자 증가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보다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농촌에서 외국인 인구는 65세 이상 취업자 및 농업임업어업 취업자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에서 예상 밖의 분석 결과가 나타난 원인의 하나는 인구 고령화 및 내국인이 농업임업어업에 종사를 기피 하는 현상으로 인해 농어촌에서 필요한 인력이 외국인 인구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현실이 반영된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가 가진 정책적 함의는 우선, 지역 구분에 따라 외국인 유입정책이 달리 수립될 필요가 있다는 데이터에 기반한 분석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수도권의 경우 ‘동심원 구역 모형’이 적용되므로 수도권을 하나의 영역으로 보아 외국인 유입정책 분석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농촌의 경우 외국인 인구의 유입으로 인한 긍정적 효과가 나타나므로 정부의 정책도 이러한 변화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또한, 외국인 밀집 거주의 수준은 조절효과가 존재한다는 실증적 분석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외국인 인구의 비율은 ‘이웃의 긍정적 외부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다만, 거주 분리의 효과는 경제적 측면에서 일부 긍정적인 면도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어 전국 시군구에서 횡단면 SUR 분석에 따르면, 거주 분리가 높은 지역은 경제활동 외국인 인구가 늘수록 주민의 실업이 줄어드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것은 도시생태학․경제생태학적 관점, 좋은 분리 또는 나쁜 분리의 관점뿐만 아니라, 소수민족 인클레이브 경제로 발전될 가능성이 배제할 수 없어 외국인근로자의 사업장 이동 제한 폐지 등 향후 경제․사회적인 종합 분석이 필요하다.

      • 외국인 사회통합교육 정책변동에 관한 연구 : 이민정책에 관한 외부환경 변화와 정책기업가의 활동을 중심으로

        차용호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 사회는 저출산?고령화로 인해 생산가능인구의 감소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데, 우리나라는 2006년부터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있음에도 지난 10년 동안 출산율 증가의 가시적 효과는 없고, 오히려 합계출산율은 2010년에 1.23%에서 2013년에 1.19%로 떨어졌다. 이민정책이 출산정책과 병행하여 추진하는 것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우리나라는 외국인의 유입과 정착을 허용하는 후발이민국가로 진입했고, 2015년 12월에 국내 거주하는 외국인 수는 200만 명에 도달할 전망이다. 반면에 외국인은 국내 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외국인 사회통합교육’의 운영방식에 대하여 정부부문과 민간부문 모두에서는 상이한 신념체계를 지닌 정책옹호연합들이 형성되어 갈등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본 논문은 외국인 사회통합교육이 도입되어 그 중의 일부 교육과정이 표준화 또는 의무화되어 가는 정책변동 과정과 그 원인을 노무현, 이명박, 박근혜 정부시기로 나누어 분석했다. 분석된 결과는 외국인 사회통합교육의 바람직한 운영방식을 설정하고 상이한 신념체계를 지닌 정책옹호연합들 간의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가 무엇인지를 모색할 수 있는 이론적?정책적 시사성을 가진다. 연구 방법은 외국인 사회통합교육의 정책의제형성과 정책변동 과정에서 나타난 다양한 원인을 파악할 수 있도록 정책흐름모형과 정책옹호연합모형의 장점을 결합한 ‘재설계된 정책흐름모형’이다. ‘재설계된 정책흐름모형’을 통해, 외국인의 유입과 관련한 외부환경 변화와 초점사건의 영향을 받은 정책기업가의 역할로 이루어진 정책흐름을 살펴보았다. 이민정책옹호연합과 다문화정책옹호연합 및 그 신념체계의 차이를 비교 분석했고 각 정책옹호연합들의 갈등 등 역학관계와 정책지향학습 과정이 다시 정책기업가에게 영향을 주어 ‘외국인 사회통합교육’의 일부 과정이 표준화 또는 의무화되는데 원인이 되었다는 것을 파악하고자 했다. 연구 대상은 외국인 사회통합교육의 표준화 및 의무화 여부이다. 사회통합교육은 국제결혼 중개업체를 통해 3~5일간의 속성으로 국제결혼하려는 국내 입국하기 전의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 국내 입국한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조기적응프로그램 및 사회통합프로그램(한국어와 한국사회이해)으로 구성된다. 이 논문에서는 이민정책의 개념과 그 구성요소(인구유입의 규모와 질 조절, 외국인력 고용?활용, 외국인 사회통합)를 이론적으로 정립하는 것을 새로이 시도했다. 우리나라 이민정책의 시대적 구분과 정책이념을 살펴보았고, 이를 다문화정책과 비교 분석했다. 이민정책(외국인 사회통합)과 인종적 다문화정책은 둘 다 외국인을 대상으로 문화적 다양성을 지향하는 유사한 정책이지만, 정책적 관점과 신념체계의 차이로 인해 각각 작동원리와 도구적 정책신념이 상이함을 보여주었다. 이를 통하여 이민정책옹호연합은 국가이익과 사회질서 유지라는 신념체계를 보유했고, 다문화정책옹호연합은 가족복지와 양성평등이라는 신념체계를 보유했음을 비교 분석했고, 갈등관계에 있는 두 정책옹호연합이 교환적 정책신념과 외부환경의 변화, 초점사건 등을 통해 정책지향학습과 도구적 정책신념의 변화가 있었음을 분석했다. 노무현 정부시기에서는 결혼이민자에 대해 사회통합프로그램을 의무적으로 시행하도록 정책결정이 이루어졌으나, 여성가족부와 이주여성 인권단체 등 다문화정책옹호연합의 반대 및 이민정책옹호연합의 세력 미비로 그 시행이 실패하였다. 그리고 이명박 정부시기에서는 사회통합프로그램 표준화가 국정과제로 채택되었고 여성가족부 등 4개 부처가 사회통합프로그램을 표준화하기로 협약서를 체결했음에도,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등 다문화정책옹호연합의 반대로 표준화 이행이 실패하였다. 두 정부시기에서는 외국인 사회통합교육의 의무화라는 정책의제설정은 정부 외부에 있는 세력에 의해 영향을 받았고, 정부 외부의 민간집단(외부주도형)은 표준화가 집행단계에서 좌절되도록 하는 무의사결정(non-decision making)을 주도했다. 반면에 박근혜 정부시기에서는 외국인의 수가 200만 명 임박, 부적응과 강력범죄 증가 등 외부환경의 변화가 두드러졌고 이민정책옹호연합은 구성원을 확대하고 그 결속력을 강화했다. 이민정책옹호연합과 다문화정책옹호연합 모두가 정책지향학습을 거쳐 도구적 신념체계의 변화를 경험했다. 이러한 배경에서 대통령, 법무부장관은 정책기업가로서 역할을 발휘하여 정책흐름이 만나 정책의 창이 열렸고 외국인 사회통합교육 중의 일부 과정이 표준화와 의무화되었다. 표준화와 의무화는 대통령, 장관 등 행정관료들에 의해 정부의제로 채택되거나(동원형), 사회통합교육기관,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등 외부집단에 의해 정부의제로 되기도 하였다(내부접근형). 연구 결과의 시사점은 향후 외국인의 급증에 대비하여 사회통합교육이 표준화되거나 의무화될 수 있기 위해서는 외부환경의 변화와 초점사건 이외에, 이민정책옹호연합과 다문화정책옹호연합이 정책지향학습을 통해 서로를 이해하여 결속력을 강화하고, 두 연합의 신념체계가 변화되어야만 정책기업가의 존재와 역할이 활성화되어 정책의 창이 쉽게 열릴 수 있다는 점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