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환산평균법을 사용한 새로운 하천수 생활환경 기준에 관한 연구

        윤영필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671

        This research is concerned with the determination of the river water quality grade in Korea. Geum river was selected and the present water quality standards of the important pollutants in the upper, middle and lower region of the river were used to apply new methods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river water quality grade. When the present assessment system determining the water quality grade was evaluated, several discrepancies could be discussed. First, the final water quality grade was solely dependant of the one pollutant item that showed worst grade. Second, water quality standards for the concentration of nutrient item (T-P) were extremely low. These two factors showed that in Geum river, the final water quality grade tended to be determined by the concentration of T-P. Third, T-N, which is also a important nutrient, is not included for the river water quality standard. However, T-N is included in the lake water quality standard. If T-N is considered in the river water quality system, this item would be the limiting factor to determine the final water grade and the all river waters in Geum river were assessed to be “bad and very bad”. It was also noted that many safe drinking waters would be assessed to be “very bad” if the river water quality standard system was applied. In this research, new methods of averaging the water quality grades of the selected pollutant items were suggested to assess the final water quality grade. The selected pollutant items were TOC, T-P, coliform, and T-N. Other items such as pH, DO and SS were not considered because these item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hanges in Geum river. Water quality grades of the selected pollutant items were converted to the numerical values (0.1 to 7.0 points by the increment of 0.1) depending the concentrations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selected pollutants were used to assess the final water quality grade. Three different approaches were considered before applying the suggested methods of averaging. First, the selected pollutants (TOC, T-P, and coliform) in the present river water standards were considered. Second, the upper region of the Geum river was assumed to be unpolluted and used as the reference values. The concentrations of the pollutants in the downstream of the river were corrected by subtracting the reference values. Third, T-N was additionally considered as an important pollutant, although it is not included in the standard pollutant item for the river water.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uggested grading methods were properly reflected by all important pollutants. Compared to the present river water grading system showing overestimated grades due to one worst pollutant, the grades of Geum river water were adjusted to better qualities. For instance, the grades in the middle stream of Geum river were adjusted from Ib-IV to Ia-III. This implied that T-P is no longer the only limiting factor to determine the final grade. The results also shows that the new methods allows to include T-N as the important nutrient in the river water. When the present system is applied including T-N, the water grades in the middle stream would be determined from V to VI (bad and very bad). By applying the suggested method of averaging, water grades were determined to be Ib-III. In this research, more rational and comprehensive methods were suggested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final river water quality grade by averaging the grades of the water-quality affecting pollutant items. 본 연구는 『환경정책기본법 제12조 (환경기준의 설정) 제②항 및 별표 ‘환경기준’』에 명시된 하천수 생활환경 기준에 대한 평가와 그 개선사항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에 앞서 금강 상류를 청정한 하천으로 전제하였고, T-N 기준 항목의 활용을 위해 호소수 생활환경 기준을 인용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금강 상류·중류·하류 각 1개소의 수질 정보를 하천수 및 호소수 생활환경 기준에 적용하여 하천수 생활환경 기준에 대한 평가와 개선사항을 검토해보았다. 결과적으로 하천수 생활환경 기준은 여러 측면에서 현실성이 결여되어있음을 알 수 있었다. 첫째, 생활환경 기준의 수질등급 평가시 기준 항목 간 수질등급의 격차가 크게 벌어지며 불균형적인 측면을 나타내었다. 둘째, T-P와 T-N과 같은 부영양화에 영향을 주는 기준 -ⅳ- 항목에 대한 보완이 이뤄지지 않았다. 셋째, 수질오염물질 배출허용기준 및 먹는 물 수질기준과 큰 차이를 보였다. 넷째, 기존 생활환경 기준에 따르면 지나치게 엄격한 T-N 기준에 의해 우리나라에는 Ⅳ등급 이하의 하천과 호수는 존재하지 않게 된다. 이를 개선하고자 환산점수 평균법을 제안하였다. 생활환경 기준의 각 기준 항목의 수질등급을 소수점 첫째 자리까지의 환산점수 (0.1 ~ 7.0)로 변환하여 그 평균값으로 수질등급을 평가했다. 이 때, 특수한 상황을 제외하고는 수질등급 간 차이가 생기기 힘든 pH, SS과 하천이 흐르면서 지속적인 공기와의 접촉을 통해 높은 수치를 유지하는 DO은 환산점수 평균법에서 제외하였다. 또한 우리나라 하천과 호수 간 사실상 차이점을 찾기 힘들고, 하천수 생활환경 기준의 각종 수치 간에도 큰 차이가 없으며, T-N 기준 항목을 보유한 호소수 생활환경 기준에도 환산점수 평균법을 적용시켜보았다. 마지막으로 부영양화에 영향을 주는 T-N과 T-P 기준 항목에 한해 해당 하천의 수질수치에서 상류의 수질수치를 제거하여 상류의 영향을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하천수 생활환경 기준을 적용한 환산점수 평균법, 호소수 생활환경 기준을 적용한 환산점수 평균법, 상류 수질을 고려한 수질등급 평가, 상류 수질을 고려한 환산점수 평균법 등 다양한 조건에 따라 수질등급을 평가하였다. 이를 통해 생활하천 기준의 기준 항목 등급 간 이질감을 줄일 수 있었으며, 상류 수질을 고려하여 자연적으로 함유된 T-P, T-N 값을 보완할 수 있었다. 또한 환산점수의 평균을 구함으로써 수질등급에 미치던 T-N의 지나친 영향을 줄일 수 있었고, 기존의 수질등급과는 달리 상류에서 하류로 하천이 흐르면서 수질등급이 낮게 나오는 생태학적 특징에 부합한 면도 볼 수 있었다. 이는 생활환경 기준의 ‘등급별 수질 및 수생태계 상태’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T-N과 chl-a는 하천수 생활환경 기준에 포함되는 것이 기준 항목의 다양성 및 수질등급 평가에 더욱 효과적일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현행 생활환경 기준의 T-N 기준이 지나치게 엄격함이 입증되었으며, 보다 건설적인 제안을 통해 더욱 현실과 부합하는 T-N 기준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기존의 수질등급 평가방법보다 합리적이고 현실에 부합한 수질등급 평가방법을 제시할 수 있었다.

      • 軍 汚水處理施設 運用 改善方案 硏究

        김재원 延世大學校 保健環境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50671

        The idea of preserve environment in the military starts from to prevent nature not to be polluted, and it develops into the idea of recover the polluted nature. Moreover, it magnified to protect our nature as it is. Therefore, 'perform the perfect mission' and ' maintenance of preserve environment' are come up with the most priority ideas at military. The army put lots of efforts to preserve environment to prepared the foundation of institution spending over 1000million won a year. Also, more than 400million soldiers were deployed and work for it. However, even they put lots of efforts, when the environment becomes the social issue there are more demands to improve the military environment.Therefore, the army try to conservate and reinforce the discharging water institution as the environment. However, especially because of the new strong standard law and lack of knowledge they found many difficulties to perform. So, this dissertation investigate the most improvement of sewage treatment plant for new strong standard law, which has been reinforced, and the sewage treatment institution which are getting old.Therefore, while it figures out the merit and side-effect of new standard law, to analyze adaption of the army, and to make an overture the Check List, and basic improvement plan when it conservate. It leads us to the most improvement plan for the front line troops which they can applicate for discharging water when it conservate and reinforce. 군의 환경보전 영역은 오염을 방지하는 단계에서 오염된 환경을 복원하는 단계로, 그리고 자연 생태계를 원상그대로 보호하는 단계로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완벽한 군 임무수행”과 “환경보전의 지속성” 개념이 군이 병행하여 추구하여야 할 중요한 가치로 대두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 군은 환경인력과 기초시설을 확보하고 규정과 지침을 진행하는 등 군 환경보전을 위한 노력을 적극적으로 펼치며, 매년 1,000억원 이상의 예산을 투자하여 환경시설을 갖춰 나가고 있으며, 연 인원 400만명 이상의 장병이 부대 인근지역 환경정화 및 자연 생태계 보전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육군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환경문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대되면서 군 환경개선에 대한 요구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특히 군에서 관리하고 있는 환경기초시설인 오수처리시설이 방류수 수질기준이 강화됨에 따라 보강·보수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나 처리공법의 다양화(26개 공법) 및 전문지식 부족으로 보수 후에도 방류수 수질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군 오수처리시설이 노후화 되고 방류수 수질기준이 강화됨으로 관리 및 유지에 많은 제한사항이 발생하여 공법별 보강·보수시 최적 개선방안에 관하여 연구하였다.그 결과 각 공법별 장·단점 및 군부대 적용현황 분석, 보수공사시 기본 개선방안과 Check List를 제시함으로써 일선부대에서 오수처리시설 보강·보수시 활용할 수 있는 공법별 최적 개선방안을 얻을 수 있었다.

      • 전력공급설비의 환경영향평가에 대한 연구 : 초고압 가공송전설비 건설 중심으로

        김상덕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50671

        오늘날 전기는 국민생활의 필수적인 공공재화로서 현대생활에서의 사회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필요불가결한 생활재임에도 불구하고 변전소와 송전선로와 같은 전력공급시설이 이른바 혐오시설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민원성 지역주민의 의견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는 환경영향평가서 검토로 인해 평가기간은 점차 길어지고 있는 반면, 아직까지 초고압송전선로 건설사업의 특성에 맞는 환경영향평가서 작성기법의 정립이 이루어지지 않아 이전에 제기되었던 내용이 계속적으로 문제점으로 지적되는 등, 조사와 작성에 많은 시간을 소비하고 있다.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에 근거를 두고 전력공급설비 중 과거 초고압송전설비 건설시 수행한 환경영향평가서를 분석․고찰하여 앞으로 특성에 맞는 환경영향평가서 작성에 대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전력공급설비의 환경영향평가는 1997. 9. 8 개정된 환경영향평가법시행령에서 345kV 이상의 지상송전선로로서 선로길이 10km 이상, 765kV 이상의 옥외변전소로 변경되었으며 공사를 위한 진입도로에 대해서도 별도의 환경영향평가를 실시하도록 되어있다.초고압송전설비 건설이 자연환경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전력공급설비 설치를 위한 산지이용이 늘어남에 따라 산림훼손이나 경관장해 같은 영향이 불가피하게 발생되고 있으며, 생활환경에 주는 영향으로는 설비운전 중에 송전선에서 발생하는 풍소음(風騷音)과 코로나(Corona)소음 등으로 이들 소음은 귀의 장애 등 생리적 영향은 거의 없으나 불쾌감, 수면장애, 스트레스 증가 등 심리적인 영향을 일으킬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또한, 최근 평가 관계기관이나 산림관리를 담당하는 행정관청에서는 산림보호를 위하여 자재운반도로 개설을 억제하고 헬기로 자재운반을 하도록 지정하는 추세에 있으나 헬기소음에 의한 불쾌감, 육아지장, 가축의 유산 등을 제기하는 사례가 늘고 있어 새로운 문제거리로 발생될 소지가 높다.그리고 종종 제기되고 있는 송전선로의 전자파에 의한 가축의 유산․기형출산 민원은 다른 이유에 기인한 것으로 밝혀졌지만 전자파에 대한 우려는 여전히 민원의 대부분의 요인으로 늘어가고 있다. 사회․경제환경에 대한 영향은 토지이용 저해 및 가치하락에 대한 것이 대부분으로 초고압송전선로 환경영향평가서 내용 중 주민의견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총 235건 중 30.6%에 달하는 72건이 송전선로 경과시 토지이용에 우려를 표명한 것으로 나타났다.외국의 사례에 있어서 우리나라와 전력계통환경이 비슷한 일본의 초고압송전선로 환경영향평가를 비교분석한 결과, 일본은 국가에서 송전선로나 변전소에 대해 환경영향평가 대상사업으로 규정하고 있지 않고 다만 일부 지자체에서만 500kV 이상 설비만 조례로 제정하여 환경영향평가를 받도록 하고 있으며 조사기준은 부분적으로 우리나라가 더 강화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004년까지 환경영향평가를 수행한 765kV 및 345kV 초고압송전선로 17건의 사업을 대상으로 협의기간을 분석한 결과, 초안을 기준으로 한 협의기간이 평균 21.18개월이 소요되었으며 본안을 기준으로 한 협의기간은 평균 8.76 개월이 소요되었으며 검토의견 발생빈도가 5%이상 높은 항목은 지형․지질, 동․식물상, 토지이용, 전파장해, 소음․진동, 위락․경관 등 6개 항목이다.끝으로 초고압송전설비 건설사업의 환경영향평가에 대해 도출된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첫째는 지역의 특수성에 맞는 환경적인 측면을 적극적으로 고려한 환경영향평가서 작성, 둘째는 환경영향평가 항목별 작성 기준 및 지침의 제정, 셋째는 환경영향평가시 영향예측결과와 사후환경관리에서의 결과를 연계․분석함으로써 환경영향평가에서의 영향예측기법을 개발하면 평가에 소요되는 기간을 상당히 단축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This thesis analyzed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reports regarding the ultra-high voltage transmission facilities and aimed to provide the essential and practical information for the improved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system. On September, 1997, the law on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for the electrical power supply facilities has been changed. The facility that has more than 10-km ground transmission line with 345 kV and outdoor transformer substations with 765 kV should carry out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since then. Access road to the facility construction site is also included. As the ultra high voltage transmission facilities are constructed in the mountains, exploitation of a forest is necessary and thus the deterioration of landscape is evitable. Wind and Corona noises are also nuisance in the living environment. Although these noises do not cause an ear disorder or physiological problem, it has been found that unpleasantness, sleeping disorder, or stress increase occurs as the psychological effect. Recently, the authorities concerned or administration office consider to use helicopters to transfer the facility materials instead of the access road. However, unpleasantness, difficulties on raising children, or livestock miscarriage have been brought up due to the noise from the helicopter. Many lawsuits would become new problems. Although the livestock miscarriage or deformed delivery have been proved to be irrelevant to the electromagnetic waves, many civil appeals regarding the electromagnetic waves are increasing. Social and economical effects on electrical power supply facilities were discussed. Difficulties on land use and the decline in the price of land was the most common complaint. According to the residents'' opinion, 30.6% of the all concern(72 of 235) was related to the land use. As a case study, Japanes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on the ultra-high voltage transmission lines was analyzed. In Japan, construction of transmission line of an transformer substation are not normally required to carry out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Only a few regional district enforce to prepare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report when a facility exceed 500 kV. This indicates that our country has more strict law on the construction of the electrical facilities. Seventeen projects that carried out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until 2004 were analyzed. The periods to reach agreement on the initial report and the main reports took 21.18 and 8.76 months, respectively. The six items were found to be exceeded the re-evaluation frequency of 5%. Those include topographicgeological map, animalplant status, land use, electric wave, noisevibration, and recreationlandscape.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this thesis suggested the followings to improve the current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nd to shorten the length of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period. Firstly, the environmental aspect concerning the region of being considered should be specifically considered. Secondly, the proper and definite standards on completing the assessment proposal should be established. Lastly, the result on the environmental impact estimation and the supervision of the after environment should be properly related to develop new methodologies to estimate the environmental impact.

      • 치과서비스 이용고객의 구강보건교육의 효과성 연구

        박진희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치과서비스이용 고객의 구강보건을 향상시키는데 있어 교육의 중요성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는 강원도 춘천지역에 소재한 Y치과에서 치과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들이며 표본의 선정은 편의 추출법에 의해 이루어졌다.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어 각각 118명씩 추출하였으며, 실험군 조사는 구강보건교육 전과 후의 2회에 걸쳐 진행하였고 대조군 조사는 구강보건교육을 시행하지 않고 1회만 진행하였다. 연구 자료의 수집은 조사의 취지와 작성법을 설명하고 이에 응한 고객들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성별. 연령. 인구사회학적 특성 5문항, 구강보건관련지식 15문항, 구강보건교육 행태 15문항, 구강보건교육 후 만족도 3문항, 구강보건교육 요구도 1문항으로 총 39문항으로 구성하여 연구자가 직접 나누어준 다음 자기기입식으로 작성하게 한 후 수거하는 형식을 취하였다. 구강보건교육 전후 실험군과 대조군을 비교한 결과 지식, 행태 변화 모두 유의하게 긍정적으로 변화하였으나 일부 항목에 있어서는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하루 세 번 3분간 칫솔질 등 알면서도 실천하기가 번거로워 행동으로 이어지지 않는 항목들로써 이에 대한 교육방법 및 전략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구강보건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파악해 본 결과, 구강보건지식(B=0.576, p<.01)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19%였다(F=5.48). 이는 교육을 통한 구강보건지식의 향상이 구강보건행태의 변화를 가져 오게 하는 가장 강력한 도구임을 말해 주는 것으로 교육의 효과성을 지지하는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강원도 춘천 Y치과에 내원한 환자만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만으로 얻어낸 정보이기 때문에 한계가 있으며, 향후 전국적인 표본을 대상으로 한 객관적인 자료와 함께 비교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의 결과는 실험군과 대조군의 비교라는 보다 과학적인 방식으로 구강보건교육의 중요성을 입증한 연구라는 점에서 그 가치를 평가할 수 있다. This study purports to evaluate the effect of oral health education for dental clients, and find out the significant factors which affect the healthy oral behavior.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clients who visited a dental clinic located at Chuncheon city, Gangwon province, Korea, through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The respondents were divided into a experimental group who had an oral health education, and control group who had not. Each group consists of 118 client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 statistical package using t/F test, -test,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oral health education, the knowledge and behavior of oral health of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However, some knowledge items, such as 3 times toothbrushing a day, 3 minutes each brushing time, were found not to be connected to actual behavior, because of the difficulty of making it a habit. Second, the knowledge of oral health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healthy oral behavior. This result supports the existing belief that oral health education is an effective tool to improve the oral health of the clients. In conclusion, the study results suggest that more sophisticated and client-oriented education method needs to be developed for making the current oral health education more effective.

      • 의료취약지 일개 군의 보건소와 병원 방문환자 특성 및 고객만족도 영향요인 비교

        이경화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보건소와 병원 방문환자 특성 및 전반적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강원도의 한 군 지역에 위치한 보건소와 민간병원 1개소에 각각 200명씩 편의표본 추출방법으로 연구자가 직접 대면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내용은 전반적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7가지와 전반적인 환자 만족도 1가지로 정하고 다시 요인별로 세부적인 변수를 측정하였다. 보건소와 병원의 방문환자 특성을 비교해 보면 보건소 환자들이 병원환자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초진환자가 많고, 의료급여환자가 많으며, 질병치료 목적보다 예방접종이나 물리치료 환자가 많았으며, 민간보험 가입갯수도 적었고, 연령은 고령층이 더 많았다. 이는 아직도 보건소는 병원에 비해 지역의 노인과 서민층이 많이 찾는 의료기관이라는 통념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보건소의 전반적인 만족도에 가장 큰 효과를 미치는 변수는 시설만족도로 나타났고 의사만족도가 약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병원의 경우에도 시설만족도, 의사만족도, 진료비만족도, 진료환경만족도 순으로 영향을 미쳤다. 이는 환자들이 이용하는 병원의 시설이나 진료환경에 만족도를 높이기 위하여 농촌 의료기관들의 시설 현대화 및 쾌적한 진료공간의 확보가 중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보건소나 병원 모두 의사의 환자존중 자세와 친절하고 충분한 설명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나아가 보건소의 경우 경제적으로 취약한 계층이 더 많이 이용하고 있으므로 이들을 배려한 시설 및 진료환경, 그리고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자체 차원의 보다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또한 의료전달체계의 효율성 관점에서 볼 때 보건소와 민간병원이 동일한 환자를 두고 경쟁하기 보다는 보건소는 경제적 취약계층과 지리적 접근성이 떨어지는 환자들을 위한 방문 진료 등을 더욱 활성화할 필요가 있으며, 민간 병원의 경우는 우수한 의료진과 시설, 장비 등을 갖추어 농촌지역 환자들이 대도시로 가지 않고도 상당한 수준의 의료를 양질로 받을 수 있는 진료환경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그 과정에서 보건소와 병원 간에 진료협력체계를 구축하여 상호 환자의뢰 및 추구관리, 시설, 장비 인력의 공동활용 및 교류, 공동교육 등의 연계협력 활동이 이루어진다면, 자원이 부족한 농촌 취약지 의료환경의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환경친화적 도시조성을 위한 모델개발 : 제도 및 사례조사를 통한 개선방안 제시

        김효식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50671

        Our country has focused on the economic development for the last 30 years, resulting in the prosperity of the country. However, due to extensive city development policies without considering nature, environmental qualities for better life have deteriorated and thus many social conflicts have arisen. In this thesis, the laws and regulations about city development plans were evaluated, examples of domestic and foreign cities were discussed, and the mandatory requirements for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friendly cities were proposed in specific areas. The results of this thesis should help government officials engaged in urban planning and city developers. To prevent reckless development of city areas, the recent laws and regulations have been revised and suggested various fundamentals. Nevertheless, government officials tend to pursue economic profits and convenience and thus the gravitation of population inside cities increases and green areas become limited. Therefore, the local government should carry out the city planning with consideration of environment. In widening city limits, the broad principle should first be set in order to keep the development in harmony with conservation. The enough green areas inside the city should be secured and convenient transportation system should also be considered. In addition, further development inside the limited development district should not be practiced to keep the environmental qualities. In basic urban planning, a feasibility study for the proper land use should initially be performed systematically and the results should be necessarily practiced. Prior to develop the environment-friendly cities, the certain development projects require the proposal of the environmental assesment. However, the projects have usually delayed due to many document works and many of the proposed plans have not come into effect until now. Therefore, the laws should be changed such that minimum but essential documents are submitted. Upon acceptance, actual environment- conservation and pollution-reduction plans should be precisely submitted. In addition, the concrete agreements on essential items should be made between the developers and city officials. Case studies on recently developed domestic cities showed that the population was designed to be too dense and thus land use aimed mainly to build human facilities for economic profits without securing the green areas.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the size of population and human facilities inside the city limit should be properly designed to satisfy the environmental capacities. Case studies on foreign cities were focused on the environment-friendly developed cities. In the case of Japan and Germany which introduced environmental capital system, citizen, environmental community organization, and administrative organization have all participated in meeting to develop pleasant cities for the citizen''s well-being. They also focused on the image of the city to the outside world and competitiveness of their future cities. Mostly importantly, their agreements have been systematically practiced as planned, resulting in building the environment-friendly cities. The successful examples of the environment-friendly developed cities were shown to be Hanover(Germany), Curitiba(Brazil), and Quartier de la Defense(France). The common feature of these pleasant cities is found to be the harmony of natural environment, transportation system, human facilities, and human. The cities are also known to be productive in economy. Overall, in order to design environment-friendly cities, the area factors such as developing area, green area, and transportation area should first be considered for the given size of population. Based on these area factors, sustainable and practical plans on each factor should be made. When the above factors were in harmony with the size of population, an environment-friendly citiy can be developed for the human well-being and nature. 우리나라 도시는 경제성, 편리성, 인구집중을 중심으로 급속하게 팽창하는 과정에서 자연은 훼손되고 각종 오염으로 환경질은 악화되는 등 무분별한 개발이 이루어졌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여 도시 관련 제도와 국․내외의 도시조성 사례를 고찰하였으며, 도시조성 시 필요한 분야별 접근방향을 제시함으로써 도시계획 입안자와 참여자 등에게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도시계획 관련 제도는 최근의 무분별한 개발을 막기 위하여 법령의 정비를 통하여 다각적인 조성원칙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도시입안자들은 도시의 팽창을 통한 제정확보와 주민의 요구 해결을 위한 도시정책을 수립하기 때문에 도시가 과밀화되면서 시민의 여가공간인 녹지는 줄어들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개발보다 쾌적한 도시를 조성하고자 하는 지방자치단체의 의지가 중요하다. 아울러, 현재 시행중인 도시광역계획에서 개발과 보전이 조화되도록 녹지축, 교통축, 개발축, 수변축을 구체적이며 실현가능하도록 구상하여야 하며, 개발제한구역 중 보전가치가 큰 환경평가 1,2등급 등은 철저히 보전되어야 한다. 도시기본계획에서는 관리계획 수립의 주요 지침이 되는 공간계획과 토지이용계획 등 입지의 타당성에 대한 결정을 하므로, 하위계획에서 이를 반영한 구체적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도시조성에 있어 높은 효율을 가져온다고 고찰되었다. 환경친화적 도시를 조성하기 위하여 일정규모 이상의 행정계획과 개발사업에 대하여 사전환경평가제도를 실시하고 있으나 협의절차상 중복과 구비서류의 장기화 및 협의내용의 실효성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사전환경성검토에서는 입지의 타당성 결정을 위한 최소한의 서류만 제시토록 하고, 입지가 가능한 지역에 대하여는 제반 영향예측과 저감방안을 강구하는 실질적인 환경영향평가를 실시하는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고찰되었다. 국내의 최근 도시조성사례를 분석·평가한 결과, 인구지표를 과다하게 설정하여 토지 등 제반 기반시설이 확장과 개발위주로 수립되므로 난개발과 자원낭비의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인구지표를 포함한 분야별 계획수립 시 지역 환경용량과 여건을 고려하여 적정하게 수립되어야 할 것으로 분석·평가되었다.외국의 도시조성사례는 환경친화적 도시조성 사례위주로 살펴보았다. 환경수도 제도 도입을 추진한 일본, 독일의 경우, 내부적으로는 주민, 단체 , 행정기관의 대화와 실천으로 쾌적한 도시공간을 조성하였으며, 외부적으로는 도시의 이미지 향상과 경제적으로도 경쟁력 있는 도시조성에 기여한 것으로 고찰되었다. 환경친화적 도시조성의 우수사례로는 독일의 하노버, 브라질의 꾸리찌바시, 프랑스의 라데팡스 등을 대상으로 살펴본 결과, 도시계획 수립단계부터 민·관이 함께 논의하고 실천하므로 쾌적한 도시공간과 경쟁력있는 도시를 조성하였으며, 주요 정책으로는 교통과 환경, 녹지가 중심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고찰되었다. 환경친화적 도시를 조성하기 위한 분야별 접근방향에 있어 도시의 축이 되는 개발축, 녹지축, 수변축, 교통축을 생활권과 생태계를 고려하여 수립하여야 한다. 아울러, 공간구조, 인구, 토지이용, 환경, 교통, 녹지 등 분야별 계획수립 시 도시용량과 여건 및 환경을 고려하여 계획하고 실천할 때 인간과 생물이 공존하는 환경친화적도시가 조성될 수 있다고 판단한다.

      • 보건관련 대학원생의 경력변경의도 관련요인

        최영주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의 목적은 보건관련 대학원생의 재학 또는 졸업한 학생들의 경력만족 및 경력변경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들을 분석하여 경력개발의 필요성과 학생들의 학업동기 및 직무능력을 높이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보건 관련 재학 또는 졸업한 학생들로 자료수집기간은 2013년 9월23일부터 10월 11일 3주였고 설문지는 총 200부를 배포하여 회수된 170부 설문지 중 14부를 제외한 156부(75%)를 사용하였다. 독립변수는 인구사회학적 특성, 개인적 특성, 조직적 지원특성, 직무특성, 경력특성이며 매개변수는 경력만족, 종속변수는 경력변경의도를 설정하였다.통계분석은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인구사회 특성에 따른 경력만족 및 경력변경의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빈도 및 평균차이분석을 하였고, 경력개발 요인과 경력만족 및 경력변경의도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상관관계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그리고 경력변경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력만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력개발에 대한 의견조사 결과 경력개발의 필요성이 93%였으며 경력개발의 목적으로 전문성 강화가 82.7%, 보상 및 승진 기회의 확대가 각각 19.2%, 17.3%로 나타났으며 경력개발의 최종목표는 최고 수준의 직장근무로 응답자의 37.2%로 가장 높았다.둘째, 인구특성별 경력만족 및 경력변경의도 차이 분석에서 경력만족은 응답자의 근무지역과 의사직이 경력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력변경의도에서는 응답자의 연령이 낮을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경력변경에 대한 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력만족을 종속변수로 경력개발 요인 변수들을 회귀 분석한 결과 인구사회특성변수에서 성별과 총 근무연수, 개인적 특성 변수에서 긍정적 성격과 가족의 지원, 직무특성 변수에서 직무의 적합성이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변경의도를 종속변수로 경력개발요인 변수들과 회귀분석을 한 결과는 총 근무연수가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으며, 매개변수인 경력만족에서도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경력개발 요인과 경력변경의도에 대한 경로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별, 총 근무연수, 개인적 성격(긍정적 성격, 부정적 성격), 가족의 지원, 승진기회, 직무의 적합성, 직무의 전문성 변수에서 성별과 부정적 성격을 제외하고 모두 음(-)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직장을 가지고 주경야독하고 있는 보건관련 대학원생 또는 졸업생들의 경력변경 의도는 개인적 특성 변수에서 부정적 성격을 가진 사람일수록, 가족의 지원이 없을수록, 승진기회가 적고, 직무의 적합성 및 직무의 전문성이 낮을수록 영향을 미쳤으며, 인구사회학적 특성 변수에서는 여성, 총 근무연수가 짧을수록 경력변경에 대한 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위의 변수들이 보건 관련 대학원생들의 경력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그것이 다시 경력변경의도로 연결되는 모양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보건 관련 근로자들을 고용하고 있는 직장에서는 이들이 본인의 경력개발과정에 만족하여 계속 그 직장에 머무를 수 있도록 적절한 제도적 방안을 모색함과 동시에 개인의 인성도 함께 검증하여 경력개발이 조직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유도해 나가야 할 것이다.

      • 치과 의료서비스의 환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유희정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655

        Abstract Determinants of Patient Satisfaction at Dental Clinics Yu, Hee Jung Dept. of Health Administration The Graduate School of Health and Environment Yonsei University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what factors affect the patients‘ satisfaction at dental clinics.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the study contain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dentists, dental hygienists, dental care process, clinical environment and facilities, and dental fees. Each variable was measured by three to five items about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various aspects of dental services. Data were collected with a structured and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 from 291 patients of 9 dental clinics located in the City of Seoul from April 3rd to 24th, 2015.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21.0 for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 of the study revealed that the dental fee has the biggest impact on the patients’ satisfaction, followed by dental care process, dental hygienists, environment/facilities, and dentists. The result of the study indicates that both the quality of human services and the physical domains are important for improving the level of the patient satisfaction at dental clinics. This result also implies that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monitoring and meeting the needs and want of patients continuously to survive in the competitive dental care market. 국 문 요 약 본 연구는 치과 의료서비스의 환자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치과 의료기관의 서비스 개선 및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고자 실시되었다.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9개의 치과의원에 4월 3일부터 4월 24일 사이에 내원한 30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해 의료소비자인 환자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치과 의료서비스 요인으로 치과의사 요인, 치과위생사 요인, 진료과정 요인, 병원 환경 및 시설요인, 진료비요인을 측정하는 5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분석대상은 총 291명으로 치과 의료서비스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에 대한 집단 간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t-test와 ANOVA를 실시하였고,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치과 의료서비스 이용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의 영향요인을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환자에게 보다 나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여, 전반적인 치과 의료서비스의 질적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는 현재 받는 진료내용에 대하여 충치치료가 27.0%(139명)로 가장 많았고, 잇몸치료 24.9%(128명), 보철치료 20.4%(105명), 임플란트 14.2%(73명), 교정 12.6%(65명), 심미치료 0.8%(4명), 기타 0.2%(1명) 순이었다. 현재 이용하고 있는 치과에 내원경험과 관련하여 응답자의 83.5%(243명)가 경험이 있으며, 16.5%(48명)가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이용하고 있는 치과를 선택한 이유와 관련하여 응답자의 26.5%(142명)가 ‘소개를 받아서’ 라는 물음에 가장 많이 응답하였으며, 의료진의 친절도 25.2%(135명), 진료수준이 높아서 25.0%(134명), 거리가 가까워서 14.2%(76명), 진료비가 저렴해서 4.5%(24명), 시설이 좋아서 4.1%(22명), 기타 0.6%(3명) 순이었다. 치과를 선택하는데 가장 영향을 준 사람 또는 매체가 있는지에 대한 물음에 지인 40.5%(118명)로 가장 높았고, 환자 본인 26.1%(76명), 가족 또는 친지 25.8%(74명), 인터넷, 홈페이지 5.5%(16명), 기타 1.4%(4명), 대중매체(TV, 잡지) 0.7%(2명) 순이었다. 연령에 따른 집단 간 치과 의료서비스 이용에 대해 전반적인 만족도 평균 차이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연령이 높을수록 전반적인 만족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직업군에 따른 치과 의료서비스 이용에 대해 전반적인 만족도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치과 의료서비스의 환자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진료비(.210)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진료과정 요인(.188), 치과위생사 요인(.176), 병원 환경 및 시설요인(.167), 치과의사(.127)요인 순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날로 경쟁이 치열해 지고 있는 치과 의료기관들 간의 경쟁시장에서 환자만족도 제고를 통한 경쟁우위의 확보는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이다. 이를 위해 환자들의 요구사항을 조사하고 그에 맞추어 치과의사와 치과위생사의 인적서비스 질 향상, 진료과정의 편의성, 진료환경 및 시설개선, 적정한 진료비 책정 등 종합적인 질 향상 및 마케팅 노력이 따라주어야 함을 본 연구결과는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치과 의료서비스의 질 향상과 환자만족도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 우리나라 치과 의료서비스의 경쟁력이 더욱 강화되기를 기대해본다.

      • 지방공무원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 횡성군 공무원을 대상으로

        고정근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50655

        This study purports to investigate the determinants of job satisfaction of local government officials. The sample us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305 officials working at Hoeng-Seong Gun, Kangwon-do.$$a$$aThe independent variables contain three groups of determinants: 14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variables(routinization, role ambiguity, workload, role conflict, resource inadequacy, job autonomy, distributive justice, organizational support, supervisory support, coworker support, job significance,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job security, promotional chances), 3 psychological variables(self efficacy, positive affectivity and negative affectivity) and one environmental variable (alternative job opportunity).$$a$$aData were collected with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a$$a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following variables have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job satisfaction of local government officials working at Hoeng-Seong Gun.; distributive justice, job adequacy, hob security, promotional chances, self efficacy, and positive affectivity. It was also found that the following variables have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the job satisfaction; routinization, resource inadequacy, and negative affectivity.$$a$$aThe results of the study imply that the administrator of local government should make an effort to motivate the local government officials by redesigning their work process, providing sufficient resources to do their jobs, more effectively, and assuring fair promotional chances. In the mean time, the local government officials themselves are required to develop their job knowledge and skills through continuous training and education.$$a$$a 본 연구는 지방공무원이 직무를 수행하는데 있어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직무만족을 증진시킬 수 있는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실시되었다.$$a$$a자료수집은 횡성군 공무원 568명을 대상으로 부서별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응답자가 설문을 직접 기재하는 자기기입식으로 이루어졌으며 305부가 회수되어 53.7%의 응답율을 보였다. 설문도구는 서영준(1995)의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를 본 연구의 목적에 합당하도록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a$$a종속변수인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설정된 독립변수는 구조적 변수(업무의 단순성, 역할 모호성, 업무의 양, 직무역할갈등, 자원의 불충분성, 업무자율성, 보상의 공정성, 조직의 지원, 상사의 지원, 동료의 지원, 직무중요도, 직무적합도, 직무영향력, 직업안정성, 승진기회)와 심리적 변수(자기효능감, 긍정적 심성, 부정적 심성), 환경적 변수(취업기회)로 구성되었다.$$a$$a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a$$a응답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 차이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보건소 근무자와 보건소 이외의 근무자간의 직무만족도에도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a$$a독립변수와 직무만족의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업무의 단순성, 보상의 공정성, 조직의 지원, 상사의 지원, 동료의 지원, 직무중요도, 직무적합도, 직업안정성, 승진기회, 취업기회, 자기효능감, 긍정적 심성, 부정적 심성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a다중회귀분석 결과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로는 보상의 공정성, 직무적합도, 직업안정성, 승진기회, 자기효능감, 긍정적 심성이 긍정적 영향력이 있음을 알 수 있고, 업무의 단순성, 자원의 불충분성, 부정적 심성이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a$$a종합해 보면 지방공무원의 직무만족도 향상을 위해서는 지자체가 제도적으로 지원해 주어야 할 사항과 공무원 개인이 노력해서 개선해 나가야 할 사항이 혼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도적 개선방안에 대해서는 지자체와 공무원이 협의하여 조직에서의 지원과 환경조성 등 단계적으로 개선조치를 취해 나가야 할 것이다. 개인적인 노력이 요구되는 사항에 대해서는 공무원으로서의 사명감을 자각하여 철저한 자기관리와 업무의 전문성을 높일 수 있는 개인적 능력개발에 혼신의 힘을 다하는 모습을 보여주어야 할 것이다.$$a$$a

      • DEA(자료포락분석)를 이용한 대학병원의 경영 효율성 분석

        심길호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655

        DEA(자료포락분석)를 이용한 대학병원의 경영 효율성 분석 본 연구에서는 국내 의료계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상급종합병원과 300병상 이상의 대학병원 경영 자료를 수집한 후 DEA모형을 통해서 효율성을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규명하였다. 연구 자료는 상급종합병원 44개소, 대학병원 32개소 총 76개 병원을 대상으로 신뢰성과 동질성을 확보한 최근 2009년부터 2011년까지 병원의 주요 특성 지표와 재무 지표를 기반으로 DEA와 맘퀴스트 생산성 지수 분석에 활용하였다. 투입변수는 병상수, 의사수, 간호사수, 보건직수, 의료비용이고 산출변수는 외래환자수, 입원환자수, 의료수익이며, 변수가 많아지면 분석 결과가 왜곡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약사는 보건직수에 포함시켰고, 의료비용은 인건비, 재료비, 관리운영비를 합산하였으며 의료수익은 외래수익, 입원수익, 기타의료수익을 합산하였다. 통계분석의 도구로 IBM SPSS Statistics 20을 사용하였고, DEA효율성 분석의 도구로는 Frontier Analyst 4를 사용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첫째, 전통적 DEA효율성 분석을 통하여 CCR모형, BCC모형을 연도별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효율성 점수와 비효율병원의 개선 가능도와 준거집단(값)을 도출하였다. 둘째, 도출된 효율성 점수로 병원의 특성 집단 간 평균 차이 검정과 효율병원과 비효율병원 간의 평균 차이 검정을 실시하였다. 셋째, 전통적 DEA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효율성 값 ‘1’을 갖는 효율적 DMU들을 초효율성 관측치로 변환하여 효율병원 간의 서열 정보를 제공하고, 초효율병원 간의 준거집단과 λ값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2009년부터 2011년까지 3개년 간의 생산성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맘퀴스트 생산성 지수(MPI)를 이용하여 생산성 지수(PI)와 효율성 변화 지수(ECI), 그리고 기술 변화 지수(TCI)를 제시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변수들의 기술통계량을 분석한 결과, 변수의 최댓값과 최소값 사이에는 매우 큰 편차가 있었고, 연도별 변수들의 평균값의 변화는 모든 변수에서 완만한 증가세를 보였다. 둘째, 연도별 효율성 평균점수의 변화 추이를 보면 CCR모형과 BCC모형 모두 2010년에는 다소 증가하였다가 2011년에는 다시 하락하였다. 셋째, 효율성 점수 ‘1’을 갖는 효율적 DMU를 초효율성 점수로 변환하여 관측치의 변별력을 제시한 후 이를 서열화하였다. 마지막으로 맘퀴스트 생산성 지수 분석 결과, 생산성 변화의 근원을 BCC모형에서 살펴보면 1기(2009년->2010년)에는 1.4%의 생산성의 감소가 일어났는데, 기술적 효율성 변화는 1.0% 증가한 반면 기술 변화는 2.4% 감소하여 이는 기술퇴보에 기인하는 것이며, 2기(2010년->2011년)에는 1.1%의 생산성의 증가가 일어났는데, 기술적 효율성 변화는 0.4% 감소하였으나 기술변화는 3.2% 증가하였다. 이는 기술 진보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우리나라 대학병원, 특히 국?공립병원을 제외한 사립대학병원의 경우 재무 자료를 대부분 외부에 공개하지 않거나, 계열 병원들을 그룹화한 통합 재무 자료를 외부에 공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선행연구 대부분은 공공병원에 한정된 분석과 수집 가능한 일부 자료에 국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2009년부터 2011년까지 300병상 이상 대학병원의 최근 분석 자료의 전수를 제시한 점과 신뢰성을 충분히 충족시킨 변수를 선정한 점에서 선행연구와 차별화를 제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