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윤리적 소비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와 부모의 인식 및 실천

        지옥정 ( Ji Okjong ),심영 ( Shim You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8 유아교육연구 Vol.38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교사와 부모의 윤리적 소비에 대한 인식과 실천 간의 차이, 윤리적 소비의 인식과 실천에서 교사와 부모 간의 차이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설문조사로서 202명의 교사용 설문지와 209명의 부모용 설문지를 최종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평균, 표준편차, 독립표본 t-test, 대응표본 t-test 등이다. 연구결과, 어린이집 교사와 부모 모두 50% 이상이 ‘윤리적 소비’를 모른다고 하였고, 관련 교육 경험 비율은 매우 낮았다. 교사와 부모 모두 윤리적 소비의 4단계인 자원배분-구매-소비-처분에 대한 인식과 실천에서 ‘처분’ 점수가 가장 높았다. 교사와 부모 모두 윤리적 소비에 대한 인식과 실천 간의 차이는 p<.0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마하였다. 교사와 부모 간의 차이를 보인 것은 윤리적 소비 실천에서 ‘구매’였는데, 부모 점수가 교사 점수보다 p<.05 수준에서 유의미하게 높았다. 이런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크게 5가지 점을 논의하였고 4가지 추후 연구 과제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perceptions and practices about ethical consumption, and the difference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in perception and practice of ethical consumption. The data was collected via questionnaires from two groups composed of 202 teachers and 209 parents. Their replies were used for final data analysis. Mean,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corresponding sample t-test were used for the analys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more than 50% of teachers and parents were not aware of 'ethical consumption' and the rate of related education was very low. Secondly, both groups demonstrated the highest disposal scores in the perception and practice. Thirdly, both group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erception and practice in all areas of resource allocation, purchase, use and disposal at p<.001 level. Lastly,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in purchasing practice, showing that the score of paren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eachers at p<.05 level.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ive major points were discussed and four further studies were proposed.

      • KCI등재

        유아 행복 증진을 위한 ‘행복한 우리 반’ 프로젝트에서의 교사 역량 향상에 대한 실행연구

        지옥정 ( Ji Okjong ),김경숙 ( Kim Keong-suk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0 유아교육연구 Vol.40 No.4

        본 연구 목적은 유아 행복 증진을 위한 ‘행복한 우리 반’ 프로젝트에서 유아교사의 역량이 어떻게 개선되었는지 밝히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유아반을 담임하는 교사 4명이었다. 연구방법은 실행연구였다. 자료 수집은 2019년 2월부터 11월까지 이루어졌고, 교사면담, 교사 일지, 교사의 반성적 저널, 프로젝트 회의 기록자료, 교사교육자료, 프로젝트 보고회 발표자료, 관련 사진이나 동영상, 연구자의 반성적 저널, 현장일지 등을 모았다. 자료 분석은 Miles와 Huberman(1984)의 질적 자료 분석방법에 따라 자료의 감환, 자료배열, 결론도출 과정을 거쳤다. 연구결과는 첫째, “‘행복’과 같은 추상적 주제를 유아들과 다룰 수 있는 지 걱정”: 교육내용 선정에 관한 역량 향상. 둘째, “유아들이 이럴 때 행복해 하네요!”: 학습자 이해 역량 향상. 셋째, “잘 듣고, 잘 보고, 같이 놀고”: 교수 역량 향상과 같이 변화되었다. 본 연구는 유아의 행복증진을 위한 ‘행복한 우리 반’ 프로젝트를 통해 교사의 역량이 어떻게 향상되어 나갔는지 살펴 본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he teacher's competence has improved through the “happy class” project for the promotion of young children’s happines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four teachers in charge of 4-5 year olds’ class. The research method was an action study. Data collection took place from February to November 2019, through teacher interviews, teacher journals, teacher's reflective journals, project meeting records, teacher education materials, project presentation meeting presentations, and related photos or video clips, as well as researcher's reflection journals and field journals, etc. Data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qualitative data analysis by Miles and Huberman (1984).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orry whether it is possible to deal with the abstract concept of ‘happiness’ as a project topic with young children”: improving teacher’s competency in selecting educational content. Second, “young children are happy when they do this!": improving teacher’s competency on understanding of young children. Third, “listen well, watch well, and play together”: improving teacher's competency related to teaching young childre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posed how to improve teacher’s competence through the “happy class” project, for the happiness of young children.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지향 자연친화교육에서 유아교사들이 경험한 어려움

        지옥정 ( Ji Okjong ),김경숙 ( Kim Kyoung-suk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연구 Vol.37 No.3

        연구 목적은 지속가능발전지향 자연친화교육에서 유아교사들이 경험한 어려움을 밝히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사례연구이다. 연구참여자는 6개 기관의 4, 5세반 교사 8명으로 이들은 유아들과 지역사회내 공원에서 `공원의 살아있는 것` 주제로 지속가능발전지향 자연친화교육을 수행하였다. 프로젝트 기간은 2016년 3월부터 2016년 5월 초까지이며, 이 기간 중 연구자료로 수업일지 및 교사저널, 1주 1회씩 총 4회의 연구자들과 교사들 간 정기모임 기록, 연구자들과 교사들이 주고받은 이메일 등을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기술, 분류, 관련짓기의 순환적 과정을 거쳤다. 연구 결과, 교사들이 경험하는 어려움은 크게 자연에 대해 잘 알지 못해 불충분한 교육에 머무름, 자연(물) 이용과 자연 존중 간의 갈등, 생태계의 상호연결성 지도 시 혼란, 자연에 대해 교사교육 받은 것을 적용하는 것의 어려움, 지역사회와의 협조 한계와 같이 5가지로 추출되었다. 이런 결과에 기초하여 크게 3가지 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performing nature-friendly education orienting sustainable development. The method of this study was case study.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eight teachers who conducted nature-friendly education orienting sustainable development on the topic of `living things in the park` located in their community with 4~5 year old children. The project period was from the end of March to the beginning of May, 2016. During this period, the teacher`s diary, journal, a total of four teacher meetings once a week, e-mails exchanged between researchers and teachers and other data were collected for this study. Data analysis has gone through the circular process of describing, classifying, and connecting. As the result,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the teachers are largely categorized in five. Those are insufficient early childhood education due to lack of knowledge about nature of teachers, conflict between nature use and natural esteem, confusing in teaching interconnectedness of ecosystem, linkage with the community during the project. Lastly, three main points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these results.

      • KCI등재

        칡과 등나무의 공생 -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부부의 양육 갈등 원인 -

        지옥정(Ji, Okjong),김경숙(Kim, Kyoungsu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2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부부의 자녀 양육 갈등 원인이 무엇인지 심층적으로 탐색해 보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삶의 경험을 이야기하는 방법인 내러티브 탐구이며, 연구 참여자는 영유아기 자녀 두 명씩을 양육하고 있는 부부2쌍으로, 연구자가 목적표집한 것이다. 자료 수집 방법은 부부 개별 면담, 두 가정 관찰, 연구자 저널 및 현장노트 등이었다. 자료 분석은 현장 텍스트 만들기, 중간연구 텍스트 만들기, 연구 텍스트 만들기, 글쓰기의 과정을 거쳤다. 이 과정은 일련의 선형과정이 아니라 순환적인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부부의 양육 갈등 원인은 첫째, 부모 각각 자기 식의 사랑 고집: ‘아이문제는 양보 못해!’, 둘째, 자녀 행복에 대한 관점의 차이: ‘우리 아이가 행복했으면…’, 셋째, 양육상황 악화: ‘내가 미혼모야?’, 넷째, 사회적 담론의 영향: ‘아이 키우기는 엄마가’, 다섯째, 원가족의 문화 및 양육방식 차이: ‘우리 아버지는 안 그러셨어!’ 와 같이 5가지로 정리되었다. 이런 결과에 기초하여 크게 3가지 점을 논의하였고, 추후 연구과제로서 2가지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deeply what are the rearing conflict causes between couple who raise young children. The method of study was narrative inquiry that was telling life experiences. The study participants are two couples raising young children whom they were selected purposefully by the researchers. The data collecting method included individual interviews of two couples, the direct observation of two homes, research journal and field notes by the researchers. Data analysis went through the chronological process of making field text, making interim study text, making research text, and lastly final writing. This process was a cyclic process, not a linear processes. The study results summarized into 5 key findings of rearing conflict cause like these: First, Collapses between the different approach of love to their children: ‘I can’t yield the things about my child’. Second, the different priorities between present and future of their children: ‘I want that my child is happy’. Third, the change of their child rearing situation and context: ‘Am I a single mother?’. Forth, the influence of social discourse: ‘Child rearing is mother’s work’. Fifth the influence of different approach descended from original family of each couple member: ‘My father didn’t do like that’. Based these study results, three points were discussed and two things were suggested as following study topics.

      • KCI등재

        ‘그’가 아닌 ‘우리’ 되기: 어린이집 원장의 초임남자교사 지원 전략

        지옥정 ( Ji Okjong ),김경숙 ( Kim Kyoung-suk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5

        연구 목적은 초임남자교사 Y를 채용한 S어린이집 원장 K가 ‘그’를 ‘우리’로 세워 가는데 있어 어떤 지원전략을 사용하는지 밝히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사례연구이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15년 11월부터 2016년 7월까지이며, 원장 및 구성원 면담, 저널 및 기타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으로 연구자들이 각각 분석 후 연구자간 검토와, 연구 참여자 검토를 거쳤다. 연구 결과, 시기별로 구분되는 지원 전략을 볼 수 있었다. 첫째, 채용 확정 전 시기에는 면접에 임할 수 있도록 어린이집 관계자들에게 밑 작업하기, 자신의 능력을 충분히 드러낼 수 있는 기회 주기, 둘째, 채용결정∼신학기 전 시기에는 개별화된 적응 방안 수립 및 실시하기, 오랜 내규를 깨고 만3세반으로 담임 반 배정하기, 주변 도움을 쉽게 받을 수 있는 교실로 반 배정하기, 인성 좋은 고경력 교사를 동일 연령 반에 배치하기, 부모들에게 간접 선전 및 직접 띄우기, 여아 관련 문제를 돕도록 누리과정 교사를 그 반에 고정 배치하기, 셋째, 새 학기 시작 후∼‘우리’로 인정되기까지의 기간에는 예전보다 더 높은 강도로 모든 구성원의 상호 협력과 지원 강조하기, 정서적 배려와 지원하기, 새내기 교사에게 필요한 일반적 지원 전략을 사용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what supporting strategies are performed by the daycare center director who recruited junior male teacher, and develop his carrier from ‘him’ into ‘us’, The method of study is case study. The data collecting was from November 2015 to July 2016. At that time, the interviews to the relatives were done, and journal & other related data were collected. For the data analysis, researchers analyzed data respectively, then reviewed together and finally, received the review of the research participant. For result, periodically distinctive supporting strategies were observed. First, in the period of till deciding teacher, there were strategies like advanced work to the relatives before recruiting interview procedure and providing opportunities of represent his full potential at interview. Second, in the period of between recruitment decision and new semester, providing specified development plan, assigning homeroom teacher which is rare case compare to precedents, assigning to classroom where supports are available, assigning with senior teachers with good reputation to peer class, promote male teacher to parents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assigning assistant teacher to male teacher’s class room. Third, In the period of new semester start∼accepting him as ‘us’, every members of group support such as supporting cooperation tasks, emotional support, and general supports for the beginning of his career were provided.

      • KCI등재

        우리나라 유치원의 지속가능발전교육 관련 실태 조사

        지옥정(Ji, Okjong),허미화(Huh, Mihwa),백은주(Baik, Eunjoo),정미라(Chung, Mira)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5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90

        본 연구는 우리나라 유치원의 ‘지속가능발전교육’ 관련 실태를 조사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전국 유치원에서 지역별 3%를 집락표본 추출한 후, 유치원별 만 4세 담임교사 1명이 응답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370부의 설문지를 분석한 결과, 먼저 운영관리의 경우 "지속가능발전교육"을 효율적으로 실시하기에는 시설.설비 및 운영방침이 취약하였으며, 환경관리규정조차 전체의 1/3 정도의 유치원만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교육내용 및 실시정도와 관련하여 보면,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실시비율은 자연교육이나 환경교육에 비해 현저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교사 재교육과 관련해서는 그 기회나 정도가 모두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유치원에서 바람직한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우선 유치원의 물리적 환경, 운영방침 등 기반 조건이 개선되어야 하며, "지속가능발전교육" 실시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교사 재교육 기회가 확대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This research has been performed in order to check Korea kindergartens" state in relation to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ur research methodology is to let a teacher of each kindergarten for four-aged children answer the questionnaire after selecting 3% regional intensive samples from all country-wide kindergartens. As the result of analyzing 370 questionnaires, it is found that, in case of operational management, kindergartens have weaknesses in facilities, equipment, and operation policy in executing an efficient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and also found that only one third of all kindergartens own environmental management rules. Next, compared with nature education or environmental education, a conspicuously low rate of ESD had been conducted if education contents and an extent of its execution are reviewed. Last, an opportunity or extent of continuing education on teachers, in relation to ESD, turned out to be low. Based upon this result, in order to perform a desirable EDS, first, basic conditions such as physical environment and operation policy of kindergartens must be improved. And it is simultaneously proposed that an opportunity of continuing education be extensively given to teachers in order to make an execution of EDS possible.

      • KCI등재

        미세먼지 상황이 가져 온 유아 교사들의 업무 변화

        지옥정(Ji, Okjong),김경숙(Kim, Kyoungsuk)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8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미세먼지로 인해 유아교사들의 업무가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질적 내용분석이다. 연구참여자는 충북 C시의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유아 교사 58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미세먼지와 관련된 교사들의 에피소드 기록지, 집단면담, 기타자료, 연구자 저널 등이다. 자료 분석은 연구문제 제기 및 표본추출 준비과정, 표본추출, 코딩 및 분석과정을 거쳤다. 연구결과로 나타난 유아교사들의 변화된 업무 범주는 이중 교육계획안 작성, 일과 운영 시 고려해야할 변수 증가, 유아 개별 돌봄 강화, 부모와의 연계 및 협력 내용 변화, 교육환경 구성 및 관리 업무 증가의 5가지이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크게 네 가지 점을 논의하였다. 시사점으로, 향후 실외활동을 대체할 수 있는 실내 공간 확보 문제, 부모와의 의사소통 문제, 공기 질 관리 문제에 따른 다양한 해결방안이 유아교육기관 차원, 지자체 차원, 국가 차원에서 다층적으로 모색되어야 하리라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hanges in the work of early childhood teacher due to the particulate matter situation. The research method was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Research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58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are working at 5 kindergarten & 3 childcare center in Chungbuk, C city. The collected data included episode records of the teachers related to particulate matter, group interviews with 16 representative teachers in 8 institutions, other materials and researcher journal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research questioning & preparation for sample extraction, sample extraction, then coding and analysis. As the study result, the changes of teachers work were grasped 5 categories as like construction of the education plan in duplicate, increasing variables to consider for daily operation, strengthening individual care for young children, changing contents of connection & cooperation with parents, increasing educational environment configuration and management work. Based on these results, four discussions were made.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various solutions for sufficient space that can replace outdoor activities, communication problems with parents, and air quality management problems are investigated at the leve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local government, and central government.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장의 학습공동체 참여 경험의 의미

        지옥정(Ji, Okjong),김경숙(Kim, Geongsuk)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21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3 No.3

        연구 목적은 유아교육기관장의 학습공동체 참여 경험의 의미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J학습공동체에 시작부터 끝까지 15년간 계속 참여한 유치원 원장 1명과 어린이집 원장 1명이다. 연구 자료는면담 자료와, 연구 참여자 저널, 연구자 저널이다. 연구방법은 내러티브 탐구 방법으로, 자료 분석을 위해현장텍스트 만들기, 중간연구텍스트 만들기, 연구텍스트 만들기의 과정을 거쳤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장의 원 운영에 실질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둘째, 지속가능한 지역사회를 위한 협력과정에 원장들이주도적 참여를 하게 되었다. 셋째, 유아교육전문가로서 원장의 자신감과 전문적 역량이 강화되었다. 넷째, 학습공동체 원장들 간에 삶의 평생 동반자 관계가 형성되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유아교육 현장에서 아직 그 시도가 미미한 원장 학습공동체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그 참여 의미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 있다고 본다. 끝으로 추후 연구 과제를 3가지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the directo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at had participated in a learning community. The study participants consisted of one kindergarten director and one daycare center director who had been part of the J Learning Community from its inception to its end over the course of 15 years. The research data included interview transcripts and journal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and the researchers. Using the narrative inquiry method, data from field texts, intermediate research texts, and finally research texts were analy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learning community brought about significant changes to institutional management for the directors. Secondly, the learning community allowed them to participate actively in a cooperative process for a sustainable community. Thirdly, the professional competencies of the directors as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ts and their confidence were strengthened. Lastly, the participants formed strong lifelong relationships among the members of the learning community. From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there is potential and significant meaning in learning communities, which have not yet been put in place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Future research in three different aspects was suggested.

      • KCI등재

        남자 유아교사의 어린이집 입사 결정 때부터 퇴사까지의 심리적 변화과정

        김경숙(Kim, Kyoungsuk),지옥정(Ji, Okjong)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7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6 No.3

        연구 목적은 남자유아교사 Y의 유아교육기관 입사 결정 때부터 퇴사까지의 심리적 변화 과정을 밝히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내러티브 탐구이다. 연구 참여자로 유아교육과를 졸업하고 어린이집에 첫 취업한 Y교사를 목적표집 하였고, 그 기관의 원장, 동료교사, 학부모 등도 포함시켰다. 연구 자료로는 면담, 저널, 기타자료 등을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현장텍스트 만들기, 중간연구텍스트 만들기, 연구텍스트 만들기 과정을 거쳤다. 연구결과 Y교사는 입사 결정 후 부터 퇴사까지 6단계의 심리적 변화과정을 거쳤다. 첫째, 기쁨, 불안, 혼란이 공존하던 단계, 둘째, 맹렬하게 달려야 한다고 느끼는 단계, 셋째, 지지와 응원에 기대 안정감을 느끼는 단계, 넷째, 전문적 성장에 스스로 자부심을 느끼는 단계, 다섯째, 새로운 부담감과 익숙한 것과의 분리로 힘겨움을 느끼는 단계, 여섯째 이직을 유일한 대안이라고 느끼는 단계이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초임 남자 유아교사의 기관 적응, 지원 측면, 역할 기대 측면, 경제적 측면 및 근무 여건 측면과 같이 네 각도에서 논의하고 추후 연구 과제로 두 가지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process of psychological change of the male early childhood teacher named Y from the time of decision of entering the child care center to the leaving there. The method was narrative inquiry.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the teacher who major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was first employed at child care center. The director of the institution, fellow teachers, and parents were also interviewed. Data collection methods include interviews with research participants, researchers’ journals, and other material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the process of creating field texts, interim texts, and research texts. As a result of the study, Y teacher passed through 6 steps like these. First step is feeling of joy, anxiety, and confusion coexist, second is feeling of running fiercely, third is feeling of security based on support, fourth is feeling of proud related to professional growth, fifth is feeling of difficulty by separation from familiar situation & dread to new situation, sixth is feeling that job quit is the only way for all. Based on the results, we discussed the institutional adaptation, support aspect, role expectancy, economic aspect & working conditions related to male teacher, and proposed two future tasks.

      • 유치원 교육과정에서의 범교육과정에 대한 탐색적 고찰: 녹색성장교육을 중심으로

        지옥정 한국교통대학교 2015 한국교통대학교 논문집 Vol.5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wo. the first thing was to find out the meaning and the origin of the appearance of the cross curricular theme in kindergarten curriculum at the national level. The second thing wa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and the effective operation method of green growth education that is one of cross curricular theme. The study method was a theoretical speculation based on the related materials. As the result of the study, four things were found out. Firstly, the cross curricular theme should be dealt in all contents of the kindergarten curriculum. Secondly, the origin of the cross curricular theme was social, political demands at the time. Thirdly, the characteristics of green growth education were found out two things like the characteristics of appearance background and contents. Lastly, the operation methods of green growth education were found out three things as the operation centered on existing life themes for kindergarten, the operation by the project about specific topic and the operation focusing on the environmental anniversary day or special event. In conclusion, connection with the results, two things were suggested for the following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