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퀸즈랜드 주를 중심으로 한 호주 유아기 환경교육의 맥락적인 배경 및 특성 고찰

        지옥정 한국교육개발원 2011 한국교육 Vol.38 No.3

        This study clarifies the contextual backgrounds and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al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in Australia, focused on the state of Queensland. This study uses three methods: analysis of related literature and internet materials, interviews with environmental education specialists, and field observation in Queensland state. The analysis of contextual backgrounds shows the following: 1) overall emphasis on environmental education in all education levels; 2) reflection of sustainability in early childhood curriculum; 3) strengthening the system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4) maintaining consistency in education through integration of government offices. Moreover, this study deter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velopmental process as the following: 1) activa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by organizing networks; 2) emphasis on environmental education from early childhood at a national level; 3) united efforts from the related personnel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and 4) emphasis on the perspective of sustainability. The characteristics of current environmental education are determined to be the following: 1) administration of program focusing on sustainability; 2) a whole setting approach; 3) participation of various institutions in environmental education in addition to formal educational institutions; 4) raising preschool children's awareness as citizens through participation in local social issues; and 5)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based on constructivism. In conclusion, to maintain the sustainability of Korean environmental education, it is suggested that environmental education begin in early childhood, and every related institution, organization, and concerned party in the community should join forces with formal education institu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퀸즈랜드 주를 중심으로 한 호주 유아기 환경교육의 맥락적인 배경 및 특성을 밝히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세 가지로서 관련 문헌과 인터넷 자료의 수집 및 분석, 퀸즈랜드 주의 유아기 환경교육 전문가 면담, 그리고 퀸즈랜드 주 내의 유아기 환경교육현장 참여관찰이다. 분석결과, 퀸즈랜드 주를 중심으로 한 호주 유아기 환경교육의 맥락적인 배경은 ‘교육 전 분야에서 환경교육 중시’, ‘유아교육과정에 지속가능성 반영’, ‘유아교육체제 강화’, ‘유보관리관청의 통합을 통한 일관성 있는 교육 추진’이었다. 그리고 발전과정 상의 특성은 ‘유아기환경교육네트워크 조직을 통한 환경교육 활성화’, ‘국가 차원에서 유아기부터의 환경교육 중시’, ‘유아교육 관계자 연합 노력’, ‘지속가능성 관점 강화’로 나타났으며, 현행 환경교육 운영 상에 나타난 특성은 ‘지속가능성 추구의 프로그램 운영’, ‘기관 전체 접근’, ‘형식적 교육기관 외에도 다양한 기관이 환경교육에 참여’, ‘유아의 지역사회 문제 참여로 시민의식 고양’, ‘구성주의 이론에 기초한 교수학습활동’이었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 환경교육도 지속가능발전 관점에서 ‘유아기를 시작 시점으로 한 환경교육’으로 강화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형식적 교육기관에서의 환경교육을 넘어서 지역사회의 다양한 기관, 단체, 그리고 관계자들이 함께 노력하여야 한다.

      • KCI등재후보

        ‘프로젝트에 의한 유아기 환경교육’을 지향하는 유아교사 학습공동체의 변화 양상 분석

        지옥정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09 생태유아교육연구 Vol.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ast 6 years(2003-2008) of changes of the learning commun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hich aimed environmental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through the projects. For this research, documents, records, and related results were analyzed in chronological order and qualitative analysis was done. As a result, the changes were categorized by these 6 parts ; the amount of vitalizing of the learning community, the quality of their participation, the range and scope of relationship with other institutions, the frequency of meetings and the method of operation, the extension of objects who the study results are shared with, the efforts to improve meals and institution's environment as well as education. 연구목적은 ‘프로젝트에 의한 유아기 바른 환경교육’을 지향하는 지역사회 내 유아교사 학습공동체가 지난 6년간 지속되는 동안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3년부터 2008년까지 ‘학습공동체’에 대한 증거서류, 보관기록, 관련 결과물을 시간대별로 정리하는 한편, 질적 분석을 병행하였다. 연구결과, 변화 양상은 학습공동체 활성화 정도, 학습공동체 구성원의 참여 수준, 외부기관과의 연계 범위 및 정도, 학습공동체 모임 회수 및 운영방식, 학습공동체의 학습 결과 공유 대상 확장, 교육과 더불어 먹거리와 교육기관 환경 개선을 위해서도 노력이라는 6가지로 정리되었다.

      • KCI등재

        소집단 협동학습에서의 유아의 부적절한 행동 및 교사의 반응전략

        지옥정,최일선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06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4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children's inappropriate behavior and teacher's responsive strategies in the small group cooperative learn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each eight teachers taking charge of five year old children in the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 The data was collected by class observation about the small group cooperative activ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types of children's inappropriate behavior were unoccupied behavior, passive behavior, aggressive behavior and arbitrary behavior in the small group cooperative activity. Besides teacher used authoritarian control skill, recalling of regulation, expression of teacher's expectation, attention for task-concentration, support of self-control and neglective attitude as responsive strategies against inappropriate behavior. 본 연구는 소집단 협동학습 중 나타나는 유아의 부적절한 행동과 이에 대한 교사의 반응전략은 무엇인지를 파악하여 유아교육현장에서 바람직한 소집단 협동학습 운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교사 8명과 그 교사들의 학급 유아전체이며, 교사별로 주 1회씩 4회, 총 32회의 소집단 협동학습 수업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소집단 협동학습에서 발생한 유아의 부적절한 행동은 딴 짓하면서 본 활동에는 비 참여하는 행동, 소극적인 행동, 공격적인 행동 및 독단적인 행동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유아들의 부적절한 행동에 대한 교사의 반응전략으로 권위적인 통제기술의 사용, 규칙 상기 및 기대감 표현, 과제집중유도, 자기통제 지원, 방임적인 태도 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 관점에서 조망한 누리과정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한 탐색적 고찰

        지옥정 한국유아교육학회 2019 유아교육연구 Vol.3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problems of Nuri Curriculum, which is the found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and to suggest possible improvement approach for Nuri curriculum’s revision based on the perspective of sustainable development. For data, this study reviewed the related documents and precedent studies. Specifically, a reviewing on Nuri curriculum itself, the teacher guide of the Nuri Curriculum, and the related precedent studies, was performed to extract the problems of present Nuri curriculum. Problems were also validated by comparing with the elementary curriculum of the 2015 revision including previous curricula. Topic summary of the research findings is as follows. The first is about the Nuri curriculum's name, character, and composing direction. The second deals with the general course of the Nuri curriculum. The third addresses the contents according to the Nuri curriculum. The fourth discusses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the Nuri curriculum. Lastly, the conclusion was presented.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유아교육의 근간이라 할 수 있는 ‘누리과정’에 대해 지속가능발전 관점에서 그 문제점은 무엇인지 추출해 보고, 더 나아가 개선방안까지 제시해 보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누리과정을 위시한 국가 교육과정 및 그 관련 문서와 선행연구들에 대한 검토이다. 즉, 누리과정과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및 누리과정 관련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누리과정 총론과 각론에서 보이는 전반적인 문제점과 누리과정과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관계 측면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검토·추출하였고, 이와 함께 누리과정과 2015 개정 초중등 교육과정 및 그 이전 교육과정과의 비교 분석을 통한 문제점 추출도 병행하였다. 연구결과로서 첫째, 누리과정 명칭·성격·구성 방향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둘째, 누리과정 총론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셋째, 누리과정 각론에 따른 내용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넷째 누리과정 편성과 운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과 같이 4가지로 나누어 정리한 후, 마지막으로 결론을 제시하였다.

      • 교육과정 지역화를 위한 충청북도 교육청, 지역 교육청, 각 단위 유치원의 유기적 연계 분석

        지옥정,오관순 忠州大學校 2009 한국교통대학교 논문집 Vol.4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onnection of guidelines of organizationadministration for kindergarten of Chungchongbuk-do Office of Education, guidelines of kindergarten administration of 11 cities and districts in Chungchongbuk-do, and curriculum of each kindergarten. For this research, at first, I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guidelines of organizationadministration for kindergarten of Chungchongbuk-do Office of Education through the related books and formal documents. And then, analysed the connection of guidelines of organizationadministration for kindergarten of Chungchongbuk-do Office of Education, guidelines of kindergarten administration of 11 cities and districts in Chungchongbuk-do, and curriculum of each kindergarten through the analysis of documents and interviews to related people. The study results are like these. First, to the guidelines of organizationadministration for kindergarten of Chungchongbuk-do Office of Education, basic directions, provincial characteristics and empathic contents of curriculum were figured out. Second, related connection of guidelines of organizationadministration for kindergarten of Chungchongbuk-do Office of Education and the guidelines of kinder 373 garten administration of 11 cities and districts in Chungchongbuk-do and curriculum of each kindergarten was found in respect of the performing tasks and empathic strategies in formal documents.

      • 우리나라 국가 수준 유치원 교육과정에서 '환경교육' 관련 내용 분석 : 1969년 제 1차 유치원 교육과정부터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까지

        지옥정 忠州大學校 2008 한국교통대학교 논문집 Vol.4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contents related environmental education in national level curriculum for Kindergarten. I reached to 3 conclusions on this study. First, contents about environmental education keep increased as curriculum revised to its new edition. Currently, 4 parts out of five parts deals with environment-related contents except language parts in curriculum. Second, from fourth revised curriculum, it focused more on practical par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ird, as curriculum revised the major poin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moved from management point of view to ecological point of view. In revised curriculum, this view point referred as 'respects of both nature and human'. Hereby, I propose as belows for more efficient environment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 1) Environmental education needs to be in kindergarten teacher education both pre-service and in-service 2) Various material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need to be developed for both young children and teachers 3) Whole social community should cooperate for efficient environmental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4) Safe ecological play ground should be offered to young children, and for last but not least 5) not only kindergarten but also other level of educational institution should provides consistent environmental related education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