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종이 프로젝트’에서 지역사회와의 연계가 연계 주체들에게 미친 영향

        지옥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4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 사례인 ‘종이’ 프로젝트에서 지역사회와의 연계가 연계 주체들에 게 미친 영향을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I유치원 5세반에서 2014년 3월 중순부터 약 5주 간 ‘종이 프로젝트’가 시행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연구자, I유치원 원장과 5세반 담임 및 유아들, 지역 사회 연계대상자인 시청 직원 및 YWCA 관계자이다. 자료 수집은 프로젝트 중 교사의 수업일지 및 연 구일기, 유아 포트폴리오, 관계자들과의 면담 기록, E-mail, 관련 공문서 등을 통해 이루어졌고, 이 자료들을 종합하여 질적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계 영향으로 I유치원 교사와 유아들의 경우 종이팩 분리배출에 대한 명확한 인식 및 생활 속 적극적 실천, 지역사회 기관 및 단체에 대한 관심 증가, 시 민의식 증진, 시청 직원의 경우 유아기가 지속가능성 지향 환경교육의 최적기임을 새롭게 인식, 유아 교육현장에 전문가로 참여하기 위한 계획 수립 및 시행, 유아교육기관의 자원재활용 교육을 위한 지 원 확장으로 나타났다. 또한 YWCA 담당자의 경우 지역사회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유아역할의 중요 성 인식, 유아교육기관과의 연계 활동 확대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에 기초하여 유아기 지속가능발전 교육 시 지역사회와의 연계와 관련하여 크게 세 가지 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유아 행복 증진을 위한 ‘행복한 우리 반’ 프로젝트에서의 교사 역량 향상에 대한 실행연구

        지옥정 ( Ji Okjong ),김경숙 ( Kim Keong-suk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0 유아교육연구 Vol.40 No.4

        본 연구 목적은 유아 행복 증진을 위한 ‘행복한 우리 반’ 프로젝트에서 유아교사의 역량이 어떻게 개선되었는지 밝히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유아반을 담임하는 교사 4명이었다. 연구방법은 실행연구였다. 자료 수집은 2019년 2월부터 11월까지 이루어졌고, 교사면담, 교사 일지, 교사의 반성적 저널, 프로젝트 회의 기록자료, 교사교육자료, 프로젝트 보고회 발표자료, 관련 사진이나 동영상, 연구자의 반성적 저널, 현장일지 등을 모았다. 자료 분석은 Miles와 Huberman(1984)의 질적 자료 분석방법에 따라 자료의 감환, 자료배열, 결론도출 과정을 거쳤다. 연구결과는 첫째, “‘행복’과 같은 추상적 주제를 유아들과 다룰 수 있는 지 걱정”: 교육내용 선정에 관한 역량 향상. 둘째, “유아들이 이럴 때 행복해 하네요!”: 학습자 이해 역량 향상. 셋째, “잘 듣고, 잘 보고, 같이 놀고”: 교수 역량 향상과 같이 변화되었다. 본 연구는 유아의 행복증진을 위한 ‘행복한 우리 반’ 프로젝트를 통해 교사의 역량이 어떻게 향상되어 나갔는지 살펴 본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he teacher's competence has improved through the “happy class” project for the promotion of young children’s happines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four teachers in charge of 4-5 year olds’ class. The research method was an action study. Data collection took place from February to November 2019, through teacher interviews, teacher journals, teacher's reflective journals, project meeting records, teacher education materials, project presentation meeting presentations, and related photos or video clips, as well as researcher's reflection journals and field journals, etc. Data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qualitative data analysis by Miles and Huberman (1984).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orry whether it is possible to deal with the abstract concept of ‘happiness’ as a project topic with young children”: improving teacher’s competency in selecting educational content. Second, “young children are happy when they do this!": improving teacher’s competency on understanding of young children. Third, “listen well, watch well, and play together”: improving teacher's competency related to teaching young childre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posed how to improve teacher’s competence through the “happy class” project, for the happiness of young children.

      • 한국산 식물의 항암작용 및 항바이러스작용

        池玉杓 성균관대학교 약학연구소 1993 成均藥硏論文集 Vol.5 No.1

        Eighty kinds of different plants were collected from the thirteen sites of South Korea. Two of them showed strong anti-HIV activity, CD_50: 383.0㎍/ml, ED_50: 55.4㎍/ml, SI: 3.59, through in vitro cell culture study. At same time, in vitro test of several murine and humane tumor cell lines were taken with these plants exctracts. Three of them indicated further studies with their significant activities.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에서의 프로젝트 과정 중 소집단활동의 현황과 문제점

        지옥정(Ji Oak-Jung),최일선(Choi Il-Su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5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에서 프로젝트 과정 중 행해진 소집단활동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는 C시 8기관 교사 20명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하였다. 연구 결과, 현황을 보면 첫째, 프로젝트는 한 반 전체가 같은 주제를 가지고 수행하는 형태로 나타났다. 이 과정중 소집단활동내용은 주로 교사에 의해 사전 선정되나, 프로젝트 진행 방향, 유아들의 흥미나 필요, 충원된 자원 등에 따라 일부 조정되기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는 소집단활동을 협동학습으로 바람직하게 인식하고 있었으나, 실제 시행하는 데는 여러 가지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유선택활동 시간 외의 소집단활동방법은 대체로 모든 유아들이 동일한 시간에 동일한 활동내용을 가지고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집단 구성 방법은 교사가 유아의 능력이나 성격을 고려하여 구성, 유아의 취향이나 흥미를 준거로 한 구성, 무작위한 구성으로 나타났으며, 활동유형 면에서는 쓰기를 강조한 언어활동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활동 진행은 정형화된 일정한 순서를 거치며, 활동 주도자는 교사의 의도와 활동의 난이도에 따라 바뀌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문제점은 내용상 유아로부터 비롯되는 문제, 교사로부터 비롯되는 문제, 구조적인 문제로 대별해 볼 수 있었고, 각 문제점들이 서로 밀접하게 맞물려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improv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situation of small group activity and its problem in the project process performed by education institutions. In this study, qualitative research has been done, and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20 teachers of 8 institutions in C city.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urns our as following: First, in the present situation of small group activity, the project is performed by a whole class with one topic. In the process, the subjects of the small group activity are generally determined by the teacher, though occasionally changed according to the project process, interest of the children and supplied materials. The small group activity- except activities in free choice time- is done with the same subjects at the same time by the whole class. Second, teachers consider that a small group activity teaches cooperative learning and has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 however, they find it hard to manage. Third, small groups are arranged by the teacher, children's interest and preference, or randomly. Also attaching too much importance to writing activities causes imbalance among other activities. The process of small group activity is done following predetermined format. Also, depending on difficulties of the subject and the teacher's will, the leader of a small group is changed. Lastly, the problems of small group activities resulted from children, reachers and structures which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system originally have, and they influenced each other coincidently.

      • 「탁아」관련 입법안 고찰 : A Study about Bills for 「Child Care Law」

        지옥,윤기영 서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990 사회과학연구 Vol.3 No.-

        Nowadays, national concern is concentrated on good child care, and they are trying to make adequate law for it. So careful consideration about bills is needed. In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aims to consider propulsive foundation of 「Child Care Law」's legislation and characters of each bill, and seek for desirable directions of the legisl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 Frist, each bill has many following problems ; (1) Lack of understanding about current issue in child care. (2) Not future-oriented. (3) Difficulties of qualified environment. (4) Deficiency of basic study about 「child care」. (5) Confusion of main control unit for 「child care」 (6) Possibility of malfunction. Second, so proper action is needed as follows ; (1) Detailed basic study about 「child care」. (2) Many open forums about 「Child Care Law」 (3) More effective financial support plan. (4) Improve for qualified environment. In conclusion, the direction of 「Child Care Law's」 legislation should be ; (1) Truly appreciated that the govemment is responsible for 「child care」. (2) Child-centered. (3) Cheer up 「child care」 not to restrict it.

      • KCI우수등재

        유치원 교사의 집단 반영적 자기성찰에 기초한 재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지옥,윤선영,류칠선 한국교육학회 2001 敎育學硏究 Vol.3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의 집단 반영적 자기성찰에 기초한 학습과정의 특성을 밝히고, 이를 주 근거로 한 재교육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대․중․소도시에서 근무하고 있는 24명의 유치원 교사였다. 연구방밥은 질적 방법으로서 참여연구, 실천연구, 사례연구, 주제를 통한 상호작용방법이 사용되었다. 자료의 분석은 Lamnek(1995), Glaser와 Strauss(1979)의 석의와 해석, Bogdan과 Biklen(1991)의 단계별 분석방법이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학습과정의 특성은 작업횟수에 비례하여 학습의 폭과 깊이가 확장․심화되는 4단게로 발달하였으며, 유치원 교사의 반영적 사고능력 증진 및 개인적인 교육관 형성을 돕기 위한 재교육프로그램의 모형은 교육목적 및 목표, 내용, 방법, 평가의 4 요인으로 제시되었다.

      • 우리나라 국가 수준 유치원 교육과정에서 '환경교육' 관련 내용 분석 : 1969년 제 1차 유치원 교육과정부터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까지

        지옥 忠州大學校 2008 한국교통대학교 논문집 Vol.4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contents related environmental education in national level curriculum for Kindergarten. I reached to 3 conclusions on this study. First, contents about environmental education keep increased as curriculum revised to its new edition. Currently, 4 parts out of five parts deals with environment-related contents except language parts in curriculum. Second, from fourth revised curriculum, it focused more on practical par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ird, as curriculum revised the major poin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moved from management point of view to ecological point of view. In revised curriculum, this view point referred as 'respects of both nature and human'. Hereby, I propose as belows for more efficient environment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 1) Environmental education needs to be in kindergarten teacher education both pre-service and in-service 2) Various material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need to be developed for both young children and teachers 3) Whole social community should cooperate for efficient environmental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4) Safe ecological play ground should be offered to young children, and for last but not least 5) not only kindergarten but also other level of educational institution should provides consistent environmental related education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