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조기 위암에서 유문 보존 위절제술의 의의

        주유민,서경원,김형수,주재균,박영규,류성엽,김형록,김동의,김신곤,김영진,Chu, U-Min,Seo, Kyoung-Won,Kim, Hyoung-Soo,Joo, Jai-Kyun,Park, Young-Kyu,Ryu, Seong-Yeob,Kim, Hyeong-Rok,Kim, Dong-Yi,Kim, Shin-Kon,Kim, Young-Jin 대한위암학회 2006 대한위암학회지 Vol.6 No.1

        목적: 조기 위암에서 수술 후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여러 축소적이며 보존적인 수술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다. 저자들은 조기 위암에서 사용되는 수술 방법 중의 하나인 유문 보존 위절제술(pylorus-preserving gastrectomy, PPG)을 통상적인 위 아전절제술 및 위 십이지장 문합술(subtotal gastrectomy with gastroduodenal anastomosis, B-I)과 비교하여 수술방법에 따른 삶의 질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1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에서 조기 위암으로 진단받은 10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PPG를 시행받은 군과 B-I을 시행받은 군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두 군 간의 결과는 chi-square test, Student's T-test를 이용하여 통계 검정하였고, P value가 0.05 미만인 경우 의미있는 것으로 보았다. 결과: 107명의 환자 중 29명은 PPG를, 나머지 78명은 B-I을 시행받았다. 두 군간의 비교 결과 성별, 연령, 수술 후 복부 증상 등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PPG를 시행받은 군은 B-I을 시행받은 군에 비해 수술시간이 짧았으며, 위 내시경 소견상 역류성 위염 및 식도염이 적었다. 결론: 조기 위암에서 PPG를 시행받은 군이 B-I을 시행받은 군에 비해 역류성 위염 및 식도염의 발생이 적은 것으로 보아 PPG가 B-I에 비해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five-year survival rate is over 95% for radically resected early gastric cancer. The development of diagnostic techniques enables early detection of gastric cancer, so the life expectancy of patients with early gastric cancer is prolonged. Therefore, a limited number of surgeries are performed these days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the quality of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postoperative quality of life after a pylorus-preserving gastrectomy (PPG) compared with that after a subtotal gastrectomy with gastroduodenal anastomosis (B-I). Materials and Methods: One hundred seven (107) patients who underwent gastric surgery for early gastric cancer from January 1999 to December 2003 at the Department of Surgery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re selected. We compared patients who underwent a PPG with those who underwent a B-I. The clinical results were compared by using the chi-square test and the Student's T-test. The data were considered to be significant when the P value was less than 0.05. Results: Twenty-nine patients (29) underwent a PPG, and the other seventy-eight (78) patients underwent a B-I.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on sex, age, and postoperative abdominal symptoms. The patients who underwent a PPG showed shorter operation times and less reflux gastritis and esophagitis on endoscopic evaluation than the patients who underwent a B-I. Conclusion: The pylorus-preserving gastrectomy (PPG) is a more physiologic operation than the subtotal gastrectomy with gastroduodenal anastomosis (B-I) and improves the postoperative quality of life.

      • KCI등재

        도시재생을 위한 문화지구정책 거버넌스 연구: 부산광역시 또따또가를 사례로

        박세훈,주유민 국토연구원 2014 국토연구 Vol.83 No.-

        With the rise of cultural economy in today’s post-industrial cities, cultural district planning is increasingly used as an urban regeneration tool. Korea is no exception, and many of its cities that are facing de-industrialization and population loss are following the trend, installing numerous cultural district projects for their ailing neighborhoods. These projects, however, often falter as they fail to build an effective governance structure, especially amid the conflicting interests between artists and urban bureaucrats. Against this backdrop, the study explores the Totatoga project in Busan Metropolitan City, in an attempt to clarify the factors behind effective policy governance for cultural district planning. It finds that the role of an intermediary agency, which helped to bring together different actors, including government, artists, and the local community, and the local government’s non-interventionist attitude were important success factors for the project. Hence, as a conclusion, it suggests that a local government’s mode of intervention should be reinvented, so as to provide flexible and horizontal governance structure for art-led urban regeneration policies in Korea. 문화경제의 부상에 따라 오늘날 문화지구 조성이 도시정책의 핵심주제로 등장하였다. 그러나 예술가를 정책적으로 활용하는 것은 개발행정을 중심으로 했던 기존의 도시정책 관행에 비추어볼 때 매우 도전적인 과제다. 새로운 정책은 행정과 예술가, 그리고 지역주민 등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효과적인 거버넌스의 구축을 필수적으로 요구하기 때문이다. 예술가들이 가지고 있는 창의성, 자발성, 상호협력, 역동성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공공의 이익을 위해 복무하도록 유도하는 것은 오늘날 많은 도시에서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본 논문은 부산광역시 원도심 창작공간 조성정책(일명 ‘또따또가’ 사업)을 사례로 이상의 과제에 대한 대답을 찾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논문은 주로 해외의 정책 경험과 연구를 준거로 하여 바람직한 문화지구 조성정책의 거버넌스 모델을 도출하고 이를 분석틀로 삼아 부산시 원도심 창작공간 조성정책을 평가한다. 거버넌스의 관점에서 정부 혹은 예술가의 어떠한 태도와 관심이 긍정적인 결과를 초래하였는지를 분석하고 그것이 국내 유사정책에 갖는 함의를 살펴보았다.

      • KCI등재

        싱가포르의 이주노동자와 코로나-19 대응: 이주노동자 정책변화와 중대 전환점을 중심으로

        배유일(Bae, Yooil),주유민(Joo, Yumin) 서강대학교 현대정치연구소 2021 현대정치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국가 경제발전에 필수적인 역할을 해 온 싱가포르의 저숙련 이주노동자가 왜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차별적 배제의 대상이 되었는지 역사적 제도주의 관점에서 설명한다. 기존의 연구는 싱가포르가 작은 도시국가로서 자원 부족과 지리적 약점을 극복하고 이주노동자와 외국인 투자 활용을 통해 성장하였으며, 다민족 간 사회적 하모니도 이룩한 것으로 평가받았다. 그러나, 코로나-19의 대응에서 가장 큰 피해집단으로 나타난 저숙련 이주노동자에 대한 배제는 단순히 인종차별적이거나 우발적으로 나타난 것이 아닌, 발전국가적 성격의 싱가포르 정부의 목표에 따라 이용·배제되어 왔으며, 역사적으로 중대 전환점(critical junctures)에서 새로운 대응과 제도화로 차별적 배제가 공고화된 것이다. 이는 점차 이주노동자 의존도가 높아져 가는 우리나라 및 아시아 국가에서 단순 하향식 이주노동자와 다문화정책으로는 사회적 조화 달성이 어렵다는 점을 시사한다. This research examines why and how Singapore faced a sudden spike in COVID-19 cases among migrant workers and how it managed them through the lens of historical institutionalism. Singapore has been appraised for its economic achievements under the developmental state, which also pursued social harmony among different ethnic groups to achieve social stability. While its multicultural policies are acclaimed to have brought together multi-ethnic groups under one nation, the same cannot be said for low-skilled migrant workers who have become the hardest-hit group in Singapore. The case of Singapore’s COVID-19 illustrates and consolidates the differentiated exclusion strategy towards migrant workers, resulting from the developmental state’s past policy choices at critical junctures. The case also implies that top-down approaches to migrant workers and multicultural policies might fail to achieve social harmony, providing a valuable lesson for countries, such as Korea, with their economies increasingly dependent on foreign laborfor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