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축분 유기질비료의 고형화에 의한 비효 연장

        주영규,정영상,이상국,김은규,Joo Young-Kyoo,Jung Yeong-Sang,Lee Sang-Kook,Kim Eun-Kyu 한국잔디학회 2004 한국잔디학회지 Vol.18 No.2

        Solid typed organic fertilizer from cattle manure may Increase plant root growth with the residual effect on soil fertility if it was applied directly into root system. It may also increase labour efficiency by simplifying the work process of manure application to soil.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from May to October 1999 to study the fertility prolongation effects of bar typed organic fertilizer from poultry manure by analysing plant growth model compare with those of the chemical fertilizer or powder typed manur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bar typed organic fertilizer increased growth rates of shoot and root system with extending the effect of its fertility by slow releasing on pepper plant. Especially, solidifying organic manure into the bar type made possible the application of cattle manure under plastic mulching. And it also has benefits on simplifying the application process of the fertilization and effect on an extending soil fertility. 축분 유기질 성분을 고형화된 막대 형태고 조형하여 작물 뿌리 주위에 관입하게 되면 작업과정의 단순화와 비효의 유실을 줄이고 비효 지속 기간을 연장 시키어 작물의 근계 발육에 매우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화학 비료, 분말 형태의 유기질 비료와 막대형 유기질 비료의 비효를 비교하고 작육의 생장 형태를 분석하여 축분의 막대화에 따른 유기질 비료의 효과지속성을 측정하는데 목적을 두고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분말형태의 축분 사용보다는 고형화된 막대형태의 유기질 축분이 비효의 유출을 줄이고 작물 지상부와 근계발달을 촉진시켜 유기질 비료 특유의 완효성 비효의 지속에 효과가 있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특히 멀칭 후에는 분말 형태의 축분 시비가 불가능하나, 이를 막대 형태로 고형화하여 작물 근계 주위에 관입하게 되면 작업과정의 단순화해지며, 수확 후에도 토양 비옥도를 지속적으로 유지 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KCI등재
      • KCI등재

        축분 유기질비료의 고형화에 의한 비효 연장

        주영규(Young-Kyu Joo),정영상(Yeong-Sang Jung),이상국(Sang-Kook Lee),김은규(Eun-Kyu Kim) 한국잡초학회·한국잔디학회 2004 Weed & Turfgrass Science Vol.18 No.2

        Solid typed organic fertilizer from cattle manure may increase plant root growth with the residual effect on soil fertility if it was applied directly into root system. It may also increase labour efficiency by simplifying the work process of manure application to soil.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from May to October 1999 to study the fertility prolongation effects of bar typed organic fertilizer from poultry manure by analysing plant growth model compare with those of the chemical fertilizer or powder typed manure.<br/> The results showed that the bar typed organic fertilizer increased growth rates of shoot and root system with extending the effect of its fertility by slow releasing on pepper plant. Especially, solidifying organic manure into the bar type made possible the application of cattle manure under plastic mulching. And it also has benefits on simplifying the application process of the fertilization and effect on an extending soil fertility.

      • KCI등재

        Changes in Flora Dynamics on the Reclaimed Tidal Flats of Kyonggi-Bay in the Mid-west Coast of Korea

        Eun-Kyu Kim(김은규),Yeong-Sang Jung(정영상),Soul Chun(천소을),Young-K. Joo(주영규),Hyeung-Geun Jeong(정형근) 한국토양비료학회 2009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2 No.4

        간척후 식생변화를 알기 위하여 우리나라 중서부 해안 간척지에서 식생분포를 조사하였다. 조사대상지는 2002년 간척된 경기만 행담간석지, 체절후 각각 7년, 9년, 18년 된 충남 석문과 대호, 경기만 행담 간척지이다. 신간척지에서 주 식생은 Suaeda japonica이었으며 다른 식생은 드물었다. 기존 간척지에서는 다양한 염생식물과 중성식물이 분포하고 있었다. 신간척지에서는 Salicornia europaea, Suaeda glauca, Suaeda japonica, 그리고 Suaeda maritime 등 4종의 염생선구종식생이 분포하고 있었다. 간척연대가 진전되면서 통성염생식물과 중성식물이 차례로 출현하고 있었다. 기존 간척지에서 다양한 통성염생식물과 중성식물이 복합하여 나타났고, 이들이 선구종염생식물보다 우점하였으며, Suaeda japonica는 출현하지 않았다. 통성염생식물과 중성식물의 다양성이 높아질수록 선구종염생식물이 감소되는 현상은 식생이 간척후 숙성에 따라 식생이 통성염생식물과 중성식물의 혼합으로 천이되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간척초기에 신간척지에서는 외부식물의 침입에 따라 식생종의 변화가 빠르게 진행되었다. 통성염생식물과 중성식물은 간척초기에 증가하였으나 선구종염생식물의 상대적 밀도와 빈도는 통성염생식물과 중성식물보다 높았다. 간척후 3년 이후 연구에 의하면 외부식물이 선구종 염생식물이 우점하였다. 이러한 식생의 변화에도 선구종염생식물로 Salicornia europaea, Suaeda maritima, 그리고 Suaeda glauca, 통성염생식물로 Aster tripolium, Sonchus brachvotus, 그리고 Phragmites communis 간척지에서는 공통적인 주 염생식물으로서의 위치를 점하고 있었다. Flora distribution was surveyed in the newly reclaimed tidal flats in the west coastal area in Korea to understand changes in flora dynamics after reclamation. The surveyed reclaimed tidal flats were the newly reclaimed tidal flat in Hangdam, the mid Kyonggi Bay in 2002, and three reclaimed lands in Seukmun and Daeho, Chungnam, and Hangdam in Kyonggi Bay, of which reclamation years based on embankment were 7, 9 and 18 years, respectively. In the newly reclaimed tidal flat, the dominant flora was Suaeda japonica and other florae were rare, while various halophytes and glycophytes were distributed in the reclaimed lands. On the newly reclaimed tidal flat, four species of halophytic pioneer florae, Salicornia europaea, Suaeda glauca, Suaeda japonica, and Suaeda maritime occurred, and along with age facultative halophyte and glycophyte occurred sequently. On the reclaimed lands, the florae were more complex with various facultative halophyte and glycophyte, so these were predominated rather than pioneer halophyte, while one of pioneer halophyte that Suaeda japonica was not occurred. Increasing of various facultative halophyte and glycophyte, and decreasing of pioneer halophyte indicated that flora changed toward to increase of facultative halophyte and glycophyte by aged after reclamation. On the newly reclaimed tidal flat the ratio of flora species changed rapidly with the invasion of plant. This implied that the flora had begun to change in the early stage of reclamation. Facultative halophyte and glycophyte started to increase on the early stage of reclamation but relative density and frequency of pioneer halophyte was higher than facultative halophyte and glycophyte.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up to 3 years after reclamation, pioneer halophyte predominated on it. Although flora changed, there were common representative halophytes among the reclaimed tidal flats: Salicornia europaea, Suaeda maritima, and Suaeda glauca as pioneer halophyte, Aster tripolium, Sonchus brachyotus, and Phragmites communis as facultative halophytes.

      • KCI등재

        Soil Salinity Influencing Plant Stands on the Reclaimed Tidal Flats of Kyonggi-Bay in the Midwestern Coast of Korea

        Eun-Kyu Kim(김은규),Soul Chun(천소을),Young-K. Joo(주영규),Yeong-Sang Jung(정영상) 한국토양비료학회 2009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2 No.4

        간척지에서 식생의 공간적 분포 변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내기 위하여, 중서부 해안 경기만의 신간척지와 간척연대가 다른 간척지 세 곳, 그리고 이들의 인근 비간척 간석지에서 식생 분포를 조사하였다. 토양 염도의 지표로 포화침출액의 전기전도도를 조사하였다. 토양염도에 따라 식생 분포가 확연이 달랐다. 토양 염도에 따라 각 식생의 최적 서식지가 존재하며, 이는 저염도 지점에는 중성 식물이, 고염도 지점에는 염생식물이 분포함을 의미하고 있다. 서식 식물 군집에 따른 토양 염도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즉, 토양 염도는 식생 위조지> 선구 염생식물지> 혼합선구염생식물지> 선구염생식물지> 선구염생식물 및 통성 염생식물 혼합지> 혼합 통성염색식물지> 통성염생식물 및 중성식물 혼합지>혼합 중성식물지의 순이었다. 이 결과는 토양 염도의 공간적 토양구배에 따라 식물 종의 분포가 이루어짐을 보여 주고 있으며, 이에 따라 식물종의 분포에 따라 토양 염도의 차이를 판단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토양 염도와 식물종의 분포양상 관계는 여러 간척지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식물 군락 밀집도가 간척 이후 식생이 어떤 방향으로 천이되는지의 지표를 제시하여주고 있다. To identify controlling factors for spatial variation of vegetation in reclaimed tidal flats, plant stands were investigated in a newly reclaimed as well as three matured tidal flats, and a natural tidal flat in the midwest coast of Korea. Electrical conductivity of saturated soil extract (ECe) was measured to assess soil salinity. Soil salinity differed significantly among plant stands. Depending on soil salinity, plant species showed different niches: glycophyte predominated low saline spots, halophyte predominated high saline spots. Soil salinity for each plant habitats was in order of as follow: bare soil or plant wilted > mixed pioneer halophyte > pioneer halophyte > mixed with pioneer halophyte and facultative halophyte > mixed facultative halophyte > facultative halophyte > mixed with facultative halophyte and glycophyte > glycophyte > mixed glycophyte stand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plant distribution might have been influenced by spatial edaphic gradient (soil salinity), and thus it could be utilized as an indicator for field soil salinity gradient. Relationship between soil salinity and plant distribution was not different among the aged reclaimed tidal flats, suggesting that the vegetative population might have changed into a similar direction since the reclamation.

      • 등방성 경화를 고려한 비좌굴 가새의 해석

        이주연(Lee Joo-Yeon),김명한(Kim Myeong-Han),김도현(Kim Do-Hyun),주영규(Joo Young-Kyu),김상대(Kim Sang-Dae) 대한건축학회 2007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27 No.1

        In this study. Refined Inelastic Truss Bar Element which can incorporate both kinetic and isotropic hardening of the element is used to model Buckling-Restrained Brace in analysis program DRAIN-2DX. Isotropic hardening is an important characteristic for Buckling-Restrained Brace in aspect of energy dissipation ability and ductility. From previous experimental study, analytical study was conducted for Buckling-Restrained Brace.

      • KCI등재
      • KCI등재

        우리나라 중서부 서해안 대호 간척지의 식생 분포와 토양 염농도

        김은규(Eun-Kyu Kim),정영상(Yeong-Sang Jung),주영규(Young K. Joo),정형근(Hyeung-Gun Jung),천소을(Soul Chun),이승헌(Sung-Hun Lee) 한국토양비료학회 2009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2 No.6

        간척지에서 식생의 분포와 토양 염농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대호 간척지 한국농촌공사의 식생보전지구에서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출현 식물 종을 분류하고, 집락 유형별로 토양 염농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고, 식생도를 작성하였다. 대호 간척지의 식물 종은 주기적인 침수가 이루어지는 갯벌 및 초기간척지에 비해 매우 다양하였다. 출현한 식물 집락은 단일 종으로 이루어진 순수 집락과 여러 종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혼생 집락으로 구분되었다. 식물 집락별출현지의 토양 염농도에 근거할 때 퉁퉁마디, 해홍나물 및 나문재의 단일 집락은 토양 염농도가 31.05 dS/m 정도인 곳에, 이들의 혼생 집락은 42.75 dS/m에 출현하여 내염성이 강하였고, 사데풀, 갯개미취, 새섬매자기 등의 단일집락은 11.73 dS/m 인 곳에, 이들의 혼생집락은 9.43 dS/m 정도인 곳에 출현하여 저염생식물군의 특성을 보였고, 띠, 레드클로버, 억새, 강아지풀 및 잠자리피의 단일집락은 2.42 dS/m 정도인곳에 분포하여 내염성이 약한 중성식물군의 특성을 보였다. 이와 같이 식물 집락의 분포는 토양 염농도의 영향을 받고 있어, 간척지 토양의 염농도는 식물 집락분포의 제한요소로 작용함을 보였다. 이 결과는 토양 염농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식물 종과 식물 집락의 분포 양상이 간척지 토양의 탈염화 지표로 유용함을 시사하고 있다. Vegetation distribution and soil salinity were surveyed on the conservation plot in the Daeho reclaimed tidal land, in where the plants species distribution was more various than a periodically inundated tidal flat and the early stage of reclamation. According to the soil salinity where the vegetation patches were occurred, the mono patches of Salicornia europaea, Suaeda maritima, and Suaeda glauca were distributed in the average range of 31.05 dS/m in soil salinity, the mixed patches of them were distributed in the average range of 42.75 dS/m. Salicornia europaea, Suaeda maritima, and Suaeda glauca showed strong salt tolerance. The mono patches of Aster tripolium, Sonchus brachyotus, and Scirpus planiculm were distributed in the range of 11.73 dS/m in soil salinity, and the mixed patches were distributed in the average range of 9.43 dS/m. Therefore Aster tripolium, Sonchus brachyotus, and Scirpus planiculmis showed moderate salt tolerance. The mono patches of Imperata cylindrica, Trifolium pratense, Miscanthus sinensis, Setaria viridis, and Trisetum bifidum were distributed in the range of 2.42 dS/m in soil salinity. These species showed characteristics of glycophytes with weak salt tolerance. The distribution of vegetation patches was influenced by the soil salinity as pioneer halophytes patches occurred at higher soil salinity zone than facultative halophytes patches, glycophytes patches occurred at lower soil salinity zone than facultative halophyte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occurrence of plant species and plant distribution type might be useful index to evaluate the soil salinity and desalinization in the reclaimed land of the midwest coastal area of Korea.

      • 고층 건물 중간층의 면진장치 적용 효과 분석

        이주연(Lee Joo-Yeon),주영규(Ju Young-Kyu),김대곤(Kim Dae-Kon),김상대(Kim Sang-Dae) 대한건축학회 2008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28 No.1(구조계)

        Base isolation system is an effective system for seismic design. However it is not widely used to reduce seismic force for tall buildings. In this study, it is applied on 8th story of four high-rise buildings. SDOF stick model representing building was used for the time history analysis by two different analysis programs such as DRAIN and SAP. As a result, displacement, story drift ratio, acceleration, story shear force and overturning moment were compared to evaluate the effect of base isolation system on the middle of high-rise building.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