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oil Salinity Influencing Plant Stands on the Reclaimed Tidal Flats of Kyonggi-Bay in the Midwestern Coast of Korea

        Eun-Kyu Kim(김은규),Soul Chun(천소을),Young-K. Joo(주영규),Yeong-Sang Jung(정영상) 한국토양비료학회 2009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2 No.4

        간척지에서 식생의 공간적 분포 변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내기 위하여, 중서부 해안 경기만의 신간척지와 간척연대가 다른 간척지 세 곳, 그리고 이들의 인근 비간척 간석지에서 식생 분포를 조사하였다. 토양 염도의 지표로 포화침출액의 전기전도도를 조사하였다. 토양염도에 따라 식생 분포가 확연이 달랐다. 토양 염도에 따라 각 식생의 최적 서식지가 존재하며, 이는 저염도 지점에는 중성 식물이, 고염도 지점에는 염생식물이 분포함을 의미하고 있다. 서식 식물 군집에 따른 토양 염도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즉, 토양 염도는 식생 위조지> 선구 염생식물지> 혼합선구염생식물지> 선구염생식물지> 선구염생식물 및 통성 염생식물 혼합지> 혼합 통성염색식물지> 통성염생식물 및 중성식물 혼합지>혼합 중성식물지의 순이었다. 이 결과는 토양 염도의 공간적 토양구배에 따라 식물 종의 분포가 이루어짐을 보여 주고 있으며, 이에 따라 식물종의 분포에 따라 토양 염도의 차이를 판단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토양 염도와 식물종의 분포양상 관계는 여러 간척지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식물 군락 밀집도가 간척 이후 식생이 어떤 방향으로 천이되는지의 지표를 제시하여주고 있다. To identify controlling factors for spatial variation of vegetation in reclaimed tidal flats, plant stands were investigated in a newly reclaimed as well as three matured tidal flats, and a natural tidal flat in the midwest coast of Korea. Electrical conductivity of saturated soil extract (ECe) was measured to assess soil salinity. Soil salinity differed significantly among plant stands. Depending on soil salinity, plant species showed different niches: glycophyte predominated low saline spots, halophyte predominated high saline spots. Soil salinity for each plant habitats was in order of as follow: bare soil or plant wilted > mixed pioneer halophyte > pioneer halophyte > mixed with pioneer halophyte and facultative halophyte > mixed facultative halophyte > facultative halophyte > mixed with facultative halophyte and glycophyte > glycophyte > mixed glycophyte stand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plant distribution might have been influenced by spatial edaphic gradient (soil salinity), and thus it could be utilized as an indicator for field soil salinity gradient. Relationship between soil salinity and plant distribution was not different among the aged reclaimed tidal flats, suggesting that the vegetative population might have changed into a similar direction since the reclamation.

      • KCI등재

        Fenitrothion과 Tebuconazole의 입상 활성탄 및 차콜에 의한 흡착과 용탈에 관한 연구

        이동익(Dong-Ik Lee),천소을(Soul Chun),주영규(Young-Kyoo Joo) 한국잡초학회·한국잔디학회 2006 Weed & Turfgrass Science Vol.20 No.1

        본 실험은 농약 흡착제(adsorbent)로서 입상 활성탄(활성탄 Ⅰ 및 활성탄 Ⅱ) 및 차콜의 사용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흡착질(adsorbate)로 현재 골프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살충제인 스미치온(Fenitrothion)과 살균제인 호리쿠어(Tebuconazole)를 대상으로 하였다. 흡착실험에서는 스미치온 및 호리쿠어의 처리 농도별 흡착에 미치는 영향과 흡착제의 입자크기가 흡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흡착실험에서는 흡착제의 입자 크기가 작을수록 높은 흡착율을 보였으며, 활성탄이 차콜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흡착율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스미치온의 탈착(desorption)에 관한 실험에서는 활성탄 및 차콜 모두 1200㎜ 이상의 강우량에서도 스미치온이 용탈되지 않았으므로, 차콜 또한 활성탄과 함께 골프장 농약 흡착제로서의 이용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Golf course community has always been concerned about water quality regarding to pesticide and fertilizer managements. This study conducted to investigate sorption and leaching behavior of common pesticides used for golf course in granular activated carbon Ⅰ(GAC Ⅰ), granular activated carbon Ⅱ(GAC Ⅱ), and charcoal. We used batch study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oncentrations of Smithion and Folicur and particle sizes of GAC Ⅰ, GAC Ⅱ, and charcoal on sorption. Also, column study was used to investigate the leaching effect of Smithion in GAC Ⅰ and charcoal. We found that sorption of Smithion and Folicur were higher in less 45㎛ of particle size for GAC Ⅰ, GAC Ⅱ, and charcoal compared to 1.7∼2.0㎜ size, and the sorption of Smithion and Folicur in less 45㎛ of particle size ranged from 90 to 99%. In the column study, there was no difference in leaching effect between GAC Ⅰ and charcoal. Overall, we found that charcoal might offer a cost effective adsorbent as a pesticides in leachate.

      • KCI등재

        Changes in Flora Dynamics on the Reclaimed Tidal Flats of Kyonggi-Bay in the Mid-west Coast of Korea

        Eun-Kyu Kim(김은규),Yeong-Sang Jung(정영상),Soul Chun(천소을),Young-K. Joo(주영규),Hyeung-Geun Jeong(정형근) 한국토양비료학회 2009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2 No.4

        간척후 식생변화를 알기 위하여 우리나라 중서부 해안 간척지에서 식생분포를 조사하였다. 조사대상지는 2002년 간척된 경기만 행담간석지, 체절후 각각 7년, 9년, 18년 된 충남 석문과 대호, 경기만 행담 간척지이다. 신간척지에서 주 식생은 Suaeda japonica이었으며 다른 식생은 드물었다. 기존 간척지에서는 다양한 염생식물과 중성식물이 분포하고 있었다. 신간척지에서는 Salicornia europaea, Suaeda glauca, Suaeda japonica, 그리고 Suaeda maritime 등 4종의 염생선구종식생이 분포하고 있었다. 간척연대가 진전되면서 통성염생식물과 중성식물이 차례로 출현하고 있었다. 기존 간척지에서 다양한 통성염생식물과 중성식물이 복합하여 나타났고, 이들이 선구종염생식물보다 우점하였으며, Suaeda japonica는 출현하지 않았다. 통성염생식물과 중성식물의 다양성이 높아질수록 선구종염생식물이 감소되는 현상은 식생이 간척후 숙성에 따라 식생이 통성염생식물과 중성식물의 혼합으로 천이되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간척초기에 신간척지에서는 외부식물의 침입에 따라 식생종의 변화가 빠르게 진행되었다. 통성염생식물과 중성식물은 간척초기에 증가하였으나 선구종염생식물의 상대적 밀도와 빈도는 통성염생식물과 중성식물보다 높았다. 간척후 3년 이후 연구에 의하면 외부식물이 선구종 염생식물이 우점하였다. 이러한 식생의 변화에도 선구종염생식물로 Salicornia europaea, Suaeda maritima, 그리고 Suaeda glauca, 통성염생식물로 Aster tripolium, Sonchus brachvotus, 그리고 Phragmites communis 간척지에서는 공통적인 주 염생식물으로서의 위치를 점하고 있었다. Flora distribution was surveyed in the newly reclaimed tidal flats in the west coastal area in Korea to understand changes in flora dynamics after reclamation. The surveyed reclaimed tidal flats were the newly reclaimed tidal flat in Hangdam, the mid Kyonggi Bay in 2002, and three reclaimed lands in Seukmun and Daeho, Chungnam, and Hangdam in Kyonggi Bay, of which reclamation years based on embankment were 7, 9 and 18 years, respectively. In the newly reclaimed tidal flat, the dominant flora was Suaeda japonica and other florae were rare, while various halophytes and glycophytes were distributed in the reclaimed lands. On the newly reclaimed tidal flat, four species of halophytic pioneer florae, Salicornia europaea, Suaeda glauca, Suaeda japonica, and Suaeda maritime occurred, and along with age facultative halophyte and glycophyte occurred sequently. On the reclaimed lands, the florae were more complex with various facultative halophyte and glycophyte, so these were predominated rather than pioneer halophyte, while one of pioneer halophyte that Suaeda japonica was not occurred. Increasing of various facultative halophyte and glycophyte, and decreasing of pioneer halophyte indicated that flora changed toward to increase of facultative halophyte and glycophyte by aged after reclamation. On the newly reclaimed tidal flat the ratio of flora species changed rapidly with the invasion of plant. This implied that the flora had begun to change in the early stage of reclamation. Facultative halophyte and glycophyte started to increase on the early stage of reclamation but relative density and frequency of pioneer halophyte was higher than facultative halophyte and glycophyte.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up to 3 years after reclamation, pioneer halophyte predominated on it. Although flora changed, there were common representative halophytes among the reclaimed tidal flats: Salicornia europaea, Suaeda maritima, and Suaeda glauca as pioneer halophyte, Aster tripolium, Sonchus brachyotus, and Phragmites communis as facultative halophytes.

      • KCI등재

        토양 소수성에 따른 미량원소의 흡착 및 이동

        최준용(Jun-Yong Choi),이상수(Sang Soo Lee),옥용식(Yong Sik Ok),천소을(Soul Chun),주영규(Young Kyoo Joo) 한국토양비료학회 2012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5 No.2

        소수성 토양이란 물방울이 떨어져도 자연스럽게 젖지 못하고 표면 위에 그대로 존재하는 토양을 말한다. 소수성 토양은 토양입자들 사이 혹은 토양입자와 그 중간물질의 사이에 소수성 유기물질이 침투하여 입자를 코팅하여 소수성을 띠게 되는 것이다. 토양이 소수성화가 되면 심한 침식과 침출, 농약의 급속한 침출, 식물이 이용할 수 있는 많은 양의 물과 영양분의 손실 그리고 농작물과 목초의 생산성 감소 등을 야기한다. 본 실험에서는 미량원소가 어떤 흡착과 이동 메커니즘을 갖는지를 배치 실험과 컬럼 실험을 통해 비교 평가하였다. 배치 실험에서는 Cu<SUP>2+</SUP>, Mn<SUP>2+</SUP>, Fe<SUP>2+</SUP>, Zn<SUP>2+</SUP> 및 Mo<SUP>5+</SUP>를 이용하여 일반 토양과 소수성 토양의 수착의 차이, 소수성 정도에 따른 차이, 각각의 미량원소 별 차이를 비교하였고, 컬럼 실험에서는 피흡착물질인 미량원소 Fe<SUP>2+</SUP> 및 Mo<SUP>5+</SUP>에 대한 탈착성능 비교와, 특정시간에 따른 공간적 농도 분포를 측정하였다. Fe<SUP>2+</SUP>와 Mo5+의 경우 비소수성 토양보다 소수성 토양에서 더 높은 흡착을 나타났다. Fe<SUP>2+</SUP>의 흡착성능은 소수성 토양별 40% 〉 15% 〉 0%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Mo5+의 경우 0%, 15% 및 40%의 소수성 토양에서 초기에는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소수성 토양에서 비소수성 토양보다 빠른 탈착속도를 보였다. Fe<SUP>2+</SUP>와 Mo5+의 파과곡선 분석결과 소수성 토양에서 더 빠른 이동속도를 나타내었다. Water repellency which affects infiltration, evaporation, erosion and other water transfer mechanisms through soil has been observed under several natural conditions. Water repellency is thought to be caused by hydrophobic organic compounds, which are present as coatings on soil particles or as an interstitial matter between soil particl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water repellent soil and transport characteristics of trace elements within this soil. Capillary height of the water repellent soil was measured. Batch and column studies were accompanied to identify sorption and transport mechanism of trace elements such as Cu<SUP>2+</SUP>, Mn<SUP>2+</SUP>, Fe<SUP>2+</SUP>, Zn<SUP>2+</SUP> and Mo<SUP>5+</SUP>. Difference of sorption capacity between common and repellent soils was observed depended on the degree of repellency. In the column study, the desorption of trace elements and the spatial concentration distribution as a function of time were evaluated. The capillary height was in the repellency order of 0% 〉 15% 〉 40% 〉 70% 〉 100%. No water was absorbed in soil indicating 〉70% repellency. Using trace elements, Fe<SUP>2+</SUP> and Mo<SUP>5+</SUP> showed higher sorption capacity in the repellent soil than in non-repellent soil. The sorption performance of Fe<SUP>2+</SUP> was found to be in the repellency order of 40% 〉 15% 〉 0%. Our results found that transfer of Mo5+ had similar sorption tendency in soils having 0%, 15% and 40% repellency at the beginning, however, the higher desorption capacity was observed as time passes in the repellent soil compared to in non-repellent soi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