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방진료에 대한 일부 치과병원 의료진의 인식 및 요구도 파악을 위한 질적 연구

        류재인,박현주,박향아 대한예방치과·구강보건학회 2022 大韓口腔保健學會誌 Vol.46 No.1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perceptions regarding preventive dental services among dental professionals. Method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ree groups of dental professionals―dentists, dental hygienists, and dental hygienists that specialized in preventive service―who were selected using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Results: First, there was limited awareness among dentists regarding the need for preventive care, because of the treatment-oriented philosophy and scarcity of preventive care success models. Second, dental hygienists commented that there was a lack of the person in charge and systematic process for preventive services. It would not help when they decided to change working place even though they had high anxiety working for preventive care. However, both these professionals agreed that preventive treatment is important as the core of care and that it was important to develop various improvement methods to promote preventive services. Conclusions: To activate preventive services in dental clinics, it is essential to improve the operating system and encourage dental professionals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preventive services.

      • 탈북 청소년 지원체계화 방안 연구

        좌동훈,이민영,지소연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6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이 연구는 탈북 청소년의 시혜적이고 수동적인 지원 대상으로 바라보던 관점에서 벗어나 탈북 청소년을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대상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이에 탈북 청소년의 역량과 각종 지원 제도를 알아보고 효과적인 지원체계를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 목적에 따라 첫째, 탈북 청소년의 특성 및 욕구 파악, 둘째, 탈북 청소년 대상 정부의 지원정책 현황 분석, 셋째, 아동·청소년 지원관련 해외 사례 고찰, 넷째, 탈북 청소년의 역량 파악을 위한 면접과 FGI 및 설문 분석, 다섯째, 탈북 청소년 지원정책 개선방안 도출 등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국내·외 선행연구 및 행정자료를 분석하고, 탈북 청소년의 욕구 파악을 위한 2차 자료 분석과 탈북 청소년 심층면접과 설문조사, 전문가 의견조사, 초점집단인터뷰(FGI), 전문가 자문, 정책연구실무협의회 등의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해외사례로서 독일은 통일과정에서 청소년 정책과 관련한 법률, 제도, 예산, 기관, 프로그램 등이 청소년 관련 전반에 걸쳐 체계를 정비하였다. 미국은 난민 청소년을 위해 대상자의 강점과 역량을 파악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제도를 갖추고 있다. 탈북 청소년의 면접과 설문 조사에서는 청소년 스스로 자신의 역량을 발전시키고자 하는 노력하는 모습을 보이며, 남‧북한 청소년 역량에 상반되거나 큰 차이를 보이기보다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탈북 청소년은 남한 사회의 편견과 차별적 시선 등으로 인해 자신의 가지고 있는 역량을 표현 또는 발전시키는데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탈북 청소년 관련 전문가와 실무자는 탈북 청소년에 대한 입국 초기 정확한 사정, 심리 지원 체계, 가족 지원 등의 강화와 정부와 민간기관의 협력,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인식 개선 등을 요구하고 있다. 이를 통해 탈북 청소년들에게 자신의 삶에 동기부여를 하고 다양한 역량을 키울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필요함을 언급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탈북청소년 지원체계화를 위하여 역량 개발을 위한 기반 조성, 역량 강화를 위한 제도개선, 역량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탈북 청소년에 대한 인식 개선을 위한 방안 마련을 위한 세부 추진과제를 제안하였다. This research approaches from a viewpoint to regard north korean defecting adolescents as not those to be given benefits and passive but active and independent. Hence Id like to investigate north korean defecting adolescents competency and all sorts of support scheme and come up with effective support system. According to purpose of this research, I looked into five things as follows; First, grasping north korean defecting adolescents characteristic and needs. Second, current state analysis of government policy. Third, consideration of foreign cases related to children and youth. Fourth, interview and survey analysis for understanding their competency. Fifth, producing improvement ways of support policy. For these, domestic and foreign preceding research and administration date were analyzed. And also method of study was utilized such as secondary date analysis, depths interview and survey, specialist opinion investigation, Focus Group Interview(FGI), experts advice, policy research working-level committee in order to comprehend their desire. Main research result is as follows; Germany generally arranged law, system, budget, institution, program concerning youth policy in the process of reunification. America has various system for understanding strength and competency of displaced adolescents and supporting this. Through interview and survey I found that theyve made efforts to develop their competency for themselves. Also, similar tendency was observed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n adolescents competency. However, they have difficulty in expressing or improving their own competency because of prejudice and discriminative awareness of south korea. North korean defecting adolescents experts and hands-on workers require 3 things. First, strengthening accurate assessment in the beginning of their entrance to South Korea, psychological support system, and family support. Second, cooperation between government and private sector. Finally, improving awareness for north korean refugees. I mentioned that it is necessary to motivate for them to live their lives and prepare their diverse competency development plan for north korean defecting adolescents. On the basis of this research result I suggested competency development foundation construction, system reform for empowerment, competency improvement program development, awareness improvement plan preparation for north korean defecting adolescents support systematization

      • 청소년지도자 양성시스템 재구축 방안Ⅰ - 청소년활동 분야 중심으로 -

        최창욱,좌동훈,남화성,박정배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9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청소년지도자 양성시스템에 대한 재구축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며, 총 2년간 진행된다. 이 연구는 그 중 1차 년도 연구로 청소년활동 분야 청소년지도자(청소년지도사) 양성시스템 재구축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고, 2차 년도인 2020년에는 청소년상담사 양성시스템 재구축 방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와 국내외 사례분석, 설문조사, 전문가 자문 등을 실시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청소년지도사의 자격급수 조정 검토와 대학 교과과목의 편성과 구분, 학점 통일 등에 대한 제구조화 논의, 현장실습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해외 사례에서는 유럽과 일본을 중심으로 국가․지방자치단체의 정책적 차원이나, 대학에서 청소년지도자를 양성하고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내용을 분석하였다. 현장 청소년지도사 대상 설문조사를 통하여 청소년지도 NCS의 타당성을 검토하였고, 청소년지도사에게 필요한 미래 핵심역량을 파악하였으며, 전문가 자문 등을 통하여 현 청소년지도사 자격검정제도의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이상을 토대로 청소년지도사 양성시스템 재구축을 위한 장․단기 정책방안을 제시하였다. 단기 정책방안으로 현재의 청소년지도사 자격검정제도 개편방안을 제시하였고, 장기 정책방안으로는 청소년지도사 양성시스템을 현재의 청소년지도사 자격검정 제도와 청소년지도사 양성기관인증의 Dual 시스템으로 재편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정책방안을 실현하기 위한 정책과제를 제시하였다. 정책과제는 ①청소년지도사 양성관련 법․제도 개선, ②청소년지도사 양성관련 인프라 정비, ③청소년지도자 양성관련 R&D 강화의 3영역 10개 세부정책과제로 이루어져있다. This study aims to propose measures to reconstruct Korea’s youth guide cultivation system and will proceed for two years. The first year of this study will be dedicated to proposing measures to reconstruct the cultivation system for the youth guides (youth instructors) in the youth activity sector. The second year of this study (2020) will be dedicated to proposing measures to reconstruct the cultivation system for youth counselors. In order to achieve the goals of this study, research of the relevant literature, analysis of domestic and overseas cases, collection of questionnaires, and consultation with expert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research of the literature in the field, discussions were carried out on ways to readjust the rating system for youth instructor qualification, to restructure and reorganize the relevant curricula at colleges, and to unify the credit system, while implications for on-site training were also found. Through overseas case studies centered on Europe and Japa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bodies’ policies and universities’ educational courses for cultivating youth instructors were analyzed. Through the questionnaires targeting youth instructors on the ground, the feasibility of youth instructi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was reviewed, the key capabilities required of a youth instructor were identified, and improvement ideas for the existing youth instructor qualifying examination system were deduced through consulting with experts. Based on these findings, short-to-long-term policy measures were offered for the reconstruction of the youth instructor cultivation system. Short-term measures to reform the existing youth instructor qualifying examination system were proposed, along with long-term measures to divide the youth instructor cultivation system into the dual system of youth instructor qualifying examination and youth instructor cultivating institution certification. Lastly, policy tasks to realize these policy measures were proposed. The policy tasks include 1) the improvement of laws and institutions concerning the cultivation of youth instructors, 2) the reformation of infrastructure concerning the cultivation of youth instructors, and 3) the reinforcement of R&D concerning youth instructors. Ten detailed policy tasks are specified under these three areas.

      • KCI등재

        미래 청소년지도자에게 요구되는 핵심역량에 관한 고찰

        최창욱,좌동훈,남화성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23 미래청소년학회지 Vol.2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key competencies required for future youth workers who will respond to the changing society together with young people, and who will support innovation and development in youth work. To achieve this, the study reviewed previous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related to the key competencies of youth workers. The study alos examined the youth worker’s perceptions of the future key competencies in youth activities and counseling fields. The literature review revealed differences in the roles, responsibilities, and competencies of youth workers in South Korea and abroad, due to different conceptual scopes of youth work and the extent to which youth workers are attributed roles and responsibilities in different contexts. Particularly, European cases present a specific framework for the competencies of youth workers,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adaptation-related skills in a rapidly changing socio-environment, in addition to professional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Youth workers in the youth activities and counseling fields prioritized different key competencies. In the youth activities field, youth workers prioritized problem prediction, problem-solving, and pursuit of happiness. In the youth counseling field, youth workers prioritized self-advocacy and problem-solving. These differences stem from the distinct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these fields. However, problem-solving is consistently highly prioritized in both domains, and the other remaining competencies also had relatively high importance in each field. This suggests that these competencies required for youth workers in the future are important for adapting to a rapidly changing society and taking a leading role in carrying out projects to nurture and support young people who will make the future. Starting with this study, we hope to generate various discussions concerning the role of future youth workers. And we hope that these discussions will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the youth work field and ultimately benefit the advancement of youth policy in Korea.

      • 청소년지도자 양성시스템 재구축방안 연구 Ⅱ : 청소년상담사를 중심으로

        최창욱,좌동훈,이종원,남화성,정지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0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는 청소년지도사, 청소년상담사 등 국가자격 청소년지도자 양성시스템을 점검하고 개선하기 위하여 2019년부터 2020년까지 2년에 걸쳐 「청소년지도자 양성시스템 재구축 방안 연구」를 수행하였다. 1차 년도에는 청소년활동분야 청소년지도사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고, 2차 년도인 2020년에는 청소년보호, 복지, 상담 분야 청소년지도자인 청소년상담사 양성시스템 재구축 방안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정부와 현장의 현안요구인 청소년상담사 보수기준표(안)를 개발하였다.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청소년상담사 역량강화를 위한 자격검정제도를 분석하였다. 문헌검토를 통하여 청소년상담사의 역량강화를 위해 청소년상담 관련학과 교육과정에 대한 실태와 현황을 분석하고, 국가자격인 청소년상담사 자격에 대한 검정제도를 검토하였다. 청소년상담사 자격증 부여 이후 연수 및 보수교육체계를 분석하여 청소년상담사의 역량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청소년상담사 직무와 핵심역량을 분석하였다. 실태조사를 통해 기존에 만들어진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청소년상담사 직무 내용을 점검하고, 실태조사를 통해 타당성을 검토하여 청소년상담사 직무모형(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청소년상담분야에서 미래에 요구되는 핵심 역량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청소년상담사 양성시스템 개선에 대한 요구와 보수기준표 작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파악하였다. 실제 현장에 근무하고 있는 청소년상담사와 청소년상담복지기관 대상 실태조사를 통해 청소년상담사 양성시스템 개선을 위한 자격검정제도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였다. 한편, 기관대상 조사에서는 청소년상담사 보수기준표 마련을 위하여 각 기관의 조직과 인원, 보수수준, 직급체계 등을 파악하였다. 이상의 연구과정을 통하여 청소년상담사 양성시스템 개선방안을 도출하고, 보수기준표를 개발하였다. 청소년상담사 양성 시스템 재구축을 위한 정책과제는 ① 청소년상담사 양성 관련 제도 개선, ② 청소년상담사 양성 관련 인프라 정비, ③ 청소년상담사 양성 관련 연구개발(R&D) 강화의 3가지 영역, 10개 세부과제를 제시하였다. 또한, 청소년상담사의 처우와 관련된 실태조사 및 타 유사직종과의 비교 등을 바탕으로 일반직공무원 임금체계를 기준으로 보수기준표 및 수당체계를 제시하였다.

      • 아동·청소년·가족 보호체계 개선방안 연구

        김지연,좌동훈,박세경,한미경,최수정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5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이 연구는 사회보장, 사회서비스, 평생사회안전망의 맥락에서 현행 아동·청소년·가족보호체계를 진단하고 정책개선을 위한 과제를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에 따른 주요 연구내용은 첫째, 아동·청소년․가족 보호체계 현황 및 여건 분석, 둘째, 공공복지 전달체계 현황 및 여건 분석, 셋째, 보호체계 관련 국내·외 사례 및 현황 고찰, 넷째, 아동·청소년․가족 보호체계 개선을 위한 정책과제 도출 등이다. 이를 위해 국내·외선행연구와 행정자료를 분석하고, 자치구 단위 아동·청소년·가족 보호업무 추진여건을 파악하기 위하여 2차 자료분석과 시·군·구 희망복지지원단 대상 실태조사, 전문가 의견조사(AHP), 포커스그룹인터뷰(FGI), 전문가자문, 정책연구실무협의회, 콜로키움 등의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각각의 보호체계가 분절적으로 구성·운영되어 있어 보호대상 아동·청소년․가족의 진입관문(gate-way)이 어디인지에 따라 지원내용과 서비스에 차별이 발생하고 있어 개선이 요구된다. 18세 미만 아동·청소년 가운데 보호지원이 필요한 아동은 10명 중 2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나 보호체계에 진입하더라도 보호조치를 담당하는 아동복지전담공무원의 배치기준이 부재하여 보호조치 시 전문성이 담보되지 않고, 아동복지시설 이외의 시설에서 대안돌봄 중인 아동·청소년은 보호조치를 위한 심의대상에서도 제외되는 등 누수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시·군·구 단위 아동·청소년·가족 보호·복지 통합게이트웨이를 단계적으로 구축하고, 현행 사회보장정보시스템의 이용범위 확대와 취약계층 발굴을 위한 공통사정도구 개발·활용, 사례관리 전담인력을 확충할 필요가 있다. 특히 자치구 단위의 통합사례관리업무를 포함한 공공, 민간의 다종 다양한 사회서비스를 조정하고 총괄하는 컨트롤타워 기능을 강화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보호사무와 관련하여 지방정부의 사업설계 자율권을 보장하고 기존 운영방식을 전면 개편하는 방안으로, 중앙정부 사회보장사업 중 아동·청소년·가족 보호사업목적과 기능을 고려하여 포괄보조(block grants)가 가능한 사업군을 도출하고 성과관리체계와 연동하여 시행가능성을 면밀하게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법률 개정, 아동·청소년·가족 보호기반 강화, 제도 및 서비스 개선을 위한 세부추진과제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and system of the protection of children, youths and families and to identify the tasks for policy and practice improvement in the context of Social Security, Social Service and Social Safety Net.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current project involves the following these components: 1. Analyzing the current state and condition of the system for the protection of children, youths and families; 2. Examining the present state and situation of the public welfare service delivery system; 3. Evaluat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atus and cases of protection system; 4. Identifying policy and practice tasks to improve the current system for protection of children, youths and families. A variety of methods including comprehensive review of literature and the government reports from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ources were utilized to address these four components. In addition, several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methods such as the administrative data, a survey with participants of Hope Welfare Support Teams,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Focus Group Interview (FGI), Expert Advice, Policy Researchers Conference and Colloquium were employed to better understand the current challenges and needs of the local government agencies. The research identified the several major challenges and areas of improvement to reform the protection system and to promote the well-being for children, youths and families. The first major finding is that based on the current structure, each protection system for children, youths and families is separated and operated independently. As a result, discrepancy exists in the level of support and services depending on where the children, youths and families“Gate-Way”are. This may be one of the most significant and urgent improvement areas in the current protection system to provide comprehensive and streamlined services. The second major finding is when children in need, enter the protection system, receiving adequate professional support is not guaranteed. This is a serious concern since it is estimated that two out of ten children under 18 years are subject to need for the protection support. The lack of professional support in the system can be attributed to the following two reasons. First, there is no systematic national standard for a Child Welfare Dedicated Public Official who is in charge of protection support. In addition, children and youths who receive the alternative care from the institution are not considered as a target for protection support under the current system. Therefore, to address the current challenge, each local government needs to work toward establishing the Integrated Gate-Way for children, youths and families. Also, expanding the range of current Social Security Information System, developing common assessment instrument to detect risk of harm to vulnerable children, youths and families, and increasing the number of case management professionals are critical to improve the protection system. Especially, a strategy to reinforce functions of Control Tower that operate and adjust various public and private social service including tasks for integrated case management is essential. The third finding is the necessity of making changes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For instance, it is important for the government to reorganize the existing operation method and to ensure autonomy for local government to have a business plan for the development of a protection system relevant to them. Also, based on the purpose and function of the protection system, certain programs and services within Central Government-Controlled Social Security Services can be identified as potential programs for Block Grants. Thus, in conjunction with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it is critical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creating Block Grants programs for local government to develop locally relevant social services. Bas

      • 청소년 분야 한국판 뉴딜 대응전략 연구

        최창욱,좌동훈,성은모,남화성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1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이 연구는 대한민국 대전환을 모색하기 위해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한국판 뉴딜에 대해 청소년 분야 대응전략을 찾아보고, 청소년분야 한국판 뉴딜 전략 추진기반 마련을 위해 수행되었다. 한국판 뉴딜 4가지 핵심 내용을 중심으로 청소년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전략을 마련하기 위해 문헌연구와 사례조사, 청소년지도자와 청소년 대상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전문가 델파이조사, 콜로키움, 전문가 자문회의, 정책연구실무협의회를 진행하였다. 한국판 뉴딜 관련 청소년정책 분야 대응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 정부의 청소년정책을 청소년정책 총괄·조정 분야, 청소년 참여증진 및 우대사업분야, 청소년활동 및 안전사업 분야, 청소년 복지사업 분야, 청소년 보호 사업 분야로 5영역으로 분류하여 검토하였다. 국내 사례를 통해서 기관별, 지자체별 대응상황과 청소년 분야에서의 일자리 창출 방안, 위기 예방 사업들을 연계하여 살펴보았다. 국외 사례에서는 미국과 영국의 뉴딜정책을 분석하고, 청소년 분야 적용사례 및 프로그램 등을 살펴보았다. 청소년지도자와 청소년을 대상으로 청소년 분야 한국판 뉴딜에 대한 인식, 관련성과 중요성, 선호직업 등을 알아보았으며, 전문가 델파이조사를 통해서는 대응전략의 우선순위를 정하고, 각 중점과제별 추진방향과 전략, 사례 등에 대한 의견을 수집, 정리하여 4개 분야 17개 대응전략을 도출하였다. 이상의 연구과정을 통하여 청소년분야 한국판 뉴딜 대응전략은 기존 청소년정책·사업의 구조와 틀을 넘어 청소년분야가 사회 발전과 혁신의 새로운 동력이자 사회적 인재 양성 및 가치 창출의 플랫폼으로서 전환하고 확장해 나갈 수 있는 과제들을 발굴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전제하에 세부추진전략을 도출하였다. 청소년분야 한국판 뉴딜 대응전략은 4개 분야 17개 대응전략 과제로 구성되어 있다. 디지털 뉴딜 5가지, 그린 뉴딜 4가지, 안전망 강화 5가지, 지역균형 뉴딜 3가지 대응전략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1) investigate strategies to respond to the Korean New Deal introduced by the Korean government to stimulate radical economic and social reformation, and 2) develop the groundwork to implement the Korean New Deal with a strategy focused on the youth. In order to design a strategy for the new initiative for youth by focusing on four key areas, this study performed a literature review, conducted case studies, and held a survey with youth leaders and teenagers. In addition, a Delphi survey, a colloquium, an advisory conference with experts, and working-level meetings on policy research were held. To investigate how the Korean New Deal for youth had been dealt with, the government’s youth policy was examined in five categories, including the general management and adjustment of youth policy, the promotion of youth participation and prioritized projects, youth activities and safety projects, youth welfare projects, and youth protection projects. To study the cases in Korea, the responses of each institution and local government, measures to create jobs for youth, and crisis prevention projects were examined. As for overseas cases, the New Deal programs of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were analyzed, and cases and programs for youth were explored. During the survey, youth leaders and teenagers’ perception, relevance and importance of the Korean New Deal for youth, and their preferred occupation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Delphi survey, the response strategies were prioritized, and 17 response strategies were derived in four areas by collecting and organizing opinions on the direction, strategies, and cases of each key task. Through the research process, a detailed strategy was developed under the premise that it is necessary to discover tasks to transform and expand the Korean New Deal for youth into a new engine of social development and innovation, going beyond the framework of the existing youth policy and projects to create a platform for nurturing talent and creating values for the society. The strategy to respond to the Korean New Deal for youth consists of 17 tasks in four areas. This study presented five Digital New Deal programs, four Green New Deal programs, five Reinforced Safety Net programs, and three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programs.

      • KCI등재

        면진격리 고무베어링 설계법을 이용한 구조물의 성능점 예측

        김창훈,좌동훈 한국지진공학회 2003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Vol.7 No.3

        면진격리 고무베어링의 설계법을 수정하여 구조물의 성능점 예측을 위한 간편한 해석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적용이 가능한 것은 구조물이 지진력의 작용으로 인하여 손상을 입게 되면 구조물의 항복 후 강성은 연화되고, 이로 말미암아 구조물의 동적 특성이 장주기화 하기 때문이다. 제안된 해석법이 기존의 방법에 비하여 우월한 것은 능력스펙트럼법이 요구하는대로 보유능력곡선과 요구량스펙트럼을 가속도-변위 좌표계로 치환하지 않고서도 비교적 정확한 성능점을 예측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제안된 방법의 타당성은 문헌에서 보이는 정확한 값과의 비교에 의하여 입증하였다. The seismic base isolation design approach has been reviewed and modified to fit the nonlinear static analysis procedure for determination of the performance point of structures in a simpler way, such an adaptation may be possible for the fact that a structural system under development of damage due to earthquake loading keeps softening to result in period shifting toward longer side. The superiority of the proposed method to the state-of-the-practice approach is that the reasonably accurate performance point can be obtained without constructing the so-called acceleration displacement response spectrum required in application of capacity spectrum method.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approach was verified by comparing the predicted values to the exact ones presented in the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