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자화상을 통한 내면의 연구 : 연구자의 작품을 중심으로

        조혜원 대진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711

        There must be a purpose for us to be born as there are numerous reasons for existence for every being. To find my life purpose, I chose self-portrait as a tool to find out and express who I am. Self-portraiture is an art genre that reflects and illustrates the times and at the same time, its an appropriate genre to examine how ones identity is expressed in a certain logical formation. A Self-portrait shows an artists true self upon which the artists every opinion is reflected since it develops along with the artists growth and influences the ideas and images of his work. The expressions of the inner self that I try to convey in my self-portraits are examined in this study. In addition, it studies the fundamental significance of self-portraits and how both the self and inner life have been illustrated in self-portraiture.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it analyzes and explores the background, progress, as well as the traits of expressive techniques and methods of my work. I produced self-portraits from 2006 to 2008 and I was the theme, as well as my subject matter, in my work. It started from identifying who I was and rather reflected my perspectives that both confirmed and revealed the true identity of my inner self rather than simply depicting the outer image of me. To recognize my inner self and to deliver characteristic, authentic self-portraits that portray self-consciousness, I wanted to create a formatively exquisite image by using new medium, photographs, repetition and other visually experiencing techniques. This study consists of three chapters. The first chapter reviews both the origin and history of self-portraits and has examples of works of classical meaning, including masterpieces of portraits and self-portraits and then examines the meaning of self-portraiture. It also estimates both the value and meaning of the self-portrait in contemporary art and compares selective artists works. Chapter 2 defines the concept of self in a theoretical aspect and interprets what kind of inner world other artists express through the form of self-portrait. To link it to my work, Chapter 3 elucidates how the inner world is portrayed in my work, based on the background and progress of work. It analyzes the distinctive nature of the medium in formation and expression techniques. It further demonstrates how I describe my inner side in self-portraits through examples and analysis. The purpose of my work is to find myself in the ceaselessly changing flow of society, invent my own language as I change accordingly with the times and to grow by communicating and sharing with others through the progress of my journey. I will continuously build and develop my own esthetic foundation with efforts to define my identity and to pursue an inquiry into inner world through an analysis of my work. 모든 것에는 존재의 이유가 있다. 우리의 삶 역시 마찬가지다. 연구자는 이러한 삶의 존재 이유를 찾고 알아가기 위한 방법으로 ‘자화상(自畵像)을 통한 내면의 연구’를 논문의 주제로 선택하였다. 자화상은 시대적 초상의 단면이며, 자아의 정체성이 어떠한 형식 원리를 가지고 표현되었는지 알아보기 위한 적절한 회화 장르이다. 또한 자화상은 화가가 성장함과 동시에 작품의 사상과 형상 자체에도 영향을 끼치며 발전하기 때문에 화가의 모든 의사가 반영된 화가 자신의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연구자의 자화상 작품을 중심으로 논의되었으며 연구자가 표현하고자 하는 자아의 내면 표출을 이해함에 큰 의의가 있다. 그리고 미술 표현에서 자화상이라는 장르의 근원적인 의미와 화가의 자아와 내면성이 그동안 미술에서 어떠한 양상으로 표현되었는가를 탐구한다. 이에 따라 연구자의 작품 형성 배경과 과정, 내외적인 표현의 특성과 방법을 분석하고 연구하였다. 연구자는 2006년부터 2008년 동안 일련의 자화상 작업을 해 왔으며 연구자 자신이 주제이자 소재였다. 본 연구에서 다루어질 연구자의 자화상 시리즈는 내가 누구인가에 대한 자아의 정체성 확인에서부터 시작되었으며 단순히 연구자의 외형만을 사실적으로 형상화하여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연구자의 내면 속 자아의 확인은 물론 정체성의 표출로 드러나는 연구자의 시각이 투영되었다. 그리고 연구자는 자아를 인식하고 자의식을 담은 자화상을 개성 있고 확실하게 표현하기위해 새로운 매체와 사진, 반복적인 행위와 시각적 체험의 표현방법을 사용하여 조형적으로 특색 있게 표현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전체 3개의 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 1장에서는 자화상의 기원과 역사에 대해 고찰하고 자화상과 초상화의 대가들의 작품을 예로 들어 고전적 의미의 자화상을 살펴본 후 자화상의 의미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현대미술에서 보여 지는 자화상들의 가치와 의의를 알아보고 몇몇 작가들을 예로 들어 그들의 작품을 비교 연구하였다. 제 2 장에서는 이론적 측면에서 자아의 개념을 알아보고 자아의 정체성에 대해 연구하며 자화상 형식을 통해 자신의 내면을 표현했던 작가들의 작품을 예로 들어 자화상을 통해 내면을 전달하려는 의미가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제 3장에서는 연구자의 작품 형성에 관한 배경과 더불어 이를 바탕으로 연구자의 작품에 있어서 내면 표현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연구하였다. 그리고 연구자의 작품형식의 매체적 특성과 표현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연구자의 작품을 제시하고 분석함으로써 연구자가 자화상 작업에서 어떻게 내면을 표현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자의 작업은 단순히 자화상이란 하나의 표현 방법으로 자신을 드러내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변화하는 사회의 흐름 속에서 자아를 찾고 시대와 함께 변화되어 가는 연구자만의 표현 언어를 만들어 가면서 자기를 알아가고, 그 과정을 작품으로 풀어 사람들과 소통하고 교감하며 성장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하여 연구자는 자아에 대한 정체성을 찾고 내면에 대한 진지한 고찰을 시도하여 작업을 더욱 연구하고 발전시켜 연구자만의 예술론을 확립하는데 밑거름을 다질 것이다.

      • 노인일자리 사업 참여자의 삶의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 - 근거이론 접근방법 -

        조혜원 경남과학기술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knowing and understanding of the changing process of the old people participating in senior job programs. This study was carried out based on Grounded Theory Method proposed by Strauss & Corbin(1998). One male and six females all of who were over 65 years old have joined in this project. Theoretically suitable for the Strauss & Corbin(1998)'s Grounded Theory Method based theoretical sampling was the criteria for selecting the subjects. Data needed for the study were collected from 2010 May to September through observation by depth interview. This researcher had chosen semi-structured interview with some question list made out in advance to conduct depth interview more naturally. And used recorder not to omit important contents of the interview, and then gathered the record 24 hours after the recording. Gathered record were put to transfer and then open coding to the analysis method of Strauss & Corbin(1998), and in axial coding stage, they were put to paradigm based categorical data analysis and process analysis. In selection coding, detected core category, wrote down story line, and drew out category-connection centering around core category and then classified patterns. Besides, put out contingency model as a complete and persuasive explanation for central phenomenon. 84 concepts from open coding, 34 sub categories and 11 categories were drawn out through this study. In axial coding, paradigm based category analysis put out 'We're old in age but young at heart' as the causal conditions of changing process of the old people joining in the old people's employment project. In central phenomenon, 'entering into a new world so called, employment for the old people' was brought up. The contextual conditions brought up such central phenomenon appeared to be 'various living experiences went through while young', 'difficulty in entering into the society' In central phenomenon, 'intervening conditions triggering interaction strategy' appeared to be the ideal view of the old', 'social support' Besides, 'the attitude toward work was drawn out for in reaction/ interaction strategy, and as its result, 'healthier life', 'detecting positive myself in me, 'self-help happiness, 'working youth were brought up. The changing process in the living of the senior job programs appeared to be 'stage of suffering pain', 'stage of looking for and being involved', 'stage of finding myself again'. The first stage of 'suffering pain' revealed various pains the old people are going through. Although there were differences in degree, most old people suffered from four pains(pain of sickness, pain of poverty, pain of loneliness and pain of inaction, and that went for the most of the senior job programs. In the second stage of 'looking into and being involved' the old people make efforts to get out of their pains through diverse courses, and one of their solution is to participate in the senior job programs. In third stage of 'finding myself again', their joining in the project was helpful for them to solve their problems and they were thankful to such help. The participation of the old people in the project enabled them to secure support system by family, peer & clan culture, public support and in local society realizing 'working youth[working silver]' through the joining in more stable senior job programs. The core category of the changing process in the living of the old joining in the project appeared to be 'in pain', found the job', 'found myself'. The result of the confirming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ntinually appearing categories focusing on the core category was the patterns of changing process in living of the old joining in the project which were' designing positive future', 'designing obscure future', 'complacent attitude ' patterns. The participants of 'designing positive future pattern' thought on the living until their joining in the project hard. They had lived the life much harder than that of other people, but experienced various life, and they thought the experiences as their firm basis in making their living. The participants of 'designing obscure future pattern' also remembered their living until the joining in the project difficult. They said the had loved harder life suffering from many twists and turns. But, they said that their current problems were much worse than the hard experiences in the past. They spoke out their still difficult life due to the suffering from personal sickness, financial difficulty, role loss & loneliness and depression all of which seemed to be very serious. They were managing to get along right now, but diverse problems before them were making them design their future for finding themselves obscure. Lastly, regarding the participants of 'complacent attitude pattern', they didn't think their experiences until the joining in the project very hard. They had lived smooth life without much of ups and downs, and still relatively living abundant life compared with the old people had lived hard life. Besides, their present problems were less serious setting them to settle for the present. Following are the suggestions of the implication for social welfare based on such results above. First, the senior job programs need to be taken as 'a process for the old to successfully find myself'. Programs(projects) for welfare have focused mostly on the youth or the people maladaptive to society relatively excluding the active(productive) project for the old till now. That' why the concern about the old in their productive, active adaptation to the society needs to be extended without fail. Second, most previous studies on the senior job programs or the changing process in the living of the participants were sort of leaning toward quantitative side. Accordingly, this researcher carried out qualitative study on the changing process in the living of the old joining in the project which enabled me to conduct deeper stu

      • 축제 유형화 및 활성화 전략

        조혜원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문화, 인류, 예술을 논할 때 빠질 수 없는 공통된 키워드는 축제이다. 축제는 종합 예술로써 인류의 역사와 함께 과거로부터 오늘날까지 끊임없이 발전하며 그 민족과 나라의 문화를 표출하고 있다. 한 지역의 축제는 오늘날 세계인을 한 곳으로 불러 모으는 수단으로 사용되기도 하며, 인터넷의 보급으로 인해 새로운 유형의 축제가 끊임없이 생겨나고 있다. 축제는 이제 한 국가와 민족의 문화, 예술의 표현에서 광고, 홍보를 통한 관광 자원으로 활용되며 국부 창출의 중요한 수단으로 작용하고 있다. 세계의 많은 국가와 도시들은 장소 마케팅의 수단으로 축제를 활용하고 있는 것이다. 오늘날 서울특별시 뿐 아니라 지방자치단체들은 지역 발전 정책의 일환으로 축제를 경쟁적으로 개최하고 있다. 그러나 지·단체만의 축제로 머무르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장소 마케팅이 추구하는 지역 활성화란 외부의 관광객과 자본의 유인을 목적으로 하는 경제적인 측면과 지역의 문화를 지키고 발전시키는 문화적인 측면, 그리고 지역민의 애향심과 주민 화합을 위한 공동체 의식 고양이라는 정치적 측면을 모두 달성하고자 하는 데 반해 그 지역이 갖는 특성, 그 축제의 성격 및 지자체의 역량 등을 고려하지 않은 마케팅의 부재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지역 축제의 활성화를 위해 국내외 축제들을 축제의 목적과 주제, 운영의 세 가지 요인을 근거로 다음과 같이 유형화하였다. 첫째, 전통·관광형은 그 지역의 전통을 계승하고, 지역의 역사적 사실이나 인물을 주제로 지역 활성화를 위한 관광 유치 목적으로 행하여지는 축제 유형으로 산 페르민 축제, 뷰놀 토마토 축제 등이 이에 속하며, 문화적 도시 축제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역사·목적형은 역사적 유물이나 유적을 활용하거나 지역의 스토리를 연계하여, 역사의식과 교육 등의 목적으로 개최되어지는 축제 유형으로 연천 전곡리 구석기 축제, 타이 포 용선 축제 등이 이에 속하며, 역사적 도시 축제라고 할 수 있다. 셋째, 생태·관광형은 지역의 자연환경과 생태·환경적 특성을 주제로 축제를 개최하여 관광을 목적으로 하는 축제의 유형으로 함평 나비·곤충 엑스포, 보령 머드 축제 등이 이에 속하며 생태·환경적 도시 축제라고 할 수 있다. 넷째, 문화·관광형은 지역의 특색 있는 문화소재를 매개로 하거나, 음악, 미술, 무용 등의 예술적 요소를 중심으로 다양한 볼거리와 체험을 위한 인위적인 문화공간을 제공함으로써 도시의 이미지 상승을 기대하여 개최되는 축제의 유형으로 리우 카니발, 에딘버러 페스티발 등이 이에 속하며, 종합 도시 축제라고 할 수 있다. 다섯째, 예술·산업형은 관광 이외의 문화 예술 산업을 목적으로 개최되는 축제 유형으로 베를린 영화제, 부천 국제 판타스틱 영화제 등이 이에 속하며, 마케팅화된 도시 축제라고 할 수 있다. 여섯째, 특수·문화형은 축제라는 형태를 빌어 축제 이외의 다른 목적을 전달하고자 열리는 축제 유형으로 뉴욕 게이 퍼레이드, 플래시 몹 등이 이에 속하며 목적을 위한 축제라고 할 수 있다. 일곱째, 경제·목적형은 특수한 일련의 산업(첨단 기술을 요하는)을 위해 개최되어지는 축제 유형을 의미한다. 자동차나 비행기, 싸이클과 같이 제품의 성능을 광고하여 그 제품의 판매가 목적이 되는 축제 유형으로 파리 에어쇼, 모나코 F1 등이 이에 속하며, 상업 마케팅용 축제를 말한다. 여덟째, 지역·산업형은 지역의 농림 축산업, 어업, 상업 등의 발전을 위해 관광객을 유인하는 축제 유형으로 금산 인삼 축제, 망통 레몬 축제 등이 이에 속하며, 특산물 도시 축제라고 할 수 있다. 도출된 축제 유형별로 축제의 도시 문화적 구성요소의 관점을 고려한 축제 평가지표를 기준으로 하여 국외 축제에 대한 성공 사례 조사를 통하여 축제를 분석하여 유형별 선정된 국내 사례를 swot분석한 후 이를 성공 사례 분석과 장소마케팅 이론을 도입하여 축제 유형별 차별화 전략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이 각 지역의 장소성을 고려한 차별화된 맞춤형 유형별 전략으로 지역 문화 축제로, 세계 속에 경쟁력 있는 축제로 활성화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Festival is a common keyword in discussions of culture, humanity, and art. A festival, as a composite art, has been developed for a long time with displaying cultural characteristics of a certain race or nation. A major role of local festival is an attraction of tourism and with a development of internet, this kind of local festival is wide spread and conducting many pla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systematic classification of various kinds of festival and make it help plan a distinguish strategy of marketing to promote local festival. As a methodology, deep analysis of domestic and overseas festivals which are performing regularly or eventually conducted and sorted formative elements and segmented by the criterion. As a whole, eight kinds of festival was classified by the criteria of subject, purpose and conducting authorities. However, when Korean local festivals refer to successful overseas case study, it can enhance the value of festival and much more competitive.

      • TiO₂ 함량에 따른 고대 제철 슬래그의 미세조직 특징 연구

        조혜원 공주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철재는 제철과정에서 발생하는 잔여물이며 고대 제철방법의 흔적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증거가 된다. 한반도의 중원지역은 한반도 제철 관련 유적 중 철재가 많이 발견되고 있고 고대부터 그 중요성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원지역과 그 일대를 중심으로 채집, 발굴되었던 철재 중 Ti이 포함된 제련재들을 분석하여 특징적인 미세조직이 있는지 확인하였으며, 특히 Ti 함량에 따라 달라지는 미세조직들을 전자현미경, 라만 마이크로분광분석을 이용하여 정확하게 판별하고자 하였다. 이는 철재의 성격을 규명하는데 이전의 연구보다 더욱 정확한 판별방법을 제공하고 고대 한반도 제철기술의 발달과정을 파악하는데 활용하고자 한다. 중원지역을 중심으로 출토된 철재 중 Ti 함량이 높은 13점을 선정하고, 또한 Ti 함량이 낮은 경주 사철을 이용한 제련실험을 통해 얻은 4점의 유출재 시료를 추가하여 비교분석하였다. 화합물 분석 결과 모든 철재 시료에서 주상인 Fayalite와 Wüstite만 확인되고 다른 화합물들은 동정되지 않았다. 주성분 분석 결과, No.1∼No.13 시료에서는 TiO2의 값이 1wt% 이상임을 확인하였고, No.14∼No.17는 TiO2의 값이 1wt% 이하로 나타나 두 그룹으로 나눌 수 있었다. 미세조직 분석 결과, 주성분 중 TiO2 1wt% 이상인 그룹에서 미세한 백색 조직들이 확인되었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Magnetite와 같은 물질들로 동정되었던 조직들이다. 또한 TiO2의 함량에 따라 10∼20wt%, 20∼30wt%, 30wt% 이상인 그룹으로 나눌 수 있으며, 함량이 증가할 때마다 조직들은 각이 진 형태로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 조직의 정확한 동정을 위해 라만 마이크로분광분석을 실시한 결과 이러한 미세결정들은 백색 화상 또는 다각형의 조직형태를 보이고 있으며, 표준 Raman shift와 비교하여 동정하였을 때 모두 Ulvöspinel 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기존에 연구되어온 제련재의 미세조직이 TiO2의 함량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TiO2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미세조직은 또렷하고 각진 모양을 보이고 있으며 이를 명확히 동정하고자 라만 마이크로분광분석을 실시한 결과, Ulvöspinel로 동정할 수 있었다. 즉 지금까지는 미세조직의 모양과 성분만을 가지고 조직을 구분하였으나 이 결과만으로는 정확하게 판별하기 어려운 미세조직이 많이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통하여 철재의 판별하기 어려운 미세조직을 정확하게 알아보는데 주사전자현미경과 라만 마이크로분광분석법을 함께 사용함으로서 어려운 미세조직을 판단하는데 유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라만 마이크로분광분석을 이용한 철재의 미세조직 판별 방법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면 고대 제철의 성격을 규명하는 데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Iron slag is the residual substance of the steel making process and it is an important evidence that the ancient steel making method can be traced. A decent amount of iron slag has been found in the relics related to iron making sites in Jungwon area in Korean peninsula, a very important region from the ancient times. This study analyzed the iron slags collected and excavated around the Jungwon area and its vicinity, especially the smelting slag containing Ti, investigated if any conspicuous microstructures exist, and by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EM-EDS) and Raman microspectroscopy, attempted to precisely identify these microstructures whose properties vary by Ti content. This study aims to provide more accurate method for identifying the properties of iron slag than previous studies, and to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evolution history of the steel making technology in ancient Korean Peninsula. Among the iron slags excavated from the Jungwon area, 13 iron slags with high Ti content were selected, and 4 smelting slags with low Ti content obtained from the smelting experiment using Gyeongju iron sand were added for comparison. As a result of the compound analysis, only the main materials of Fayalite and Wüstite were identified in all iron slag samples. The microstructure components to be identified in this study were not detected. Through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iO2 was found to be 1wt% or more in No.1 to No.13 samples, and 1wt% or less in No.14 to No.17 samples. The microstructure and chemical composition analyses observed the fine white structures exist in the group with TiO2 content of 1% or more. They were identified as the materials such as Magnetite in the previous researches, and they were divided into the groups of 10 to 20wt%, 20 to 30wt%, and 30wt% or more by TiO2 content, and it was confirmed that as the TiO2 content increases, the structures appeared to be angular shape. Raman microspectroscopy was performed for accurate identification of these structures. These microcrystals were shown as white flower structure or polygonal structures, and when comparatively identified with the standard Raman shift, they were all identified as Ulvöspine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the microstructures of the previously studied smelting slag by TiO2 content. As a result, the microstructures transformed into the sharp angular shapes as TiO2 content was increased, and by performing Raman microspectroscopy analysis for more accurate identification, it was identified as Ulvöspinel. Until today, the microstructures have been distinguished only by their shapes and the components; however, based on these results, many of the microstructures were difficult to distinguish accurately. This study shows that the use of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EDS) and Raman microspectroscopy is useful for determining microstructures of iron slags that are difficult to distinguish. Going forward, further researches on the identification methods of microstructures in iron slags using Raman microspectroscopy will significantly contribute to investigating the characteristics of ancient iron making.

      • 심리적 계약 위반과 조직원의 대응 : 공기업 입사 초기 구성원을 중심으로

        조혜원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공기업 입사 초기 구성원의 심리적 계약 내용을 규명하고, 심리적 계약위반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4개 공기업의 입사 2년 이내 구성원을 대상으로 158부의 유효설문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공기업 신입직원이 지각하는 심리적 계약의 내용은 5가지 개념(①보상과 기회 ②성장 ③직무 ④근무여건 ⑤복리후생)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심리적 계약 위반 지각은 ‘복리후생’에 대한 평균이 2.37로 가장 높고, ‘성장’에 대한 심리적 계약 위반 지각이 1.89로 가장 낮았다. 결과적으로 종합적인 심리적 계약위반 지각은 이직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형에 따라서는 ‘성장’과 ‘직무’만 이직의도에 직접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추가적으로 살펴 본 종속변수인 조직헌신은 심리적 계약 위반에 영향을 미치지 않거나, 유형에 따라서 상반된 결과를 보였다. 또한 이직의도는 경력여부와 직종에 따라서 유의하게 달라졌는데, 특히 청년인턴의 경우 심리적 계약 위반 인식이 가장 높고 반대로 이직의도는 가장 낮은 특이한 결과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신입직원의 이직의도 감소에 적합한 직무배치와 역할에 대한 인정 및 공정한 평가가 외재적 보상보다 효과적일 수 있으며, 특히 청년인턴 출신과 사무직 등 집단별 관리에 더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는 인력관리의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sychological contracts of the foundation members of public enterprise and the impacts of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s on turnover intention in career. To do thi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the members who joined 4 different public enterprises within 2 years. The data collected from 158 valid surveys were used in the analysis. The psychological contract perceived by newly hired employees is composed of 5 different concepts: ① compensation and opportunity, ② development, ③ job duties, ④ working environment and ⑤ welfare benefits. In the perceptions of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the mean of ‘welfare benefits’ was shown to be highest as 2.37, whereas the mean of ‘development’ was the lowest as 1.89. As a result, the overall perception of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shown to have a positive (+) impact on turnover intention. Only ‘development’ and ‘job duties’ among 5 concepts were shown to directly positively (+) effect the turnover intention. Furthermore,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CB) as a dependent variable was shown to negatively impact the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or present opposite results upon the concept. The turnover intention was shown to significantly depend on work experiences and type of occupation. Especially the highest perception of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as well as the lowest turnover intention were associated with the young internship, presenting unusual results. Above results drew some implications that - the appropriate employment placement, and recognition and fair evaluation for the job duty and role would be more effective in reducing the turnover intention of newly hired employees than physical compensation, especially the group of employment, such as young internship and administrative staffs needs to be managed more carefully.

      • 뉘벨퀴진(Nouvelle cuisine) 미각의 시각화 연구 : 태우기 기법을 활용한 섬유표현을 중심으로

        조혜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Food has force. Food gives vitality, surprises people, gives impact to people, excites people, gives joy and excitement to people. Food has power that makes people happy. In my life, joy of tasting food has much more meaning than just regular diet. From infancy till now, memory of experiencing new good taste, has been new image produced by coordination of gustatory sensation, visual sensation, and olfactory sensation, rather than just gustatory taste alone. In this paper, Ⅰ intended two things. First is to show possibility to visualize the joyfulness of tasting food, and second is to research a new method of textile expression utilizing fire, that is identical to making food or cooking. And I believe this method differentiates my works from other artistic works, those visualizing foods. In chapter Ⅱ, we will investigate how cuisine communicates with art by focusing on french cuisine, and various methods of expression to visualize gustatory sensation via works of artists who work on the subject of food. In chapter Ⅲ, we will compare fire in cooking with fire used on various art works. And we will figure out how original characters of foods, and fabrics gain new taste, new textures and new colors, by aid of fire and heat. 8 pieces of sequential art works are produced on the theme of table orders of french Nouvelle cuisine manners. Conclusion after these works, visualizing taste into textile expression ,utilizing scorch technique, are as follows. First, Production of art work by identifying works utilizing fire, with foods cooked by fire, presents a new method of visualizing gustatory sensation. Second, Composition of art works based on table orders of Nouvelle cuisine manner, give pleasure of appreciation to spectators. And this orders after table dining make them to imagine taste sensation via visual sensation, retrogradely. Third, Although my art works present a new method of visualization of gustatory sensation, amber tones produced by scorching cotton cloths have limitation in visualizing numerous gustatory sensations. It is a pity that I could not transmit variety of taste to spectators which france cuisine possess. This research presents new possibility of visualization of gustatory sensation via textile expression. Utilization of fire in textile expression, achieved general uniformity. But was insufficient in visualization of variable gustatory sensation. Through this research, I am conscious that further study on new and effective ways to visualize numerous gustatory sensations, which are subjectively percieved, is needed. 음식에는 힘이 있다. 음식은 생기를 주고, 사람을 깜짝 놀래 키며, 충격을 주고, 흥분시키기도 하고, 기쁘게 하고 또 감동을 준다. 음식에는 본 연구자를 그리고 다른 이들을 즐겁게 하는 힘이 있다. 본 연구자의 삶속에서 음식을 맛보는 즐거움은 단순히 먹는 것 이상의 힘으로 작용한다. 어린 시절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맛있는 것 새로운 맛을 접했을 때의 경험의 기억은 단순히 그 음식의 맛에 대한 기억이기 보다는 미각적, 시각적 즐거움 등이 총체적으로 작용한 하나의 미각을 넘어선 전혀 다른 맛을 기억하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자가 경험한 음식을 맛보는데서 오는 즐거움을 시각화 하는 것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고 기존의 작가들이 표현한 음식과는 차별화된 방법으로 즉 요리에 쓰이는 도구인 불을 활용한 섬유표현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프랑스 요리를 중심으로 요리와 예술이 어떻게 소통하는지를 알아보고 미각의 시각화에 대한 다양한 표현 방법을 음식을 주제로 한 작가들의 작품을 통해 알아보았다. Ⅲ장에서는 식재료에서 다양한 조리법으로 활용되는 불, 태우기 기법을 활용한 다양한 조형작업을 통해 원래 식품이 가지고 있는 재료의 특성이 불을 매개로 새로운 풍미와 새로운 질감과 색감으로 변모되었는지 살펴보았다. 미각을 불을 활용한 섬유표현으로 시각화한 총 8점의 작품은 프랑스 뉘벨 퀴진 양식의 식사순서를 테마로 하여 제작되었다. 이렇게 제작된 총 8점의 작품을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 미각의 시각화를 직접적인 식재료의 활용 또는 식재료를 사실적으로 재현 하지 않고 불의 활용을 통한 작품을 하나의 불을 활용하여 만든 하나의 요리로 동일시하여 만들어내는 과정은 미각을 시각화하는 새로운 표현 방법을 제시하였다. 둘째 , 프랑스 코스요리 순서를 테마로 한 전체 작품 구성은 관람자로 하여금 감상의 재미를 더하여 주었고 식사진행 흐름에 따라 시각화된 미각을 거꾸로 상상해보는 기회를 제시해주었다. 셋째 , 미각의 불의 활용을 통한 섬유표현으로 시각화에 대한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광목을 태워서 나오는 갈색계열은 다양한 미각을 시각화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는 본 연구자가 프랑스 요리에서 보여 지는 다양한 풍미를 관람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지 못한 아쉬운 결과를 낳았다. 본 연구는 섬유표현을 통해 미각을 시각화하는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섬유표현에 있어 기법적인 태우기의 의미를 넘어선 불의 사용은 광목이란 제한된 소재의 태우기를 통해 전체적인 통일성은 이루어졌으나 다양한 미각을 시각화하기엔 부족했다. 본 연구자는 본 연구를 통해서 사람마다 주관적으로 지각되는 수많은 미각을 보다 새롭고 효과적으로 시각화하는 표현을 후속연구에서 심화할 필요성을 느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