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경찰의 실종사건 대응실태와 개선방안: 112신고자료 분석과 경찰관 면담조사를 중심으로

        조준택 ( Cho Joon Tag ) 한국경찰학회 2019 한국경찰학회보 Vol.21 No.3

        실종가출 분야는 형사사법분야에서 소홀히 다루어진 분야로 그간 많은 문제점이 지적된 바 있다. 특히 실종가출업무에 대한 경찰의 대응 관련 상당수의 연구가 수행되었지만, 현장경찰의 대응실태와 문제점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본 연구는 112신고 자료에 대한 통계분석을 실시하는 한편 실종가출업무를 전담하는 경찰관들에 대한 면담을 통해 실증적인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실종과 가출신고를 경찰이 처리하여 발견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평균 3시간 정도로 분석되었으며, 신고 중 약 5%가 24시간 이내에 조기 발견되지 않아 추가 수사가 수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종아동등과 가출인을 구분한 결과 실종아동 등의 신고처리 소요시간이 더 짧았지만, 이러한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차별적인 대응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실종가출업무 전담경찰관에 대한 면담조사 결과 경찰관들은 실종아동관련 규정을 현실에 맞게 개정하고 수색과 관련한 세부규정을 신설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또한 실종과 가출을 구분하고 위험성이 높은 실종수사에 집중할 수 있도록 개선되어야 한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실종자 수색과 관련하여 경찰관들은 증가하는 치매질환자와 관련, 배회감지기 보급을 확대하고 휴대전화 위치추적 기술을 고도화하는 동시에 드론을 활용할 수 있는 경찰관을 증가시켜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한편, 지방자치단체에서 발견된 실종아동을 인수하도록 협업을 강화해야 하고 상습가출인의 부모에게는 상담의무를 부과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실종과 가출의 개념구분, 위험성을 세분화하여 평가하는 프로그램 개발, 실종관련 경찰인력 확대, 배회감지기 확대보급 및 위치추적 기술 고도화, 드론활용 경찰관 양성, 지방자치단체의 협력 강화, 상습가출인에 대한 상담의무 부과, 수색에 도움이 되는 각종 규정을 신설할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Despite considerable studies on the police handling of missing person reports, there has been a lack of empirical analysis on the actual condition and problems regarding police responses. To fill the void of literature, this study conducted empirical analysis on the 112 report data regarding missing people and interviewed police officers who are in charge of dealing with missing person cases. As a result, the average time required for the process of 112 reports was about 3 hours, approximately 5% of the reports were not resolved within 24 hours. Regarding difference between missing person and person who is absent, the time required for notification of missing person was shorter, but this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howing that differential police responses were not made by police officers. Meanwhile, police officers in charge of missing person cases suggested some revisions of the administrative regulations on the missing person in accordance with the reality including additional detailed articles on the search. Also, police officers recognized the need to distinguish between missing and runaway in order to focus on the missing person investigations. Regarding the search for missing person, police officers made suggestion including the spread of GPS detectors to dementia patients as well as the enhancement of location tracking technology and utility of drones to track missing people. In addition, police officers insisted that local governments should accept missing children without guardian and parents of habitual runaway adolescent should be given counseling duty. Implications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재범통계의 개선방안

        노성훈 ( Sung Hoon Roh ),조준택 ( Joon Tag Cho ) 대한범죄학회 2015 한국범죄학 Vol.9 No.1

        A growing interest in reoffending has demanded valid statistics on the matter. Reoffending statistics provide fundamental sources for measuring the magnitude of reoffending, analysing risk factors, and assessing the effectiveness of correctional programs. Despite the low confidence in reoffending statistics in Korea, few studies have scrutinized the problems and suggested solutions to them. The current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problems of Korean reoffending statistics through analyzing media reports, academic literatures, and official reoffending statistics generated by law enforcement agencies. We found that numerous errors occur in the interpretation of statistical figures because of an use of unclear terms and an interchangeable use of statistics that are produced by different criteria as well. Also clear explanations are omitted regarding the source and criteria of reoffending statistics. Finally, statistics by prospective measure are substantially less utilized that those by retrospective measure. As solutions to these problem, it is suggested that terms related to reoffending statistics be clarified, reoffending statistics measured in a prospective way, such as rearrest rate, be produced by the police, and an official reoffeding rate be generated covering the entire criminal process.

      • KCI등재

        WDQ분석을 통한 타겟하드닝 CPTED의 침입범죄 예방효과 검증

        박현호(Park Hyeon-ho),조준택(Cho Joon-Tag),김강일(Kim Kang-il) 한국경호경비학회 2018 시큐리티연구 Vol.- No.56

        범죄 문제가 심각한 우리 사회의 현실에서, 최근에는 범죄와 범죄두려움 문제를 실질적으로 줄이기 위하여 CPTED 등 각종 범죄의 사전 예방 전략을 도입하고 있으며, 소위 타겟 하드닝(Target Hardening) 또한 범죄예방, 특히 침입범죄의 방지 전략의 하나로서 활용되고 있다. 침입범죄와 같이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국민 특히 취약계층 서민들의 생활안전을 꾸준하고 집요하게 위협하는 위험도 높은 범죄 유형에 대응하기 위해 그간 우리 사회가 자원을 투자해 온 셉테드 전략은 CCTV나 조명, 경보장치 등 간접적이고 심리적인 억제를 중심으로 하고 있어서 직접적으로 방어하기에는 사실상 실효성에 많은 한계가 있다. 바로 이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타겟하드닝은 침입범죄와 같은 범죄를 보다 직접적이고 실효적으로 차단하고 방지하는 전략으로 잘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2016년에 전국 최초로 안산시에서 실험이 이루어졌고 이 연구는 실험지역을 선정하여 침입방어성능이 인증된 방범시설을 주요 침입구인 창문 등에 설치하는 타겟하드닝 전략을 수행한 후 침입범죄 감소효과를 경찰 공식 범죄통계를 활용하여 분석한 것이다. 소위 범죄전이효과도 살펴보기 위해 방범인증시설 설치지역과 주변 완충지역, 그리고 통제지역과의 범죄발생을 비교하는 WDQ(Weighted Displacement Quotient)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타겟하드닝 CPTED기법의 침입 범죄 경감의 효과는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제지역에서도 침입범죄가 다소 감소한 것은 사실이지만, 방범인증시설이 설치된 실험지역의 주택들은 침입 범죄가 설치 후에 크게 감소하였다. 완충지대로 범죄전이 효과는 보이지 않았으며 오히려 주변지역의 범죄 또한 감소하였다. Crime prevention strategies are introduced to reduce the loss caused by crimes, and Target hardening against domestic burglary attacks is broadly accepted as one of such physical security strategies. In terms of business and home security, target hardening is one of the suite of protective measures that are included in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CPTED). This can include ensuring all doors and windows are sourced and fitted in such a way that they can resist forcible and surreptitious from the attack of intruder. Target hardening with certified security doors, security windows and secure locks are revealed to be much more effective to deter burglary attacks than other security devices, such as CCTV, lightings and alarms which have largely psychological and indirect impact. A pilot program of target hardening utilizing certified security window and locks was carried out in Ansan city, South Korea in 2016. This study is based on the quasi-experimental design of this program for a residential area. The researchers tried to verify the crime displacement effect of the target hardening program and the diffusion effects of crime prevention benefits by analysing the crime statistics. The evaluation utilized WDQ(Weighted Displacement Quotient) technique to analyze whether the crime displacement occurred, compared the crime statistics of the experimental area with that of buffer zone and controlled areas. The result showed that the target hardening program was significantly effective in crime prevention. The number of burglary in the experimental site with target hardening intervention reduced by 100%, although the areas without the intervention showed reduction in the burglary. The crime displacement was not found at all, and the number of burlary at the buffer zone also reduced significantly

      • KCI등재

        112종합상황실 근무 경찰관의 스트레스 요인과 실무적 개선방안 연구

        최형우(Choi, Hyung Woo),조준택(Cho, Joon Tag) 한국공안행정학회 2020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9 No.4

        본 연구는 긴급전화인 112신고를 담당하는 112경찰관들의 스트레스를 측정하고경찰관들에게 스트레스를 많이 주는 원천을 탐색하는 한편, 이러한 스트레스가발생하는 원인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결과, 112경찰관들은 신고자의 욕설, 신고자의 위치파악의 어려움과 독촉재신, 시민들의 부정적인 인식과언론의 부정적인 보도, 너무 많은 112신고와 경찰과 관련 없는 신고들, 장비와 시스템의 불안정성 등 운영적 측면으로 인해 스트레스가 높았으며, 야간근무시 휴게시간 부족과 정량적인 실적관리로 인한 부담, 징계에 대한 우려와 조직차원의지원부족 등 일부 조직적 측면도 112경찰관들에게 스트레스를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개선방안으로는 경찰조직이 비교적단기에 조치할 수 있는 조직관리 측면에서 근무시간 감축과 휴식시간 증가를 위한 최소한의 인력 충원, 정량적 성과로부터 정성적 성과관리로의 개선, 112경찰관에 대한 비판대응 훈련 및 심리지원 프로그램 강화를 제안하였고, 중장기적인 시스템과 제도 차원의 개선방안으로 신고내용 및 위치추적의 정확성 제고를 위한CCTV영상전송 시스템, 드론을 통한 실시간 지휘체계, 정밀 위치추적시스템 등 차세대 112신고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이와 더불어 112신고제도가 긴급전화 본연의 취지대로 운영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112경찰관은 긴급신고 위주로 취급하고 비긴급신고에 대해서는 경찰관의 부담을 과감하게 줄일 수 있도록 내부적인시스템과 규정을 정비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안하고 연구의 한계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measured the stress of 112 police officers in charge of 112 emergency calls and explored the sources of stress to police officers, while analyzing the causes of these stresses and seeking improvement measures. As a result of the study, 112 police officers were under high stress due to operational aspects including abusive language of the reporter, difficulty in identifying the reporter s location, negative perceptions of citizens, negative reports from the media, too many 112 reports, eports not related to the police, and instability of equipment and systems. Some organizational aspects, such as lack of rest during the night shift, the burden from quantitative performance management, concerns about discipline, and lack of support at the organizational level, also put stress on 112 police officers. The improvement measures to reduce such stress were proposed in terms of organizational management that the police organization can take in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such as minimum manpower supplement to reduce working hours and increase rest time, improvement from quantitative performance management to qualitative performance management, and strengthening critical response training and psychological support programs for 112 police officers. Regarding a mid-term and long-term system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pla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next-generation 112 reporting system including CCTV video transmission system, real-time command system through drones, a precise location tracking system for improving accuracy of reporting details and location tracking. In addition, since the 112 reporting system is not operating according to the original purpose, 112 police officers need to deal with emergency calls, and internal systems and regulations need to be readjusted to drastically reduce the burden of police officers on non-emergency calls, and the limitations of the research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도시공원 범죄예방을 위한 CPTED 인증평가기준 정립에 관한 연구

        김강일(Kang Il Kim),조준택(Joon Tag Cho),박현호(Hyeon Ho Park) 한국셉테드학회 2018 한국셉테드학회지 Vol.9 No.1

        도시지역에서의 공원이란 시민들의 건강과 휴양 그리고 정서생활에 도움을 주고 녹지를 확보하여 환경에 도움을 주는 공간이다. 하지만 누구에게나 개방되어 있는 도시 공원의 특성상 공간의 안전을 위협하는 소수의 위협들은 다수의 이용자인 시민들에게 불편함을 주거나 위협을 초래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와 관련하여 각종 선행 연구들은 공원에서 범죄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시민들의 휴식공간이라는 공원의 제 기능을 다 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를 지적하고 있다. 특히 최근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사회적 약자를 대상으로 한 범죄에 대응하기 위한 도시공원의 설계 관리가 중요함을 일관되게 강조하고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CPTED의 기본이론을 토대로 도시공원의 범죄예방과 관련된 선행 연구를 분석하여 도시공원에 적합한 CPTED 요소를 추출하고 도시공원의 방범환경 인증평가 체크리스트를 개발하였다. 이러한 체크리스트를 바탕으로 크기별, 종류별 공원 5곳을 선정하여 실제 현장 조사를 실시하고 안전요소를 분석하여 최종 체크리스트를 도출하였다. 이 체크리스트의 최종평가분야는 관리운영, 감시, 접근통제, 영역성, 활동성 지원 CPTED요소를 기반으로 하고 이에 더하여 안내표지, 방범 및 안전시설, 가점항목으로 설정하였으며 각각의 세부평가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체크리스트의 평가기준은 모든 공원에 대한 범죄예방 인증평가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범용 체크리스트로 이러한 평가기준은 다양한 규모와 형태를 가진 공원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평가와 인정의 기본원칙에 의거하여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범죄위험을 예방하는데 있어 중요한 분야의 핵심 항목들에 대해서는 높게 배점하고 정성적인 평가에 의해 배점을 차등적으로 주도록 하였다. 또한 신규 공원뿐만 아니라 기존에 있던 공원들도 적극적 개선을 통해 인정을 받게 하고자 하는 취지로 만들어 전체적인 공원 안전개선을 위한 기반이 되도록 하였다. 본 체크리스트는 경찰청이 범죄예방진단팀(CPO)을 통해 시행 중인 도시공원의 범죄예방우수시설 인증사업에 활용하고 있다. Urban public parks are supposed to be the places for citizens’ rest, healing and public health. However, as public parks are usually open for 24 hours almost every day they are often exposed to criminal attacks within the realm of the space. The crime problem therefore threatens the public safety and security. Previous studies on public parks and crime safety continuously indicate that urban parks are vulnerable to crime and disorder and became the cause of fear of crime due to poor environmental design and planning in terms of CPTED. In this context the researchers have developed a checklist for accreditation/certification of urban public parks for crime prevention by analyzing the examples applying the CPTED principles in public parks and reflecting the field survey results in South Korea. In regard to the item and point, the crucial points for public parks rated highly and the grading was differentiated by qualitative evaluation. In addition, basic principles for certification of Secure/Safe Public Parks Awards were suggested, including operating a rating system to certify public parks so as to promote efforts for improvement, not awarding the certification to parks if any relevant regulations are violated, applying the evaluation items or points in accordance with the local context. The assessment checklist can be revised and us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regional circumstances and can contribute to the security and safety of public parks. The Police Crime Prevention Officers (CPO) are to utilize this checklist for the Secure Public Parks Certification Awards program in order to enhance the level of security for public parks in major cities in South Korea.

      • KCI등재

        주제발표 2 : 모든 위험 접근법(All-Hazard Approach)을 활용한 청소년 재난안전 교육방향

        강욱 ( Wook Kang ),조준택 ( Joon Tag Cho ) 한국청소년학회 2015 한국청소년학회 학술대회 Vol.2015 No.1

        세월호 사건을 계기로 국민안전처가 신설되고 청소년에 대한 안전교육이 강화되는 시점에서 본 연구는 미국의 재난안전 교육내용과 펜실베니아주 학교의 재난안전 계획 사례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청소년 재난안전 교육의 올바른 방향을 모색하였다. 분석결과 도출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재난안전 교육에 모든 위험 접근법을 기본적으로 적용하여 교육부의 표준지도안을 바탕으로 지역의 특수성을 고려한 체계적인 재난안전 교육이 필요하다. 둘째, 학생에 대한 교육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수단을 활용하고 실습 위주의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셋째, 재난 발생시 상황별 필수 행동요령에 대한 정리와 스마트폰 앱 등 매체를 활용한 보급이 필요하다. 재난안전 교육의 발전을 위해 학교 당국과 관련 부처, 연구기관, 전문가의 협업도 요구된다. The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was established after the Sewol Ferry tragedy occurred. In addition, the safety education for students has been reinforced. This study focuses on a new direction for youth safety educa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youth emergency preparedness education and school safety plan in the United States. Finding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ll-Hazard Approach should be applied to youth safety education and systematic education considering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he area in the standard teaching guide should be implemented. Second, various tools of education and practice-oriented training are necessary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Third, the contingency behavioral know-how in case of emergency should be arranged and disseminated through medium such as smart phone application. In addition, interagency collaboration including schools, ministries, research institutes is critical for the development of safety education.

      • KCI등재

        모든 위험 접근법(All-Hazard Approach)을 활용한 유소년 재난안전 교육에 관한 연구

        강욱 ( Kang Wook ),조준택 ( Cho Joon Tag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18 한국초등교육 Vol.29 No.2

        세월호 참사 및 최근 발생한 지진 등 재난이 학교현장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으며 이에 정부에서는 재난안전교육을 의무화하였다. 재난안전 교육의 효과성을 높이고 향후 개선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본 연구는 미국 연방재난관리청(FEMA)의 유소년 재난안전 교육 교재의 내용을 심층 분석하는 한편,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학교의 재난안전 대응정책 사례를 고찰하였다. 분석결과 도출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재난안전 교육과 관련하여 학생들이 쉽게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도록 교육내용을 다채롭게 구성하고 체험과 실습 교육을 중점적으로 실시해야 한다. 특히 초등학교 고학년으로 갈수록 재난발생시 스스로 판단하고 대응하는 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교육내용을 구성해야 한다. 또한 체계적인 실습 교육을 뒷받침하기 위한 핵심적인 교육콘텐츠 개발 및 보급, 안전교육체험시설 설치가 필요하다. 구체적으로 재난발생시 필수적으로 취해야할 대피나 행동요령을 초등학생들이 쉽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하고 안전교육체험관을 확대 설치해야 한다. 학교의 재난안전 대응정책과 관련하여 모든 위험 접근법을 벤치마킹하여 이를 적용한 정책이 수립되어야 한다. 미국의 사례와 같이 예상이 가능한 재난이나 사고에 대한 체계적인 위험평가를 통해 우선적으로 대응해야 할 재난과 사고에 대한 점검 및 대응이 필요하며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재난안전 교육의 우선순위도 조정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 학교당국과 소방방재청이나 기상청, 산림청 등 유관기관 및 지방자치단체, 관련 연구기관과의 적극적인 협업을 통해 학교안전 대응정책을 정교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교육부에서 제공하는 표준 지도안에 대해 모든 위험 접근법을 적용하고 지역의 실정을 고려하여 각 지역과 학교별로 재난안전 교육 지도안이 수정보완될 필요가 있다. After the Sewol Ferry tragedy occurred, the safety education for students has been reinforced. In order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disaster safety education and to search for future directions, this study conducted an in - depth analysis of the contents of the youth emergency preparedness teaching materials written by 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FEMA) and school safety plan in the United States. The implication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Regarding youth safety education, the contents of disaster safety education should be structured in various ways so that students can easily understand and apply them, and experience and practice-oriented training should be emphasized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disseminate the contingency behavioral know-how in case of emergency through medium such as smart phone application and to construct more safety education experience centers than before. In relation to school safety policy, All-Hazard Approach should be applied to youth safety education and policy considering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he area in the standard teaching guide should be implemented. The disasters and accidents that should be responded firstly are needed to check through the risk assessment. Also the priority of disaster safety education needs to be adjusted based on these assessment. In this regard, interagency collaboration including schools, ministries, research institutes and local governments is critical for the elaboration of the school safety response policy Finally, it is necessary to apply All-Hazard Approach to the disaster safety education instruction plan provid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o revise and supplement the teaching materials for each region in consideration of local circumsta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