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글룩의 오페라개혁에 관한 연구 : Orfeo ed Euridice를 중심으로

        조정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오늘날의 오페라(Opera)는 음악, 시(문학), 연극, 미술, 무용 등의 모든 요소가 구성되어져 그 화려함과 장엄함은 다른 어떤 음악 쟝르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종합예술이다. 오페라의 발전과정을 역사적으로 살펴볼 때 극적인요소과 음악적인요소들을 어떻게 결합시키느냐에 따라 오페라의 유형을 결정짓게 되었다. 이런 극과 음악의 요소들의 비중에따라 다양한 형태들이 발달되었는데 18세기에는 크게 두 가지 형태로 자리잡게 된다 그중 첫 번째로, 이탈리아를 중심으로 발전되어지며 신화적인 내용과 극보다는 음악의 중심이 가수의 아리아에 집중되어지는 형태인 오페라 세리아라 이다. 두 번째형태는 오페라세리아(opera seria)와는 달리 서민적이며 평범한 일상생활을 소재로 다룬 오페라로 이탈리아뿐아니라 영국 프랑스 독일등 각나라별로 특색있게 발전되어진 오페라부파(opera buffa)가 그것이다. 첫 번째로 언급된 유형의 오페라 세리아는 너무 기교적이며 과장되고 음악의 중심이 극이 아닌 오로지 가수의 아리아에만 집중된 오페라로 글룩(Christoph Willibald Gulk 1714-1787)은 대본가인 칼짜비지(Ranieri Calzabigi 1714-1795)와 안무가인 안졸리니(Gaspero Angiolini 1731-1803) 그리고 두랏초백작(Giacomo Durazzo)과 함께 음악이 가수의 기교적인 아리아중심이 아닌 극 중심의 변화를 추구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변화를 추구한 글룩의 오페라개혁에 대해 논해보고자 했다. 첫째로 먼저 글룩의 이전의 오페라의 발생과정과 특징들은 무엇인지 알아보았으며 둘째로 글룩의 생애와 작품들을 알아본후 셋째로 과연 글룩이 기존오페라의 어떤 형태와 내용들에 대해서 탈피하고자 하는지 몇가지 동기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극적인 요소와 음악적인 요소로 나누어 글룩의 첫 개혁작품인 <오르페오와 에우리디체(Orfeo de Euridice 1762>를 중심으로 변화내용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분석을 통해 나온 발견들은 글룩은 초기오페라 작품들은 오페라 세리아의 대본가인 메타스타시오(Pietro Metastasio 1698-1782) 대본에 의존해 작곡을 하였으나 글룩은 칼짜비지의 대본의 영향과 안졸리니와 함께 기존의 오페라세리아의 극이 무시되고 음악이 가수의 기교적인 아리아 중심이 아닌 모든 음악의 최우선은 극에 있으며 단순성을 추구하였다. 글룩의 단순성은 그의 첫 개혁작품인 <오르페오와 에우리디체>와 1767년 Alceste(알체스테)에서 표현되어진다. 글룩은 기존오페라에서 무시되어진 합창이나 오케스트라를 사용하고 발레 또한 첨가 하면서 음악의 모든 요소들을 새롭게 융합시키는데 이것은 더욱 장엄하고 오페라를 풍부하게 하였다.

      • 무용수의 '몸 주체성' 인식에 기반 한 작품분석 : 무용작품 「Walk」를 중심으로

        조정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무용작품 「Walk」를 ‘몸 주체성’ 인식에 기반을 두고 분석을 한 논문이다. 춤을 추는 무용수들이 무용예술의 주체로서 춤을 출 때 자신의 춤을 주체적 체험으로 체화하고 스스로 춤추는 몸에 대해 어떻게 인식할 것인가는 중요한 문제이다. 무용수들이 자신의 춤의 주체가 되어 몸을 섬세하게 느끼면서 동작을 할 경우에 몸의 주체성을 인식하게 된다는 것을 본 연구를 통해 탐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 ‘실기기반연구법(Practice Based Research)’과 ‘무용분석법’을 사용하였다. 문헌연구에서는 무용수의 ‘몸 주체성’ 인식에 대한 탐구를 위해서 몸에 대한 역사적인 인식과 담론을 문헌을 통해 살펴보았다. 실기기반연구에서는 먼저 선행연구로서 본 연구자의 솔로작품 「Body’s Monologue」를 몸적 기록(Somatic data)을 기반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군무작품「Walk」를 구상단계부터 연습, 공연하는 과정에서 생산한 연습노트와 몸적 기록을 기반으로 ‘몸 주체성’ 의 인식변화를 탐구하였다. 작품을 분석하는 단계에서는 애드쉐드(Janet Adshead-Lansdale)의 무용분석법을 토대로 분석방법을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솔로작품 「Body’s Monologue」는 본 연구자의 동작을 중심으로 음악이 작곡되고 무대 의상이 디자인 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작품에서 몸과 동작이 가장 중요했다. 몸이 주체적으로 움직이고 내 몸에 솔직했을 때 ‘몸 주체성’ 이라는 새로운 인식을 할 수 있었다. 이는 본 연구자의 개인의 체험이기 때문에 다른 무용수들의 ‘몸 주체성’ 인식에 대해 알아 볼 필요를 느끼고「Walk」를 구상하였다. 「Walk」의 전 과정에서 탐구해 본 결과, 수동적인 움직임을 할 때의 몸에 대한 인식과 자신의 몸을 느끼는 학습을 한 후 능동적으로 움직임을 할 때의 몸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시 말하면 군무 무용수 각자의 몸이 주체적으로 동작을 실행했을 때 몸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생겼으며 동작에 대한 자신감도 생겼다.「Walk」의 무용수들은 ‘몸 주체성’에 대한 인식의 정도와 몸을 느끼는 속도의 개인차는 있었지만 6명의 무용수 모두 작품에 참여하며 자신의 춤에 주인이 되는 주체성을 체험하였다. 이러한 체험은 무용수들에게 움직임에 대한 자신감을 갖게 하였고 창조적인 동작을 구사하는 발전도 이루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Body’s Monologue」에서 생성된 몸에 대한 새로운 인식의 체험이 「Walk」에서도 무용수들의 ‘몸 주체성’ 인식으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솔로작품「Body’s Monologue」에서 체험할 수 없었던 무용수들 간의 소통을 「Walk」에서는 체험할 수 있었는데, 무용수들의 소통은 작품에 대한 집중도를 높일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작품의 질이 향상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몸 주체성’ 인식에 대한 탐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때 춤을 추는 무용가들을 비롯한 예술가들이 자신의 몸을 적극적인 주체의 몸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몸 주체성’ 인식은 무용수가 동작에 대한 자신감을 가지게 되고 창조적인 동작을 구사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은 작품에서 큰 에너지로 발산되어 관객과의 소통지수도 높아질 수 있는 가능성을 기대해볼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를 통하여 춤추는 ‘몸 주체성’ 인식에 대한 중요성을 가지고 후세대를 위한 새로운 인식의 발판이 될 수 있는 보다 깊은 논의가 진행되기를 바란다. This dissertation analyzes my dance works, 「Walk」. It is crucial that dancers, as the main agent of dance art, embody their dancing as real experience and recognize dancing bodies. This research questions if dancers, when becoming the principal agents of their bodies and delicately feel their bodies, would experience bodily subjectivity differently from what they feel when they passively dance. The research’s methodology includes literature research, practice based research and dance analysis. In terms of literature research, I examined the historical recognition and discourse of body in order to understand dancers’ bodily subjectivity. Practice based research refers to a particular type of inquiry that interrogates the whole process of artistic creation from the conception to the performance. For this, I analyzed somatic data that wer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creating my solo work「Body’s Monologue」as the preliminary research. And then, I analyzed reflection notes and somatic data that wer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creating, practicing, and performing a group work 「Walk」in order to illuminate the changing recognition of bodily subjectivity. When it comes to dance analysis methodology, I adopted Janet Adshead-Lansdale’s dance analysis model. The research’s findings are as follows. Since both 「Body’s Monologue」 and 「Walk」 adopted bodily exploration early in the stage of practice, dancers could move their bodies with more integrity. 「Body’s Monologue」 is a work that centered around my bodily movement, so that the dancer’s body became the main agent that choreographed and performed. However, recognizing that my experience of bodily subjectivity in 「Body’s Monologue」 might merely be my own personal interpretation, I experimented it on other dancers’ bodies as I prepared for 「Walk」. Dancers in 「Walk」 showed individual differences in terms of their depth of recognizing bodily subjectivity as well as of the speed of experiencing their bodies. However, as they gradually experienced their own bodies, they became more confident and showed progress in performing creative movements. These analyses indicate that dancers as well as artists can recognize their bodies as active and subjective when an inquiry on bodily subjectivity builds on. The dance field in Korea has shown little interest in the significance and possibilities of bodily subjectivity. I hope this research would stimulate further inquiry on bodily subjectivity.

      • 백화점 문화센터 한식강좌 요구도 조사

        조정희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백화점 문화센터 내 이용 고객들의 평소 가정 내 한식 식생활 실태와 한식강습 인식에 대해 알아보고, 한식강습 요구도를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한식강습 관련 교육 및 요리강습개설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자는 모두 여성이고 대부분 기혼이었으며 전업주부나 직장인으로 조사 되었다. 가정에서 조리 시 국이나 찌개, 전골을 선호한다는 응답자가 가장 많았으며 밥, 국과 반찬으로 구성된 식사 형태를 주로 저녁 시간대에 가장 많이 조리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센터에서 요리를 배우기 전에는 책이나 인터넷의 레시피를 참고로 했다는 응답자가 가장 많았고, 특히 연령층이 낮을수록 책이나 인터넷을 연령층이 높을수록 친정이나 시댁의 요리법을 참고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외식횟수가 많은 여성일수록 책이나 인터넷 레시피와 시댁의 요리법을 근거로 요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문화센터에서의 요리강좌 수강목적은 가족을 위한 식사의 활용으로 강사의 요리 기술보다는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내용이 중요하다는 의견이 많이 나타났다. 또한, 문화센터 내에서 개설을 원하는 한식강습은 가족을 위한 일상식, 건강 지향적 한식, 모임을 위한 한식, 이야기가 접목된 재미있는 한식, 난이도 높은 한식 순으로 나타났다. 한식강습 프로그램 요구도에서 연령층이 높을수록 나와 가족의 식성보다는 가족의 건강을 위한 요리를 선호했고, 전통 장류를 이용한 음식과 난이도 높은 한식강좌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다. 난이도 높은 한식 강좌에서는 전반적으로 궁중 음식 대표메뉴 배우기 요구도가 높았으며, 페백/이바지 음식에 대한 요구도는 가장 낮게 나타났다. 월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한식코스 음식, 제대로 배우는 명절음식 강좌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 한식에 대해 보다 쉽게 알아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가정 내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간단하고 편리한 레시피와 메뉴개발을 바탕으로 한식 강좌 개설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korean eating habits of the usual department store customers using cultural academy of the at home and to know the awareness of the korean cooking classes. Also, this study is to identify what courses of the korean cooking class are required by customers to establish a course of Korean cooking enable high satisfaction and further to provide the basis for the direction in korean cooking training courses and development. Thus, the current department customers to participate in cooking classes at the Cultural Center were surveyed, the results based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wer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eds of the korean cooking classes by customers and recognition of Korean food. Most of those surveyed was the married women. The student's job on the morning classes was a housewife and the students in the course of the evening after 6 pm were the career women. When cooking at home, soup or stew, casserole dishes were more favored. Considering the taste of you and your family, the appropriate blend of meat and vegetable dishes, including soup was showed to the most common food at evening meal forms in this study. Prior to the Cultural Academy, most subjects were used to using cooking recipe books or the Internet to see lots of dishes, especially at the lower age group. the higher age group depended on their parent's recipe. The purpose to participate the cooking classes in cultural academy was shown to prepare the meal for the family, rather than the instructor's culinary skills and most subjects wanted to cook using the instructor's recipe in real life at home. Thus, the most favored class opened at cultural academy was the normal diet for a family such as soup or stew. At the higher age group the cooking class for their family's health, medicinal food, local dishes and Kimchi cultural experience was more favored. Also a high degree of difficulty in cooking class using the traditional korean soy sauce was more preferred. During the high degree of difficulty in Korean cooking classes, the needs of the Korean Royal Cuisine Main Dishes course is the highest and the needs of pyebaek food/wedding food is the lowest. The higher the level of monthly income, the higher needs of Korean course food and korea traditional festival food. General characteristics of education, marital status, occupation, monthly income, depending on the needs of the overall Korean cooking cours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is results, it is required to provide Korean Cooking class based on simple and convenient recipe that they want to learn how to cook in real life at home in order to give them a chance to know about the korean food easily.

      • Effect of POZ/BTB and AT-hook-containing zinc finger protein on cellular senescence : 혈관내피세포의 노화에서POZ/BTB and AT-hook-containing zinc finger protein의 역할

        조정희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Cellular senescence is a stress-response phenomenon where cells lose the ability to proliferate and induced by activation of oncogenes, tumor suppressor genes, and exposure to a sub-lethal dose of DNA damaging agents or oxidative stress. Previously, the levels of POZ/BTB and AT-hook-containing zinc finger protein 1 (PATZ1), a transcriptional repressor, were found to be down-regulated during cellular senescence. However, the role of PATZ1 in senescence of human umbilical vascular endothelial cells (HUVECs) remains unidentified. Overexpression of PATZ1 in old cells partially reversed senescent phenotypes, validated by change in cell morphology, an increase in cell proliferation and a decrease in senescence-associated β&#8211;galactosidase (SA-β-gal) activity. In contrast, knockdown of PATZ1 in young cells accelerated cellular senescence, confirmed by growth arrest, increases in p53 level and SA-β-gal activity, and the accumulation of phospho-H2AX foci. Cellular senescence induced by PATZ1 knockdown in young cells was rescued by knockdown of p53 levels, but not by p16 knockdown. PATZ1 knockdown increased ROS levels and treatment with N-acetyl cysteine inhibited cellular senescence in PATZ1-knockdown cells. Furthermore, PATZ1 knockdown repressed endothelial cell tube form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PATZ1 might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regulation of endothelial cell senescence through a p53-dependent pathway and might contribute to aging-associated vascular disease. 인간과 동물에서 정상세포들을 분리하여 시험관에서 배양하면, 일정한 횟수만큼 분열한 후, 성장이 멈추는데 이를 복제노화 (replicative senescence)라고 한다. 복제노화는 세포가 분열하면서 염색체의 말단인 텔로미어 부분이 짧아지면서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외 심한 산화스트레스, 암 유전자 및 암 억제 유전자의 활성 증가, 항암제와 같은 세포 독성 물질에 의해서도 세포노화가 유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세포노화 현상은 개체 및 조직 노화에 기여하며, 암을 억제하는 중요한 하나의 기전으로 인식되고 있다. 혈관내피세포와 관련된 유전자 기능 연구를 위하여 cDNA microarray 방법을 이용하여 새로운 노화 관련 유전자를 탐색한 결과, POZ/BTB and AT-hook-containing zinc finger protein 1(PATZ1) 유전자가 노화된 혈관내피세포에서 발현이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PATZ1이 혈관내피세포의 노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다. 늙은 혈관내피세포에서 PATZ1 발현을 증가시켰을 때 세포노화가 억제되었으며, 반대로 젊은 혈관내피세포에서 PATZ1의 발현을 감소시켰을 때 세포 노화가 촉진되었다. 아울러 p16, p53 발현 조절을 통하여 PATZ1에 의한 세포노화가 어떤 신호전달경로를 통해 일어나는 지 조사한 결과, p53의 발현을 감소시킨 세포에서는 PATZ1 발현감소에 의해 세포노화가 유도되지 않았지만, p16 발현을 감소시킨 세포에서는 세포의 노화가 관찰되었다. 따라서 PATZ1 발현감소에 의해 세포노화가 유도되는 것은 p53의존적 경로를 통하여 일어남을 확인하였다. PATZ1 발현 감소에 의해 세포내 활성산소가 증가하였으며, 항산화제 처리하였을 때 활성산소가 감소하면서 세포노화도 억제되었다. PATZ1 발현을 감소시키면 혈관내피세포의 튜브 형성도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PATZ1이 혈관내피세포 노화를 조절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노화 관련된 혈관질환의 병인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한다.

      • 대두식이가 당뇨병성 신경병증에 미치는 영향

        조정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박사

        RANK : 247631

        Neuropathy is a serious and disabling complication that contributes to increased morbidity and mortality in diabetic patients. There is progressive distal to proximal axonal atrophy that ultimately leads to Wallerian degeneratio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effect of soy bean on diabetic neuropathy using morphometry.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grouped into control, diabetic with red chow diet and diabetic with soy bean diet. The myelinated nerve fibers were counted and fiber size distributions were evaluated in each group at 4 and 8 weeks respectively. Diabetic neuropathy didn’t develop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Sprague-Dawley rats at four weeks. At 8 weeks, the myelinated nerve fiber in diabetic with soy bean diet was larger in number than diabetic to which did not be administered insulin. The number of myelinated nerve fiber was not different between diabetic group with insulin and without insulin. Mean myelinated nerve fiber size was smaller in diabetic with soy bean diet than diabetic with red chow diet and control. Histogram of fiber size distribution was shifted to left in diabetic with red chow and soy bean diet groups compared to control. Light and electron microscopic findings showed marked degeneration of nerve fibers in diabetic with red chow diet but preservation in diabetic with soy bean diet. The level of glucose and HbA1c was lower in diabetic with soy bean diet than red chow diet. Soy bean could be effective in the protection of neuropathy induced by diabetes mellitus. 당뇨병성 신경병증은 당뇨 환자에서 이환율과 사망률을 증가시키는 심각한 합병증으로 병리학적으로 신경섬유의 축삭 위축이 진행하여 결국 신경섬유의 소실이 일어난다. 이 연구는 형태계측기를 이용하여 대두가 당뇨병성 신경병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서 Sprague-Dawley 흰쥐를 정상 대조군, 당뇨군, 대두식이 당뇨군으로 나누어 각각 4주와 8주에 실험을 실시하였다. 각 군의 혈당 및 HbA1c를 측정하고 유수초 신경섬유의 수를 세고 신경섬유 크기에 따른 분포를 평가하였으며, 광학현미경 및 전자현미경 소견을 비교하였다. 대두식이 당뇨군의 혈당은 실험 4주에는 정상 대조군과 당뇨군 사이로 조절되었고 8주에는 인슐린을 투여하지 않은 당뇨군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하여 정상 대조군 수준으로 조절되었다. 유수초 신경섬유의 수는 4주에는 실험군 간에 차이가 없으나 8주에는 인슐린을 투여하지 않은 당뇨군은 정상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여 당뇨병성 신경병증에서의 축삭 소실을 나타내고 대두식이 당뇨군은 인슐린을 투여하지 않은 당뇨군에 비해 유수초 신경섬유의 수가 유의하게 많고 정상 대조군과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인슐린을 투여한 당뇨군과 투여하지 않은 당뇨군 간에 유수초 신경섬유의 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신경섬유의 크기에 따른 분포를 살펴보면 당뇨군과 대두식이 당뇨군은 정상 대조군에 비해 크기가 작은 섬유의 비율이 더 많았다. 전자현미경 소견상 인슐린을 투여하지 않은 당뇨군은 유수초 신경 및 무수초 신경의 변성이 뚜렷하나 대두식이 당뇨군과 인슐린을 투여한 당뇨군은 정상 대조군과 마찬가지로 이러한 변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대두식이가 당뇨병에서 혈당의 조절 및 당뇨병성 신경병증의 예방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 中·高等學校 敎科書에 나타난 障碍關聯 內容分析을 通한 障碍理解敎育

        조정희 全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importance of general students' attitude has been emphasized with the increasing interest in the integrated education for handicapped students and the confirmation of necessity of that. Textbooks are the core materials for implementing the fundamental ideals of curriculum and the contents in the schools have a great influence on teachers and students. So in the current educational policy, analyzing the handicap-related contents is important in improving more complete integrated education.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how much understanding about handicapped students has been reflected and to implant the right concept on handicapped students by analyzing 27 textbooks in the secondary school's 7th curriculum. The concret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ducation for understanding the handicapped students by the grade and course suggested in the textbooks of secondary school. Second,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handicapped types and terminology presented by the education for understanding the handicap in the textbooks of secondary school. Third,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iewpoints on the handicapped students presented in the secondary school's textbooks. Fourth,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handicap-related contents by patterns in the secondary school's textbooks. Fifth, this study is to check the learning patterns related to the education for handicapped students in the secondary school's textbooks. The conclusions drawn from results and discus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as to the contents and illustrations related to the handicap learners, they are included in the moral textbook among the textbooks of secondary school in the 7th curriculum most. Social studies and Korean language are followed. To conclude from the analysis, compared to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dealing with nation-designated textbooks, there are more various textbooks in the secondary school curriculum, therefore, the contents in the material are more limited. Second, as to the types of the handicapped treated in the textbooks, it was limited to the physical disturbance, speech disturbance, hearing disturbance, mental retardation, and vision disturbance, emotional disorder. It could not give the correct infoimation on handicapped types since it did not introduce the handicapped types such as learning disability, communication difficulties, etc. Third, the viewpoints on the handicapped students are limited to the sufferings, the ones for compassion and charity, and the image of them are stereotyped. We need to be careful not to give the impression that handicapped students are vulnerable and they want help from others. Fourth, from the consequences for understanding the handicapped-related types, social studies and ethics textbooks deal with teaching materials and augmentative tools and facilities. Handicap-related people are dealt with by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The level of handling human rights and handicap-experiencing activities are similar to that of the elementary school. Fifth, as to the learning types, the various learning models like the role playing, discussion learning, experience learning, experimental learning, and investigation learning, etc. were input to the education to understand the handicapped. It can form the incorrect view of the person with disabilities by emphasizing the experience learning for the handicap and highlighting the differences between a person with disability and a normal person. Therefore, it needs to guide patiently in order to understand a person with disabilities as a man of character rather than the sympathy and find the similarities between a person with disability and a person without disability through the detailed and concrete guidance. There are suggestions through the analysis of handicap-related education. First, Korea had the negative recognition of the handicapped compared with the advanced nations. Accordingly, as to the contents of education to understand the handicapped, we need more consistent support and more interest to connect the elementary education and the secondary education. Second, we need to eliminate the inappropriate terms and pictures from the textbooks and give the public guidelines to the press in dealing with handicap-related contents for more efficient handicap-related education. Third, this study was limited to analyze the three subjects in the secondary school. Although there are handicap-related activities in the secondary school like in the elementary school, there are no specific differences in the contents. We need to introduce various teaching methods so that we are not satisfied to know the inconveniences of handicap and we need to analyze and study the textbooks used in the extracurriculum activities.

      • 국제결혼 이주 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 충남지역 거주 이주여성을 중심으로

        조정희 호서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제결혼 이주 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 충남지역 거주 이주여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cculturation Stress among Internationally-married Female Immigrants 본 연구에서는 국제결혼 이주여성들이 주류사회에서 경험하는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형태 및 요인을 분석하여 이주여성들의 스트레스의 실태를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사회복지 관점에서 그들의 성공적인 이주생활과 주류사회에 안정된 적응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의 목적을 위하여 충청남도 천안시 및 아산시, 서산시, 연기군, 당진군, 예산군, 홍성군 등 일곱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이주여성 170명을 대상으로 하여 각 지역의 다문화센터에서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이주여성 및 기타 다문화기관의 이주여성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국제결혼 이주여성들의 문화적응스트레스에서는 향수병으로 인해 가장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으며, 다음은 문화충격과 기타(고립감 및 열등감) 순으로 나타났다. 다중회귀 분석에 의한 연구결과, 문화적응 전체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 특성의 하위 변인인 중 결혼생활 만족감이 가장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관찰되었으며, 다음으로는 학력, 우울감, 이중문화, 자녀수 등의 5개 변인으로 나타났다. 결혼만족감과 자녀수의 경우 전체 스트레스에 부(-)의 영향을 미치며, 이중문화, 학력, 우울감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볼 때, 이주여성들의 문화적응을 위해 이주여성들의 결혼생활의 만족감을 높일 수 있는 실질적인 가족관계 향상 프로그램 및 우울감을 감소시키기 위한 다양한 정서적지지, 또는 여가시간 활용 프로그램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학력이 높은 이주 여성들을 위한 문화 적응성 향상 프로그램 및 능력개발과 일자리 창출 지원 프로그램의 활성화가 요구된다. 나아가 한국 문화와 언어만을 수용하도록 고집하는 분위기에서 벗어나 이주 여성들이 한국과 본국의 문화와 언어를 적절히 수용하는 통합적인 사회적인 풍토조성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자녀를 갖지 않은 이주 여성들이 스트레스를 더 받는다는 연구 결과에 따라 자녀 출산에 따른 경제적 문화적 지원이 한층 더 필요하며 다문화자녀들이 글로벌 인재로 잘 성장하도록 이 사회에서 자기정체성을 찾고 바람직한 삶을 전개해 나가도록 전 생애적인 관심과 지원이 절실히 요구된다. Abstract This thesis has been conducted to examine the type and factors of acculturative stress that foreign immigrant women by marriage in Korea are experienced, and identify immigrant women's stress status objectively.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plans to supse o their successful immigration life and a stable adastation to mainstream society in terms of social welfare. For the purposes above, 170 immigrant women lived in Chungnam province including Cheonan, Asan, Seosan, Yeongi, Dangjin, Yesan and Hongseong and also participated in the Multi-cultural Center program and other multi-cultural agencies from each region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As a result, the most acculturative stress from immigrant women was the homesickness, followed by the culture shock and the other (isolation and inferiority complex).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most significantly affecting factor to acculturative stress was marriage satisfaction, followed by education, depression, dual culture and the number of children. The marriage satisfaction and the number of children showed the negative effect to acculturative stress, but the dual culture, education and depression showed the positive effec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practical program for improving family relationships to increase marriage satisfaction of immigrant women and the program for providing a variety of emotional support or making good use of leisure time to reduce depression.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activate the program for improving culture adaptation and the program for developing skills and supporting job creation for immigrant women with high educational background.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make social climate that helps the immigrant women accepting culture and language of Korea along with their home culture and language properly, escaping from an atmosphere insisting immigrant women to accept only Korean culture and language. Finally, according to a study that there are more stress to immigrant women who do not have children, further economic and cultural support due to child birth is needed, and attention and support to the whole life of multi-cultural children is desperately needed to find self-identity in the society and grow well as global talented pers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