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력조류해석을 위한 자바기반의 분할 알고리듬

        조인숙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박사

        RANK : 247631

        Today, the power systems have been complicated and large-scaled. In order to analyze such system promptly and maintain it efficiently, the application of computer to power system is introduced. But there are many additional problems, such as inaccurate solution, computing time delay, and immense memory size. This paper deals with ordering algorithm and block method in .large power system, and it's concern is sigmficant reduction in computing time and memory size. In this thesis a new block method is designed. It takes the good points of block method MD-MNP, a kind of optimal ordering algorithm, which improved vector method. Reducing in computing time and memory size by the block method is verified with IEEE-14 model system. It is possible to reduce because each teared area is analyzed independently and the concept of Internet distributed processing is adopted. The simulation program in this paper is implemented by java that is independent. of platform and pure object oriented language. So that the program don't be changed even if web server is changed and are reusable.

      • 영아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가 영아-교사 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인숙 가천대학교 행정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요약 영아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가 영아-교사 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가천대학교 행정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학 전공 조 인 숙 지 도 교 수 이 영 균 이 연구의 목적은 보육현장에서 영아반을 담당하고 있는 보육교사들의 이야기를 들어보고 영아를 담당하고 있는 영아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영아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기타관련요인들이 영아와 상호작용에 있어 일부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 이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연령은 36-40세, 31-35세, 41-45세, 46세 이상, 26-30세, 20-25세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결혼여부는 기혼이 과반수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학력은 83.5%가 2,3년제 대졸이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격증은 보육교사 1급 자격증을 과반수이상 보유, 보육교사 총 경력은 3년 이상-7년 미만이 가장 많고, 영아반 보육경력을 묻는 문항에서는 1년 이상-3년 미만(52.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근무시간은 8시간 이상-10시간미만(91%), 어린이집 규모는 80명 이상이 가장 많고, 월 수입은 150만원 이상-180만원 미만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차이분석으로 연령에 따른 보수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혼여부는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았으며, 최종학력에 따른 차이는 원장과의 관계, 직무, 보유자격증에 따른 차이는 보수, 보육교사 총 경력에 따른 차이는 보수, 영아반 보육경력에 따른 차이는 원장과의 관계, 근무시간에 따른 차이는 원장과의 관계, 동료와의 관계, 승진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어린이집 규모에 따른 차이는 근무환경, 원장과의 관계, 설립유형에 따른 차이는 근무환경, 원장과의 관계, 보수, 직무, 월수입에 따른 차이분석 결과는 근무환경, 원장과의 관계, 보수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영아-교사 간 상호작용 차이분석으로 연령, 결혼여부, 보유자격증, 보육교사 총 경력, 영아반 보육경력, 근무시간, 어린이집 규모에 따른 언어적 상호작용, 행동적 상호작용, 정서적 상호작용 등 모든 변수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았으며, 최종학력, 설립유형에 따른 차이는 언어적 상호작용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월수입에 따른 차이는 언어적 상호작용, 정서적 상호작용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다중회귀분석결과 ① 언어적 상호작용에 대한 직무스트레스 변수, 근무환경, 원장과의 관계, 동료와의 관계, 보수, 승진, 직무 중 직무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② 행동적 상호작용에 대한 직무스트레스 변수, 근무환경, 원장과의 관계, 동료와의 관계, 보수, 승진, 직무 중 직무 및 동료관계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③ 정서적 상호작용에 대한 직무스트레스 변수, 근무환경, 원장과의 관계, 동료와의 관계, 보수, 승진, 직무 중 직무 및 동료관계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직무스트레스와 영아-교사 간 상호작용에는 긴밀한 관계가 있다는 것이 확인되어 직무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서는 최소한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을 줄이려는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들의 임금을 비롯해 처우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하며 직무스트레스를 줄이려면 보육시설의 내부적 노력과 보육교사들의 지방자치단체와 중앙부처인 보건복지부의 정책차원 제도개선과 실질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 중학교 학생들이 지각하는 학급 담임 교사의 역할

        조인숙 군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was studied for two purposes. One was to direct students effectively so that they could get along well in school to more pleasant and desirable direction, by grasping middle school students' preference factors for homeroom teacher from the viewpoint of students according to sex, grade, region, school record and on the basis of the factors. The other was to search and establish the new model of homeroom teacher that the middle school students preferred, by offering the verifiable basic data of the efficient classroom management to the teachers living in this research area. In order to accomplish such research purpose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as below : First, what is the general tendencies of their homeroom teacher that middle school students expect and what difference is there according to sex, grade, region, school record? Second, what do middle school students expect to their homeroom teacher about the classroom management and what difference is there according to sex, grade, region, school record? Third, what do middle school students expect to their homeroom teacher about learning guidance and what difference is there according to sex, grade, region, school record? Fourth, what do middle school students expect to homeroom teacher about educational guidance and what difference is there according to sex, grade, region, school record?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93 middle school students randomly selected from 4 middle schools in Jeollabuk-do.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as questionnaire which included 25 items and had 4 domains of general characteristics, classroom management, learning guidance, and educational guidance about middle school students' preference for homeroom teacher.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as for general characteristics, middle school students preferred homeroom teacher who had good nature and produced good learning atmosphere and managed their classes democratically. And they preferred the passionate homeroom teacher who had marked individuality and regarded the right living attitude and all-round classmate relationship as more important than their home background and school records using both polite speech and impolite speech appropriately. Second, as for classroom management, middle school students preferred the active homeroom teacher who managed their classes through discussing with their students, tried to produce good learning atmosphere and care students' health, and offered recreation and tea and cookies party for the class harmony occasionally. And they were more fond of the teacher who conveyed the directions shortly in morning and closing meeting and had students install in their seats by the method such as drawing lots. Third, as for learning guidance, middle school students preferred the homeroom teacher who produced good learning atmosphere so that students could study and directed them with encouragement of the poor subjects in the autonomous learning time. And they were more fond of the homeroom teacher who directed students to accomplish the goals after they had the students set up the goals of the exam and advised them about the poor subjects after the exam. Fourth, as for educational guidance, middle school students preferred the homeroom teacher who counseled sincerely about the course after graduation and their aptitude, tried to solve their problems by conversation, and counseled through calling with their parents. And they were more fond of the homeroom teacher who helped them to behave autonomously in circle activity and leasure time and directed the course after graduation on the basis of their aptitude. On the basis of the above summary content, I think that homeroom teacher must understand their students with the human and generous mind, try to maintain the democratic and autonomous classroom atmosphere, and manage his or her classes by collecting students' opinions fully. And I think that homeroom teacher must spare no efforts to encourage and advise the students for learning and for the production of learning atmosphere in order to induce students' learning motive.

      • 장애인직업재활시설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복지 서비스'와 '생산성' 중심으로

        조인숙 한양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장애인직업재활시설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복지서비스(welfare)와 생산성(productivity) 중심으로- 본 연구는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의 활성화 방안을 위한 운영자 중심의 연구로써 우리나라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의 문제로 대두된 복지와 생산성 중심으로 접근하여 문제를 분석하고 제도적 개선안을 찾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별히, 장애인 복지의 수혜자인 장애인들의 진정한 ‘사회통합’과 ‘정상화’에 대한 사회적 목적을 함께 고민하고 다루기 위해선 직업재활시설의 활성화가 주는 의미와 중요성을 간과할 수 없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1차문헌과 2차문헌의 다양한 문헌연구를 통하여 객관성을 유지하고자 하였으며, 인터뷰를 통한 연구 분석에 있어서는 다양한 문헌들을 활용하여 현장의 문제점을 객관화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운영자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심층적으로 현장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반구조화된 질문을 통해 다양한 개선안들이 나올 수 있도록 진행하였다 질문지는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의 최근 가장 큰 이슈로 대두되고 있는 ‘복지와 생산성’을 초점화하여 직업재활시설 활성화 방안을 위한 내용으로 크게 3부분, 8항목으로 구성하였다. 분석에 있어서는 ‘주제 분석법’을 통해 면접 내용을 운영요인에 기인한 운영자들의 욕구와 제언을 문장 형태로 옮겨 정리하여 유형화였으며, 유형화 한 것을 다시 핵심 개념으로 묶어내는 ‘주제 분석법’을 활용하였다. 최대한 참여자들의 ‘운영 욕구’와 ‘운영 요인을 통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여 심층 있는 질문 내용으로 구조화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10명의 인터뷰 참여자를 서울, 경기 지역 운영자를 선정하여, 상이한 사업 내용과 재정, 인력의 문제를 직업재활시설의 주 운영요인이 되고 있는 ‘복지와 생산성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운영자들의 시설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복지서비스와 생산성에 관한 논의’를 위해 장애인 고용 관련법을 통해 생산성의 중요성을 보여주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복지 서비스가 제공됨을 인해 두 요인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시설 운영자들의 욕구를 바탕으로 현장의 욕구를 반영하였으며, 운영자들의 복지서비스와 생산성에 기인한 운영문제로는 복지 프로그램 진행의 어려움과 사업 수익 창출의 문제, 사업 전환 시 따르는 문제로 나타났다. 이에 따른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 결과로는 직업재활시설이 장애인복지시설임에도 불구하고 ‘생산성’이란 특수성을 통해 나타나고 있는 혼란을 정리하기 위해서 먼저 직업재활시설의 정체성 확립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전제 하에 중앙환원화의 검토, 유형개편이전으로의 환원, 직업재활시설의 사회적기업화 추진, 유보직무 적용 범위 확장, 우선 구매특별법 확대 및 집행력 강화, 보호고용의 정부 책임성과 구속력, 복지기능의 정책적 강화, 지역재활복지 향상, 정부관계자들의 시설에 대한 인식 변화와 정책 변화, 복지부관리하의 전달체계의 협력 체제 구축의 제도적 개선안이 나왔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선진 외국의 직업재활시설 운영에 관한 장점을 도입하고 정부의 책임성 있는 제도적 관여로 구체적 실행 방안이 이루어지므로 직업재활시설이 활성화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이로 장애인들의 직업재활을 위한 정부의 관심과 시설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개선은 장애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한 방편이 되는 것이기에 정부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본다. 주제어: 직업재활시설, 복지와 생산성, 중앙환원, 사회적기업화

      •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이 유아교사의 친사회적 행동지도에 미치는 영향

        조인숙 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s of ecological approach program on early childhood teachers' guidance of children's behaviors and to show the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ttitude on young children's development of prosocial behaviors. Based on this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set: First, Is there any difference in physical environment between teachers in ecological program and in other programs? Second, Is there any difference in positive intervention between teachers in ecological program and in other programs? Third, Is there any difference in impovement in self-esteem of children between teachers in ecological program and in other programs? Fourth, Is there any difference in positiv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in ecological program and in other programs? Fifth, Is there any difference in improvement in family participation of children between teachers in ecological program and in other program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225 early childhood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Lee and Kang's (2001) translation of Beaty's (1999) 'Early Childhood Teachers' prosocial Behavior Guidance Checklist' and were Hart's (1990) Educational Faith and Kang's(2000) Practical Assessment Checklist used to measure early childhood teachers' guidance in prosocial behaviors. after reconstruction by adding items related to society-friendly behavior guidance in.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t-test, and 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 This results were as followed. First, Teachers in ecological program showed the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with teachers in other programs in four sub-categories of Prosocial Instruction Scale. teachers who provided an ecological program gielded highen scale than those who provided other programs in providing physical environment, positive intervention to assist young children to control their own behaviors, interventren portunities to improve self-esteem of children , and positive interaction between children and teachers. Second, two group teacher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couraging fanily participation.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 were made as followed. First, the ecological program is effective in early childhood teachers' guidance in prosocial behaviors in many ways, so it is necessary to encourage teachers to get access to an ecological program for efficient ecological behavior instruction.. Second, teachers should consider how to increase opportunities for family members to participate in prosocial behavior instruction of children in every aspects. 본 연구는 자연친화적 프로그램이 유아교사의 친사회적 행동지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유아의 바람직한 친사회성 발달을 위한 유아교사의 역할과 자연친화적 프로그램의 중요성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시행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에 의거하여 다음의 연구문제가 설정되었다. 첫째, 교사가 실시하는 교육프로그램에 따라 물리적 환경 제공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둘째, 교사가 실시하는 교육프로그램에 따라 긍정적 개입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셋째, 교사가 실시하는 교육프로그램에 따라 유아의 자아 존중감 증진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넷째, 교사가 실시하는 교육프로그램에 따라 긍정적 상호작용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다섯째, 교사가 실시하는 교육프로그램에 따라 유아의 가족 참여촉진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서울·경기 소재의 유치원교사 225명을 대상으로 설문이 시행하였다. 유아교사의 친사회적행동지도를 측정하기 위해 Hart(1990)의 교육신념 및 실제평가 체크리스트(강숙현, 2000) 친사회적 행동지도부분과 관련된 사항과 Beaty(1999)의 유아교사 친사회적 행동지도 체크리스트를 이기숙과 강숙현(2001)이 번역 한 것을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Pearson의 적률 상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가 제시되었다. 첫째, 프로그램에 따른 유아교사의 친사회적 행동지도의 하위요인 5가지 중 유아교사의 물리적 환경 제공, 유아 스스로 행동을 조절하도록 돕는 긍정적 개입, 유아의 자아 존중감을 증진시키는 상호작용, 유아와 성인간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촉진에서는 생태유아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교사가 기타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교사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지도 과정에 유아의 가족 참여시키는 면에서는 차이가 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이 이루어졌다. 첫째, 자연친화적인 프로그램이 유아교사의 친사회적 행동지도에 다양한 측면에 효과적이므로 교사들에게 자연친화적 프로그램을 접하게 함으로써 친사회적 행동지도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해야 한다. 둘째, 교사들이 아동에 대한 긍정적인 강화를 증진하며, 가족참여의 기회를 확대하도록 하는 방안이 자연친화적 프로그램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 초등학교 교사의 관리자에 대한 진정성 체험분석

        조인숙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학교 운영의 핵심 주체인 관리자(학교장, 교감)에 대하여 초등학교 교사들이 어떤 상황에서 진정성을 체험하고, 어떻게 처리하는지 정서처리 과정을 분석해 봄으로써 학교 운영 주체 간의 소통을 돕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체험분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27년 경력의 현직 교원이 연구자이며, 초등 교사 33명(남 10, 여 23)이 공동연구자로 참여하여 6회기에 걸쳐 112개의 진정성 체험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문제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관리자에 대하여 초등 교사들이 진정성을 체험할 때 ~. 첫째, 어떤 심리적 요인이 작용하는가? 공통적으로 체험하는 심리적 요인으로는 ‘감동, 따뜻함, 반성, 인정, 자신감, 존경, 편안함, 행복’ 등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공통요인은 상황발생 단계에서 관리자가 먼저 다가오는 경우나, 관리자와 직면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여 어쩔 수 없이 관리자와 직면했을 경우 동일한 정서체험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진정성을 체험하기 전에 교사들이 갖는 관리자에 대한 인식도 영향을 주지만, 진정성이란 것이 리더의 진정성 그 자체로서 중요 효과를 가진다는 선행연구를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들의 전인적 성장을 위해 교원 모두가 교육공동체라는 의식으로 교육을 추진해야 하는 학교에서 그 어느 조직보다도 진정성체험과 같은 소통 및 친근한 관계 맺음의 학교문화가 절실함을 시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발견된 8개의 정서를 박성희(2014)의 진정성을 구성하는 용어들과 연계지어 분석한 결과, 서로 일대일 대응되어 명확하게 구분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호 관련성이 높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고, 진정성을 구성하는 용어들이 모두 포함되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진정성체험이 인간관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하는 중요 요소로 작용함을 발견할 수 있었는데 이는 박성희(2014)의 만남의 차원 중 ‘생성적인 만남’으로 해석되며, 이는 관리자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진정성체험이 보다 높은 차원의 만남으로 변화되어 가는데 긍정적으로 작용되고 있음을 보여준다는 것도 중요한 의의라 생각한다. 둘째, 어떤 심리적 처리 과정이 존재하는가? 진정성처리 과정을 모형으로 제시하였는데 초등 교사들이 관리자에 대한 진정성체험에서 겪는 심리적 처리과정으로는 3단계에 걸쳐 3번의 정서를 처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초등학교 교사들이 관리자에 대하여 언제, 어떻게 진정성을 체험하며, 그 진정성이 어떻게 처리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관리자와 교사간의 긍정적이고 창조적인 관계 형성을 돕기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진정성을 체험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 및 관계는 무엇인가? 진정성체험 모형은 진정성 체험을 위한 필요충분조건 및 그 관계를 동시에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진정성을 체험하기 위해서는 ‘감동, 따뜻함, 반성, 인정, 자신감, 존경, 편안함, 행복’의 정서적 요인을 체험할 수 있는 경험이 있어야 하며, 이러한 진정성체험을 위해서는 상황발생, 진정성체험, 진정성처리라는 3단계의 정서적 처리과정이 충족되어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넷째, 관리자의 어떠한 리더십이 진정성을 체험하도록 돕는가? 진정성체험을 돕는 관리자들은 진정성을 갖고 교사들을 만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대한 구체적 내용으로는 하나, 관리자와 교사 간에 편안한 신뢰관계가 형성되고 지속적인 만남이 이루어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둘, 관리자가 정서적으로 취약했던 교사의 마음을 스스로 열게 했다는 것이다. 관리자와 만남에서 감동, 따뜻함, 반성, 인정, 자신감, 존경, 편안함, 행복 등의 정서를 체험하면서 긍정적으로 변화해 가는 정서처리를 보여준 것은 관리자로부터 긍정적이고 무조건적인 수용과 공감을 받으면서 변화되었음을 반증하는 것이라 해석된다. 셋, 교사들이 학교 교육의 목표를 향해 스스로 노력하게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교사들의 진정성 처리 과정에서 자신, 관리자, 학생, 동료 및 학교에 대하여 보여준 긍정적인 정서 표출 및 확산의 모습은 이를 충분히 반영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넷, 진정성을 체험하게 한 관리자는 지속적으로 자기 개발을 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부하들에게 영향을 행사하기 위해서는 리더의 진정성이 중요한 요소라는 선행연구들과 맥을 같이하면서 ‘진정성 리더십’을 갖춘 관리자의 특성을 이론 검증이 아닌 교육의 현장인 학교에서 실제적으로 검증한 것이라는데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연구를 마치며, 향후 이 연구를 기반으로 진정성을 체험한 체험자와 진정성을 체험하게 한 관리자를 공동연구자로 하여 진정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는 진정성 리더십에 대한 역동적이고 통합된 연구가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시설장의 운영 경험 연구 : 인증 사회적기업 중심으로

        조인숙 백석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본 연구의 배경은 장애인직업재활시설에서 인증 사회적기업을 운영하는 시설장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인증 사회적기업이 직업재활시설에서 의미하는 바를 통해, 향후 직업재활시설의 성장 방향성을 이끌어내기 위한 제도적 방안을 찾고자 함에 있다. 본 연구자가 이 논제를 가지고 연구하던 중 정부는 2018년 3월에 심의 확정된 ‘제5차 장애인정책종합계획(2018-2022)’에서 직업재활시설을 ‘기업형 모델’로 이끌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시기와 같이 하여 제시된 정책 방향성은 직업재활시설에서 사회적기업 운영 경험이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라는 본 연구 논제에 확신을 더해주었다. 연구 목적은 첫째, 인증 사회적기업으로 성장한 직업재활시설의 역동성에 주목하여 운영 경험 연구를 통해 직업재활시설에서 사회적기업 인증이 갖는 의미를 찾아 시사점 제시와 둘째, 인증 사회적기업 직업재활시설 운영자들의 다양한 경험에 의한 시설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실천적, 정책적 논의의 확장을 위함이며 마지막으로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운영 경험에 관한 연구를 통해 시설장들의 운영 경험을 분석하여 유형을 도출하고 현장 경험을 모형화하여 직업재활시설 운영 실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문제로는 운영경험을 통해 본 운영자의 시설에 대한 인식과 역할은 무엇인가? 직업재활시설에서 시회적기업 인증이 의미하는 것은 무엇인가? 인증 사회적기업 이전과 이후의 직업재활시설 운영경험은 어떠하며 직업재활시설 운영의 문제점과 개선안은 무엇인가이다. 본 연구자의 참여자는 12명의 직업재활시설에서 인증 사회적기업을 운영하고 있는 시설장으로서 서울(9), 경기(1), 인천(1), 광주(1)에서 추천으로 선정되었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8년 1월부터 3월까지 하였다. 자료는 일대일 심층면접으로 하였으며, 면접 내용은 Strauss와 Corbin(1998)의 근거이론 연구방법에 따라 분석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개방코딩결과 146개의 개념이 도출되어 38개의 하위범주와 15개의 범주로 코딩화 되었다. 개방코딩 과정에서 구성한 15개의 범주들은 Strauss와 Corbin(1998)이 제시한 패러다임 모형에 따라 재배열하여 드러난 현상은 ‘인증 사회적기업 참여’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에 영향을 미친 인과적 조건은 ‘운영자의 문제인식’이며 현상의 맥락적 조건들로는 ‘경영의 압박감’, ‘시설 정체성의 혼란’으로, 중재적 조건들은 ‘운영자 마인드’, ‘정부의 사회적 욕구’, ‘지역사회 복지 환경’이며 이들의 상호작용 전략들로는 ‘일반시장관리’, ‘조직관리’, ‘마케팅강화’, ‘서비스관리’, ‘지역사회관리’, ‘관계성 풀기’로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결과는 ‘기업형 모델 제시’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패러다임 모형을 통해 핵심범주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핵심 범주는 ‘기업형 모델로 자리매김하기’로 나타났다. 위에서 언급한 핵심 범주를 중심으로 연구 참여자들의 ‘기업형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과정을 구조적으로 분석하는 데에 따른 유형들을 분석한 결과 ‘능동적 순응형’, ‘수동적 순응형’, ‘소신형’, ‘갈등형’의 네 가지 유형이 도출되었다. 과정분석에서는 시설 운영자들의 인증 사회적기업 현장이라는 시간과 공간의 흐름의 구조 속에서 분석했다. 직업재활시설 시설장인 연구참여자들의 인증 사회적기업 운영 경험을 시간적 추이에 따른 조절 구조 과정으로 분석한 결과 문제 인식하기, 수용하기, 의미화하기, 재조명하기의 4단계 하위과정으로 나타났다. 공간이동으로는 인식을 통하여 개인, 일반시장, 정부의 4단계 과정을 가졌으며 재구조화 하는 단계에서 의미화를 통한 직업재활시설에서 인증 사회적기업의 의미화를 통해 직업재활시설의 인증 사회적기업 효과를 탐색함으로 ‘기업형 모델로서의 직업재활시설로 자리매김’으로 재조명하기에 이르게 된다.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 과정 속의 현상과 관련과 다양한 상황조건들이 상호작용하여 결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상황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개인의 정체성 적용과 일반시장으로 입문하기 위한 사회적기업 참여를 통한 상호전략과 정부차원에서 제도적 지원이나 정책적 고려가 있어 정부의 거시적 수준에서 운영에 대한 압박을 풀어가며 개인과 시설의 정체성을 재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직업재활시설의 인증 사회적기업 운영 경험에 대한 연구 방법으로 접근하여 이들의 경험을 기업형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내용과 과정을 구조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들은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정체성’ 확립에 대한 논의와 직업재활시설 사업을 위한 ‘마케팅’과 ‘자원 활용’에 대한 논의가 실천적 논의로, 직업재활시설 특수성인 ‘복지’와 ‘생산’의 압박감 요소를 근거로 한 논의와 ‘직업재활시설 자체의 사회적기업 지정’에 대한 논의, 제5차 장애인정책종합계획의 ‘사회적 경제적 직업재활시설 모형(가칭, 기업형 모델형)정책’이 의미하는 것에 대한 정책적 논의를 제공하였고 이에 대한 함의가 이루어졌다.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제언은 첫째, 시설장을 포함한 종사자들의 시설에 대한 정체감 회복을 위한 정부의 지원 방안과 둘째, 직업재활시설과 사회적기업에 대한 정부의 이해를 통한 직업재활시설의 사회적기업화의 추진 계획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셋째, 시설의 안정화를 위한 현재 1% 법정 요율인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비율의 3% 이상 상향 조정과 일부 장애인단체로 인해 흐려진 시장 복구를 위한 제도 마련이 있어야 하며. 넷째, ‘기업형 모델’ 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구체적으로 수용 가능한 정책적 제도 마련과 정부와 시설간의 유기적 관계 회복이 필요에 대해 제언했다. 주제어: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인증 사회적기업, 직업재활시설 정체성 혼란, 근거이론, 질적 연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