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앱을 활용한 인성교육 기반 초등 진로 교육 연구

        최재부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95

        앱을 활용한 인성교육 기반 초등 진로 교육 연구 최 재 부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윤리교육 전공 (지도교수 김 근 호) 본 연구는 코로나19 시기 비대면 교육으로 인한 인성교육과 진로교육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코로나19 시기 비 대면 교육이 교과중심으로 이루어지며 인성교육과 진로교육은 축소되거나 형식적인 교육에 그쳤다. 또한, 인성교육과 진로교육이 일부 공통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 성교육과 연계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미비하다. 그리고 초중고 학생 들에게 1인 1 기기가 보급되고 있음에도 학생들이 활용할 수 있는 진로교육 앱이 부족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분석하고, 인성교육과 진로교육의 연계를 통한 효과 적인 진로교육 방법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수행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 는 인성교육과 진로교육의 개념을 바탕으로 두 교육의 관련성을 밝히고, 인성교육 과 진로교육에서 ‘자존감’과 ‘공동체 의식’이 어떤 관련이 있는지 살펴보며 인성교육 기반 진로교육의 필요성을 밝힌다. 또한 국내 진로교육 현황을 살펴보며 진로 연계 교육과 앱 활용 교육이 필요함을 확인한다. 이를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학생들이 ‘자존감’을 기르고,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며 다양한 직업과 분야를 경험할 수 있도 록 인성 기반 진로 교육 앱을 개발하고 교수 학습과정안을 만들어 수업에 활용한 과정을 소개한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초등학교 6학년 1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 방법은 앱을 활용한 수업 중 학습지, 설문조사, 참여 관찰 을 활용하고 효과성 검증을 위해 통계분석을 하였다. 연구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 한 자존감 측정 방법으로 Rosenberg(1965)가 개발한 자존감 척도를 이훈진과 원호 택이 번안한 한국판 척도 10문항을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긍정적 자존감 5문항과 부정적 자존감 5문항으로 전체 1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Likert식 5점 평정을 따르고 있다. 측정 결과 분석을 위해 IBM SPSSStatistics27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 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측정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α계수를 산출하였다. 둘째, 표본이 N≤30 이므로 정규분포의 검증을 위해 정규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셋째, 실험군의 앱 활용 전과 후의 자아존중감 척도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인성교육과 진로교육은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인성교육을 바탕으로 한 진로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자신의 적성과 가 치관을 바르게 이해하고, 진로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며, 자존감을 향상하 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다른 사람과 더불어 살아가는 삶의 중요성을 느끼 고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는 데 도움이 된다. 나아가 인성교육 기반 진로교육 앱 활용 교육은 학생들이 진로에 대한 정보를 탐색하고, 진로 계획을 수립하는 데 도 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인성교육 기반 진로교육 앱의 개발이 필요하다. 연구의 제한점은 초등학생 6학년 1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소규모 연구라는 점이 다.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대상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다양한 학년과 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 여, 앱의 효과를 보다 종합적으로 검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인성교육과 진로교육의 연계를 통한 효과적인 진로교육 방법을 개발하 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의미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인성교육 기반 진로교육 앱의 개발과 보급이 이루어진다면, 초등학생들의 진로 설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끝으로 인성교육을 연계한 효과적인 진로교육 방법을 개발 하기 위한 연구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인성교육 기반 진로교육 앱의 개발과 보급이 필요하다. 주요어: 진로교육, 인성교육, 인성교육 연계 진로교육, 자존감, 공동체 의식, 앱 활용 교육 ※ 본 논문은 2024년 2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다문화사회 구성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편견과 변화에 관한 연구 - 국적과 종교를 중심으로

        홍석기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95

        다문화사회 구성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편견과 변화에 관한 연구 - 국적과 종교를 중심으로 홍 석 기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다문화교육 전공 (지도교수 박 선 운) 본 연구는 다문화 구성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생각을 살펴보고, 다문화 수업이 학생들의 편견 감소를 비롯한 다문화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는 것 에 목적이 있다. 초등학생이 갖는 편견의 경우 직접 경험한 불안함이나 공포보다는 소셜미디어를 비롯하여 여러 대중매체와 같은 외부적 요인에 의해 형성된다는 특징 이 있으며, 다양한 사회적 경험이 없는 초등학생이 외국인의 생김새에 대한 농담, 피부색에 대한 농담, 종교, 국적, 성 소수자에 대한 혐오 표현을 스스럼없이 하는 경우가 있다. 초등학생 시기에 무의식적으로 뿌리내린 편견은 사춘기를 지나 성인 기로 접어들면서 지속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초등학교에서 학생들이 지닌 편견의 양상과 원인을 살펴보고 적절한 교육을 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필요성에 기반하여 본 연구에서는 충청북도 청주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6학년 학생 21명을 대상으로 포토보이스 연구 방법과 다문화 수업을 연계 한 6차시의 프로젝트 수업을 진행하였다. 먼저, 포토보이스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한국인, 외국인, 이슬람교 및 무슬림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생각과 감정을 살펴보았 으며 그 속에 녹아있는 편견을 찾아보았다. 이어 학생들의 편견 감소 및 다문화 인 식 함양을 위한 다문화 수업이 진행되었으며 학생들의 변화된 생각을 포토보이스 방법을 활용하여 다시 확인하는 과정을 거쳤다. 포토보이스 연구 방법을 통해 살펴본 다문화 구성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생각 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초등학생들은 한국인의 특성을 구분하는데 생활‧문화적 요소를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그러나 이의 근저에는 한국인으로서 지녀야 할 법‧제 도적 요소와 생물학적 요소를 강조하고 있는 학생들의 생각이 기반이 되고 있었다. 이러한 생각은 다문화 수업 후 한국의 역사와 전통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바뀌었다. 둘째, 초등학생들은 외국인의 특성으로 미국인으로 대표되는 서구 백인의 이미 지를 제시하였다. 영어를 사용하고 햄버거와 같은 음식을 즐기며 이국적인 외모를 가진 존재라고 생각하였다. 다문화 수업 후 초등학생들은 외국인의 다양성을 인정 하는 생각을 드러내었으나 남학생의 경우에는 아직 인종적 편견을 드러내었다. 셋째, 이슬람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생각과 감정은 기쁨, 놀라움, 무관심, 회 의적인 시각으로 드러났으나 이슬람교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나 지식은 나타나지 않 았다. 이는 이슬람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배경지식이 부족한 것이라고 추론되었다 다문화 수업 후 초등학생들은 한국 사회의 무슬림을 이웃으로 받아들이고 그들의 아픔과 고통에 공감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 교육을 위해 향후 초등학교에서 어떠한 변화가 필요한지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첫째, 다양한 다문화 경험이 필요하 다. 정치, 지리, 경제적 경계를 뛰어넘어 다양한 문화에 대해 올바른 정보를 바탕 으로 배우고 공부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 내에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제2외국어로 서 영어만을 강조하는 학교 교육과정에도 개선이 필요하다. 다양한 외국어 교육을 비롯하여 영어가 세계 여러 나라 사람들과의 대화를 위한 도구라는 점을 강조할 필 요가 있다. 셋째, 초등학생들에게 이슬람을 비롯한 다양한 종교, 문화적 배경을 가 르칠 수 있도록 교육과정 내용을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 다양한 종교에 대해서 배 울 수 있는 다문화 교육이 이루어진다면 청소년기 시절에 형성되는 잘못된 정보로 인한 편견이나 차별에 대항하고 올바른 다문화 의식을 함양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다문화 인식, 다문화 구성원, 한국인, 외국인, 이슬람, 편견, 다문화 교 육 홍석기 다문화교육전공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본 논문은 2024년 2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교사 성숙 수준에 따른 현직 교육 체제 개선에 관한 연구

        최영수 淸州敎育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9679

        교사들이 교직생애의 전과정에서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끊임없이 습득함으로써 전문직 종사자로서의 책임을 다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현직 교육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더 나아가 현직 교육의 효과를 높여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원들의 필요와 요구를 기반으로 교육내용과 방법이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 성숙 수준에 따른 현직 교육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여 교사 성숙 수준에 따른 현직 교육체제에 대한 개선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493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조사하여 SPSS/PC^(+)를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여, 질문의 내용에 대하여 선택한 항목을 교사 성숙 수준에 속하는 교사의 수를 기준으로 비교하여 백분율로 알아보고, 각각의 교사 성숙 수준에 따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X2하였다. 설문 결과 정리한 교사 성숙 수준에 따른 현직 교육에 대한 요구를 바탕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어냈다. 첫째, 초임기 교사에게 알맞은 현직 교육 체제의 개선방향을 살펴보면 교직 발달 영역을 중심으로 교육내용을 계획한다. 각 발달 영역별로는, 교직 발달 영역에서는 아동의 이해와 생활지도, 전문발달영역에서는 수업 이론 및 교수 방법, 학교 조직 발달 영역에서는 학급경영 및 학교경영, 교양 발달 영역에서는 교사의 취미나 흥미를 중점적으로 교육한다. 연수 동기는 교직의 전문성 신장을 위해서가 가장 큰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연수기회의 공평성에 대한 생각은 보통이라고 인식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나 다른 성숙 수준의 교사에 비해 공평하지 않다고 인식하는 경우가 많았다. 연수 내용과 방법의 획일성을 문제점으로써 꼽고 있다. 연수방법은 사례발표로, 대학원이나 학회와 같은 장소를 이용하여, 연수 횟수는 1년에 2회 정도, 연수주기는 2년 정도가 적당하다. 연수를 받고자 하는 대상자를 희망대로 선정하고, 하계·동계 방학에 실시하는 것이 적당하다. 연수인원은 11-20명으로 하고, 강사는 현장 교원을 중심으로 학교 또는 지역 단위의 자율적 협동학습을 중심으로 한다. 둘째, 향상기 교사에게 알맞은 현직 교육 체제의 개선 방향은 전문 발달 영역을 중점적으로 교육하고, 각 발달 영역별로 살펴보면 교직 발달 영역에서는 아동의 이해와 생활지도, 전문 발달 영역에서는 수업 이론 및 교수방법, 학교 조직 발달 영역에서는 학급경영 및 학교경영, 교양 발달 영역에서는 교사의 취미나 흥미부분을 교육한다. 연수 동기는 교직의 전문성 신장을 위해서가 가장 큰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연수기회의 공평성에 대한 생각은 보통이라고 인식하는 경우가 많았고, 연수의 문제점으로는 연수 내용과 방법의 획일성을 우선으로 꼽고 있었다. 연수방법으로는 실기연습으로 하여, 대학원이나 학회와 같은 장소에서, 연수 횟수는 1년에 1회 정도, 연수주기는 3년 정도로 하며, 연수 대상자는 교사가 희망대로 선정하고, 연수는 하계·동계 방학에 실시한다. 연수인원은 11-20명으로 하고, 강사는 전문가 초빙위주로 한다. 연수 운영 방법은 학교 또는 지역 단위의 자율적 협동학습으로 한다. 셋째, 정착 및 발전기 교사에게 알맞은 현직 교육 체제의 방향은 전문 발달 영역을 중심으로 교육내용을 계획한다. 각 발달 영역별로 살펴보면, 교직 발달 영역에서는 컴퓨터와 교육공학, 전문 발달 영역에서는 수업 이론 및 교수 방법, 학교 조직 발달 영역에서는 학급경영 및 학교경영, 교양 발달 영역에서는 교사의 취미나 흥미를 중점적으로 내용으로 선정한다. 연수 동기는 교직의 전문성 신장을 위해서가 가장 큰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연수기회의 공평성에 대한 생각은 보통과 공정한 편이라고 인식하는 경우가 많았고, 연수의 문제점으로는 연수 내용과 방법의 획일성을 우선으로 꼽고 있었다. 연수방법으로는 견학 시찰의 방법으로, 연수 장소로는 대학원이나 학회와 같은 장소를 이용하며, 연수 횟수는 1년에 1회 정도, 연수주기는 3년 정도로 한다. 연수 대상자는 교사가 희망대로 선정하고, 하계·동계 방학에 실시하며, 연수인원은 11-20명으로 구성한다. 강사는 전문가 초빙위주로 하여 학교 또는 지역 단위의 자율적 협동학습으로 계획한다. 마지막으로, 정체 및 심화기 교사에게 알맞은 현직 교육 체제의 방향은 전문 발달 영역을 중심으로 교육내용을 계획한다. 각 발달 영역별로 살펴보면, 교직 발달 영역에서는 아동의 이해와 생활지도, 전문 발달 영역에서는 수업 이론 및 교수 방법, 그리고 학교 조직 발달 영역에서는 조직이론 및 실제, 교양 발달 영역에서는 교사의 취미나 흥미를 중심으로 계획한다. 연수 동기는 교직의 전문성 신장을 위해서가 가장 큰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연수기회의 공평성에 대한 생각을 알아본 결과 보통과 공정한 편이라고 인식하는 경우가 많았다. 연수의 문제점으로는 연수 내용과 방법의 획일성을 우선으로 꼽고 있으므로 좀 더 다양화된 내용과 방법이 필요하다. 연수방법으로는 사례발표 즉, 연구수업이나 수업참관 방법을, 연수 장소로는 대학원이나 학회, 연수 횟수는 1년에 1회 정도, 연수주기는 3년·5년 정도가 적당하다. 연수 대상자는 교사가 희망대로 선정하고, 하계·동계 방학에 실시하며, 연수인원은 21-30명으로 구성하여 전문가 초빙위주로 출석에 의한 집단 수업을 실시하도록 계획한다. 이상으로 본 연구의 목적인 교사 성숙 수준에 따른 현직 교육 체제의 방향을 얻어낼 수 있었다. 따라서 교사의 각 성숙 수준에 따라서 희망하는 현직 교육을 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함은 교사의 현직 교육에 대한 효율성 및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The importance of the current teacher training has been emphasized because they can teach better as professionals via constant learning new knowledge and techniques during the whole period of their service.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current education via effective training of the teachers the training should include the curriculum, which meets the teachers' demands and need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current teacher training system by realizing the different demands of teachers at their own development stage. A poll was carried out among 493 teachers and its result was statistically analyzed utilizing spass/PC^(+). The following result was achieved. First, for teachers at their early stage, the teacher training should be focused on the teacher in developing period. In addition, understanding children and living guidance in the teacher in developing period, instruction theory and how to teach in professional developing period, classroom management, and school management in school structure in developing period, and teacher's hobby in culture in developing period should be trained as well. Presentation on actual cases can be preferable training method. In every other year, the training should be provided semiannually during summer/winter vacation at conferences or graduate schools. Instructors chosen from experienced teachers can train 11-20 early stage teachers who are selected among applicants. One school or a set of schools in the same area can join the same training in a voluntary and cooperative way. The poll analysis has also showed that early stage teachers think 1. the motive of participating the training is that they want to expand their professionalism 2. fairness in getting a training chance is acceptable although these chances are favorable to teachers at the mature level 3. training curriculum and methods should b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teachers' maturity in teaching. Second, for teachers at improvement in period, professional in developing period should be focused during the teacher training. Besides, understanding children and living guidance in the teacher in developing period, instruction theory and how to teach in professional developing period, classroom management, and school management in school structure in developing period, and teacher's hobby in culture in developing period should be also trained. The real practice can be preferable training method. In every three years, the training should be provided annually during summer or winter vacation at conference or graduate schools. An invited specialist can train 11-20 middle stage teachers who are selected among applicants. One school or a set of schools in the same area can join the same training in a voluntary and cooperative way. The poll analysis has also showed that middle stage teachers think similarly as early stage teachers in several questions. They have an expanding professionalism as their participating motive and think fairness in getting a training chance is acceptable. They also think training curriculum and methods should b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teachers' maturity in teaching. Third, for teachers at fixing and developing in period, professional in developing period should be focused during the training. Computer and education of technology in the teacher in developing period, instruction theory and how to teach in professional developing period, classroom management, and school management in school structure in developing period, and teacher's hobby in culture in developing period should be trained as well. A field trip can be preferable training method. In every three years, the training should be provided annually during summer or winter vacation at conferences or graduate school. An invited specialist can train 11-20 static stage teachers who are selected among applicants. One school or a set of schools in the same area can join the same training in a voluntary and cooperative way. Teachers at static stage chose an expanding professionalism as their participating motive and think training curriculum and methods should b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teachers' maturity in teaching. In terms of getting a training chance, they think it is acceptable or fair. Finally, for teachers at final stage (delay and deepening period), professional developmental period should be focused during their training. Understanding children and living guidance in the teacher in developing period, instruction theory and how to teach in professional developing period, classroom management, and school management in school structure in developing period, and teacher's hobby in culture in developing period should be also considered. Presentation on actual cases, research instruction, and visit a class should the be preferable training method. The training should be provided annually during summer or winter vacation at conferences or graduate schools. An invited specialist can train 21-30 final stage teachers who are selected among applicants. Teachers at final stage chose an expanding professionalism as their participating motive and think training curriculum and methods should b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teachers' maturity. In terms of getting a training chance, they think it is acceptable or fair. The poll analysis has concluded that teachers at different stage want different training. To make most use of the teacher training system, it is highly desirable to improve the current system via differentiating the training according to the degree of teachers' maturity in teaching and therefore their different needs at each stage.

      • 초등학교 수학과 과학교과서의 측정영역 내용 비교 연구

        김영진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79

        논 문 요 약 초등학교 수학과 과학교과서의 측정영역 내용 비교 연구 김 영 진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수학교육 전공 (지도교수 김 남 균) 본 연구는 초등학교 수학과 과학교과에서 다루는 측정영역의 양의 학습 시기와 용어의 정의 및 지도 방법을 비교 ․ 분석하여, 두 교과의 측정영역 내용의 지도관점을 파악하고 측정활동을 중심으로 한 두 교과의 융합교육에 이론적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내용을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학교 수학과 과학교과에 제시된 양의 학습 시기와 용어의 정의를 비교 ․ 분석한다. 둘째, 초등학교 수학과 과학교과서의 측정영역의 지도방법을 비교 ․ 분석한다. 이러한 연구 내용을 해결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1~6학년 과정의 수학과 과학교과의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를 연구 대상으로 활용하였다. 자료의 기술 및 분석을 위하여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 내에 나타난 양의 학습 시기와 용어의 정의 및 지도방법을 살펴보았으며, 지도방법의 경우 ‘비교하기’, ‘측정단위 사용’, ‘측정하기’, ‘측정값의 계산 및 활용’으로 나누어 본 연구자의 자가 검진에 의한 분석틀을 이용하였다. 연구의 내용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이 내릴 수 있었다. 첫째, 전체적으로 양의 지도시기에 큰 문제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들이와 무게 지도시기에 대한 조정이 필요하다. 다른 교과에서 이미 배운 내용일 경우 본 교과 시간에 이를 적용할 수 있지만, 학생들의 일상적인 경험에 근거한 직관적인 활동에의 타당성은 검토해볼 문제이다. 둘째, 두 교과가 용어를 정의하는 방식에서 큰 차이를 보이고 있어 서로 보완하여 지도한다면 측정 개념의 지도에 혼선은 없다고 판단된다. 현재 들이와 부피의 용어와 측정단위는 두 교과에서 다른 방식으로 지도하고 있고, 무게와 질량에 대한 접근방식도 다르다. 따라서 이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또한 측정에 지도되는 모든 양에 대하여 용어의 정의는 교과서 내에 명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셋째, 수학과 과학교과의 측정이라는 활동으로 고리를 맺고 있지만, 주목하고 있는 관점에서 분명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따라서 측정활동을 중심을 한 두 교과의 다양한 융합교육을 실천할 때에는 수학과 과학교과의 측정에 대한 관점을 파악하여 융합의 방향을 설정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전반적으로 두 교과의 측정 지도의 관점이 상이함으로 인하여 융합교육을 의미 있고 참신하게 전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끝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수학교과는 과학적 탐구과정으로서의 측정에 대한 의미를 되새겨 통계 영역과 연계한 측정값의 활용을 지도하는 방법을 모색하고, 과학교과에서는 양의 측정 과정으로서의 탐구활동을 전개해볼 필요가 있다. 또한 두 교과의 진정한 융합을 위해서 지도과정 상의 드러나는 불일치되는 문제를 조정하여 융합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보는 것이 요구된다. 둘째, 측정영역 이외의 다른 영역에 대한 수학과 과학교과 내용을 비교할 수 있고, 나아가 측정과 관련된 타 교과와의 융합에 대한 연구가 가능하다. 또한 본 연구가 내용중심의 비교 연구였다면, 탐구의 사고과정 측면에서 두 교과를 비교 ․ 분석하는 연구도 흥미로운 소재가 될 것으로 판단한다. ※ 본 논문은 2014년 2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2015 개정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편성 실태 분석

        주보람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79

        논 문 요 약 2015 개정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편성 실태 분석 주 보 람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방법 전공 (지도교수 유 제 순) 본 연구는 2017년에 2015 개정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이 1∼2학년군에 적용되기 때문에 단위 학교에서 2009 개정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과 다르게 변화한 2015 개정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의 내용을 의도한 대로 반영하고 있는지 살펴보며 편성·운영상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바람직한 운영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충북 도내 256개 초등학교의 학교 교육과정 및 1∼2학년의 학년 교육과정의 편성·운영 실태, 입학 초기 적응활동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교·학년 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 단위 학교에서 시간 편성과 관련된 세부 내용은 자세하게 구성하였으나 성격, 목표, 평가 등에 관한 사항은 내용이 부족한 실정이었다. 또한 학교의 실정에 맞게 창의적 체험활동을 재구성한 곳은 적은 비율을 나타내었으며 다수의 학교에서는 교육부와 충청북도 교육청의 편성·운영 지침을 그대로 진술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대다수의 학교에서는 창의적 체험활동 영역 편성 방법이 학교에서 동일한 중점 영역을 편성하여 운영하고 있었으며 그 영역은 자율활동에 해당하였다. 1∼2학년의 경우 기본생활습관 형성 등과 관련한 내용을 중심으로 운영하고 있었는데 2015 개정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에서 권장하고 있는 사항을 잘 반영하였다. 창의적 체험활동의 4개의 영역의 세부 활동을 분석한 결과, 자율활동 영역의 자치·적응활동에서는 행사활동, 민주시민교육, 기본생활습관 형성과 관련된 내용, 창의주제활동은 범교과 학습주제와 관련된 내용 지도에 많은 시간을 편성하고 있었다. 범교과 학습주제의 개수가 줄어들었음에도 창의주제활동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컸다. 동아리활동은 학교에서 동일한 활동을 편성하여 주는 경우가 많았으며 학생들의 선택권이 많지 않았다. 동아리활동 중 문화·예술활동이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봉사활동과 진로활동의 경우 다른 두 영역에 비해 시간 배당이 많지 않았으며 봉사활동은 환경보호활동, 진로활동은 자기이해활동, 진로탐색활동을 많은 학교에서 편성하여 운영하고 있었다. 입학 초기 적응활동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단위 학교에서 시간 편성, 활동 내용, 운영 방법의 자율성이 부여됨에도 불구하고 입학 초기 적응활동 지도 계획이 유사하였다. 대다수의 학교에서 60시간 이상을 편성하여 운영하고 학교생활 적응 영역에 많은 시간을 편성하며 대부분의 학교가 3월에 집중하여 운영하고 있었다. 창의적 체험활동의 평가의 경우 학생 평가 계획이 자세하게 나타나 있지 않았으며 목표가 중요함에도 많은 학교에서 제시하고 있지 않았다. 2009 개정과 2015 개정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평가 실시 및 기록 방법이 달라졌음에도 2009 개정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의 내용을 그대로 반영하는 곳이 많아 평가를 실시한 후 누가 기록한 내용을 참고하여 학교생활기록부 작성을 정리하여 기록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었다. 단위 학교에서는 2015 개정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의 변화한 내용을 정확히 인지하고 자율적으로 편성하여 학교마다 특색 있는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이 편성·운영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본 논문은 2018년 2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초등 사회과 지역화 학습을 위한 프로젝트 수업의 설계 및 실행 : 통합 청주시 지역을 사례로

        기성준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논문은 학생들의 생활공간에 근거한 지역화 학습을 위하여 2014년에 새로 출범한 ‘통합 청주시’ 지역을 주제로 프로젝트 수업을 설계 및 적용하여 그 효과를 밝히고자 한 연구이다. 이를 통해 초등학교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사회과 지역화 학습 현장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돕고, 주제 중심의 지역화 학습에 참여함으로써 평소 지역화 학습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학생과 교사에게 도움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먼저 사회과 교육과정의 지역화의 정의와 사회과 지역화 학습의 의미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지역화 학습을 실천하기 위한 교수-학습과정 재구성의 기초가 될 이론적 배경으로 프로젝트 수업의 개념, 특성, 과정을 분석하였다. 또한 지역화 학습에 프로젝트 수업이 가지는 의의에 대해서 살펴보고 이를 통해 다양한 활동 중심의 통합 수업이 가능한 교육적 방안이라는 것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지역화 학습을 위한 프로젝트 수업을 다음과 같은 과정에 따라 설계하였다. 첫째,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와 각 단원 주제의 목표를 분석하였다. 둘째, 지역화 학습에 적합한 주제와 관련이 있는 사회 교과서와 지역화 교과서의 내용을 분석하여 학생들이 거주하고 있는 ‘통합 청주시’ 지역과의 연관성 정도를 알아보았다. 셋째, 본 프로젝트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지역에 대한 관심 수준과 기본적인 내용에 대한 이해도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 조사를 실시하였다. 넷째,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프로젝트 수업을 설계할 때 고려해야 할 다섯 가지 원칙을 선정하였다. 다섯째, 설계의 기본 원칙에 따라 총 2개의 수업주제와 각 수업주제와 연결되는 8개의 활동주제를 선정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각 활동주제 수업의 설계안을 작성하였다. 이에 따라 ‘통합 청주시’ 지역을 사례로 설계된 프로젝트 수업은 총 8개의 활동주제로 실시되었다. 여기에 수업장면을 동영상으로 녹화하여 분석하는 과정을 통한 수업반성, 학생들에게 프로젝트 수업 전·후로 실시한 설문조사, 프로젝트 활동 결과물, 개별면담 등을 통해 다음과 같은 프로젝트 수업의 실행 결과를 얻었다. 첫째, ‘통합 청주시’를 주제로 실행한 프로젝트 수업 결과, 학생들은 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고 우리 지역에 대한 관심과 흥미도가 높아졌다. 둘째, 프로젝트 수업 이후 학생들은 ‘통합 청주시’에 대해 새로 알게 되거나 이전보다 자세히 알게 된 내용들이 많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프로젝트 수업 결과, 학생들이 살고 있는 지역에 대해 자랑스러워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프로젝트 수업 과정에서 학생들이 다양한 표현활동에 참여한 것이 교육적으로 의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프로젝트 수업 이전보다 ‘통합 청주시’ 지역에 대해 소개할 수 있는 내용이 많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게 되었다. 첫째, 학생들의 생활공간을 주제로 설계된 프로젝트 수업은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에게 유의미한 활동이었다. 둘째, 프로젝트 수업을 적용한 지역화 학습은 학생들이 살고 있는 지역에 대한 관심도나 애향심을 높여주는 데 도움이 되었다. 셋째, 프로젝트 수업과정에서 이루어진 학생들의 표현활동이 교육적으로 의의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가 초등학교 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사회과 지역화 학습에 대한 이해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라며, 통합 청주시에서 생활하는 학생들이 지역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돕는 자료로써 활용되기를 기대해본다.

      • 초등학교 4학년의 말하기 능력 향상을 위한 ‘Process Drama’ 요소 활용 수업 연구

        김수연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79

        논문요약 초등학교 4학년의 말하기 능력 향상을 위한 ‘Process Drama’ 요소 활용 수업 연구 김수연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영어교육 전공 (지도교수 민덕기) 본 연구는 초등학교 4학년의 말하기 능력 향상을 위해 교실에서 과정극(이하 ‘Process drama’라 칭함) 요소를 활용하여 교수·학습 절차를 제시하고 적용하여 초등 영어 수업에서의 학습 효과를 분석하고 일반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청주의 한 초등학교 4학년 한 학급을 연구 대상으로 약 12주 동안의 재량시간을 활용하여 ‘Process Drama’ 요소 활용 수업을 적용했다. 본 연구의 연구 내용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Process Drama’ 적용을 위해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각 단원에 소개된 소재, 어휘, 의사소통 기능, 언어 기능 등을 분석하여 의사소통능력향상을 꾀할 수 있는 단원 4개를 선정하였다. 영어 전담 교사와 일반적인 영어 수업후 연구자와 단원별로 3차시의 실험 수업을 총 12회 진행했다. 둘째, ‘Process Drama’ 교수·학습 절차를 구안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구어담화완성테스트(‘Oral Discourse Completion Test’이하, ‘ODCT’라 칭함) 및 듣기 평가 도구를 개발했다. ‘ODCT’의 경우, 아동들이 의사소통상황 속에서 발화 상황을 스스로 인지하고 적극적으로 발화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적용했다. 셋째, ‘Process Drama’를 활용한 수업 활동이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도와 자신감 및 참여도 등의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변화를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Process Drama’ 요소 활동 수업에 대한 기대와 흥미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Process Drama’ 요소 활용 수업이 아동들의 말하기 능력 향상 및 흥미도, 자신감 및 참여도에서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 본 논문은 2013년 2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Abstract A Study on ‘Process Drama’ in Elementary 4th Grade English Classes Kim, Soo Yeon Major in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Che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Min, Duk-Ki, ph. 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effects of using 'Process Drama' in elementary English classroom and to develop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improving speaking competence of elementary school English learners. The main characteristics of ‘Process Drama’ are ‘absence of scripts, episodic structure, an extended time frame, and an integral audience.’ ‘Process Drama’ doesn’t provide scripts, the participants should create their own dialogues. It requires students’ active involvement, spontaneity, creativeness, and voluntary participation. And it needs essential elements, teacher’s role. So, I made some classes based on the elementary English curriculum. And this study invented ‘Process Drama’ according to each unit of the elementary English textbook for 4th graders. The main exterminatory study was conducted on 28 students of 4th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Cheongju from May-July of 2012. After normal English class of English teacher, the students were participated additional 3 periods classes in each 4 lessons. The lesson plans were invented by adopting ‘Process Drama’.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se experiments, a questionnaire of the interests, self-confidence and participation were checked. And Cognitive domain were listening test., ODCT(Oral Discourse Completion Test). The result showed that instruction using ‘Process Drama’ improved students' speaking, listening competence. And affective factors (interest, self-confidence and participation) were higher. In the case of middle and low level stude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t might be not easy to implement the ‘Process Drama’ in the classroom where one teacher have many students on a cramped classroom without any assistant. However, this can be overcome when the teacher make a detailed plan and lead the students thoroughly.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National Cheongju University of education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Elementary English Education) in February, 2013.

      • 청소년의 마을교육공동체 활동 참여에 대한 사례 연구 : 민주시민의식 변화를 중심으로

        주영순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79

        국 문 초 록 청소년의 마을교육공동체 활동 참여에 대한 사례 연구 ※ 본 논문은 2020년 2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주 영 순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사전문성과 학교문화 전공 (지도교수 박 윤 경) 급속히 발전된 과학기술과 성장은 인류가 지금껏 경험하지 못했던 경제, 사회, 문화 전반의 변화를 불러일으키며 우리의 삶과 연결되어 인류사회의 발전을 가져오기도 했지만 다른 한 편으론 사회적 불평등과 인간관계의 단절을 가져왔고, 이는 공동체의 파괴로 이어져 사회적 결속력을 약화시키고 시민성의 수준을 낮추며 여러 가지 사회 문제를 야기하였다. 이런 상황에서 교육을 통한 공동체성 회복에 대한 요구가 높아졌고 그 대안으로 마을교육공동체가 학습자의 주도성, 삶과 배움의 연계를 구현하며 공동체성을 회복할 새로운 교육의 흐름으로 제시되고 있다. J행복교육지구는 지역 사회 전체 구성원들의 공감과 참여를 바탕으로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사회적 감성 능력, 민주시민 역량을 기르고 지역적 특성과 전통·문화를 살린 맞춤형 교육으로 지역을 사랑하고 지역에 정주하며 지역을 발전시킬 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다양한 사업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청소년을 그 중심의 배움과 변화의 주체로 인식하고 청소년들의 배움의 장을 학교로부터 지역사회와 마을까지로 확장하여 주도적으로 마을이나 마을주민과 의미 있는 관계를 맺고 다양한 활동을 기획하고 주도하며 삶에 필요한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돕고 있다. 본 연구는 J행복교육지구 마을교육공동체 활동에 참여한 청소년에 대한 사례연구를 실시하여 마을교육공동체 활동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미래사회를 살아갈 시민으로 반드시 갖추어야 할 민주시민의식에 변화와 영향을 미치는지 유의미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연구의 해결을 위하여 관련 문헌 조사, 마을교육공동체 청소년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청소년들의 참여 양상을 분석하기 위한 참여관찰 및 주도적으로 참여한 청소년 4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면담자료를 비교 분석하여 민주시민의식과 관련한 70개의 의미 있는 개념을 추출하고 범주화하여 청소년의 민주시민의식 변화에 대한 유의미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마을교육공동체 청소년 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청소년의 참여양상과 그 과정에서 민주시민의식 변화와 관련하여 경험한 사례는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청소년이 마을교육공동체 활동에 참여하는 데는 자발성과 주도성이 중요한 동력으로 작용하였지만 이는 이들을 지원하는 지역사회, 마을활동가, 교육지원청 및 지자체가 청소년들이 모든 것을 스스로 결정하도록 내버려 두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곁에서 같은 마을의 구성원으로써 활동을 지지해주고 적극적으로 지원해 줄 때 더욱 발현되었다. 마을교육공동체 활동에 참여하는 청소년들은 마을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프로젝트 활동을 수행하며 마을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내 주변을 둘러 싼 삶의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하고 싶어 했으며 마을교육공동체 구성원들과 형성한 긍정적 관계를 바탕으로 상호협력하며 프로젝트를 수행하거나 합리적으로 문제를 해결해 나가며 성취감과 자신감을 가지게 되었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청소년들이 거점으로 삼아 다양한 활동을 수행할 별도의 공간 확충이 필수적이며 예산이나 시설 운영을 원활히 하기 위한 조례 제정 등의 행정적 지원, 청소년들이 자신이 사는 지역 사회의 의사결정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자신들의 의견이 반영되는 과정을 통해 권리의 주체자로서 책임감 있고 건강한 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정책적 활동을 실시하도록 보장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마을교육공동체 활동의 청소년 참여경험이 그들의 민주시민의식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오는지 살펴보았다. 청소년들은 마을교육공동체 활동에 참여하며 개인적으로는 민주적인 기본 가치와 이념을 내면화 한 인격체로 성장하였고 사회적으로는 타인과 긍정적 상호작용을 통해 서로 협력하며 삶의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민주 시민으로 성장하였다. 참여관찰 및 면담자료를 분석하여 민주시민의식 변화에 대한 개념을 범주화한 결과 청소년들은 개인적으로는 긍정적 생활 변화, 학교생활 능력, 자신감, 다양성 인정 능력, 적극성, 자발성, 주도성이 향상되었으며 사회적으로는 공감능력, 친밀감, 사교성, 격려와 지지하는 능력, 문제해결력, 수용성, 자율성, 협력, 타인 존중감, 책임감, 배려심, 봉사심, 합리적 의사결정 능력, 연대감이 향상되었다. 이를 통해 청소년은 민주시민으로서 더 이상 교육의 대상자가 아닌 이미 참여하는 민주시민으로 충분한 자질과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으며 학교와 마을의 협력적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청소년 주도 마을교육공동체 활동은 민주시민 육성이라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선순환 체계임을 증명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는 우리에게 기존의 주입식 방법으로 미래 사회를 살아가는데 필요한 많은 역량들을 무조건 강요하기 보다는 자연스럽게 이러한 역량들이 키워질 수 있도록 마을 구성원들의 지원과 실천적 노력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안겨주었다. 셋째, 연구자는 연구 과정에서 마을교육공동체에서 청소년 참여 활동을 촉진하는 요인과 방해하는 요인도 추출할 수 있었는데 이는 향후 마을교육공동체 활동을 비롯한 학교나 학교 밖 청소년 주도의 활동을 운영하는데 시사하는 바가 있다고 생각된다. 청소년 참여 활동의 촉진요인으로는 참여할 때 즐거움, 스트레스 해소, 자유로움, 해방감을 느끼는 것, 방해하는 요인으로는 구성원 간 초기 관계 맺기의 어려움과 활동 중 의견 조율의 어려움이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마을 자체가 살아있는 진정한 민주주의 배움터로 구현되려면 마을교육공동체 사업의 계획부터 실천, 반성의 전 과정에 청소년이 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마을의 어른들은 개입이나 간섭을 최소화하고 안내자와 촉진자로써 지원과 지지를 아끼지 않아야 하는 것은 물론 모든 마을 주체들이 협력적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민주적인 시민역량을 갖추어 따뜻한 공동체를 운영해 나가는 모습을 청소년들에게 보여주어야 한다. 이를 위해 모든 마을 구성원들이 마을교육공동체 운영의 전 과정, 마을의 역량을 기르는 일부터 마을교육공동체 사업을 운영하고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일까지 소통과 신뢰를 바탕으로 구성원들의 다양한 요구와 관심을 통합하고 협력적인 수단을 통해 이를 민주적으로 해결하는 원리를 실천해 나간다면 청소년들은 이를 생의 전 과정에 걸쳐 습득하며 민주시민의식을 갖춘 민주시민으로 자연스럽게 성장하게 될 것이다. 주제어: 마을교육공동체, 청소년 주도, 민주시민의식

      • 신체운동지능을 활용한 독서교육이 지적장애 학생의 단어 읽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나은정 청주교육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79

        논문 요약 신체운동지능을 활용한 독서교육이 지적장애 학생의 단어읽기능력에 미치는 영향 나은정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특수교육전공 (지도교수 정 종 성) 이 연구는 특수학급에서 독서지도를 통하여 신체운동지능에 강점을 보이는 지적장애 학생들의 단어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청주 소재 B 초등학교 특수학급에 소속된 네 명의 지적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신체운동지능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독서프로그램을 개발 하였다. 독서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중 두 차례 수정을 거쳐 수업을 안정적으로 진행할 수 있었다. 첫 번째 수정에서 수업은 교사의 열정으로 학생들의 집중력과 호기심이 높게 유지되었다. 그러나 수업진행에서 교사의 열정이 지나쳐 쉬는 시간이 없이 블록 수업을 진행하였기 때문에 학생들의 주의집중이 저하되었고, 목표단어를 단조롭게 제시하여 학생들은 이야기 글에서 목표단어를 찾지 못해 우왕좌왕했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블록 수업 중간에 휴식 시간을 확보한 결과 학생들이 읽기 활동에 좀 더 집중할 수 있었고, 목표단어를 확대하고 가시도가 높은 색으로 제시하여 이야기 글에서 쉽게 찾을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수신호를 도입함으로써 우왕좌왕 하는 학생들이 교사의 지시를 정확히 이해 할 수 있었다. 두 번째 수정은 독서프로그램이 7차시 이상 진행 되었을 때 이루어졌다. 수업은 안정적으로 진행되고 있었으나 신체활동에서 학생들이 지나친 경쟁심을 가져 서로 비난하고 실패에 대해 상심하였다. 또한, 7~8차시 수업에서 단어읽기 외에 다른 목적을 설정하고 지루한 도서를 선택함으로써 학생들이 집중하지 못하고 혼란스러워 했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신체활동에 협동을 유도할 수 있는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학생들이 힘을 합쳤고, 적절한 도서 선정을 위해 독서량이 많은 저학년 학생에게 흥미있는 도서를 추천받아 목록을 변경함으로써 수업태도가 좋아졌다. 두 번의 수정을 통해 신체운동지능 활성화 독서프로그램이 다듬어지면서 학생들이 수업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큰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수업 전에는 독서알림판을 활발히 이용하여 제시된 낱말게임을 하고, 음성 스티커를 통해 학습할 도서를 미리 들어봄으로써 줄거리에 대한 이해가 높아졌다. 수업에서는 주제와 관련된 경험을 이야기하고 진지하게 질문하며 아이디어를 제시하였고, 능숙하게 목표단어를 찾아 녹음 포트폴리오를 만들며 학생이 주도적으로 수업을 이끌었다. 이 연구에서는 프로그램 전․중․후에 단어읽기검사, 전․후에 독서태도검사, 매 회기 녹음 포트폴리오를 기록하여 성취도를 파악하였다. 검사 결과 지적장애 학생들의 단어 읽기 능력은 실행 전·중·후 11점부터 최고 30점까지 평균 18점의 향상 되었고, 독서 태도 검사 결과 신체운동지능 활성화 독서프로그램 전․후 8점부터 최고 32점까지 평균 17점의 향상을 보였으며 녹음 포트폴리오 결과 목표단어 50개 중 8개 부터 47개 까지의 단어를 읽을 수 있었다. 정현의 단어 읽기는 73.3, 86.6, 90점으로 발전하였고 독서 태도는 55점에서 68점으로 향상 되었으며, 발음이 좀 더 분명해졌고 수업 중 사용한 도서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가 형성되었다. 유미의 단어 읽기는 26.6, 43.3, 56.6점으로 향상 되었고, 독서 태도는 67점에서 78점으로 향상되는 과정에서 단어 읽기와 암기력이 좋아져 추후 자음-모음 결합을 병행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았다. 기질적인 언어장애를 보이는 강산이는 단어 읽기 46.6, 66.6, 56.6점, 독서 태도 55, 68점으로 향상되었으며 발음 교정에 초점을 둔 프로그램이 아니었음에도 스스로 천천히 한 글자씩 발음하는 방법을 습득하였다. 미정이는 단어읽기 13.3, 23.3, 30점, 독서 태도 44, 76점으로 향상되었으며 기존에는 그림카드만 읽을 수 있었으나, 독서프로그램 적용 후 처음으로 단어카드를 보고 읽게 되는 질적 변화를 이루었고, 소극적이며 말이 없던 태도에서 적극적으로 읽기 수업에 참여하고 의견을 표현할 수 있었다. 이 연구결과 신체운동지능을 활용한 독서지도가 지적장애 학생들의 단어읽기 능력과 독서태도에 효과적이었다. 또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대상과 학습자료의 정확한 이해를 기반으로 끊임없이 수업을 재구성하는 것이 필요함을 인식하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지적장애 학생이 강점을 보이는 다중지능 영역을 파악하여 수업 활동에 활용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임을 알게 되었다. *주요어: 다중지능, 강점기반교육, 신체운동지능, 독서교육, 단어읽기, 지적장애 *본 논문은 2014년2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