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체육전공 대학생의 응급처치법에 관한 지식수준과 실태 및 인식 조사

        윤원규 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체육 관련학과 대학생들의 특성상 일상생활, 생활체육, 학교수업, 운동실기, 미래의 지도자, 직업으로 연계하는 일련의 과정이 모두 상해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이에 대한 대처가 부족하거나 부재하다면 개인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위기가 되거나 문제가 된다. 그래서 사전에 예방하거나 올바르게 아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배경요인으로는 체육 관련학과 전공학생들의 학년, 대학 소재지 이다. 학생들의 응급처치법에 관한 지식수준과 응급처치법 교육 유·무, 응급처치법 내용, 응급처치법 교육과 필요성, 응급처치법 교육에 대한 요구도 등을 알아보고, 본 연구에서 체육 관련학과 전공학생들의 지식수준, 실태, 인식을 조사하여 학생들의 응급처치법 능력 향상을 도모 하고자 한다. 체육교사, 중·고등학생, 생활체육인, 농총지역주민, 산업근로자, 대학생 등을 대상으로 하는 선행연구는 있었으나 체육 관련학과 대학생들에 한 하여 연구되어진 적이 없다. 본 연구대상자는 체육 관련학과 재학생들로 한정 하였다. 자료 수집은 서울, 경기, 인천, 충청, 전라, 부산 지역의 소재 대학 중 체육관련 학과가 있는 곳으로 선택적 표본 추출하여 665부의 자료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수집된 자료처리는 SPSS 13.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를 산출하였으며 구체적인 자료처리 방법은 응급처치법에 관한 지식수준 요인별, 교육 유·무 요인별 평균(M)과 표준편차(SD)를 산출하였고, 전체 점 수에 대하여 학년별, 대학 소재지별 평균(M)과 표준편차(SD)를 산출하였다. 체육 관련학과 대학생들의 교육 유·무, 학년별, 대학 소재지별로 응급처치법 실시를 위한 지식과 실기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t-검정과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고, 사후분석(Scheffe)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실태 및 인식에 관한 빈도 분석을 하였다. 이 연구는 체육 관련학과 전공학생들의 응급처치법에 관한 지식수준, 응급처치법 교육내용과 응급처치법 교육이 왜 필요한지에 대해 알아보고 체육 관련학과 전공학생들의 응급처치법 교육과 관련해 추가 또는 보완해야 할 사항에 대해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결과 응급처치법에 관한 전체 지식수준 평가 평균은 지식점수 100점 만점 환산점수 47.5점, 실기점수 45.4점, 총점수 46.4점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다. 지식점수가 교육받은 학생 50.0점이 교육받지 않은 학생 44.6점보다 높게 나타났고, 실기점수에 대한 분석 결과도 교육받은 학생 50.0점이 교육받지 않은 학생 40.2점보다 높게 나타났다. 총점수에 대한 분석 결과도 교육받은 학생 50.0점이 교육받지 않은 학생 42.4점 보다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하나 교육받은 학생도 평균점수가 낮은 수준을 보였다. 본 연구의 또 다른 결과로 학년에 따라서 지식점수, 실기점수, 총점수 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3학년이 점수가 높고 1학년, 2학년은 점수가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또 다른 결과로 대학소재지에 따라서 지식점수, 실기점수, 총점수 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서울, 경기, 인천지역이 점수가 높고 부산, 충청, 전라지역은 점수가 낮게 비교되었다. 체육 관련학과 대학생들의 응급처치법 교육의 실태를 보면 54.4%가 교육 을 받았고 45.6%가 교육을 받지 않았다. 조사대상 90.6% 응급처치법을 배울 계획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급처치법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과 이유는 응급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필요하다 44.2%, 나와 주변 사람들을 돕기 위해 필요하다 26.6%, 사고예방을 위해 필요하다 13.1%, 상식이니까 필요하다 7.5%, 필요를 느껴 본 적이 없다 6.2%, 취업에 도움이 되니까 필요하다 1.6%, 기타 0.8% 순으로 나타났다.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내용과 배우고 싶은 분야는 호흡·심장정지, 기도폐쇄, 골절, 탈구, 염좌, 강직, 갑작스런 질병(당뇨, 천식, 실신, 발작) 순서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체육 관련학과 대학생들의 응급처치법 교육 유·무와 학년별 그리고 대학소재지별 응급처치법 지식수준, 실기수준에 대하여 알아보았으며, 응급처치법 교육의 실태와 응급처치법 교육의 필요성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그러므로 응급처치법에 대해 체육 관련학과 대학생들이 쉽게 접하여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형식적인 교육이 아니라 응급처치법의 필요성에 대한 동기부여와 지식, 실기능력수준 향상을 위하여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응급처치법 프로그램을 개발 하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knowledge for the First Aid and to examine recognition and actual condition for it of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665 undergraduate students who majored in physical education and went to college in Seoul, Gyeonggi Province, Incheon, Busan, Chungcheong Province, and Jeolla Province. They responded to knowledge test for Frist Aid and questionnaire using the self-administered method. Collected data were computed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lso, it carried out t-test and one-way ANOVA in order to verify the difference of the knowledge level for the First Aid depending on educational experience, student grade and college loc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n terms of the knowledge level for the First Aid, 1) The knowledge level for the First Aid of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was very low. 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knowledge level for the First Aid as a function of educational experienc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educational course for it were more higher in the First Aid's knowledge score. 3)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knowledge level for the First Aid as a function of student grade. 3-grade-students was more higher socre than other grade students. 4)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knowledge level for the First Aid as a function of college location. Students who went to college in Seoul, Gyeonggi Province and Incheon were more higher score than that of Busan, Chungcheong Province, and Jeolla Province. In terms of recognition and actual condition of the First Aid, 1)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educational course for the First Aid were 54.4% of participants. 2) Students who are going to take part in educational course for the First Aid were 90.6% of participants. 3) Interesting field that participants like to learn among contents of the First Aid was shown to be in order of 27.6% for CPR and choking the action essentials in case of the urgent situation, 27.0% for fracture, dislocation and distortion, 5.5% for the injury caused by heat and cold, 20.7% for the frequently-occurring disease and 6.4% for poisoning.

      • 대학생의 진로교육이 진로장벽 및 진로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정민 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for helping the solution of university students’ career problems depending on the differences of the satisfaction in the classes, career barriers and self-efficacies of careers. Moreover, this research is showed how whether career education, the satisfaction in the classes affects the career barriers and the self-efficacies of careers. To solve the research project, this research paper follows to make three hypotheses. Hypothesis 1: The students who took the career education will have more gaps about career barriers and self-efficacies than other students who did not take the career educations. Hypothesis 2: The self-efficacies of careers will be obtained the meaningful gaps through the satisfaction of career education. Hypothesis 3: There will be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self-efficacies of careers depending on the satisfaction of career education. This research paper is to verify the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OVA analysis and muiltiful regression analysis as it executes examinations for the satisfaction of career education, career research problem and self-efficacies of careers. The target groups are total 75 number of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from 2nd year to 3rd year students in the range of Seoul. The research groups are 40 number of students who are taking the strategic classes for career and the statistical groups are 40 students who have same gender, grade and major and they are taking the similar groups. Moreover, the 35 students, who are studying in K University and have similar grade, gender and major, are the target groups in this research as well. First of all, it researched to get the differences of class satisfactions, career barriers and self-efficacies of careers on the demographical variables through t-test and ANOVA analysis. Next, Hypothesis 1 is examined by t-test and Hypothesis 2 and Hypothesis 3 are also examined by the correlation analysis to get the relations with career barriers and self-efficacies of careers. The result of above examinations is as below. In the case of the analysis of differences for career barriers, self-efficacies of careers and class satisfactions on the demographical variables, the partly differences are showed by gender and major. The class satisfactions and self-efficacies of careers of female students are lower than that of male students. Furthermore,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for career barriers and are higher than male and Natural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a preliminary and after group examinations and verifications for the effects, secondly, it is examined that the career educations are useful methods to reduce the career barriers. However, the self-efficacies of careers is not statistically showed but the average is more increased than before the education. Thirdly, it is also verified that the self-efficacies of careers will be lower than expectation if the students have higher satisfactions about the teaching level of professors. As a result of above verification, it is suggested that the professional career education will be necessary to satisfy students' needs. On the other hand, the lack of interests among the variables of career barriers affect only for the satisfaction of studying. It might be assumed that the satisfaction and class attitudes of students will be able to increase if good class curriculums are included by the career education. Fourth, the professional satisfaction of career education gives statistical meaningful effects the career information. It means that students will have more abilities to search career information than before if the satisfaction about lecture curriculum in career education and teaching method of professors. Because of that,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courses and giving professional education will be necessary to the students. Firstly, as a result of the research paper, the career barriers which can disturb the goal for careers is not statistically meaningful compared to the statistical groups so that it is relevant to verify the efficiency of the career education. Secondly, the career barriers and self-efficacies of careers may be different from gender, grade and major according to the demographical variables of grade, gender and major so emphasizing the significance about career consultation and different career education are necessary. According to the relations with satisfaction of career education, career barriers and self-efficacies of careers thirdly, it might be assumed that the research data will be helpful to make a career education program for students and emphasizing the development of operating methods for career education as basic inform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교육이 대학생들의 진로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대학생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라 수업만족도와 진로장벽, 진로자기효능감에 차이가 있는지, 진로교육 실시 여부와 진로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진로장벽과 진로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 세 가지의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가설 1. 진로교육을 받은 집단은 받지 않은 집단에 비해 진로장벽, 진로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연구가설 2. 진로교육에 대한 수업만족도에 따라 진로장벽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연구가설 3. 진로교육에 대한 수업만족도에 따라 진로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소재의 4년제 K대학교 2~4학년 학생으로 남․여 학생들이며 실험집단은 취업전략 수업을 받고 있는 대학생 75명, 통제집단은 같은 대학의 학년, 계열, 성별이 비슷한 교양 수업을 듣는 학생 40명과 타 대학인 서울 소재의 4년제 K대학교 학생 중 학년, 계열, 성별이 비슷한 35명을 대상으로 진로교육만족도검사, 진로탐색장애검사, 진로자기효능감검사를 실시하여 상관분석, t검증 및 ANOVA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인구통계학적변인에 따른 수업만족도, 진로장벽, 진로자기효능감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t검증 및 ANOVA분석을 통해 검증하였고, 수업만족도의 하위변인인 학습자만족도, 교수만족도와 진로장벽, 진로자기효능감 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다. 다음으로, 진로교육의 프로그램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t검증을 통해 가설 1을 검증하였고, 진로장벽, 진로자기효능감에 대한 수업만족도의 영향력을 알아보기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가설 2와 가설3을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변인에 따른 진로장벽과 진로자기효능감, 수업만족도 차이분석에서 성별, 전공 계열에 따른 부분적 차이가 있었다. 성별에서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수업만족도와 진로자기효능감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자연 계열보다 인문․사회 계열이 진로장벽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검증을 통해 진로교육이 진로장벽 및 진로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는데, 진로교육이 진로장벽을 떨어뜨리는데 효과가 있다는 점이 검증되었다. 반면, 진로자기효능감의 경우 교육 전과 비교하여 평균은 상승하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는 나오지 않았다. 셋째, 진로교육의 수업만족도가 진로장벽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수업 내용 및 교수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진로장벽을 낮게 지각한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이러한 검증 결과 학생들이 만족할 수 있는 전문적인 진로교육을 해야할 필요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반면, 진로장벽의 하위요인 중 흥미부족은 학습자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학생의 수업태도나 만족도가 낮은 경우 자신이 어떤 일에 흥미가 있는지 모르거나 일에 대한 흥미가 낮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진로 교육 안에 동기부여를 할 수 있는 수업 내용을 첨부한다면 학생의 수업태도와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넷째, 진로교육의 교수만족도가 진로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직업정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진로교육의 강의 내용 및 교수 방법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 경우 자신이 원하는 직업 정보를 탐색할 수 있는 능력이 높다는 점에서 학생들이 만족할 수 있는 교육과정개발 및 전문적인 교육을 해야할 필요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첫째, 진로와 관련된 목표를 달성하는데 방해하는 요인인 진로장벽이 진로교육 실시 후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떨어졌다는 점에서 진로교육의 효과성을 증명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둘째, 성별, 학년, 전공계열 등의 인구통계학적변인에 따라 진로장벽과 진로자기효능감, 수업만족도에 차이가 있는 만큼 학년, 성별, 계열에 따라 차별화된 진로교육이 필요하고 더불어 진로 상담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세 번째로, 진로교육 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진로장벽, 진로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검증을 통해 학생들이 만족할 수 있는 진로교육 운영방법 개발의 중요성을 강조함으로써 대상자 중심의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만드는데 기초 자료로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 된다.

      • 7차 교육과정 실업계 고등학교 컴퓨터 교과 분석

        조광래 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663

        21세기는 지식이 주도하는 정보화 사회로 컴퓨터의 역할이 커지고 있으며 학교 교육에 있어서도 컴퓨터 교육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특별히 제 7차 교육과정에서는 정보화 사회에 대비한 창의성, 정보 능력 배양을 위해 컴퓨터 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정보화 사회에 적응하고 산업 현장의 각 분야에 종사할 기능인을 양성하는 직업 준비 기관인 실업계 고등학교에서의 컴퓨터 교육은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7차 교육과정이 개편됨으로 인해 실업계 고등학교 계열별 필수 교과로 이수토록 신설된 컴퓨터 교과인 농업 계열의 ‘농업 정보 관리’, 공업 계열의 ‘정보 기술 기초’, 상업 계열 및 가사·실업 계열의 ‘컴퓨터 일반’, 수산·해운 계열의 ‘수산·해운 정보 처리’ 과목의 교과 내용과 교과서를 분석, 비교하였다. 7차 교육과정 실업계 컴퓨터 교과는 컴퓨터의 활용 능력을 습득하는데 비중을 두고 있으며 정보화 사회에 능동적으로 대처 할 수 있도록 정보와 인터넷 부분을 강화하였다. 실업계 컴퓨터 교과가 200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진로탐색과정의 필수 과목으로 지정됨으로써 교사와 학생들의 관심도 많아졌다. 계열별로 특성 있는 교과로 나눔으로써 전문성을 향상시켰다.

      • 부모와 교사 집단의 장애아동 사설 재택·순회교육에 대한 욕구와 만족도 비교

        한정희 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647

        현재 우리나라에서 시행되는 특수교육 서비스는 크게 특수학교․특수학급․통합학급․순회교육의 네 가지로 분류된다. 순회교육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재택․순회교육은 특수교육 서비스 중의 하나로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는 장애 연령이나 정도에 상관없이 시행되는 제도로 긍정적으로 평가 받고 있다. 이제까지의 선행 연구들은 학령기의 특수학교 중심의 재택․순회교육에 관한 결과가 그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취학 전을 포함하는 다양한 연령대와 일반학급에 통합되어 있는 지금까지의 재택․순회교육에서도 소외된 장애아동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사설 재택․순회교육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시행되었다. 현재 사설 재택․순회교육을 받고 있는 아동의 부모와 실시하고 있는 담당교사를 대상으로 기초사항과 장애아동 사설 재택․순회교육의 현황에 따른 욕구․만족도에 관한 선택형 항목과 개선점에 관한 자유 기술형 항목으로 설문지를 작성하여 배포하였다. 회수된 부모집단 22명과 교사집단 20명의 설문지 자료 중 선택형 항목을 부모와 담당교사로 구분하여 문항의 영역별 특성에 따라 분류, 입력(cording)하고 이를 SPSS/PC Version 12.0에 의해 통계처리 한 후 분석하였다. 자유 기술형 제시 항목에 대한 내용은 지속적 비교 방법(constant-comparative methodology)으로 분석하였다. 장애아동 사설 재택․순회교육에 대한 부모와 담당교사의 욕구 및 만족도 비교․분석에 관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아동 사설 재택․순회교육 대상 부모와 담당교사 두 집단 간의사설 재택․순회교육의 필요성, 담당교사의 자격(경력)․연령대, 교육 요일, 1회 교육 시간, 수업 방법, 중점지도 영역, 부모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욕구는 동일하게 나타났다. 둘째, 장애아동 사설 재택․순회교육에 대한 부모와 담당교사의 욕구에서는 교육 시간대․주당 교육 횟수․효율적 운영을 위한 필요 사항 등에서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지만 차이점을 보였다. 셋째, 장애아동 사설 재택․순회교육에 대한 부모와 담당교사의 만족도에서는 교육비에 대한 부모의 의견이 비싸다고 나타난 것을 제외하고는 두 집단간의 만족도 비교에서도 역시 유의한 차이점이 없었다. 넷째, 장애아동 사설 재택․순회교육의 개선 방향에 있어 부모는 국가의 교육비 지원과 교사인건비 지원, 교육기관의 확대 등을 제시한 반면에, 담당교사는 평가도구 및 교재교구의 지원, 보수교육을 통한 전문성 확립 등을 더 강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의 제언이 이루어졌다. 첫째, 장애아동 사설 재택․순회교육의 교육시간과 주당 교육 횟수, 효율적 운영에 따르는 필요사항의 차이점으로 보아 추후연구가 시행되어야 한다. 둘째, 부모집단의 교육비가 비싸다는 의견으로 보아 장애아 가족지원 측면에서 교육비의 제도적인 체계와 장치를 마련하여야 된다. 셋째, 장애아동 사설 재택․순회교육의 질적인 보강을 위하여 교사의 처우개선, 평가도구 및 교재교구의 지원, 보수교육 등이 제도적으로 뒷받침되어야 한다.

      • 프랜차이즈 산업에서 가맹점 교육의 혼합학습 구성에 대한 학습자 요구분석

        김수영 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47

        우리가 무심코 지나치거나 혹은 이용하고 있는 점포 중에 프랜차이즈를 찾기란 이제 더 이상 어려운 일이 아니다. 백화점, 마트, 전자제품 판매점처럼 대형 프랜차이즈형태가 있는 반면 우리 생활과 밀접하게 연결되어있는 청소, 이사, 세탁, 이미용, 청과 분야까지 하나의 경영기법을 바탕으로 사업을 운영하는 프랜차이즈 산업은 점차 세분화 되고 다양화 되고 있다. 그만큼 프랜차이즈 산업의 종사자의 수도 늘어나고 지역적 분포도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이제는 국가차원에서 해외진출 지원까지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프랜차이즈 산업의 핵심은 일관성유지에 있다. 소비자가 어느 곳의 점포를 방문하더라도 같은 서비스를 접하고 사업자는 같은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하지만 프랜차이즈가 단순한 종속관계가 아니라는 점을 감안할 때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본사와 가맹점간의 신뢰와 적극적인 지원이 있어야 하고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다. 하지만 교육내용 자체가 경영기법이고 고유기술이기 때문에 범용적인 사용이 불가능하고 전통적인 교육방식인 집합교육이나 슈퍼바이저의 방문지원으로는 교육의 효과가 미미하며 소요되는 시간도 길어질 수밖에 없어 이에 대한 대안으로 온라인 교육과 오프라인 교육을 결합한 혼합학습(Blended learning)이 요구된다. 실 예로 새로운 서비스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고자 할 때 1,000개의 가맹점을 50개 점포 단위로 소집교육으로 진행하게 될 경우 소요될 기간과 비용, 인력을 생각해 본다면 더욱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어쩌면 교육이 끝날 때쯤 새로운 서비스에 홍보기간이 끝나갈 지도 모를 일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프랜차이즈 산업의 효율적인 교육을 위한 혼합학습 구성을 위해 학습자인 가맹 점주들의 요구를 분석하고 온라인 교육을 도입할 경우 어떤 요인이 온라인 교육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는지 알아보고 혼합학습 구성을 통해 실제 교육현장에서 교육과정개발이나 교육운영 전략 수립 시 실증적 자료로써 도움을 주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세탁 프랜차이즈를 운영하는 C사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학습자의 의견과 운영기간, 온라인 교육의 기대감, 컴퓨터 활용 능력 등의 조사를 통한 학습자의 현황을 파악하고 혼합학습의 효과적인 적용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크게 다음과 같이 나누어진다. 첫째, 현재 교육의 만족 및 체계구성에 대한 요구는 어떠한가? 둘째, 가맹점 운영 기간에 따른 교육 구성에 대한 요구는 어떠한가? 셋째, 교육과정에 따른 교육방법에 대한 요구는 어떠한가? 넷째, 학습자 변인에 따라 온라인 수업에 대한 기대감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가맹점의 운영기간, 현 교육의 만족도, 교육과정의 중요도, 컴퓨터 활용능력, 온라인 교육 기대감등 다양한 분야의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884부의 설문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 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교육의 만족도는 보통이상으로 나타났으나 소집교육에 대한 부담감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집교육을 통한 교육보다 온라인을 통한 교육을 제공하면 교육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하겠다는 의견이 나타났으며 현재 가장 필요한 교육으로 운영 지식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습자가 인식하는 교육과정에 대한 중요도를 살펴보면 운영지식과 고객응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맹점 운영이 안정화 되고 단골고객의 형성 및 노하우를 통한 경영방식이 어느 정도 수립되어 고객응대에 대한 교육의 중요도가 낮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현재 운영기간에 따른 교육 참여의지와 온라인 교육에 대한 기대감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과정별로 교육방법에 대한 요구를 분석해본 결과 전 과정에서 온라인을 통한 교육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교육에 대한 부담감과 더욱 빠른 정보전달 차원에서 학습자가 요구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나 실제 각 과정에 따른 적합한 교육 방법에 대한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넷째, 학습자의 컴퓨터 활용능력과 이전 온라인 교육경험에 따라 온라인 학습 기대감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학습자의 컴퓨터 활용 능력과 온라인 학습 경험은 온라인 교육 기대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컴퓨터 활용 능력이 높은 집단일수록 온라인 교육에 대한 기대감이 높고, 온라인 학습 경험역시 온라인 경험이 많을수록 온라인 교육 기대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컴퓨터 활용 능력과 이전의 온라인 학습 경험을 통해 정보의 취득에 대한 자신감이 있고 온라인을 통한 학습 시 학습의 편리성과 효율성에 대해 이미 경험하였기 때문에 아직 적용되지 않은 온라인 학습에 대한 기대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가맹점 운영기간이 길수록 컴퓨터 활용 능력이 좋을 것이라는 예상과는 달리 가맹점 운영기간이 길수록 연령이 높고 컴퓨터 활용 능력은 낮게 나타났다. 이는 최근 2~3년간 강화된 전산교육의 영향과 취업난, 소자본 창업의 붐 등 젊은 층의 유입과 맞물려 3년 이상 운영한 집단의 컴퓨터 활용능력이 더욱 낮고 연령대도 높게 나타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 효과적인 혼합학습 적용을 위해서는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하여 운영 기간에 따른 교육과정 개발과 교육운영 방식을 수립해야 하며 학습자의 컴퓨터 활용 능력을 강화하는 교육을 선행해야 한다. 또 사전에 온라인을 통한 학습 경험을 제공하면 온라인 교육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감을 가질 수 있어 교육의 효과성을 높이는 촉진제가 될 수 있다. 도출된 결과에 따라 선행학습을 실시하고 혼합학습을 실시한다면 학습의 성과는 더욱 높아질 것으로 생각된다. It is no longer difficult to find a franchise among the stores we casually pass by or shop at. While there are large franchise businesses like department stores, hypermarkets and electrical appliances sales stores, the franchise industry has been increasingly segmentized and diversified on the basis of its single management technique covering such fields as cleaning, moving in/out, laundry, beauty care and fruits & vegetables, all closely connected to our everyday life. This has led to the growing number of employees in franchise businesses, gradually widening regions and further making push into the overseas market at country levels. The key to the franchise industry lies in its consistency. Consumers who drop by any store location should get the same service that the franchiser provides. Taking into account that a franchise is not a mere superior-subordinate relationship, keeping consistency is difficult. This becomes possible through trust between the franchiser and the franchisee, a full support and continual education. However, as education content itself is management techniques and unique technology, it cannot be used universally, on the other hand,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or supervisor's visit and support programs - known as conventional education methods - have little effect and inevitably take long time. So, as an alternative, there is a need for a blended learning which combines online and face-to-face approaches. For example, it would help understand far better if you consider a period of time, expenses and working force that will be required for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making up groups of 50 in 1,000 franchisees, when needing to serve education on new services. Perhaps, the period of promotional activities for the new services has been ending, by the time the program is about to finish.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mands of franchisers as a learner to make up a blended learning for efficient education of the franchise industry, look into what factors can raise online learning effects when adopting online education programs, and to give help, as positive data, to developing educational curricula or establishing education operational strategies in the education field, by means of the composition of a blended learning. To support this, "C", a cleaning franchisee, was selected for the study, followed by a questionnaire survey to grasp a learner's status and seek ways for efficient applications of a blended learning, through the survey questions including learner's opinions and operating period, expected effects of online education programs, and computer use skills. This study is largely divided into the following issues : First, what is it like in terms of demand for satisfaction with current education and its system composition? Second, what is it like in terms of demand for educational composition by the franchisee's operating period? Third, what is it like in terms of demand for curriculum-based educational methods? Fourth, what differences do learner variables bring regarding expected effects of online instructio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investigations were conducted over multiple fields, such as the franchisee's operating period, satisfaction with current education, importance of curriculum, computer use skills, and expected effects of online education. A total of 884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as a result. Based on this, the following show the study findings and suggestions concerning the research problem. First, satisfaction with current education was above average but the burden on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was high. Some respondents presented opinions that they would spare more time on education once provided with more online learning opportunities than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For the most necessary education at present, the majority of respondents stated the need for operating knowledge. Second, looking into the importance as to the curriculum in learner's recognition, a significant difference came out between operating knowledge and customer service. It appears that importance of education regarding customer service became low because franchise operation was stabilized, regular customers were secured, and management methods through practical knowledge were established to some degree. No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education by the current operating period and expectations for online education. Third, an analysis of demand for educational methods by individual curricula indicated online education had the highest figure throughout the process. This may mean it is a learner who asks for it in terms of the burden on education and more prompt information delivery. But discussions seem to be made over appropriate educational methods according to each of the actual processes. Fourth,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expected effects of an online learning according to a learner's computer use skill and previous online learning experience. The learner's computer use skill and previous online learning experience have affirmative impacts on expected effects of an online learning. The survey results showed a group more capable of computer use skills gave higher expectations of the online learning, and a group with more online learning experience also provided higher expectations of effects in online education. Perhaps, this puts affirmative impacts on expected effects of an online learning that has not yet been applied, since there was confidence about acquiring information through computer use skills and previous online learning experience, and experience was already obtained regarding convenience and efficiency in learning online. However, unlike the expectations that a longer period of franchise operation would lead to better computer ability, a longer period of franchise operation returned with older age and low computer usability. Associated with the influence of strengthened computer education in recent 2 - 3 years, unemployment crisis, and the influx of young educated adults in a boom of business startup with small capital investment, this findings presented a group operating for over 3 years, far lower in computer use skills and higher in age group. In conclusion, to apply the blended learning efficiently, curriculum development and educational operation methods according to an operating period should be established in consideration of a learner's level, and education to reinforce a learner's computer ability should be preceded. In addition, online learning experience should be provided to make sense of the efficiency in online education. Learning performances are believed to rise substantially if a preceding study and a blended learning are carried out based on the conclusion drawn.

      • 장애유아 통합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수정 현황과 교사 인식

        홍수진 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47

        장애유아 통합교육은 장애를 지닌 유아들이 장애를 지니지 않은 또래들과 함께 보육시설 등의 기관에서 함께 생활하고, 느끼고, 경험하며 교육 받는 것 즉, 일반유아들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 안에 장애유아들을 함께 배치하여 교육하는 것이다(조윤경, 1998). 이때, 함께 교육하는 것은 장애유아를 물리적으로 같은 환경에 배치한 후, 장애유아에게 필요한 교육적, 사회적, 환경적, 복지적 서비스를 최대한으로 제공해야 할 것이다(서미경, 2010). 장애유아는 통합 환경에서 일반교육과정 접근에 어려움이 있으며 의사소통, 사회성, 행동들에 특별한 요구를 가지고 있기에, 일반유아교육과정의 발달에 적합한 실제와 특수유아 조기교육의 개별화 교수가 서로 수정, 혼합의 과정을 가져야 한다고 제안하고 있다. 개별화 프로그램은 교실의 교육과정을 대신하거나 진행되는 활동에 유아의 참여를 제한해서는 안 되며, 진행되는 활동과 일과 안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개별화 교육 프로그램을 계획하는 과정에서부터 장애유아가 일반교육과정에 적절하게 참여하기 위한 수정에 대한 계획이 고려되어야 한다(김지영, 2009). 따라서 장애유아가 교실 안에서 온전한 참여를 위해서는 장애유아의 특별한 요구에 맞는 적절한 교육과정 수정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장애통합 어린이집 통합반 교사를 대상으로 장애유아를 위한 교육과정 수정 현황과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장애통합 어린이집 통합반에서 장애유아를 위한 교육과정 수정의 현황은 어떠한가? 둘째, 장애통합 어린이집 통합반에서 장애유아를 위한 교육 과정 수정의 적용 실태는 어떠한가? 셋째, 장애통합 어린이집 통합반에서 장애유아를 위한 교육과정 수정 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장애통합 어린이집의 통합반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는데, 선행연구를 수정·보완하여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장애유아를 위한 교육과정 수정의 현황은 장애유아의 현행수준을 잘 파악하고 있고, 수정계획안도 사전에 체계적으로 계획하여 적절한 교육과정 수정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유아를 위한 교육과정 수정에 대한 적용 실태는 교사들은 장애 유아를 위하여 필요한 많은 지원들을 하고 있는 것으로 들어났고, 각 문항마다 나온 점수는 각각 다르지만 5점 만점에 최소 3.52 이상의 평균을 나타났다. 그 중 교사지원이 평균 ‘4.43’으로 문항 중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장애유아를 위한 교육과정 수정 운영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교육과정 수정이라는 용어에 대해 97%이상의 교사가 보통 이상의 이해를 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교육과정 수정이라는 용어가 낯설거나 어려운 용어가 아니고 현장에서 적절하게 적용 되어 긍정적인 결과를 얻고 있는 것이라 볼 수 있겠다. 대부분의 장애전담교사들은 장애유아의 현행 수준을 잘 파악하고 있고, 교육과정 수정을 위해 동료 교사들 간의 협력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장애유아를 위한 교육과정 수정은 사전에 체계적으로 계획하여 장애유아의 최대한 참여를 위하여 최대 촉진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구사항으로는 ‘학급당 인원수 감소,’ ‘교육과정 수정을 위한 연구 시간 부족’, ‘참관 및 실습’ 형태의 연수 과정을 요구한 것으로 나타났다. Inclusiv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s about arrang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a program targeted for general children for them to live, feel, experience, and receive education in a daycare center with children without a disability(Cho, Yoon Kyung, 1998). Here, educating them together requires to physically arrange children with disability in a same environment and provide necessary educational, social, environmental, and welfare services to them as much as possible(Suh, Mi Kyung, 2010). Children with disabilities have trouble in approaching general educational curriculum in an integrated environment and as they require special needs in communication, sociability, and behavior, this study suggests that appropriate practice for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for general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modification and mixing process by individualized instructors of early education for disability children are needed. The individualized program should not replace curriculum of classes or limit participation of children in activities, and needs to be conducted in activities and daily routine. Therefore, planning for modific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y to participate properly in general curriculum needs to be considered from the planning process of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Kim, Ji Young, 2008). Therefore, for complete participa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classes, appropriate curriculum modification would be necessary according to the special needs. Accordingly,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of curriculum modific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y and perception of teachers on teachers of integrated classes in inclusive daycare centers with special needs. To this end, this study set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First, what is the present condition of curriculum modific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integrated classes of inclusive daycare center? Secondly, what is the actual application condition of curriculum modific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integrated classes of inclusive daycare center? Thirdly, how are teachers perceiving the curriculum modific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integrated classes of inclusive daycare center?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eachers of integrated classes in the inclusive daycare center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used questionnaire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precedent studies. As a result, this study identified that the present situation of curriculum modific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had good understanding on the current level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proper curriculum modification is being conducted by systematically planning the amending plans in advance. For practices of curriculum modific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t was identified that teachers are providing a lot of support for disabled children, and points of each question were different but showed average of at least 3.52 on a five-point scale. Among them, the teacher support showed highest point of average ‘4.43’. For teacher's perception on the implementation of curriculum modification for disabled children, over 97% of teachers had above average understanding on the term 'curriculum modification' that the term, 'curriculum modification,' is not an unfamiliar or difficult word but is being appropriately applied on the field and making positive results. It was identified that most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d well understanding on the current level of disabled children and they were making smooth cooperation between teachers for curriculum modification. Also, curriculum modification for disabled children was making greatest promotion through systematical planning for maximum participation of disabled children. Requirements included teacher training for 'decrease in the number of students in class,' 'lack of research time for curriculum modification,' and 'observation and practice.'

      • 통합교육 현장에서 장애전담교사와 일반 보육교사의 협력에 관한 경험

        주찬미 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47

        In order to effectively manage integrated class in the cooperation-oriented space shared between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issue of cooperation is essential because both parties manage different curriculum in the same class. This study aims to inquire about the real requests of the teachers regarding the cooperation process and cooperation itself, based on in-depth interviews with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have had real experiences (past and present) in the field with integrated class in Centers of Special Needs Childcare. Based on this study purpose, the subjects for inquiry are as follows: 1. Under what circumstances do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choose their profession and manage integrated classrooms. 2. In Centers of Special Needs Childcare, under what performance process do general education teacher sand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 experience cooperation? 3. What kind of requests do the teachers have for a better cooperation plan? The study participants are composed of 3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3 general education teachers who all have working experience in the integrated class of Centers of Special Needs Childcare. Both parties have management experience of more than two years and also the experience of having worked as a general education teacher for more than two years. As a result, even though teachers have experienced inter-teacher cooperation in different integrated classes, they all present three points in common,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process of becoming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y were mainly motivated by the following reasons: advice or suggestions of some acquaintances, childhood dreams, positive experience of teaching practice at Childcare Centers, experiences of voluntary activities of the past, experiences with family members (there is an impaired member in the family), experience in a university club, personal preference of Childcare Center type, manager's own decision and natural opportunities. Second, in terms of positive experiences of inter-teacher cooperation, they have experienced efficiency in division of labor, more opportunities to communicate, sharing ideas and observation issues regarding children. While in terms of difficult experiences of inter-teacher cooperation, they mentioned examples such as: special education teachers feel as if the role has changed into a mere assistant teacher, unclear division of labor, lack of communication opportunities and difficult IEP sharing. Third, for better cooperation, both parties have expressed a need for improvement in the following areas: decreased proportion of teacher versus special needs child, opening of an on-line site for integrated classes, expansion of workshop and training opportunities, workshop for Childcare Center directors regarding integrated classes, equal incentive for both teachers and expansion of cooperation-related education opportunities. Based on the analysis of this study, the significant aspec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 Integrated Classroom is operating while communicating the opportunities are more or effective division of labor in cooperation with the positive experience was, IEP sharing and communication difficulties with the cooperation of negative experiences were. In addition, experience the cooperatio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 was necessary to support in a variety of institutional support and childcare center to a successful cooperation. Two teachers to try and promote the relationship by providing opportunities for dialogue between many important and, 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 for disabled children by reducing the rate and percentage of General Education Teacher for the general infant will need to operate. 일반 보육교사와 장애전담교사가 함께 협력하는 공간에서 효과적인 통합반 운영을 하려면 장애전담교사와 일반 보육교사 간 서로 다른 교육과정을 함께 운영해야 하기 때문에 협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장애통합어린이집에서 통합반 운영을 경험했거나 현재 경험하고 있는 장애전담교사들과 일반 보육교사들과의 심층면담을 통해 그들이 현장에서 겪었던 교사 간 협력에 대한 실제적인 경험을 들어보고, 협력의 과정과 협력과 관련한 교사들의 요구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전담교사와 일반 보육교사들은 어떠한 배경으로 직업을 선택하게 되고 통합반을 운영하게 되는가? 둘째, 장애통합어린이집에서의 장애전담교사와 일반 보육교사들은 어떤 실행과정으로 협력을 경험하는가? 셋째, 교사들이 보다 나은 협력을 하기 위한 방안으로 어떤 요구를 가지는가? 본 연구의 참여자는 장애통합어린이집의 통합반에서 현재 근무하고 있거나, 근무했던 경험이 있는 장애전담교사 3명과 일반 보육교사 3명으로, 통합반 운영경력 2년 이상을 포함한 보육교사 경력 2년 이상의 교사들로 선정하였다. 그 결과 교사들은 각자 서로 다른 통합학급에서 교사 간 협력을 경험했지만 크게 세 가지의 공통된 범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장애전담교사 및 일반 보육교사가 되기까지의 과정은 지인의 소개나 권유, 어릴 적 장래희망, 어린이집 실습의 긍정적인 경험, 과거 봉사활동 경험, 가족 관련 경험(가족 중 장애인이 있음), 지인의 권유, 과거 동아리 경험, 어린이집 유형에 대한 개인적 선호도, 운영자의 결정 및 자연스러운 기회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교사 간 협력을 경험하면서 교사 간 효율적인 업무분담, 많은 대화의 기회, 유아 관찰 관련 사항 공유와 관련한 협력의 긍정적인 경험을 하였고, 장애전담교사가 보조교사가 된 느낌, 불확실한 업무분담, 소통 기회의 부족, IEP관련 공유가 잘 되지 않은 것과 관련해서 협력의 어려움을 경험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더 나은 협력을 위하여 교사 대 장애 유아 비율의 축소, 장애통합 관련 온라인 사이트 개설, 교육의 기회 확대, 장애통합 관련 원장 교육, 동등한 인센티브 지급, 협력관련 교육의 기회 확대가 이루어졌으면 한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의 분석을 통해 본 연구의 의의를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장애전담교사와 일반 보육교사는 통합반을 운영하면서 소통의 기회가 많거나 효과적인 업무분담으로 협력의 긍정적인 경험을 하였고, IEP공유와 소통의 어려움으로 협력의 부정적인 경험을 하였다. 또한, 협력을 경험한 장애전담교사와 일반 보육교사는 성공적인 협력을 위해서 다양한 제도적인 뒷받침과 어린이집 차원에서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두 교사 간 많은 대화의 기회를 마련하여 관계 증진에 힘쓰는 것이 중요하고, 일반유아 대 일반보육교사의 비율과 장애전담교사 대 장애 유아 비율을 줄여서 운영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 통합 상황에서의 소집단 자연친화 교육활동이 장애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함순정 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47

        자연친화 교육은 유아들이 자연과의 조화를 통해 아름다움을 느끼고 생명을 소중히 여기며 공동체 속에서 서로 돕고 나누고 협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행복하게 어울려 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교육이다. 영‧유아기는 인성형성의 결정적인 시기로 어렸을 적 일반 유아와 장애 유아의 접촉 경험은 장애의 수용 가능성을 높여줄 수 있다. 장애 유아는 일반 유아의 모습을 모방하여 바람직한 행동을 배우며 일반 유아는 성인으로부터 받을 수 있는 편견이나 선입견에서 벗어나 긍정적이며 폭 넓은 인간관계를 형성하여 사회의 일원으로 성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애 유아들의 특별한 요구를 반영하여 자유선택활동시간에 역할놀이 영역, 언어 영역, 미술 영역에서 장애 유아의 시작행동과 사회적 상호작용의 변화와 유지를 살펴봄으로서 통합 상황에서의 소집단 자연친화 교육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장애 통합반에 소속되어 있는 만 5세의 지적 장애 3급의 여아 1명이다. 실험 설계는 단일대상연구로 상황간 중다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다. 실험절차는 기초선, 중재, 유지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통합 상황에서의 소집단 자연친화 교육활동 중재를 통하여 장애 유아의 시작행동과 사회적 상호작용이 기초선 기간에는 낮고 안정된 시작행동과 상호작용률을 보이다가 중재 기간에는 높은 수준으로 증가하였고 유지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 결과를 통하여 알 수 있는 논의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 상황에서 소집단으로 구성된 자연친화 교육활동은 교사의 개입과 구조화된 활동의 중재가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둘째, 혼자놀이를 주로 하던 장애 유아에게 자연물을 소재로 한 자연물이 장애 유아의 흥미와 관심을 유발하였기 때문이다. 셋째, 각 영역에서 이루어진 중재 활동은 협동놀이 활동으로 이루어졌으므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자연물에 관심 갖기를 보이며 시작한 시작행동은 또래에게 관심 갖기로 변화되어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사전활동으로 생태체험활동을 통하여 탐구하고 놀이한 자연물을 어린이집으로 가져와 각 영역에서 활동하였기 때문에 소재의 익숙함이 장애 유아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여섯째, 각 영역에서 이루어진 중재활동은 서로의 역할을 바꾸어가며 놀이하였으므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일곱째, 중재 시 같은 내용을 두 번씩 반복한 놀이 활동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여덟째, 각 영역에 제시되어 있는 놀잇감이나 교재 교구를 생태체험활동에 사용한 자연물 놀잇감과 혼합하여 활용하였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중재 내용이 장애 유아가 잘 알고 있거나 잘 할 수 있는 놀이 활동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는 제한점은 한명의 장애 유아를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그 결과를 모든 장애 유아들에게 일반화시키기에는 무리가 있으며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동시 간에만 실시한 중재이므로 효과적인 사회적 상호작용의 변화를 살펴보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본 연구는 장애 유아의 증가된 시작행동과 사회적 상호작용의 발생률을 측정한 것이므로 양적인 면만을 고려하고 있어 장애 유아의 시작행동 과 사회적 상호작용의 내용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관찰함에 있어 질적인 측면을 고려하지 못한 아쉬움이 있다. 또한 실험연구의 재료로 자연물을 많이 사용하게 됨으로써 자연보호의 의미와 생명존중의 교육적인 효과를 벗어나는 활동이 될 수도 있음을 알고 자연을 소중히 하는 마음을 유아들에게 심어줄 필요성이 있다. 추후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통합 상황에서의 소집단 자연친화 교육을 실외 활동과 실내 활동으로 구분 짓지 않고 유아의 생활 속에 온전히 자연이 들어올 수 있는 환경 구성이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 활동은 통합반에서 어린이집의 일과 중 자유선택활동시간에 3 영역인 역할놀이 영역, 언어 영역, 미술 영역에서만 소집단 자연친화 교육활동 중재를 실시하였으므로 그 외의 음률 영역, 쌓기 영역, 수 조작 영역에서의 연구도 가능하며 대집단활동에서의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 셋째, 자연친화 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유아교육기관 주변의 자연환경의 형성이 중요하다. 주변의 인위적인 자연환경이 아닌 자연스러운 생태 교육의 장이 마련되어 있을 때 교육적 효율성과 효과가 크게 나타날 수 있다. 넷째, 소집단 자연친화 교육활동의 교육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재료준비 및 활동에 대한 번거로움 등으로 인해 교사의 부담을 증가 시킬 수 있다. 유아교육기관장의 철학과 교사의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자세가 필요하며 다양한 인적, 물적 지원이 요구 된다.

      •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지의 변화과정에 따른 연구 동향 분석

        김진아 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47

        Special education in Korea have been establishing special education besides institution which treats relative service such as speech therapy and various treat specific handicaps like blindness and retardation. The number of thesis continuously increases by doing research activities around these various institutions. Since 1998 Korean Research Foundation has chosen possible registration or registration paper by evaluating each scientific journal on the purpose of domestic paper improvement. Evaluation of scientific journal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judges not only systemicity of scientific journal itself but also its academic specialty and value. After the 1990s with special education researches accumulated researches which examine research tendency of relevant field and present future them have increased analyzing them introduced in each scientific journal. But when we look into previous research, researches which consider scientific journal's process relevant special education are not sufficient. After the 1990s, as the research on the special education accumulated, researches that present future tasks which examine research tendency of relevant fields have been increasing. But when we look into the previous research, the researches that consider the process of scientific journal on relevant special education are not sufficient. Therefore this research was found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and analyzed the released research, 'Special Education Research', that is published by Korea Special Education Institution released scientific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the longest. To examine a research tendency of special education we analyze research object, subject and method divided period to prior to, possible and after registration in Korean Research Foundation. From the first publishment in 1977 to 2008, analysis result of 835 theses is following. First, researches for handicapped are mostly prior to registration but researches for handicapped and normal people are similar proportion to possible and after registration. Parents object researches of normal people are gradually increasing but compare to this, research on brothers and sisters’ raises its necessity of further research because there is only one research has shown. Second, as the result of research that is divided by age group, researches placed much emphasis on middle children group. However, researches that are targeted various age group from infants to adults has tested since 1992. Third, it shows that research on mental retardation announced mostly among the handicapped children in research category. Research on the blindness, hearing impairment, mental retardation, and developmental disorder hold the most portion of the research, however, handicapped categories are expanded by revising Special Education Promotion Law in 1994, 2005 and 2006. And after studies of the various disability categories were announced. Fourth, results of researches subject show that researches on instruction take the most part and researches on disorder characteristic take the second most part. Since right before the registration in 1995 to possible registration, period of registration, various research subjects publish in balance. Fifth, research methods of published research are various but they place too much emphasis on surveyable, documentary, experimental researches. Qualitative study methods have tried since prior to possible registration in 1998 and possible registration and after. At last, each learned journals in special education develops competitive power by establishing relevant institution and publishing various learned journals and succeed in qualitative growth. This thesis tries to examine a research tendency in scientific journals according to possible registration and period of registration. As the result, research shows that object, subject, and methods of the study gradually and variously change according to possible registration and period of registration. But this research has limitation that doesn't analyze whole special education so further study needs to study that have a matter whole learned journals in special education. Also source books must publish regularly such as a white paper that analyzes whole researches in special education and grasps developments and tendency. 우리나라 특수교육 분야에서는 특수교육 이외에도 언어치료와 같은 관련서비스 분야를 다루는 학회와 시각장애, 지체장애와 같은 특정 장애 범주를 다루는 다양한 학회가 창립되었다. 이러한 다양한 학회를 중심으로 연구활동이 이루어지면서 학술지에 수록되는 논문의 편수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한국학술진흥재단에서는 1998년부터 국내 학술지의 질적 향상을 유도하기 위한 목적으로 각 분야의 학술지를 평가하여 등재후보지 혹은 등재지로 선정하고 있다. 학술지에 대한 평가는 학술지 자체의 체계성뿐만 아니라 학술지에 나타난 학문의 전문성과 학문적 가치를 가늠하는 잣대가 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1990년대 이후 특수교육 분야의 연구가 누적됨에 따라 각종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을 분석하여 해당 분야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과제를 제시하는 연구들이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선행연구를 살펴볼 때 특수교육 관련 전문 학술지의 변화과정을 고찰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형편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창립되었고 가장 오랫동안 특수교육 분야의 학술논문을 발행한 한국특수교육학회의 학술지 「특수교육학연구」에 발표된 논문을 분석하였다. 특수교육 분야의 연구동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한국학술진흥재단에서 학술지의 질적 수준 향상을 유도하기 위하여 학술지를 평가하여 등재 후보 및 등재지로 선정하는 기준을 적용하여 등재후보 이전과 등재 후보시기, 등재 후 시기로 나누어 연구 대상, 연구 주제, 연구 방법을 분석하였다. 1977년 첫 발행된 창립호부터 2008년까지 「특수교육학연구」에 수록된 835편의 논문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 중 대상 특성에 따라 분석한 결과 등재 전에는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전체 연구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였으나 등재 후보지와 등재지로 선정된 이후에는 장애인과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비슷한 비율로 이루어졌다.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 중 부모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이에 비해 형제자매에 대한 연구는 한 편으로 나타나 형제자매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둘째, 연구 대상 중 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연령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등재 전에는 초등학생과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편중되어 이루어졌다. 그러나 1992년 이후 영아부터 성인까지 다양한 연령층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시도되었다. 셋째, 연구 대상 중 장애아동인 경우 장애 범주에 따라 분류한 결과 정신지체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이 발표되었다. 등재 후보 이전 시기에는 시각장애, 청각장애, 정신지체, 지체장애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대부분이었으나 1994년 특수교육진흥법의 개정으로 장애 범주가 확대되었고 등재 후보 시기 직전부터 등재 후보 시기와 등재지로 선정된 이후에도 다양한 장애 범주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발표되었다. 넷째, 발표된 논문의 연구 주제를 분석한 결과 교수법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장애 특성에 관한 연구가 두 번째로 많았다. 등재 직전인 1995년부터 등재 후보, 등재지 시기까지 다양한 주제의 연구들이 균형 있게 발표되었다. 등재 후보 이전의 시기에 ‘자폐아 교육 프로그램’과 같은 주제로 연구되었다면 등재 후보 시기 및 등재지로 선정된 이후의 연구에서는 ‘자폐아동과 어머니의 사회성 기술 증진에 미치는 어머니-매개 사회적 상호훈련방법의 습득 및 일반화 효과’, ‘중증 자폐 아동의 음성 및 비음성 의사소통 기술 습득과 관련 변인’과 같이 연구의 주제가 더 세분화되어 나타났다. 다섯째, 발표된 논문의 연구 방법은 다양하게 나타났으나 조사연구, 문헌연구, 실험연구에 편중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등재 후보 이전부터 등재 후보 및 등재지로 선정된 이후의 시기에 질적연구 방법이 시도되기 시작하였다. 여섯째, 관련 학회가 창립되고 다양한 학술지가 발행됨으로써 특수교육 분야의 각 학술지는 각각의 특성에 맞는 연구가 실행되고, 연령 및 주제 등이 다양화, 세분화됨으로써 질적 성장을 이루게 되었다. 본 연구는 학술지의 양적 팽창과 질적 향상을 보이는 등재후보 이전과 등재 후보시기, 등재시기에 따라 학술지에 수록된 논문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그 결과 분석한 논문의 연구 대상, 연구 주제, 연구 방법이 등재후보 이전, 등재후보, 등재지로 선정된 시점에 따라 점차 다양하고 균형 있게 변화해 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한 학술지만을 대표로 하였기 때문에 특수교육학 분야 전반을 분석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특수교육 분야의 학술지 전체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특수교육 분야의 모든 연구물을 분석하여 그 발전과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백서와 같은 자료집이 정기적으로 발행되어야 할 것이다.

      • 자녀교육관의 차이에 따른 예비부모와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조기교육인식

        신선혜 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예비부모와 만 3세부터 만 5세까지 자녀 즉,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가 가지고 있는 자녀교육관을 알아보고 그들이 생각하는 조기교육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에 관해 조사한 후 그들이 가지고 있는 자녀교육관에 따른 조기교육인식에 대해 비교 연구 함으로써 앞으로의 예비부모의 가치관 형성을 포함한 모든 부모의 자녀 교육관 정립과 조기교육의 올바른 방향을 위한 기초 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예비부모와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가 가지고 있는 자녀교육관은 어떠한가? 둘째, 예비부모와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가 가지고 있는 조기교육에 대한 견해는 어떠한가? 셋째, 예비부모와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가 가지고 있는 자녀교육관에 따른 조기교육에 대한 견해의 차이는 어떠한가? 넷째, 예비부모와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조기교육에 대해 바라는 방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결혼을 하지 않은 미혼 남녀와 결혼은 하였지만 자녀가 없는 예비부모, 유아교육기관에 다니는 5,6,7세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하였다. 예비부모와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자녀교육관을 조사하기 위해 이원영(1983)의 어머니 자녀교육관 및 양육태도와 유아발달과의 관계성 연구에서 자녀교육관 척도로 사용되었던 질문지를 기초로 삼은 김은경(2008)의 어머니의 자녀교육관에 따른 부모교육 프로그램 요구도 연구에서 재구성되어 자녀교육관 척도로 사용된 질문지 총 20문항을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고, 조기교육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질문지는 김승영(2003), 김재옥(2004), 박미란(2006), 이규련(2008), 김아름(2011)의 각 연구에서 사용된 조기교육 인식에 대한 질문지들을 수정 보완하여 본 연구에서는 14문항을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일원분산분석(One Way ANOVA), Duncan 검증, 교차분석, 검증, Pearson의 상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부모와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자녀교육관에 대해 알아본 결과, 예비부모의 연령, 학력, 전공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예비부모와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가 가지고 있는 조기교육에 대한 견해를 알아본 결과, 예비부모와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 모두 조기교육에 대해 ‘바람직하지 못하다’에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셋째, 예비부모와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가 가지고 있는 자녀교육관에 따른 조기교육에 대한 견해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전체적인 자녀교육관과 자녀교육관의 하위영역들은 조기교육에 대한 견해에 대해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예비부모와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조기교육에 대해 바라는 방향은 어떠한가에 대해 알아본 결과, 우선 관심정도에서는 예비부모와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 모두 ‘어느 정도 관심 있다.’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으며, 조기교육에 대한 시작 연령에 대해서는 예비부모,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 모두 만 5세 이상부터 시작하여야 한다고 하였다. 꼭 필요한 조기교육에 대해서는 두 집단 모두 창의성 교육과 제 2 외국어 교육을 선호하였으며, 조기교육 선택시 고려해야 할 사항에서 두 집단 모두 자녀의 적성이나 소질과 자녀의 발달의 적절성을 고려해야 한다고 하였다. 조기교육의 비용면에 대해서는 예비부모는 11만원에서 15만원사이,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는 6만원에서 10만원 사이를 적정한 비용으로 보았고, 조기교육을 담당하는 지도교사에 대한 자격으로는 두 집단 모두 유아교육 또는 아동학을 전공하고 조기교육과 관련된 자격증 소지자를, 조기교육이 이루어지는 시간과 장소에 있어서는 두 집단 모두 1주일에 2번씩 센터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선호하였다. 조기교육이 나아가야 할 시스템적인 면에서는 예비부모와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 모두 ‘유아교육기관에서 정규 교육시간에 이루어져야 한다.’에 내용적인 면에서도 ‘창의성 교육 내용이 들어갈 수 있도록’에 조기교육에 대한 문제점에서는 두 집단 모두 ‘소질과 적성을 고려하지 않은 채 무분별한 교육을 실행하고 있다.’에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자녀가 조기교육을 받고자 한다면 시킬 의향에 있어서도 두 집단이 ‘자녀의 의사에 맡긴다.’에, 조기교육을 원하지 않은 경우 대처 방안에 있어서 ‘그만두게 한다.’에, 앞으로 조기교육이 개선되어야 할 점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두 집단 모두 창의성이나 사회성 등의 인성개발에 관한 교육이 활성화 되어야 한다고 높은 응답을 보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예비부모와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자녀교육관이 예전의 성인 중심적인 자녀교육관과는 다르게 자녀의 의견을 수용하려하는 태도를 보이며 자녀들의 생각을 지지하려는 모습을 나타내었다. 앞으로도 이러한 연구가 계속되어 전국의 성인들의 자녀교육관에 대해 정립되어지는데 힘써야 하며 조기교육에 대한 무조건적인 수용보다는 나의 자녀와 잘 맞는지에 대해 한 번 더 생각해봄으로써 자녀가 진정한 즐거움 안에서 교육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해야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