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자기분화와 이성관계 만족도의 관계 : 갈등대처행동의 매개효과

        조은빈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기분화 수준과 갈등대처행동 그리고 이성관계 만족도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자기분화와 이성관게 만족도의 관계에서 갈등대처행동의 매개효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이성교제 중인 대학생 211명( 남: 91명, 여: 12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고, 측정도구로는 자기분화 척도, 갈등대처행동 척도, 이성관계 만족도 척도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자기분화 수준이 높을수록 이성관계 만족도가 높고, 자기분화 수준이 낮을수록 이성관계 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분화 수준이 낮으면 이성간 갈등상황에서 역기능적 갈등대처행동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자기분화와 이성관계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갈등대처행동의 매개효과도 검증되었다. 즉, 자기분화 수준이 낮은 경우 이성간의 갈등이 생겼을 때 상대방의 입장은 고려하지 않고, 자신의 입장만을 요구하는 역기능적인 ‘지배’ 갈등대처방식으로 인해 이성관계 만족도가 낮아지는 결과를 보인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앞으로 이성관계 불만족을 호소하는 대학생 내담자들에게 예방적 개입의 시사점을 제안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11년간 일개 대학병원에서 발생한 carbapenem-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와 pseudomonas aeruginosa 균혈증 환자의 임상적 특성

        조은빈 중앙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배경 : 최근 십 여 년 동안 carbapenem 내성 Acinetobacter baumannii (carbapanam-resistant A. baumannii, CRAB) 와 carbapenem 내성 Pseudomonas aeruginosa (carbapenem-resistant P. aeruginosa, CRPA) 은 눈에 띄게 증가하였으며 이로 인한 중증 감염도 매우 증가하였다. 이러한 균에 대한 치료법에도 많은 변화가 있었으나 이에 대한 장기간의 연구는 거의 없는 상태이다. 목적 : 본 연구에서는 한 대학병원에서 성인환자들에게 발생한 CRAB와 CRPA 중증 감염에 대한 치료와 이에 따른 임상 결과를 11년 간의 자료 분석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 2006년과 2016년 사이에 CRAB 또는 CRPA가 혈액배양 검사에서 분리된 16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시행되었으며 전자의무기록을 통해 연구 대상자의 나이, 성별, 기저 질환, 기저 상태, 균혈증 당일의 중증도, 혈액 검사 소견, 영상 자료, 항균제 치료, 임상 결과를 조사하였으며, 분리된 세균의 항균제 내성도 조사하였다 결과 : 연구 기간 동안 CRAB 균혈증 또는 CRPA 균혈증이 발생한 성인환자는 총 160명이었다 (CRAB 111명, CRPA 49명). 이중 절반에 가까운 환자가 14일 이내에 사망하였다(74명, 46.3%). 간경화 [Adjusted odds ratio (OR) = 10.66, 95% confidence interval (CI) = 1.78 – 63.96, p = 0.01]가 있는 경우와 Pitt bacteremia score 4점 이상 (Adjusted OR = 7.30, 95% CI = 1.52 – 35.18, p = 0.02) 인 경우 사망률이 증가하였으며 혈관내 카테터 감염 (Adjusted OR = 0.08, 95% CI = 0.01 – 0.54, p = 0.01) 과 3일 이내 적절한 항생제를 사용한 경우 (Adjusted OR = 0.11, 95% CI = 0.04 – 0.33, p <0.001) 사망률이 감소하였다. 2009년 이후부터 CRAB 균혈증이 CRPA 균혈증보다 많아졌다. CRAB 균혈증 환자들이 CRPA 균혈증 환자들에 비하여 패혈성 쇼크 (50.5% vs. 26.5%, p = 0.01)가 흔하게 발생하였으며 14일 이내 사망한 경우 (52.3% vs. 32.7%, p = 0.02)도 많았다. 2009년에 CRAB 균혈증 환자들의 80% 가량이 14일 이내에 사망하였으나 시간이 흐를수록 사망률이 점차 감소하는 양상을 보여 2012년 이후에는 40-60%까지 감소하였다. CRAB 균혈증 환자를 2006년과 2012년 사이에 발생한 환자들과 2013년과 2016년 사이에 발생한 환자들로 나누어 비교하였을 때 후자에서 최근의 약동학적 연구결과를 통한 높은 용량을 사용한 경우가 더 많았다 (80.6% of 36 vs. 47.1% of 17, p = 0.01). 결론 : 11년 간 CRAB 와 CRPA 로 인한 균혈증은 드물지 않게 발생하였으며 이로 인한 14일 이내 사망률은 매우 높았다. 적절한 항생제를 가능한 빨리 사용하며 감염 병소로 작용할 수 있는 침습적인 기구를 빨리 제거하는 것이 사망률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CRAB 균혈증 환자들에게는 높은 용량의 colistin 을 사용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 Within less than two decades, there were remarkable changes in the prevalence of carbapenem-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 (CRAB) and carbapenem-resistant Pseudomonas aeruginosa (CRPA) and in the clinical management of serious infections caused by those pathogens in clinical practice. However, long-term clinical experience of the infections has been rarely reported in the literature. Aim :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management of patients with serious infections caused by CRAB or CRPA and in their clinical outcomes, I investigated 11 year-data of adult patients with CRAB or CRPA bacteremia in a single tertiary care center. Patients and methods : Between 2006 and 2016, adult patients whose blood cultures had yielded monomicrobial CRAB or CRPA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nd their electronic medical charts were reviewed regarding demographics, underlying diseases or conditions, initial severity, antimicrobial resistances, and clinical outcomes. Results : During the study period, CRAB or CRPA bacteremia occurred in 160 adult patients (CRAB in 111, and CRPA in 49). Nearly a half of them died within 14 days (74, 46.3%). While liver cirrhosis [Adjusted odds ratio (OR) = 10.66, 95% confidence interval (CI) = 1.78 – 63.96, p = 0.01] and Pitt bacteremia score of ≥4 (Adjusted OR = 7.30, 95% CI = 1.52 – 35.18, p = 0.02) were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14-day mortality, central line-associated bacteremia (Adjusted OR = 0.08, 95% CI = 0.01 – 0.54, p = 0.01) and appropriate antimicrobial therapy within 3 days of bacteremia (Adjusted OR = 0.11, 95% CI = 0.04 – 0.33, p <0.001) were preventive factors. From the 2009, CRAB bacteremia outnumbered CRPA bacteremia. Patients with CRAB bacteremia more frequently had septic shock (50.5% vs. 26.5%, p = 0.01) and 14-day mortality (52.3% vs. 32.7%, p = 0.02) than those with CRPA bacteremia. In the period 2009-2012, 14-day mortality of patients with CRAB bacteremia increased nearly up to 80%. However, after 2012, the mortality decreased around the range of 40-60%. In the comparison of CRAB cases between the period 2006-2012 and 2013-2016, patients in the late period received higher doses of colistin based on recent pharmacokinetic data than those in the early period (80.6% of 36 vs. 47.1% of 17, p = 0.01). Conclusion : For about a decade, CRAB or CRPA bacteremia was not uncommon and the 14-day mortality rate was very high among patients with CRAB or CRPA bacteremia. Early administration of appropriate antimicrobial therapy and early removal of infected sources of bacteremia may prevent patients from fatality. Higher doses of colistin may be beneficial in patients with CRAB bacteremia.

      •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협력적 쓰기 교육 방안 연구

        조은빈 이화여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literary environment changes, aspects of communication are diversifying. Just as face-to-face communication and textual communication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communication patterns appear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ype of communication on the Internet, and changes in the way of textual communication are appearing. This study initiated from the thought of the direction of writing education that reflects such changes in the literary environment. If changes in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are consistent with how text is communicated, there is a need to study the changes in detail and reflect in the new education content. The society changed from a society that valued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itself to a society that aims at the convergence and creative use of knowledge. Also, from an individual writing environment, it changed to an environment which promotes cooperative writing in the community. As a result, beyond the traditional writing education, such as paper and print-based education, modeling professional authors, and evaluation-oriented writing education such as SAT and college essay writing, in the future of writing education,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e structure where the authors and readers cooperate in a large-scale communication format.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education of the hyper-connected era is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Writing in digital space reconstructs text as writers and readers find answers through communication. Not only the author and the readers, but also a lot of networked people come together to communicate in multiple directions. There is a need to view this communication process as cooperation and to organize it in the education contents. The most educational way to implement this in writing education is collaborative writing using digital media. In this study, we proposed collaborative writing education using Wiki and Google documents. It is an educational use of collaborative tools that make writing together as a writer and a reader through the principle of collective intelligence. For a desirable direction of writing education, a collaborative writing training is needed, in addition to the enhancement of personal writing skills, in which the writer and the reader work together to realize collective intelligence. Collaborative writing education using digital media can be an education that gives individual writers an experience of drawing unity in the direction that follows the customs and norms demanded by the community, and can experience writing that accepts the reader's response through real-time interaction. Based on the interactivity of digital media, digital media and users are both receptors and providers. This is why writing should be focused on writing that interacts with individual readers and collective readers, beyond the level in which the writer performs writing. Therefore, collaborative writing, which accommodates and interacts with the reader’s responses, was proposed by organizing the training content. It also proposed the educational use of cloud-based e-portfolio. It is through e-portfolio that a specific space for interlearners to interact. The effect and advantage is that an environment is implemented in which one can share and reflect on each other’s thoughts based on a record of" the writing process" rather than on a result-level assessment of the completed article. Learners can interact based on a record of the entire process of writing, until content creation, organization, expression, rewriting, and completion of writing. Most of all, it is of educational value that learners become more interested in personal growth with each other, and it is a collaborative learning that is more serious than ever before. Collaborative writing using digital media can be an educational way to support and reinforce the writing experience of young people by utilizing the advantages of digital environment in writing education. Considering the expansion of writing ecology as well as future life and social ecology through educational approach in mind, it can be an education that can develop the capacity to prepare and adapt to the future environme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a desirable writing education plan in a changing writing environment. I hope that this study will be a stepping stone to a new horizon of future writing education. 문식 환경의 변화에 따라 의사소통의 양상이 다양해지고 있다. 얼굴과 얼굴을 마주 보고 말하는 것과 문자를 통해 의사소통을 할 때 나타나는 특징이 다르듯이, 인터넷상에서도 의사소통 유형에 따라 의사소통 양상이 다르게 나타나며 글의 소통 방식에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의사소통 환경의 변화가 글의 소통 방식에 일정한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면 그 변화를 세밀히 살피고, 그 변화를 새로운 교육 내용으로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 지식 자체의 습득을 중시하던 사회에서 지식의 융합과 창의적 활용을 지향하는 사회로 변모하였고, 쓰기 작업이 주로 개인적으로 이루어지던 사회에서 자신이 속한 공동체 안에서 협력적 쓰기를 해야 하는 사회로 변모하였다. 이에 따라 기존의 작문 교육인 종이 및 인쇄 기반 교육, 전문 필자를 모델로 제시하는 교육, 수능이나 대입 논술 등 평가 위주의 작문 교육을 넘어 앞으로의 작문 교육에서는 필자와 독자가 협력하여 대규모로 소통하는 구조를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초연결 시대의 교육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가‘소통과 협력’이다. 디지털 공간에서의 쓰기는 필자와 독자가 소통을 통해 답을 찾아가면서 텍스트를 재구성한다. 필자와 독자뿐만 아니라 네트워크로 연결된 수많은 사람들이 함께 모여 다중의 방향으로 소통하게 된다. 이러한 소통 과정을 협력으로 보고, 교육 내용으로 구성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작문 교육에서 가장 잘 구현할 수 있는 교육적 방안이 바로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협력적 쓰기이다. 본 연구에서는 위키, 구글 문서를 활용한 협력적 쓰기 교육을 제안하였다. 집단지성의 원리를 통해 필자이자 독자로서 함께 글을 만들어 가는 협업 도구를 교육적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바람직한 작문 교육 방향을 위해서 개인적 쓰기 능력의 신장뿐만 아니라 필자와 독자가 협력하여 집단지성을 실현하는 협력적 쓰기 교육이 필요하다.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협력적 쓰기 교육은 개인 필자가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공동체의 일원으로 작문을 수행함으로써, 공동체가 요구하는 관습과 규범을 따르는 방향으로 일치를 끌어내는 경험을 주는 교육이 될 수 있으며, 실시간 상호작용을 통해 독자의 반응을 수용하는 쓰기를 경험할 수 있다. 디지털 미디어의 상호작용성에 기반하여 디지털 미디어와 이용자는 수용자가 되기도 하고 제공자가 되기도 한다. 작문 교육에서도 필자가 쓰기를 수행하는 차원을 넘어 개별 독자, 집단적 독자의 반응을 수용하면서 상호작용하는 쓰기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이다. 따라서 독자의 반응을 수용하며 상호작용하는 협력적 쓰기를 교육 내용으로 구성하여 제안하였다. 또한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한 e-포트폴리오의 교육적 활용을 제안하였다. 학습자간 상호작용이 일어날 수 있는 구체적인 공간을 e-포트폴리오를 통해 마련하는 것이다. 그 효과와 장점은 완성된 글에 대한 결과 차원의 평가가 아닌‘작문 과정’에 대한 기록을 토대로 서로의 사고를 공유하고 반추할 수 있는 환경이 구현된다는 것이다. 학습자들이 내용 생성과 조직·표현, 고쳐 쓰기, 글을 완성하기까지 쓰기의 전 과정에 대한 기록을 토대로 상호작용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학습자 서로서로 개인적 성장에 대해 높은 관심을 가지게 된다는 것에서 교육적 가치가 있으며, 이전보다 심화된 협력 학습이라고 할 수 있다.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협력적 쓰기는 디지털 환경이 지닌 장점을 작문 교육에서 활용하여 청소년들의 작문 경험을 지원하고 강화할 수 있는 교육적 방안이 될 수 있으며, 작문 생태계의 확대와 교육적 접근을 통해 미래의 삶과 사회 생태를 염두에 두고, 이를 준비하고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줄 수 있다.

      • 동양의 산수화와 서양의 풍경화의 비교 고찰 연구 : 구도법을 중심으로

        조은빈 동국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산수화는 ‘산수(山水)’ 그 자체의 표현인 동시에 인간이 자연을 바라보고 느낀 감상을 수묵(水墨) 혹은 채색(彩色)을 사용하여 예술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산수화는 인간의 사상이나 철학적 생각을 보다 다양하고 깊게 작품에 담아왔으며 아니라 인간의 창의성을 반영하여 동양인이 지니고 있는 자연관을 더 높은 차원으로 승화시켰다. 그림을 그리는 사람 혹은 감사하는 사람 모두 자연에 거쳐하며 살고 있기 때문에 산수자연은 동양 예술의 모체가 되었다. 중국과 한국의 회화 예술에서 산수화는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그 역사 또한 매우 길지만 처음부터 회화의 장르로서 산수화가 있었던 것은 아니다. 산수는 자연을 그리는 가장 평범한 그림이여서 아주 오래전부터 당연히 있어 온 그림일 것이라고 많은 사람들이 착각하기 쉽지만, 회화사를 보면 산수화는 처음부터 나타나지 않는다. 화조, 동물, 인물화 등의 장르가 모두 발달하고도 산수화는 눈에 보이지 않는다. 산수라는 거대한 대상을 감상하고 시를 짓고, 그림으로 옮겨내는 예술 활동은 자연을 천천히 감상할 수 있을 만큼 문명이 발달하고 정신적인 여유가 생긴 후에나 가능한 일이었다. 서양의 풍경화는 객관적인 관찰과 경험의 기록으로서 자연을 모방하는 것에서부터 비롯되었으며 14세기 “인간과 자연의 재발견”이라는 말로 묘사되는 이탈리아 르네상스시대에 이르면서 차츰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풍경화는 다른 장르에 비해 가장 늦게 출현하였고 풍경화의 탄생 뒤에도 다른 회화 장르의 뒤 배경으로서만 나타났었다. <레오나르도 다빈치, 모나리자-도판0> 중세시대에는 제단화들의 누런 금박의 장식으로 표현되었고 바깥 풍경보다는 실내 공간의 배경 풍경으로만 역할을 하였다. 본 논문은 동·서양의 산수화, 풍경화의 비교 연구로써 즉, 자연에 대한 동·서양의 표현방법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동양과 서양이 자연을 바라보는 태도와 관점은 조금 다를 수 있지만 산수자연을 통하여 좀 더 깊은 내면에 접근하려 하였고, 그 내면을 잘 표현할 수 있는 독특한 방법을 찾으려 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각각의 시대적 사상을 반영하며 자연에 대한 미의식을 다양하게 담아내고자 하였다. 또한 동양의 삼원법과 서양의 원근법은 기본적인 공간 구성의 바탕이자 새로운 시각으로 더 가깝게 다가갈 수 있는 변화의 가능성을 제시하는 밑거름이 되었다.

      • 리빙 뮤지엄(Living Museum)의 한국적 적용을 위한 사례연구 : 서울시 소재 역사가옥박물관을 대상으로

        조은빈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한국에서는 생소할 수 있는 리빙 뮤지엄 개념을 연구하고, 이를 서울 소재 역사가옥박물관을 대상으로 적용함으로써 박물관 연구의 새로운 지점을 덧붙이고, 리빙 히스토리 개념에 따른 프로그램을 제안함에 따라 관람객의 역사 체험을 생생하게 살리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둔다. 리빙 뮤지엄은 19세기 후반 정통 농촌사회와 민속 문화를 보존하기 위하여 시작되었으며, 역사적 공간과 역사적 주택을 보존하는 것으로 확대되었다. 리빙 뮤지엄이 갖는 의의는 과거의 완벽한 모사 또는 재연을 통해 관람객에게 체험의 생생함을 제공하는 것이며, 개인이 갖게 된 경험의 맥락 속에서 역사를 해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리빙 뮤지엄은 때로 에코 뮤제 혹은 야외박물관(open-air museum)과 유사하게 분리되기도 한다. 하지만 리빙 뮤지엄은 리빙 히스토리라는 개념에서 보다 더 적극적으로 역사 재연 및 모사 형태의 체험을 주도한다는 점에서 일정한 차이를 갖는다. 그리고 리빙 뮤지엄의 주요 구성요소는 물리적 시설로써 역사적 장소, 역사적 삶과 사건, 이야기(콘텐츠), 리빙 히스토리언(화자), 관객(개입 및 참여자)으로 설정되며, 궁극적으로 이러한 구성요소 간에 어떻게 관계를 형성하고, 상호작용을 실행하는지를 구현하는 것이 리빙 뮤지엄의 핵심활동이 되는 셈이다. 플리머스 플랜테이션, 시드니 리빙 뮤지엄, 뉴욕 테너먼트 뮤지엄 그리고 오사카 주택박물관을 해외 주요 리빙 뮤지엄 사례로 선정하였으며, 사례를 통해 리빙 뮤지엄 현황과 운영 프로그램을 정리하고 각 박물관의 특성과 의의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서울시 역사가옥박물관의 상황을 검토함에 따라 리빙 뮤지엄 개념을 적용해보고자 하였다. 먼저 적용 프로그램 개발 유형을 제시하였고, 경교장(역사적 현장), 고희동 가옥/최순우의 집(예술가 및 미술사학자의 집), 백인제 가옥(전통가옥의 보존)을 대상으로 선정, 결과적으로 가옥별 적용 프로그램을 유형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이러한 접근에 따라 추후 역사가옥을 중심으로 한 리빙 뮤지엄은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 속에서, 리빙 뮤지엄을 활성화하고 관람객의 체험형 혹은 참여형 프로그램을 통해 지식 습득을 용이하게 한다는 점에서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cept of living museum that can be unfamiliar in Korea, to attach a new point of museum research by applying the concept on History House Museum in Seoul, and to vitalize historical experience of visitors by suggesting a program according to the living history concept. Living Museum was built to preserve authentic rural society and folk culture of the late 19th century, and has been expanded to preserve historic space and historic housing. The significance of Living Museum of providing vividness of experience to visitors through perfect replica or reenactment of the past, and for them to interpret history in the context of personal experience. Sometimes, Living Museum gets separated into écomusée or open-air museum. However, Living Museum has a certain difference in that it reenacts history more actively and takes the lead in the experience of replication format in living historic concept. Also, major components of Living Museum are composed of historical place as a physical facility, historic life and event, story(content), living historian(narrator), and audience(intervention and participant), and how these components ultimately form relationship and implementing how they carry out interaction are the core activities of Living Museum. Plymouth Plantation, Sidney Living Museum, New York Tenement Museum, and The Museum of Housing and Living in Osaka were selected as major foreign cases, and arranged the present condition and operational program of living museum through the cases and looked into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First, this study suggested a type of development program, selected Gyeonggyojang(historic site), House of Go Hui-dong/House of Choi Soon-Woo(house of an artist and art historian), and House of Baek In-Je(preservation of a traditional house), and classified the application program into types by house. As living museum is forecasted to increase around historical houses in the future, multilateral studies are considered necessary as vitalizing living museum and experiential or participatory program facilitate acquisition of knowledge.

      • 한국 청년들의 식행동 유형에 따른 주관적 건강인식, 삶의 만족도, 행복감 및 푸드 리터러시 수준 비교

        조은빈 한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dietary lives of young adults are important for the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future chronic diseases. Young adults are at risk of health problems, such as obesity, type 2 diabetes, and cardiovascular disease, due to the nutritional imbalance resulting from their low intake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their high intake of high-caloric processed foods, along with their frequent breakfast skipping. The obesity rate for young adults in their 20s and 30s continues to rise, with this age group also scoring the lowest compared to other age groups in the Korean Healthy Eating Index(KHEI). Furthermore, according to the 2021 Seoul Food Survey(SFS), young adults (18-29 years old) scored the lowest in Food Literacy(FL) in comparison to all other age groups. Such a low level of FL ultimately has a negative impact on future health indicators. There are not many domestic studies on the topic of comparing life satisfaction, happiness, and FL by means of categorizing young adults along the lines of dietary lifestyle type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association between subjective health, life satisfaction, happiness and the level of FL by dietary lifestyle types. The study conducted an online survey of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of 1,059 young adults. The survey included questions that could identify the current dietary lives and health behaviors of young adults, and FL questions developed by the 2021 SFS. Dietary lifestyle types were categorized using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After assorting the principal components loading scores into quintiles(Q1-Q5), Q1, Q2, and Q3 were categorized into the group with a lower tendency for that type, while Q4 and Q5 were defined as the group with a higher tendency for that type. The study calculated Cronbach’s α values for the 33 FL questions in order to confirm internal consistency, with the 1) Nutrition and safety domain, 2) Cultural and relational domain, and 3) Socio-ecological domain, all indicating an internal consistency of 0.8 or greater. With recent increasing interest in dietary life, studies categorizing lifestyle types related to dietary life are actively underway. The present study categorized 4 different dietary lifestyle types—the ‘healthy eating type’ who pursue the most desirable dietary life, the ‘trendy eating type’ who are sensitive to trends and interested in health’, the ‘convenient eating type’ who value convenience, and the ‘emotional eating type’ whose diet is impacted by their emotions. A higher tendency toward the healthy eating type led to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subjective health, life satisfaction, and happiness. On the other hand, a higher tendency toward the emotional eating type led to a decrease in subjective health, life satisfaction, and happiness (P < 0.001). A comparison between FL levels shows that a higher tendency toward the healthy eating type led to linearly an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the nutrition and safety domain, the cultural and relational domain, and the socio-ecological domain (P for trend <0.001). A higher tendency toward the emotional eating type led to lower scores in the nutrition and safety domain (P for trend <0.001) as well as the socio-ecological domain (P for trend = 0.036), while a higher tendency toward the convenient eating type led to linearly and significantly lower scores in the cultural and relational domain (P for trend = 0.005). The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the first study to identify FL levels by categorizing young adults by dietary behavior types. The study also confirmed how partaking in healthy dietary lives has a positive association with not just the physical but also with overall quality of life and the feeling of happiness. In the future, FL levels for young adults must be improved for them to engage in sustainable and health dietary lives, and the development of dietary life education and intervention programs by each type is necessary.

      • Detection And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Residual Detergents, Using Nanoengineered Surface And Hybrid Nanostructures

        조은빈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we have developed the detection method and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residual detergents, using nanoengineered surface and hybrid nanostructures. Superhydrophobic surface was realized on a glass substrate and on the inner wall of a capillary tube, employing a combination of ZnO nanorod arrays and stearic acid. Stearic acid appeared to be coated over the tips of ZnO nanorod arrays, increasing the possibility of air-trapping in the nanorod forest. A water contact angle of 156.3o was demonstrated, and it was attributed mainly to the air-trapping effect. The surface-modified glass substrate was used for contact angle measurements of detergent solutions, and the contact angle was found to monotonically decrease with increasing detergent concentration. Similarly, it was disclosed that the capillary height consistently decreased as a function of detergent concentration. Also,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detergent solution has been examined. Hybrid nanostructures were synthesized as photocatalyst using three compositon of ZnFe2O4/g-C3N4/Ag. It should be noted that photodegration also effective to the detergent solutions, even though it could’t completely degradio of detergent solution.

      • 다양체상에서 Multiplier Rule의 응용

        조은빈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대칭행렬이 주어질 때, 다양체상에 Lagrange Multiplier Rule을 응용하여 그 행렬에 대응하는 정규직교기저(orthonormal basis)를 찾고, 그 직교기저에 관련된 2차 형식의 성질을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 목적을 위하여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1절에서는 Euclidean 공간에 내적을 도입하고 Cauchy 부등식을 증명하고 Euclidean 공간을 거리공간으로 만드는 과정을 설명하였다. 2절에서는 다변수함수의 방향도함수와 미분에 관하여 살펴보고 관련된 성질을 다루었다. 3절에서는 다양체에 관한 개념과 Tangent 공간 그리고 Normal 공간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4절에서는 다양체상에 Lagrange Multiplier Rule을 응용하여 주어진 대칭행렬에 관련한 정규직교기저를 찾고 그 직교기저에 관한 2차형식의 성질을 고찰하였다. 5절에서는 주어진 대칭행렬에 관련하여 타원체를 정의하고, 마지막 6절에서는 2, 3차 공간에서 곡면을 분류하였다

      • Purification of in vitro transcribed RNA using mesoporous silica as an RNA adsorbent

        조은빈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15

        Messenger RNA vaccines against SARS-CoV-2 hold great promise for the treatment of a wide range of diseases by using mRNA as a tool for generating vaccination antigens as well as therapeutic proteins in vivo. Increasing interest in mRNA preparation warrants reliable methods for in vitro transcription (IVT) of mRNA, which must entail the elimination of surplus side products such as immunogenic double-stranded RNA (dsRNA). I developed a facile method for the removal of dsRNA from in vitro transcribed RNA with mesoporous silica particles as RNA adsorbents. Various polyamines were tested for the facilitation of RNA adsorption onto mesoporous silica particles in the chromatography. Among the polyamines tested for RNA adsorption, spermidine showed a superior capability of RNA binding to the silica matrix. Mesoporous silica-adsorbed RNA was readily desorbed with elution buffer containing either salt, EDTA, or urea, possibly by disrupting electrostatic interaction and hydrogen bonding between RNA and the silica matrix. Purification of IVT RNA was enabled with the adsorption of RNA to mesoporous silica in a spermidine-containing buffer and subsequent elution with EDTA. By differing amount of EDTA in the eluting buffer, I demonstrated that at least 90% of the dsRNA can be removed from the mesoporous silica-adsorbed RNA. When compared with the cellulose-based removal of dsRNA from IVT RNA, the mesoporous silica-based purification of IVT RNA using spermidine and EDTA in binding and elution, respectively, exhibited more effective removal of dsRNA contaminants from IVT RNA. Thus, mRNA purification with mesoporous silica particles as RNA adsorbents is applicable for the facile preparation of nonimmunogenic RNA suitable for in vivo uses. 전령 리보핵산(messenger RNA, mRNA) 백신은 코로나 바이러스 백신으로 시작해 신종 감염병 및 암을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길을 제시해주었다. 이에 따라 시험관 내 전사 반응(in vitro transcription, IVT)으로 비면역성 mRNA를 정제하는 기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였다. mRNA는 시험관 내 전사 반응을 통해 합성된다. 시험관 내 전사 과정에 사용되는 T7 RNA 중합효소의 부정확한 효소 활성으로 이중가닥 RNA가 생성된다. 이중가닥 RNA에 의해 초래되는 면역 체계의 비 이상적인 활동 및 번역 효율 감소는 mRNA 백신 부작용의 원인으로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mRNA 정제 공정에서는 이중가닥 RNA를 분리해내는 정제 단계가 필수적으로 포함된다. 본 연구에서 나는 다공성 실리카(mesoporous silica)와 스퍼미딘(spermidine)을 이용해 시험관 내 전사한 RNA로부터 단일가닥 RNA를 선별적으로 정제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시험관 내 전사 반응의 완충용액에 포함된 폴리아민(polyamine)인 스퍼미딘이 이동상에 존재하면 시험관 내 전사반응으로 생성된 RNA는 다공성 실리카에 결합한다. 다공성 실리카에 RNA를 효과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는 선형 폴리아민은 2차 아민(secondary amine)이 포함된 폴리아민이었으며, 이 중 스퍼미딘이 다공성 실리카로부터 RNA를 결합 및 탈착시키는 데에 가장 효과적이다. 다공성 실리카에 결합한 RNA는 염화 나트륨, 요소, EDTA(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를 포함하는 완충용액에서 탈착된다. 이는 스퍼미딘이 이동상에 존재할 시, RNA가 다공성 실리카에 흡착되어 있는 힘이 정전기적 인력과 수소결합임을 시사한다. RNA를 용출할 수 있는 용액 중, EDTA를 용출 용액으로 사용할 시, 염화 나트륨을 이용해 용출했을 때보다 RNA 용출 효율이 4배 높았다. 더불어, EDTA를 이용한 용출법은 도입한 RNA에 존재하는 전체 이중가닥 RNA의 약 90% 이상을 제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다공성 실리카, 스퍼미딘, 그리고 EDTA를 이용한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법은 시험관 내 전사 반응물로부터 이중가닥 RNA를 제거함으로써 비면역성 RNA를 정제할 수 있는 정제법으로써, 향후 mRNA 치료제 및 mRNA 백신 제조 공정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