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급성 심근경색증 진단을 위한 동맥혈 젖산의 의의

        이재관 가천의과학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31

        목적 : 응급실에서 급성 심근경색증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문진, 이학적 검사를 바탕으로 심전도 및 심장 효소 검사를 시행하는데 명확한 선별 표지가 없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저자는 응급실에서 급성 심근경색증을 초기에 진단하기 위한 간단하고 저렴한 검사인 동맥혈 젖산의 의의에 대해 연구하였다. 방법 : 2004년 9월 1일부터 2005년 8월 31일까지 흉통을 주소로 가천의대 길병원 응급의료센터로 내원한 36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동맥혈 젖산을 채취하여 기존의 전통적인 심장 효소 검사인 troponin 이나 CK-MB 와 비교, 분석 하였다. 특히 기존의 심장 효소 검사가 초기에 대부분 정상으로 나오는 것을 고려하여 발병 시점부터 4시간 이내에 내원한 환자들에 대해 추가적인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급성 심근경색증에 대한 동맥혈 젖산의 전체적인 민감도는 57.4%이었다. 특히 발병 4시간 이내에 내원한 환자들의 troponin 이나 CK-MB의 민감도는 42.6%에 불과하나 동맥혈 젖산의 민감도는 63.9%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기존의 심장 효소 검사인 troponin 이나 CK-MB에 동맥혈 젖산을 추가로 시행하는 경우 민감도는 85.2%로 크게 개선되었다. 결론 : 급성 심근경색증의 진단에 있어 발병 수 시간 이내에 응급실로 방문하는 환자의 경우 동맥혈 젖산을 기존의 검사에 추가하여 시행할 경우 민감도가 크게 증가하여 선별 검사로써 가치가 크다. Purpose : Many methods have been employed for the diagnosis of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I) in emergency departments (ED). However, there is still no definite screening marker for the early diagnosis of AMI, We studied arterial lactate as an inexpensive and simple potential screening marker for diagnosis of early onset AMI. Methods : A ret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on 369 patients who visited our ED for chest pain between September 2004 and August 2005. Arterial lactate was sampled and compared against traditional cardiac enzymes such as troponin I and CK-MB. We focused on 171 patients who visited the ED within 4 hours after their symptoms had developed, a time frame in which traditional cardiac enzyme tests usually give normal results. Results : The overall sensitivity of arterial lactate in the detection of AMI was 57.4%, and when tested within 4 hours after the development of symptoms its sensitivity was 63.9%. Sensitivity of testing with troponin I and CK-MB, by contrast, was 42.6%. However, the combined overall sensitivity of detection using lactate, troponin I, and CK-MB for the diagnosis of AMI within 4 hours of first symptoms was 85.2%. Conclusion : Arterial lactate alone was not particularly sensitive for the detection of AMI, but combination testing using lactate, troponin I, and CK-MB was highly sensitive for AMI.

      • 집중 치료실에 입실한 비대상성 간경변 환자의 예후 인자 분석

        김나혜 가천의과학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31

        목적: 비대상성 간경변 환자는 여러 합병증을 동반하게 되고, 이로 인한 집중 치료실 입원시 사망률은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환자의 예후 예측을 위해서 다양한 점수 체계가 있지만, 이들 점수 체계를 근거로 한 예후의 판정 및 사망률 분석은 아직까지 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비대상성 간경변 환자들을 대상으로 집중 치료실에 입원한 당일의 여러 임상적 변이를 분석하여 사망률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 인자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가천의과대학교 길병원 내과계 집중 치료실에 입원하였던 18세 이상의 비대상성 간경변 환자 95명 중 의무기록으로 생존 여부 확인이 가능했던 58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Child-Turcotte-Pugh (CTP), model for end-stage liver disease(MELD), model for end-stage liver disease with incorporation of serum sodium(MELD-Na), Acute Physiology and Chronic Health Evaluation (APACHE), Sequential Organ Failure Assessment (SOFA) 점수 및 입원 당시 각 점수에 따른 누적 생존율은 구하였고, 생존기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area under the receiver’s operating characteristics curve(AUC)를 이용해 사망률에 대한 예측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 기간 동안 22명(37.9%)의 환자가 사망하였다. 다섯 가지 점수 체계 모두가 점수에 따른 누적 생존율의 차이가 유의하였다(P<0.05). 사망을 예측하는 데 있어 각 점수체계의 AUC는 CTP 0.860, MELD 0.824, MELD-Na 0.919, APACHE II 0.801, SOFA 0.842로 우수한 차별성을 보였으며 그 중에서 MELD-Na가 가장 높았다(P ≤0.001). 다변량 분석에서는 MELD, APACHE II, 알부민, 혈청 나트륨이 사망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결론: 집중 치료실에 입실한 비대상성 간경변 환자를 대상으로 분석한 다섯 가지 점수 체계 중 MELD-Na가 가장 우수한 단기 사망 예측능을 보였다. 아직 좀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대규모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하나, 비대상성 간경변 환자에서 단기 사망과 예후에 대한 지표로서 MELD-Na을 우선적으로 사용할 것을 고려해 볼 수 있겠다. Background/Aims: Patients with decompensated liver cirrhosis usually result in the intensive care unit (ICU) during hospitalization. When admitted to the ICU, the mortality is high. For predicting the prognosis of these patients, various scoring systems are being introduced. However, analysis of the prognosis and mortality based on the scoring system in our country is yet insufficien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rognostic factors in mortality and to analyze significance of various scoring system in the patients with decompensated liver cirrhosis who were admitted to the ICU. Methods: Data from 58 patients admitted in the ICU between January, 2008 and December, 2008 due to liver cirrhosi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cumulative survival rates were obtained. Prediction of the mortality rate was analyzed using the area under the receiver’s operating characteristics curve (AUC). Results: Twenty-two patients (37.9%) died during the study period. All of the five system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umulative survival rate according to the scores on admission (P <0.05). The AUC of Child-Turcotte-Pugh (CTP), Model for End-Stage Liver Disease (MELD), model for end-stage liver disease with incorporation of serum sodium (MELD-Na), Acute Physiology and Chronic Health Evaluation II (APACHE II), Sequential Organ Failure Assessment (SOFA) scores in predicting mortality were 0.860, 0.824, 0.919, 0.801, 0.842 respectively (P ≤ 0.001). The AUC of MELD-Na in predicting mortality was the highest.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MELD, APACHEII score, albumin, and serum sodium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mortality (P ≤ 0.001). Conclusion: MELD-Na could be a better prognostic predictor than other scoring systems, but a larger scale studies are needed to confirm the superiority of MELD-Na to other scoring systems in patients with decompensated liver cirrhosis.

      • 소아 급성특발혈소판감소자반증에서 면역글로불린과 anti-D 면역글로불린의 치료 효과 비교

        양성완 가천의과학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31

        목적: 급성 ITP에서 혈소판 수가 20,000/mm³ 미만인 경우 출혈의 위험성을 줄이기 위해 고용량 면역글로불린 및 anti-D가 사용된다. 이 두 치료제는 모두 급속하게 혈소판 수를 상승시키나 그 작용 기전은 다르다. 면역글로불린은 고용량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anti-D는 사용 용량이 아직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아 구미에서는 50 μg/kg 또는 75 μg/kg을 사용하면 효과적으로 혈소판을 상승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구미인에 비해 Rh+가 많은 한국인에서는 anti-D의 적당한 용량이 알려져 있지 않다. 소아 급성 ITP의 치료 및 관리에 도움이 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가천의과학대학교 길병원 소아과에서 2003년 5월부터 2006년 5월 사이에 급성 ITP로 진단 받은 환아 중 고용량 면역글로불린과 anti-D를 50 μg/kg로 치료한 후 추후 관찰이 가능했던 총 3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면역글로불린과 anti-D를 투여한 후 혈소판 수의 변화를 비교해 보았다. 또한 부작용과 용혈성 빈혈의 정도를 비교하기 위해 혈색소 치와 그물적혈구 치의 변화를 비교해 보았다. 결과: 대상 환아에게 면역글로불린보다 anti-D를 투여했을 때 24시간 후 혈소판 상승이 의미 있게 많았다(P=0.0018). 그 이후에는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투여 후 혈소판 수가 50,000/mm³ 이상이 되는 환아의 수도 면역글로불린보다 anti-D 군에서 24시간 후인 경우 의미 있게 많았다(P=0.0069). 그러나 그 이후에는 두 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혈색소는 투여 후 48시간, 72시간, 1주일, 2주일까지 anti-D 군에서 면역글로불린 군보다 의미 있게 감소하였다(P=0.03, 0.015, <0.0001, 0.016). 용혈의 정도를 나타내는 그물적혈구 수치도 투여 1주일, 2주일 후에 의미 있게 면역글로불린 군보다 anti-D 군에서 증가하였다(P=0.0004, 0.0012). 결론: 급성 ITP 환아에게 고용량 면역글로불린이나 anti-D 50 μg/kg을 투여 시 모두 심각한 합병증 없이 효과적으로 혈소판 수를 상승시켰다. 그러나 면역글로불린보다 anti-D가 조기에 혈소판 수를 상승시켰으며, 혈색소 감소 및 그물적혈구 증가 효과도 더 심했다. 이러한 결과는 구미의 보고에 비해 혈소판 상승 효과는 더 우수하였고 용혈성 빈혈은 심했다. 이러한 현상은 구미인에 비해 대부분이 Rh+형인 한국인이 갖고 있는 적혈구 항원은 DD 항원인 경우가 Dd에 비해 구미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아 생기는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인에겐 75 μg/kg보다 50 μg/kg을 사용하는 것이 용혈성 빈혈의 심각성과 혈소판 상승 효과로 보아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향후 DD형과 Dd형에 대한 구체적인 검사 이후에 anti-D의 치료 효과를 비교해 보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he potential for life-threatening hemorrhage, such as intracranial hemorrhage, and the discomfort of restriction in life recommend the intervention with immunomodulatory therapy in acute idiopathic thrombocytopenic purpura (ITP) with platelet count being less than 20,000/mm³. As an immunomodulatory therapy, high dose immunoglobulin (IVIG) and anti-D immunoglobulin are known to effectively enhance the platelet count. Comparing to IVIG, anti-D has been tried clinically less often and the ideal dose for ITP is still controversial. In Western countries they used 50 μg/kg or 75 μg/kg of anti-D and the platelet enhancing effect was similar to high dose immunoglobulin. To certify the anti-D effect on platelet in acute ITP and the severity of complications in Korean children we performed this study. Method: Thirty one acute ITP patients received either IVIG or anti-D and follow-up evaluations were possible were analyzed. The platelet change was analyzed and compared between IVIG and anti-D. The complications including the hemolytic anemia were investigated. The hemoglobin and reticulocyte change were evaluated to clarify the hemolytic anemia. Results: By 24 hours after treatment the mean platelet count was, respectively, 39.2 ±21.2×103/mm³, 74.5±34.8 ×103/mm³ in IVIG and anti-D group (P=0.0018). By 24 hours after treatment 81.3% and 86.7% of patients in IVIG and anti-D had achieved a platelet count>20,000/mm³ (P=0.9372). By 24 hours after treatment 25.0% and 80.0% of patients had achieved a platelet count>50,000/mm³ (P=0.0069). However, 48 hours after treatment the enhancing effect of IVIG and anti-D was similar. Both agents decreased the hemoglobin concentration. However, the decreasing effect was more severe in anti-D group 48 hours, 72 hours, 1 week, and 2 weeks after treatment (P=0.03, 0.015, <0.0001, 0.016). Addition to this, the reticulocyte increase was higher in anti-D group 1 week and 2 weeks after treatment (P=0.0004, 0.0012). Conclusion: The therapeutic effect of IVIG and anti-D was enough to enhance the platelet count in acute ITP. However, a single 50 μg/kg dose of anti-D raised the platelet count in children with newly diagnosed acute ITP more rapidly than high dose IVIG. The hemoglobin decrease and reticulocyte increase were more prominent in anti-D than IVIG. Anti-D raised the platelet more rapidly and induced the hemolytic anemia more severely in Korean than Western countries. Presumably, these results could be due to the higher frequency of Rh+ (about 99.9%) Korean. Most patients in this study might have the red blood cell antigen DD. Therefore, the effect of anti-D might be more potent in our patients than Western population. Additional investigation, observation of the anti-D effect in acute ITP according to the subtype of Rh+, DD or Dd, will be necessary to clarify these results.

      • 전이 유방암 환자에서 조기 재발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박상현 가천의과학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31

        Purpose: With the increase of early breast cancer patients, the number of node negative breast patients is also on the rise. However, reports show that there is a 25~30% recurrence in node negative breast cancer. Thus, we have attempted to determine the prognostic factors influence on the early recurrence in axillary lymph node negative breast cancer compared to axillary lymph node positive breast cancer.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data of 95 recurrent breast cancer patients who underwent curative surgery to determine the prognostic factors such as menopausal status, operation method, T stage, N stage, histologic grade, nuclear grade, EIC, hormone receptor, p53, c-erbB2 and Ki67. Results: Histologic grade(P=0.034) was significant factor that influenced the systemic recurrence before 30 months in axillary lymph node negative breast cancer. But p53(P=0.004) and Ki 67(P=0.004) were significant factors that influenced the systemic recurrence after 30 months in axillary lymph node negative breast cancer. Conclusion: Histologic grade, nuclear grade, p53 and Ki67 were significant different factors that influenced the systemic recurrence between early recurrence and late recurrence. In axillary lymph node negative breast cancer, histologic grade, nuclear grade and Ki67 were significant factors that influenced the systemic early recurrence. In axillary lymph node positive breast cancer, nuclear grade and Ki67 were significant factors that influenced the systemic early recurrence. We suggest that these patients should be aggressive treated and be closely followed up. 우리나라 여성암 중 두 번째로 많은 유방암은 정기 검사에 의해 조기에 진단되는 유방암 환자가 증가되고 있으며, 따라서 액와 림프절 전이 없는 환자도 증가하였다. 최근 유방암의 치료결과가 상당히 향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액와 림프절 전이가 없는 환자의 약25-30%에서 결국 10년 내에 재발이 일어나고 있으며 이들 중 대부분은 전이성 유방암으로 사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근치적 수술과 항암 약물 치료가 완료되는 시점에서 2년을 기준으로, 즉 수술 후 30개월 이전을 조기 재발, 30개월 이후를 후기 재발로 나누어서, 유방암의 1차 치료 후 전이가 발생한 환자를 대상으로 액와 림프절 전이 유무에 따라 재발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002년 1 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가천의과대학 중앙 길병원 유방암 클리닉에서 유방암으로 진단받고 근치적 수술을 받은 환자 중 전신성 재발이 발견된 전이성 유방암 환자 95명을 대상으로 하여, 환자의 나이, 폐경 여부, 수술 방법, 종양의 크기, 조직학적 분화도, 핵 분화도, 에스트로겐 수용체 유무,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유무, 광범위한 관내 상피암 성분 유무, p53 및 c-erbB2 유전자의 과발현 유무, Ki 67 발현 정도, 수술 후 항암화학요법, 방사선 치료 및 호르몬 치료 등의 보조치료 시행 여부 등에 따른 재발 양상을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조직학적 분화도와 핵분화도, p53와 Ki67이 조기 재발과 후기 재발 사이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인자였고, 액와 림프절 전이가 없는 유방암에 있어서 조직학적 분화도와 핵분화도가 조직 재발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인자였으며, 액와림프절 전이가 있는 유방암에서는 핵분화도와 Ki67이 조기재발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인자였다. 따라서 이러한 환자에서 더 적극적인 치료와 철저한 추적 관찰이 요구된다.

      • 임신중기 양수천자 1147예에 대한 후향적 분석

        김형준 가천의과학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31

        목적 : 염색체 이상의 산전 진단을 위한 양수천자술의 적응증의 빈도, 산모의 연령의 분포, 적응증에 따른 염색체 이상아의 발생빈도를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 : 2001년 1월부터 2008년 12월 까지 가천의과학대학교 길병원에서 임신중기 양수천자술을 시행받은 1147예를 대상으로 연령과 임신주수의 분포, 양수천자의 적응증 빈도, 염색체 핵형검사의 결과, 적응증에 따른 염색체 이상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 임신중기 양수천자의 적응증은 산모 혈청검사 이상이 61.38%, 고령산모가 22.84%, 이상 초음파 소견이 8.54%로 나타났다. 비정상핵형군은 3.23%로, 숫적 이상이 2.27%, 구조적 이상이 0.96%로 나타났다. 적응증에 따른 비정상 핵형 발생은 염색체 이상 가족력이 있을 때 14.29%, 이상 초음파 소견일 때 7.14%, 산모 혈청 검사 이상이 3.27%였다. 결론 : 염색체 이상 가족력, 이상 초음파소견, 산모 혈청 검사 이상은 임신중기 양수천자를 시행할 때 고려해야할 중요한 적응증이다. 염색체 이상 가족력이 적응증 중 비정상 핵형을 예측하는데 가장 민감한 지표였다. Objective : To evaluate prenatal genetic amniocentesis with indications, distributions of maternal age , chromosomal abnormalities according to indications. Methods : This study reviewed 1147 prenatal genetic amniocentesis results which were performed at Gacho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and Science, Gil hospital from January 2001 to December 2008. We analyzed frequency of indication, age and gestational age distribution, chromosomal results according indications of amniocentesis Results : The indications of amniocentesis were abnormal maternal serum screening(61.38%), advanced maternal age(22.84%), abnormal US finding (8.54%). In overall incidence of chromosomal aberration was 3.23%, of which there were 26 cases of numerical aberrations(2.27%) and 11 cases of structural aberrations(0.96%). In chromosomal aberrations according to indications, there was 14.29% of chromosomal abnormalities in family history, 7.14% in abnormal US finding, 3.27% in positive maternal serum maker. Conclusion : Family history, abnormal US finding, previous Maternal serum screening should be important screening methods for prenatal genetic amniocentesis. Family history could be the most predictive markers for abnormal fetal karyotypes

      • 병원성 extended-spectrum ß-lactamase 생성 대장균 균혈증의 위험인자

        고대식 가천의과학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31

        목적 가천의과대 길병원에서 발생한 병원성 extended-spectrum β-lactamase (ESBL)생성 대장균 균혈증의 위험인자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후향적 연구로서 가천의과대 길병원에 2004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입원한 18세 이상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대조군 연구를 시행 하였으며 환자군은 가천의과대 길병원에 3일 이상 입원한 후 ESBL 생성 대장균 균혈증이 발생한 환자들이며 대조군은 동일기간 내에 입원한 환자들 중 환자군을 제외하고 1 : 3의 비율로 무작위로 선출하였다.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분석하여 나이, 성별, 기저질환, 위험노출시간, 중환자실 입원기간, 수술력, 의료기구, 항생제 사용유무, Charlson 동반이환 척도, 패혈성 쇽/심각한 패혈증, Acute Physiology and Chronic Health Evaluation (APACHE) II score를 조사하였다. 위험인자를 파악하기 위해 단변량 분석, 다변량 분석을 하였다. 결과 연구 기간 동안 환자군은 55명이었다. 최종 모델에서 carbapenem (OR, 11.3; 95% CI, 1.1-115.9; P = 0.041), quinolone (OR, 4.5; 95% CI, 1.1-18.8; P = 0.042), 담도 폐쇄성 질환(OR, 11.8; 95% CI, 3.0-46.7; P < 0.001), APACHE II score (OR, 1.3; 95% CI, 1.2-1.5; P < 0.001)가 ESBL생성 대장균에 의한 균혈증에 독립으로 영향을 주는 인자였다. 결론 가천의과대 길병원에서 ESBL 생성 대장균에 의한 병원성 균혈증의 위험인자는 quinolone과 carbapenem계 항생제의 사용, 담도 폐쇄성 질환, APACHE II score였다. Objective We investigated the risk factors for nosocomial bacteremia of extended-spectrum β-lactamase (ESBL) producing Escherichia coli in the Gil hospital of Gachon University of Medicine and Science. Materials and methods A case-control study with retrospective recruitment was carried out. The case patients included all patients with nosocomial bacteremia due to ESBL producing E. coli that occurred during the period from January 2004 through December 2007. The control patients included randomly chosen patients who had been admitted to same period. Variable data collected were age, gender, underlying diseases, risk exposure duration, duration of intensive care unit stay, history of operation, devices, use of antimicrobial agents, Charlson comorbidity index, the presence of severe sepsis or septic shock, and Acute Physiology and Chronic Health Evaluation (APACHE) II score. Results In total, there were 55 cases and 165 patients in control group. The following variables were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nosocomial bacteremia of ESBL producing E. coli: carbapenem (OR, 11.3; 95% CI, 1.1-115.9; P = 0.041), quinolone (OR, 4.5; 95% CI, 1.1-18.8; P = 0.042), biliary obstructive disease (OR, 11.8; 95% CI, 3.0-46.7; P < 0.001), APACHE II score (OR, 1.3; 95% CI, 1.2-1.5; P < 0.001). Conclusion The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nosocomial bacteremia of ESBL producing E. coli were carbapenem, quinolone, biliary obstructive disease, and APACHE II score.

      • 종교 유무에 따른 신체적 건강의 차이

        백혜림 가천의과학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31

        연구배경 : 최근 영성(Spirituality)이 신체적 및 정신적 건강에 실제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밝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종교성을 영성의 지표로 삼아 종교가 있는 군과 종교가 없는 군 사이에 신체적 건강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반적 건강 지표, 혈액 검사 수치, 섬유근육통의 유병률, 상부 위장 질환의 종류 및 빈도를 비교하였다. 방법 : 2007 년 1 월부터 2 월까지 가천의과학대학교 부속 길병원 건강검진센터를 방문하여 섬유근육통에 대한 병력 및 이학적 검사를 시행하고 상부 위장관 내시경 또는 상부 위장관 조영술을 시행한 신체 건강한 성인 139 명 가운데 종교가 있다고 표기한 72 명을 종교군으로 하고, 동일 조건의 종교가 없다고 표기한 67 명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모든 대상에서 혈압, 체질량지수, 음주력, 흡연력, 운동 상태, 불안 성향, 우울 성향을 조사하였고 공복혈당, 혈중 지질 수치와 같은 혈액 검사 수치도 조사하여 두 군 간의 건강 상태를 비교하였다. 결과 : 종교군과 대조군에서 혈압, 체질량지수, 흡연력, 운동 상태, 불안 성향, 우울 성향은 차이가 없었으며 문제 음주(순 알코올 섭취량 ≥140g/week)는 종교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P=0.006). 공복 혈당, 총 콜레스테롤, 총 빌리루빈, helicobacter IgG, 류마티스 인자, 갑상선 기능 검사, 간 기능 검사, 바이러스성 간염 검사, hs-CRP 수치에서 두 군간 차이가 없었다. 혈색소 수치는 종교군의 여성에서 대조군의 여성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았고 (P=0.035) 남성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ESR 수치는 종교군의 남성에서 대조군의 남성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P=0.004) 여성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섬유근육통의 유병률은 종교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P=0.049). 상부 위장 질환의 종류 및 빈도는 두 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종교 유무에 따라 신체적 건강 상태는 대개 차이가 없었지만 섬유근육통과 같이 정신신체 증상으로 여겨지는 일부 기능성 질환의 경우는 차이가 있었다. OBJECTIVE : Recent studies show that spirituality effects physical and mental health.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of religion, as a tool of spiritual health, with physical health between people with religion and without religion. The general health profiles, various lab data, prevalence of fibromyalgia, and type and prevalence of upper gastrointestinal lesion were studied. METHODS : A sample of 139 healthy adults, who visited the health promotion center at the Gachon University Gil Medical Center were enrolled in the study. 72 had a religion and 69 had no religion. The medical history was reviewed for a diagnosis of fibromyalgia and a gastroscopy or an upper gastrointestinal series were preformed to find upper gastrointestinal lesion. In addition, the alcohol and smoking history, exercise status,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fasting blood sugar level, serum cholesterol level, and other lab data were compared. RESULTS : Age, gender, smoking history, exercise status, the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comparisons between the religious group and the non-religious group. Problem drinking (alcohol intake ≥140g/week) was reported significantly less in the religious group (P=0.006). The fasting blood sugar, serum cholesterol, serum total bilirubin, helicobacter IgG, rheumatoid factor, thyroid function test, liver function test, markers of viral hepatitis, and hs-CRP levels showed no differences in comparisons between the groups. However, the hemoglobin level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women of the religious group than in the women of the non-religious group (P=0.35); there was no similar difference in the hemoglobin levels of the men. The ESR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men of the religious group than in the men of the non-religious group (P=0.004); there was no similar difference in the women. In addition, the prevalence of fibromyalgia was lower in the religious group (P=0.049). However, the kind and prevalence of upper gastrointestinal lesion showed no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 Overall, there were little differences observed between the religious and the non-religious groups with regard to the general physical health. However, the hemoglobin level of the women was lower and the ESR level of the men was higher in the religious group than in the non-religious group. Fibromyalgia was less common in the religious group

      • 한국인 베체트병에서 성별에 따른 임상 양상의 차이

        류희정 가천의과학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631

        베체트병의 임상 양상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며, 특히 성별에 따른 임상 양상의 차이에 관해서는 인종, 지역 및 진단기준 등의 차이로 인하여 논란이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인 베체트병에서 성별이 임상양상에 주는 영향에 대하여 임상시기 별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1999년부터 2005년 까지 가천의대 부속 길병원 류마티스 내과를 방문하여 베체트병으로 진단받은 환자들 중, 2003년 장현규 들이 발표한 베체트병 진단 기준에 맞는 88명을 대상으로 병록지와 면담을 토대로 후향적 조사를 하였다. 환자에게 발현되는 임상 양상을 질병의 발병 시기와 질병의 지속 기간 동안으로 구분하였고 성별에 따른 각 시기의 임상 양상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질병의 발병 시기와 질병의 지속 기간 동안의 임상 양상을 나누어서 성별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전체 88명의 베체트병 환자들 중 56명이 여자이고, 32명이 남자로 여자가 많았다 (남자:여자, 0.57:1). 88명 환자들의 평균 발병 시기는 31.2 ±10.8 세이었으며 남녀 간의 평균 발병 시기는 차이가 없었다 (남자; 32.5±11.8, 여자; 30.7±10.3). 전체 환자의 질병의 지속 기간은 평균 8.1±8.2 년이었고, 남녀 사이의 차이는 없었다 (남자; 6.5±5.7 년, 여자; 9.0±9.3년). 질병의 발병 시기에 나타난 임상 양상 중 구강 궤양이 여자에서 발생 빈도가 높았고 (P =0.02), 농포성 구진과 포도막염은 남자에서 더 호발하였으나 (P <0.01), 혈관 침범과 소화기계 침범은 성별간에 차이가 없었다. 질병의 지속 기간 동안에 발현된 임상 양상 중, 요통 (P =0.043)과 말초 관절염 (P <0.001)이 여자에서 더 호발하였으며, 농포성 구진 (P <0.001)과 혈관 침범 (P =0.025)이 여자에서보다 남자에서 더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의 지속 기간 동안에 나타난 임상 양상은 발병 당시와는 달리 포도막염의 발생 빈도에서 남녀 간에 차이가 없었고, 혈관 침범이 남자에서 더 높은 빈도로 발생하였다. 신경계 침범은 발병 시기과 질병의 지속 기간, 모두에서 발생하지 않았다. 한국인 베체트병에서 질병의 발병 시기와 질병 지속 기간 동안 각각 성별에 따른 임상 양상의 차이를 보였다. 향후 이러한 임상 양상의 차이가 예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전향적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The influence of sex on the clinical manifestations of Behcet’s disease (BD) has not been clearly defined. The aim of our study was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sex on the clinical features of BD in Korea. During 1999 through 2005, we retrospectively evaluated the clinical findings of BD at Gachon Medical School, Gil Medical Center in Korea. Eighty-eight patients (56 females and 32 males) with BD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males and females in age at disease onset (30.7?10.3 vs. 32.5?11.8 years) and the disease duration (9.0?9.3 vs. 6.5?5.7 years). At disease onset, oral ulceration was more common in females than in males (83.9% vs. 62.5%, P =.02). Papulopustular skin lesions and uveitis were more frequent in men than in women (25.0% vs. 3.6% and 31.3% vs. 8.9% P <.01, respectively). During the disease course, men had papulopustular skin lesions more commonly than women (68.8% vs. 35.7%; P <.01). Women suffered from peripheral arthralgia and low back pain more frequently than men (76.8% vs. 46.9%; P <.01, and 53.6% vs. 31.3%; P =.04). Vascular lesions such as deep vein thrombosis were more frequent in males than in females (18.8% vs. 3.6 %; P =.03). We could not find neurologic manifestations in the disease onset and disease duration. At disease onset, uveitis was presented more frequently in males than females, but during the disease course, uveitis was found without discrimination between genders. And at disease onset, we found no difference between females and males in vascular manifestations, but during disease course, it was found more frequently in males than in females. These results might suggest that gender has an influence on the clinical manifestations of B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