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등재후보

        유아의 수학능력과 수학적 태도가 수학학습잠재력에 미치는 영향

        최혜진 ( Hye Jin Choi ),조은래 ( Eun Lae Cho ),김선영 ( Sun Young Kim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3 교사교육연구 Vol.52 No.2

        본 연구는 유아의 현재 수학적 성취를 나타내는 수학능력과 수학적 태도가 수학을 배우는 능력 및 학습 가능성을 나타내는 수학학습잠재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유아의 학습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는 인지적인 요소와 정의적인 요소에 대해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B시에 소재한 유아교육 기관에 재원중인 만 4세~6세 총 98명을 대상으로 수학능력과 수학적 태도, 수학학습잠재력을 측정하여 각 변인간의 상관관계와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의 수학능력 및 수학적 태도 하위변인과 수학학습잠재력은 .35~.75 범위의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학능력 하위변인이 수학학습잠재력의 훈련검사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수와 연산’, ‘대수’, ‘기하’, ‘측정’이 61%의 설명력을 보였으며, 수학학습잠재력 중 전이검사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수와 연산’, ‘측정’이 55%의 설명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학적 태도 하위변인 중 객관성과 끈기성은 수학학습잠재력 중 훈련검사를 51%정도 설명하며, 수학학습잠재력 중 전이검사를 60%정도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수학능력 및 수학적 태도 하위변인들 중 ‘대수’, ‘끈기 성’, ‘기하’, ‘객관성’과 ‘측정’이 수학학습잠재력의 훈련검사를 66%정도 설명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학능력 및 수학적 태도가 수학학습잠재력 중 전이검사에 미 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객관성’, ‘수와 연산’, ‘끈기 성’, ‘측정’의 순으로 전체의 67%를 설명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ffects of the mathematics ability and attitude of young children on mathematical learning potential in order to define intellectual and emotional factors that can be used to predict the childrens` learning potential. For that purpose, the mathematics ability, mathematical attitude, and mathematical learning potential were measured among a total of 98 children who lived in B City and aged between 4 to 6 years old. Then, the correlation and relative effects of each variable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mathematics ability of the young children, mathematical attitude, and mathematical learning potential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in the range of .35~.75. Second, the relative effect on the training test of the subjects’ mathematics ability and mathematical learning potential showed 61% of the explanatory power for ‘mathematics numbers and operations,’ ‘algebra,’ ‘geometry,’ and ‘measurement’ while having 55% of the explanatory power of ‘mathematics numbers and operations’ and ‘measurement’ for the relative effect on the transfer test in terms of mathematical learning potential. Third, among the sub-variables of mathematical attitude, objectivity and perseverance explained 51% of the training test while explaining 61% of the transfer test in the mathematical learning potential. And fourth, ‘objectivity,’ ‘algebra,’ ‘geometry,’ ‘perseverance,’ and ‘measurement’ explained approximately 66% regarding the relative effect of mathematics ability and mathematical attitude on the training test of mathematical learning potential. As for the relative effect of the mathematics ability and mathematical attitude on the transfer test of mathematical learning potential, ‘objectivity,’ ‘mathematics numbers and operations,’ ‘perseverance,’ and ‘measurement’ showed 67% of the explanatory power.

      • KCI우수등재

        유아의 수학학습능력 및 수학학습잠재력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인에 관한 연구

        황해익(Hae Ik Hwang),조은래(Eun Lae Cho) 한국아동학회 2012 兒童學會誌 Vol.3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their mathematical learning abilities and mathematical learning potential in an attempt to assist their learning at the preschool level.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First. the female children performed at a much higher level than their male counterparts in terms of mathematical learning ability and mathematical learning potential training. The young children generally improved in their mathematical learning abilities and mathematical learning potential with ag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participants had higher levels of both mathematical learning ability and mathematical learning potential when their mathematical attitudes and learning motivation were better.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training-test and transfer-test scores between the 4 groups based on their relative levels of mathematical abilities and attitudes.

      • KCI등재

        유아 교사의 유아동작교육에 관한 인식 연구

        김선형 ( Kim Sun-hyoung ),조은래 ( Cho Eun-lae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8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5 No.4

        본 연구는 유아 교사의 유아동작교육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자 현재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유아 교사 207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집된 자료의 내용분석과 R프로그램에 의한 워드클라우드 분석을 함께 진행하였다. 그 결과 첫째, 의미화된 유형은 여섯 가지로, 본성이 이끄는 교육, 놀이로써의 교육, 미의식으로써 교육, 표현의 교육, 성장을 돕는 교육, 그리고 가르침의 교육으로 유목화 되었다. 둘째, 유아교사가 인식한 동작교육은 여섯 가지 인식유형 중, 놀이로써의 교육, 본성이 이끄는 교육, 표현의 교육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가 인식한 유아동작교육은 여섯 가지 인식유형 중, 놀이로써의 교육, 본성이 이끄는 교육, 성장을 돕는 교육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유아동작교육에 관한 이해와 유아동작교육활동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movement education. To achieve the purpose, a survey with open-ended questions was conducted with 207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urvey result was analyzed with wordcloud analysis method on R-program, and then specific significant categories were obtained.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ing; First, movement education is categorized into six types by meaning; nature, play, aesthetic sense, expression, growth, and teaching. Second,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zed general movement education mostly as play, nature, and expression. Third,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movement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mostly as play, nature, and growth.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implication for the practical instruction and understanding on movement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KCI우수등재

        수세기 능력이 유아의 수학능력과 수학학습잠재력에 미치는 영향

        최혜진(Hye Jin Choi),조은래(Eun Lae Cho),김선영(Sun Young Kim) 한국아동학회 2013 아동학회지 Vol.3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unting ability on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ability and mathematical learning potential.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74 young children of 4 & 5 years old who attended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 in the city of B. They were evaluated in terms of counting ability mathematical ability and mathematical learning potential(training and transfer) and the correlation between sub-factors and their relative influence on the partipants` mathematical ability was then analy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close correlation between the sub-factors of counting and those of mathematical ability. As a result of checking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sub-factors of counting on mathematical ability reverse counting was revealed to have the largest impact on total mathematical ability scores and each sub-factors including algebra number and calculation geometry and measurement. Second the results revealed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counting ability and mathematical learning ability. Regarding the size of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sub-factors of counting ability on training scores reverse counting was found to be most influential followed by continuous counting. While in relation to transfer scores reverse counting was found to exert the greatest influence.

      • KCI등재

        유아수학학습능력의 역동적 평가도구의 타당화 연구

        황해익(Hwang Hae-Ik),김선형(Kim Sun-Hyoung),조은래(Cho Eun-La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6 No.5

        본 연구는 역동적 평가를 통하여 유아의 현재 수학능력뿐 아니라 역동적 평가과정에서 나타나는 수학학습에 대한 잠재력을 측정함으로써 유아의 발달적 특성을 고려하면서 개별 유아에게 적절한 교육방법이나 내용 선정에 도움을 주는 양적, 질적 교수-학습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유아수학학습능력의 역동적 평가도구를 타당화하고자 하였다. 본 유아수학학습잠재력의 역동적 평가도구의 문항 양호도(문항 통과율, 문항변별도)와 검사 양호도(신뢰도, 타당도)를 알아본 결과 유아의 수학학습 능력 및 잠재력을 측정하는 역동적 평가도구로서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수학학습능력의 역동적 평가 과정에서 나타난 연령 간 발달경향을 알아본 결과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하위영역별 교수효과를 살펴본 결과 역동적 평가과정의 교수단계인 훈련검사와 전이검사에서 문제해결을 위한 단서를 제공받은 집단의 유아들의 수학능력이 유의미하게 증가함으로써 교수효과성을 검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and develop a dynamic assessment tool for the mathematical learning ability of preschoolers by applying tasks about four areas of mathematics including number counting, pattern, geometry and measurement in an effort to evaluate the current mathematical ability and learning potentiality of preschoolers. The selected research tasks were as follows: First, examine the item adequacy of the dynamic assessment tool for pre-school children’s mathematical learning ability developed in this study. Second, investigate the test adequacy of the dynamic preschool assessment tool for mathematical learning ability. Third, validate the dynamic preschool assessment tool for mathematical learning ability. The final draft consisted of three segments: pretest/posttest with 26 items, training test with 13 and transfer test with 13. When the assessment tool was checked in terms of item adequacy and test adequacy, it was turned out to be one of appropriate dynamic assessment tools.

      • KCI등재

        R- Learning (로봇기반교육)이 유아교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교원의 인식

        황해익 ( Hae Ik Hwang ),최혜진 ( Hye Jin Choi ),손원경 ( Won Kyoung Son ),강신영 ( Shin Young Kang ),조은래 ( Eun Lae Cho ),김미진 ( Mi Jin Kim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1 교사교육연구 Vol.5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R-Learning 시스템의 도입이 유아교육현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들은 R-Learning을 실시하고 있는 유치원 원장 6명과 유치원교사 l4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분류체계분석에 의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관에 미친 영향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교육과정 운영에는 도움이 되고 있었으나 환경구성과 운영관리 측면에서는 아직 개선의 여지가 많이 드러났다. 둘째, 교사에게 미친 영향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일과 운영 시 역할지원 측면에서는 긍정적이었으나, 전문성 신장 측면과 일반적인 교사 역할의 업무지원에서는 의견이 나뉘고 있다. 셋째, 유아에게 미친 영향에 대한 인식을 분석 한 결과, 흥미 면에서는 유아들이 친근감을 갖고 스스로 다양한 활동을 즐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 perception about the effect of the R-Learning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this, researchers carried out focus group interviews targeting 6 kindergarten directors and 14 kindergarten teachers who implemented R-Learning. The collected materials through this were analyzed by a classification system, the effect of the R-Learning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was detected on the operation of curriculum, however, there were generally negative effects on environmental composition and managemen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had experienced R-learning were generally positive on the daily management task support, but not all the teachers were positive o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general role support. The R-Learning on young children was effective on their interest and language development, physical development.

      • KCI등재후보

        예비교사의 실천적 지식 증진을 위한 수업 모형 개발

        김석우,이정아,정성아,조은래,이서우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2 교사교육연구 Vol.51 No.3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model of instruction for practical knowledge improvement of pre-service teachers and to check the possibility of its application to the educational curriculum. A draft of an instructional model for practical knowledge improvement of pre-service teachers was designed based on core values and processes from literature review and needs analysis. The final model was developed after the expert formative assessment. Core values of the model were threefold. First, the model calls for an understanding of an integrated educational process linked to the actual life and development of professional skills as teachers. Second, cooperative performances are made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integrated educational process. Third, teachers understand the organization and its members through self-reflection experience and raise community consciousness. Final processes of the model include teaching classes, team building, social networking, providing practical problems, recognizing practical problems, sharing practical problems, assigning roles and discussing, related data collection and its analysis, offering team products, sharing and reflecting team outputs, sharing and reflecting individual outputs. Integrated activities between neighboring processes can be made by online and offline networks. Integrated teacher and learner activities are provided and cooperative learning through reflection, sharing and feedback can be made between neighboring processes.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교사의 실천적 지식 증진을 위한 수업 모형을 개발하는 데 있으며, 이를 통하여 예비교사 양성 교육과정에서의 실천적 지식과 경험을 제공하고 실제적 교사 역량을 함양하는 프로그램 개발및 활용 가능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분석, 요구분석으로 통해 모형의 핵심가치와 핵심프로세스를 도출하여 모형의 초안을 구안하였으며, 전문가 형성평가를 통해 모형을 수정 보완하여 최종 모형을 개발하였다. 모형의 핵심가치는 세 가지로 도출되었다. 첫째, 실제 생활과 연계한 통합교육과정에 대해 이해하고 교사로서의 전문성을 기른다. 둘째, 통합 교과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협력적 수행력을 향상한다. 셋째, 성찰의 경험을 통해 조직과 구성원에 대해 이해하고 공동체의식을 함양한다. 모형의 최종 프로세스는 수업진행하기, 팀 빌딩, 소셜 네트워킹, 실제적 문제 제공, 실제적 문제 인식, 실제적 문제 팀 공유, 역할 분담 및 토의, 관련자료 수집 및 분석, 팀 산출물 도출, 팀간 공유 및 성찰, 개인 성찰 공유로 총 열 한 단계이다. 각 단계마다 오프라인 학습과 온라인 학습의 유기적 활동이 가능하다. 또한 교수자 활동과 학습자 활동이 유기적으로 제공되고, 각 단계별 성찰과 공유 및 피드백을 통한 협력적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개발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