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 Learning (로봇기반교육)이 유아교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교원의 인식

        황해익 ( Hae Ik Hwang ),최혜진 ( Hye Jin Choi ),손원경 ( Won Kyoung Son ),강신영 ( Shin Young Kang ),조은래 ( Eun Lae Cho ),김미진 ( Mi Jin Kim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1 교사교육연구 Vol.5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R-Learning 시스템의 도입이 유아교육현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들은 R-Learning을 실시하고 있는 유치원 원장 6명과 유치원교사 l4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분류체계분석에 의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관에 미친 영향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교육과정 운영에는 도움이 되고 있었으나 환경구성과 운영관리 측면에서는 아직 개선의 여지가 많이 드러났다. 둘째, 교사에게 미친 영향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일과 운영 시 역할지원 측면에서는 긍정적이었으나, 전문성 신장 측면과 일반적인 교사 역할의 업무지원에서는 의견이 나뉘고 있다. 셋째, 유아에게 미친 영향에 대한 인식을 분석 한 결과, 흥미 면에서는 유아들이 친근감을 갖고 스스로 다양한 활동을 즐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 perception about the effect of the R-Learning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this, researchers carried out focus group interviews targeting 6 kindergarten directors and 14 kindergarten teachers who implemented R-Learning. The collected materials through this were analyzed by a classification system, the effect of the R-Learning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was detected on the operation of curriculum, however, there were generally negative effects on environmental composition and managemen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had experienced R-learning were generally positive on the daily management task support, but not all the teachers were positive o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general role support. The R-Learning on young children was effective on their interest and language development, physical development.

      • KCI등재

        Vygotsky의 사회 문화적 이론이 유아교육에 주는 시사: 비계설정과 역동적 평가

        황해익(Hae-Ik Hwang),최혜진(Hea-Jin Choi)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0 열린유아교육연구 Vol.5 No.2

        본 연구는 Vygotsky의 사회 문화적 이론에 대한 관심의 증가와 함께 이론을 구성하고 있는 핵심 개념인 언어의 매개와 지식의 구성주의, 고등정신기능의 내면화와 근접 발달 영역, 학습과 발달의 상호작용의 측면에서 살펴보고, 이를 근거로 근접발달영역(ZPD) 개념에 기초한 교수-학습 과정에서의 비계설정과 역동적 평가의 측면에서 유아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entral concepts of Vygotsky's socio-cultural theory. These concepts includes the importance of social context, the socio-cultural construction of knowledge, the role of language in development, the internalization of higher mental function and ZPD(zone of proximal development), and interaction of learning and development. Based on these critical review, this study was also to seek for implications applicable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practice: dynamic assessment and scaffolding for young children. According to Vygotsky, the social context influences learning more than attitudes and beliefs, it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how and what we think. Also, social context plays a central role in development. Like Piaget, Vygotsky believed that children construct their own understandings, and cognitive construction is always socially mediated; it is influenced by present and past social interaction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ncepts of Vygorsky is ZPD. The ZPD is a way of conceptuali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and development. The ZPD is the dynamic zone of sensitivity in which learning and cognitive development occur. The role of education is to provide children with experiences that are in their ZPDs-activities that challenge children but that can be accomplished with sensitive adult guidance. Two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suggested: dynamic assessment and scaffolding for young children. Vygotsky expressed dissatisfaction with traditional ability and achievement tests as valid measures of children's "capacity to learn". In contrast to static assessment procedures, which emphasize previously acquired knowledge In terms of intelligence or achievement scores, dynamic assessment involves purposeful teaching within the testing situation. It attempts to distinguish a child's apparent level of development, as might be measured by a standardized test, from the child's potential level of development - the performance the child is capable of attaining with suppor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is the child's ZPD. To measure the breadth of the zone, dynamic assessment models use a pretest-training-retest procedure. Ferersrein's, Budoff's, and Campione and others' dynamic assessment models were reviewed and compared. Another implication of Vygorsky's theory proposed that the expert provide scaffolding whin the ZPD to enable the novice to perform at a higher level. With scaffolding the task itself is not changed, but what the learner initially does is made easier with assistance. Level of assistance would decrease as the learner takes more responsibility for performance of the task. Other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critiques of Vygotsky's approach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인성에 대한 주관성 연구

        황해익(Hae Ik Hwang),김은정(Eun Jung Kim)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5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0 No.4

        본 연구는 Q-방법론을 활용하여 교직인성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주관성 유형 및 유형별 특성을 심층적으로 알아봄으로써 유아교사가 갖추어야 할 인성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개념 정립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선행연구 고찰을 통한 기성적 표본과 예비유아교사의 개방형 응답을 통한 자연적 표본을 토대로 114개의 진술문으로 Q모집단을 구성하였고, 그 중 40개의 Q표본을 선정하여 37명의 예비유아교사들에게 9단계로 Q분류하도록 하여, 그 자료를 QUANL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의 교직인성에 대한 주관성은 5개 유형으로 분류되었고, 각 유형을 ‘관계성과 안정성 중심의 사회관계적 인성형’, ‘새로움과 융통성 중심의 창의적 인성형’, ‘평등성과 존중성 중심의 민주적 인성형’, ‘이타성과 사회성 중심의 인간애적 인성형’, ‘긍정성과 열정 중심의 성취적 인성형’으로 명명하여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material to enable an accurate understanding and conceptual formulation of the character or disposition required of early childhood teachers, by gaining an in-depth view of pre-service childhood teacher’s subjective models of teacher dis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Based on a review of previous research and in-depth interviews with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114 statements were derived to configure the Q population. Of these, 40 Q samples were selected for 37 pre-service childhood teachers to classify. The resulting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QUANL program. The results produced five subjective models of teacher disposition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se five models or personality types can be labeled as follows: 1) social relations oriented (values relationships and stability); 2) creative (values novelty and flexibility); 3) democratic (values equality and respect); 4) humanity-oriented (values altruism and social skills); and 5) achievement-driven (values positivity and enthusiasm).

      • KCI등재

        유치원 원장 자기평가척도 개발연구

        황해익(Hwang Hae-Ik),남미경(Nam Mi-Kyo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5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유치원에서의 원장역할의 중요성에 비추어 원장의 자질향상에 기여하고 궁극적으로는 유아교육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원장 평가를 위한 유치원 원장 자기평가척도를 개발하였다. 관련문헌고찰과 전문가 검토 및 1차 예비조사를 통하여 3개 영역, 7개 부문, 53문항으로 시안을 구성하였으며 본 연구결과 유치원 원장 자기평가척도는 최종적으로 총 3개 영역, 7개 부문, 37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된 유치원 원장 자기평가척도의 문항 양호도인 문항통과율과 문항변별도, 척도의 신뢰도인 문항내적합치도, 척도의 타당도인 공인타당도 자료가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valid and reliable self-evaluation rating scale for principal of kindergarte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review literatures related to role and natural disposition of principal of kindergarten. The research content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dequacy of the items of self-evaluation rating scale for principal of kindergarten were analyzed. Second, the validity of self-evaluation rating scale for principal of kindergarten were analyzed. Third, the reliability of self-evaluation rating scale for principal of kindergarten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cale consisted of 53 items in 7 sub-areas of 3 major areas with 5-point rating. The major areas was general, professional, and administration characteristic, as the result of adequacy of the items, response distribution on each items and means, standard deviation was goodness. And as the result of t-test, between the higher 27% and lower 27% of self-evaluation score, the all items were significantly discriminated. Second, as the result of validity of the scale, 7 factors of 37 items explained 65.29%. Third, as the result of reliability of the scale,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was .77~.92 in the sub-areas and .96 in the total scale. In conclusion, this self-evaluation rating scale for principal of kindergarten turns out to hav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to measure principal's abilities of kindergarten.

      • KCI등재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연구

        황해익(Hwang, Hae-Ik),김미진(Kim, Mi-Jin),탁정화(Tak, Jeong-Hwa)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2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가 직 · 간접적으로 느끼고 경험하는 업무, 동료, 행정, 학부모. 원아 관련 직무스트레스 인식 정도를 조사하고, 직무스트레스 지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교사의 개인특성 및 근무환경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인식의 차이를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나아가 직장보육시설 보육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근본적인 대책 및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직장보육시설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175명을 대상으로 5개 영역 61문항으로 구성된 직무스트레스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인식 정도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들은 업무 관련 요인에서 직무스트레스를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고, 그 다음으로 부모, 원아, 행정, 동료 스트레스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교사의 개인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는 경력, 자격, 결혼 유무, 자녀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근무환경에 따른 직무스트레스는 보육시간과 근무시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xtent of work-related stress that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occurred by tasks, colleagues, administrative works, children"s parents, and children and the difference of work-related stress level by teacher’s personal traits and working conditions. With the result of this study, we tried to prepare preliminary data for the way to lessen the work-related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and improve the child care service quality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175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we used tools composed of 61 items in 5 domains to measure the work-related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The major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tasks we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on work-related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and children’s parents, children, administrative works, and colleagues were influential in order. Work-related stress by teacher’s personal traits varies with work experience, certificate, acquisition route for the certificate, marriage status and existence of his or her own children. In addition, meaningful differences of work-related stress by working conditions were found according to the child care hours and working hours.

      • KCI등재

        보육교사교육원 운영 현황 및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황해익(Hwang Hae-Ik),박선해(Park Sun-Hae),박성미(Park Seong-Mee),김정신(Kim Jeung-Shi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2 No.4

        본 연구는 보육교사교육원 운영과 발전을 위한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전국의 76개 보육교사교육원의 행정실무자와 전임교수를 대상으로 보육교사교육원 운영 현황 및 발전 방안에 대한 의견과 요구를 조사하였다. 학생 현황으로는 연령대가 다양했고, 고졸학력 뿐 아니라 2년제 이상의 대졸의 비율이 높았고, 미혼과 기혼자가 비슷한 분포를 보였다. 또한 교직원 현황, 학생 모집 및 선발, 재정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양성교육 외에 보수교육, 기타 보육 관련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교육원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보육교사교육원의 역할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육교사교육원 관련 개정 법령 중 '보육교사 국가자격증 제도 도입'을 가장 적절하다고 보았으며, 양성교육과정에 대한 학점은행제 도입에 대해 찬성하였고, 보육교사교육원 종합평가인증제의 실시는 필요하나 충분한 시간과 검토가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ctual conditions and development plans of 76 child educare teacher training centers all over the country to enhance the quality of the child educare teacher. 152 full-time staff members from 76 child educare teacher training centers all over the country participated in this study. Questionnaires for this study devised by the researchers were used. Questionnaires consist of items about the actual conditions and roles of their centers, appropriation of new revised law concerning for the child educare teachers training center, approval hours in academic credit banking system for training hours and necessity of evaluative-certification system for the child educare teachers training center. Academic credit banking system for training hours in the child educare teachers training center and evaluative-certification system for the child educare teachers training center are suggested for development plans of the child educare teachers training center to enhance the quality of the child educare teacher.

      • KCI등재

        은유분석을 통해 본 유아교사의 강점에 대한 유아교사와 부모들의 인식

        황해익(Hwang, Hae-Ik),채혜경(Chae, Hye-Kyo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2 No.5

        본 연구는 목적은 은유분석을 통해 유아교사와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가 유아교사의 강점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교사 57명, 부모 66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유아교사의 강점은 이다. 왜냐하면 이기 때문이다 ’의 은유분석 설문지를 통해 유아교사의 강점에 대한 은유적 표현을 수집하였다. 체계적 은유 분석 절차를 통한 연구 결과, 유아교사의 강점은 개인적 영역의 건강, 관용, 인내, 끈기, 공정, 순수, 긍정, 사랑과 전문적 영역의 능력자, 지원자, 조형자, 반영자, 안내자, 관찰자, 양육자, 연구자로 범주화되었다. 이를 통해 유아교사 집단만이 가지는 독특한 강점을 살펴볼 수 있었고, 유아교사 강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arents are perceiving the strengths of early childhood teacher through metaphoric analysis. The participants(57 preschool teachers and 66 parents) completed a prompt, “The strengths of early childhood teacher is like Because .” and then the metaphor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systematic metaphor analysis. The analysis found that the participants recognized following 18 themes as the strength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health, tolerance, patience, endurance, pureness, justice, affirmation, love, a teacher as god, a teacher as supporter, a teacher as a molder, a teacher as a model, a teacher as a guide, a teacher as observer, a teacher as fosterer, a teacher as investigator. These results show the particular strengths existing within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as a group recognized by the participants and the results are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developing various programs to improve the strength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

        영아보육 멘토링 장학 모형 개발을 위한 연구

        황해익(Hwang, Hae-Ik),탁정화(Tak, Jeong-Hwa)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영아교사의 전문성을 신장하고 자질을 함양하기 위하여 멘토링 장학 모형을 제시함으로써 영아보육의 질적 수준을 유지하고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함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하여 멘토링 장학모형 개발을 위한 유의점에 대해 살펴본 뒤 멘토링 장학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멘토링 장학 모형은 영·유아교육 관련학과 교수, 현장전문가 10명을 대상으로 모형의 적절성에 대한 검토를 설문지와 개별면담을 통하여 실시하였다. 영아보육 멘토링 장학모형은 들어가기-만나기-알아가기-실현하기(방향정하기-성장하기-더불어하기-채워주기-스스로하기)-관계이어가기와 같은 단계에 따라 구성되며, 멘토링 장학 내용은 지식?능력관련 전문성, 생활관련 전문성, 신념관련 전문성, 관계관련 전문성의 4가지 영역에 따라 총 12개의 하위내용, 16개의 멘토링 장학 내용으로 구성된다. 멘토링 장학 모형의 실시회기는 멘토교사와 멘티교사가 아젠다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개별적 요구를 반영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실현하기단계는 역동적 구조를 가지며 최소 8회기에서 최대 13회기로 이루어지며 실시간격은 주1회, 월1회 등 어린이집의 상황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실시 될 수 있도록 하였다, 뿐만 아니라 실시시간은 하루일과 중 낮잠시간이나 일과를 마친 뒤 이루어지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단계별로 90분-120분 내외로 구성되어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better Mentoring Supervision Model which will enable them to improve their own qualification, capability, and professionalism. First a model was developed based on focus group interviews, a survey of infant-toddler’s teacher and experts. According to the focus group interview, the participants argued that the concepts of mentoring supervision were: ‘collaborating with peer’, ‘co-growth with filling up’, ‘transmitting practical knowledge’, ‘emotional supporting’, and ‘awaken from negative supervision recognition’. A draft proposal on the Mentoring Supervision Model was supplemented through experts" careful adjustments and advice. In conclusion, the Mentoring Supervision Model consisted of 5 stages: joining, meeting, learning, realizing (selecting direction, co-growing, working together, filling up, doing oneself) and maintaining the relation. The program session (minimum 8 sessions to maximum 13 sessions), suitable interval period(once a week or month), required time (2-3 days or 90-120 minutes per each stages) and the beginning session(before new school terms) could be provided as guidelines. The management of this program could be dynamically decided by a mentor and a mentee.

      • KCI등재

        유아학교 체제 구축에 따른 교원 자격전환 연수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요구분석 연구

        황해익(Hwang Hae-Ik),서현아(Suh Hyun-A),황보영란(Hwangbo Young-Ran),최미현(Choi Mi-Hyun),송연숙(Song Yeon-Sook),최혜진(Choi Hye-Ji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6 No.3

        본 연구는 유아학교 체제 구축에 대비한 유아학교 교원의 체제 정비를 위한 교원자격 연수과정의 개발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는데, 특히 현재의 유치원 관련 교원 자격을 유아학교 관련 교원 자격으로 전환하는데 요구되는 소정의 연수, 즉 유아학교 교원 자격 전환 연수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유치원 교원의 자질 향상을 위해 실행되고 있는 유치원 교원 연수 교육과정의 현황과 운영에 대하여 유치원 교원 970명의 요구도를 조사하여 궁극적으로 유아학교 체제 구축을 위한 유아학교 교원 자격 전환 연수괴정의 모형을 개발하는 기초연구를 수행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유아학교 체제 구축에 따른 교원 자격 전환 연수 교육과정에 관한 의견조사지를 통해 인적사항을 비롯하여 자격전환 연수교육의 시기 및 시간, 연수 경비부담, 연수 교육기관 및 연수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와 실행방안을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구체적인 교원자격전환 연수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논의와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study need analysis on the development of teacher qualification training program for preschool system. The research contents are the following two things: 1) it was critically reviewed about inservice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professionals and preschool system. 2) it was explored the need analysis on the development of reacher qualification training program for preschool system. In this study, 970 early childhood professionals(director 102, vice-director 64, teacher 804) were attended and their answer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s: First, the appropriate rime for the program of early childhood professionals are summer and/or winter vacation. Second, the appropriate institutes of this program are current teacher inservice center and 4-year college. Third, the content of this program needs to be selected to attain the purpose of this program and to meet the demand of early childhood professionals. Fourth, this program needs to be carried our in an appropriate form according to the content area. In addition, the level of experience and educational role of the early childhood professionals should be considered in grouping. Fifth, the results of this program should be carefully evaluated. The participation in this program might be first concern. Finally, the lecturer of this program should be selected in terms of educational and emotional quality. Several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유치원 수준별 교육과정 평가척도 개발 방향 모색

        황해익(Hwang Hae-Ik),김석우(Kim Suk Woo),송연숙(Song Yeon Sook),이경화(Lee Kyeong-Hwa),정혜영(Jung-Hye Yong),손원경(Son Won Kyoung),명선우(Myung Sun Woo)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6 No.3

        본 연구는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에 나타난 수준별 교육활동을 분석하고 수준별 교육과정의 운영실태 및 교사의 인식에 대하여 조사하여, 이를 바탕으로 유치원에서의 수준별 교육과정 평가척도를 개발하기 위한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지도자료에 제시되어 있는 수준별 활동의 경향을 분석한 결과, 수준별 활동의 생활영역별 교육내용에 따른 분포와 교육과정의 내용영역이니 생활주제 그리고 활동의 유형별로 활동 수준이 편중되어 제시된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175명의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유치원 수준별 교육과정의 운영실태 분석 결과 소속기관(공립과 사립 유치원)에 따라 일부 문항에서 유의한 차이기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지도자료 분석과 운영실태분석 결과를 토대로 평가척도 개발을 위한 방안이 모색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s the preliminary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ssessment scale for the differentiated curriculum of kindergarten.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ings. First, what is the trend of differentiated activities in 〈the guide for educational activities and materials for kindergarten〉. Second, what are the opinions and suggestions of early childhood professionals about management and perception of the differentiated curriculum of kindergarten. Third, what and how co develop the assessment scale for the differentiated curriculum of kindergarten. For this first purpose, the meaning and practical problems of differentiated curriculum in kindergarten were explored, and the differentiated activities in terms of content area, life subject, and activity type in 〈the guide for educational activities and materials for kindergarten〉 were statistically analyzed. For second and third purpose, the questionnaire of the management and perceptions of the differentiated curriculum of kindergarten was collect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content area of differentiated activities in 〈the guide for educational activities and materials for kindergarten〉, Ⅰ level activities were shown 44.2%, and Ⅱ level activities were shown 55.8%. The frequency of Ⅱ level activities were higher than Ⅰ level activities in four content area except health and physical area. Second, In terms of the questionnaire of the management and perceptions of the differentiated curriculum of kindergarten, it was shown that early childhood professionals recognized strong necessity of the differentiated curriculum. This differentiated curriculum of kindergarten were tended co be useful co their instruction. Several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