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직무몰입 및 소진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손원경 ( Won Kyoung Son ),이미애 ( Mi Ae Lee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5 교사교육연구 Vol.54 No.4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직무몰입과 소진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지역 유아교육기관 원장 270명을 대상으로 직무몰입, 소진, 자기효능감 정도를 알아보고, 기술통계, 일원변량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원장의 개인변인에 따라 소진, 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원장의 직무몰입과 자기효능감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소진과 자기효능감 간에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몰입과 소진은 자기효능감에 20%의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원장이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을 가지고 기관을 운영할 수 있도록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직무몰입을 높이고, 소진을 낮추는 것이 중요하며 관련 변인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influence of job commitment and burnout on self-efficac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principal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270 principal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in Busan as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on the collected data by using SPSS 22.0.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burnout and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individual factors of the principal. Seco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job commitment and self-efficacy, and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burnout and self-efficacy. Also, job commitment showed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whereas burnout showed a negative effect on self-efficac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to increase the job commitment of the principal while decreasing burnout so that the principal can efficiently manage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 with faith in their abilitie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평가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유형 분석: Q-방법론적 접근

        손원경 ( Won Kyoung Son ),박진희 ( Jin Hee Park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1 아동교육 Vol.20 No.1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평가에 대한 이미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Q-방법론에 의해 실시되었다. 부산지역의 공사립유치원 및 국공립과 민간어린이집 교사 34명을 대상으로 Q-방법론에 따라 유아교사의 평가에 대한 이미지를 교사 자신의 주관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분석하고자 하였다. 유아교사의 평가에 대한 이미지는 긍정적-실천형, 중립적-순응형, 부정적-실천형의 3개 유형으로 분석되었다. 각 유형의 특성을 살펴보면, 제 1유형의 교사들은 유아 평가를 학부모와의 상담에 유용하게 활용하며, 유아 개개인의 발달적 특성을 알 수 있게 되며, 이를 기초로 피드백이 이루어졌을 때 유아의 긍정적 발달을 이룰 수 있다고 인식하고 있는 긍정적-실천형이라 명명하였고, 제 2유형의 교사들은 교사 발달적 측면에서 볼 때 생존기에 해당되며 유아교사로서 살아가기 위해 무엇이든 배우고 경험하면서 자신의 교육관, 아동관 등을 확립해 가는 교사들임을 알 수 있었고 중립적-순응형이라 명명하였다. 제 3유형에 속한 교사들은 평가와 관련하여 제 1유형의 긍정적인 측면이 중요함을 일부 동의하고 있었으나 평가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을 좀 더 두드러지게 인식하고 있는 유형으로 본 연구자들은 이러한 유형을 부정적-실천형이라 명명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비추어볼 때, 각 유형에 속한 교사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었지만 공통적으로 유아교사들은 평가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각 유형에 적절한 교사교육 방법과 교사연수 프로그램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This research used Q-Methodology to investigate Early-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style regarding child evaluation. The 34 participants had various experiences and educational backgrounds and were teaching in a variety of types of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 Individual teacher`s subjective perspective was the main target for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ree types of teacher`s perceptions of child evaluation: positive-practiced types, neutral-adaptabled types, negative-practiced types. As a result, although the more or less difference among each type was found according to the statistics of population variables, generally, early-childhood teachers had a tendency to positive perceptions of child evaluation. Therefore it is urgently required to development of teacher education method and teacher training program which is adequate to each types.

      • KCI등재

        유아의 전쟁놀이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손원경(Son Won-kyoung),유진(Shon Yoo-Ji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유아의 전쟁놀이 실태와 이에 대한 어머니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광역시에 위치한 유아의 어머니 21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83.2%(158명)가 전쟁놀이를 하고 있으며 남아(93.3%)가 여아(70.9%)보다 전쟁놀이에 더 많이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들은 자녀가 재미있어서, 또는 친구와 어울리려고 전쟁놀이를 하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자녀의 전쟁놀이를 허용하는 어머니(18.5%)가 금지하는 어머니(11.6%)보다 많았으며, 교사가 전쟁놀이를 허용해 주기를 바라는 어머니(18.8%)가 금지해주기를 바라는 어머니(14.1%)보다 많았다. 어머니들은 전쟁놀이의 긍정적인 측면을 이해하고 있었으며 예전보다 허용하는 비율도 높아졌다. 이에 유아의 전쟁놀이가 진정한 의미의 놀이가 될 수 있는 방안을 교사와 부모가 적극적으로 도색할 필요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ther's awareness about children's war play. 214 mothers were selected to response to a questionnaire which asks children's war play in three parts, the present condition, mother's awareness and management of war pla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ost of children did war play(83.2%) and boys did more than girls. Second, mothers responded to the reason of children's war play children were enjoying their war play and wanted to play with friends. Third, most mothers thought war play was helpful to children's development and they let their children do war play and they wanted to for teachers approve children's war play positively as well. Fourth, mothers worried about watching violent TV programs and playing with violent toys of children. To minimize violence of TV programs and toys, effective ways need to be suggested variously in the future.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장 다면적 리더십 척도 개발을 위한 구성요소 탐색

        손원경(Son Won Kyoung),이신주(Lee Shin J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2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장 다면적 리더십 척도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의 추출을 목적으로 유아교육기관장 다면적 리더십 구성요소와 하위개념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분석과 포커스 그룹 면담을 통해 유아교육기관장 다면적 리더십 수준, 구성요소, 하위개념 초안을 구성하고,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내용타당도를 검토 하였다. 또한 전문가 집단 의견을 개방형 설문 형태로 수렴하여 최종적으로 4개의 수준, 13개의 구성요소, 33개의 하위개념이 도출되었다. 유아교육기관장 다면적 리더십은 개인수준, 상호관계수준, 집단수준, 조직수준으로 구성되었으며, 개인수준은 ‘변화지향능력’, ‘자기존중’, ‘윤리성’, 상호관계수준은 ‘이해 배려’, ‘동기부여’, ‘성장지원’, 집단수준은 ‘근무환경조성’, ‘팀워크’, ‘관계형성’, 조직수준은 ‘비전설정’, ‘갈등관리’, ‘조직문화조성’, ‘대외협력관계’의 구성요소와 33개의 하위개념이 규명되었다. 최종적으로 도출된 유아교육기관장 다면적 리더십 수준, 구성요소, 하위개념에 대한 전문가 집단 CVR값은 전체 .73 이상으로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mponents and sub- concepts of the multiphasic leadership of principal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an effort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 of a multiphasic leadership scale for principal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 draft for the levels, components and sub-concepts of the multiphasic leadership of principal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was prepared after literature analysis an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arried out, and the content validity of the draft was reviewed by a group of experts. In addition, a survey was conducted with open-ended questions to gather opinions from the group of experts, and then four levels, 13 components and 33 sub-concepts were selected. The selected four levels of the multiphasic leadership of principal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were personal level, interpersonal level, group level and organizational level. As for the components of multiphasic leadership, three components were selected at the personal level: change orientation, self-respect and ethics. There were three components at the interpersonal level as well: understanding/ consideration, motivating and support for growth. At the group level, three components also were selected: creating work environments, teamwork and relationship building. At the organizational level, there were four components: vision setting, conflict management, creating an organizational culture and cooperative relationships with the outside. Finally, there were 33 sub-concepts. The CVR values of the levels, components and sub-concepts of multiphasic leadership given by the expert group were above .73 overall, which implied that the levels, components and sub-concepts of multiphasic leadership were valid.

      • KCI등재

        일반인이 인식하는 어린이집 교사의 이미지

        손원경(Son, Won-Kyoung),김미진(Kim, Mi-Jin)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6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98

        본 연구는 어린이집 교사의 역할 기대 및 정체성 정립에 영향을 미치는 이미지를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살펴보고자 일반인 110명을 대상으로 자유기술식 설문지를 배부하여 조사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인들은 깔끔하고 단정하면서도 활동하기 편한 차림을 한 밝은 인상으로 어린이집 교사의 외형적 이미지를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내면적 이미지로 ‘아이들을 좋아하는’이 가장 많이 언급되었으며, 대체로 긍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역할이미지로는 ‘교육’, ‘돌봄’, ‘보육’, ‘놀아주기’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 지위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응답자가 어린이집 교사의 사회적 지위가 낮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이미지를 개선하기 위하여 예비교사양성과정과 현직교사의 재교육 강화를 통하여 전문적 지식과 기술, 인성을 겸비한 어린이집 교사를 양성, 재교육하고 이에 맞는 처우 개선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s aimed to set the right image and identity of teachers in a day care center by examining their images perceived by the public.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pondents perceive the teachers wear neat and casuals and bright smiles for the external image of the teachers. Second, the respondents mentioned “they like children” most for the internal image of the teachers. It turned out that the general people have positive image on the teachers in a day care center. Third, when the respondents were asked about the role image of the teachers, they mentioned ‘education’ and it was followed by ‘child care’, ‘nursery care’, and ‘playing together’ in the order. Fourth, upon the social status of the teachers, it turned out most of the respondents thought the teachers have low socal status.

      • KCI등재

        현장개선과 실행연구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

        유진(Shon Yoo-Jin),정혜영(Jung Hye-Young),손원경(Son Won-Kyo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교사의 실천적 지식 획득과 반성적 사고의 함양을 통한 현장개선의 필요성을 제기한 면서 우선 현장개선과 실행연구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요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총 20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개발하고 이를 통하여 유아교사 308명의 의견을 수렴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들은 현장개선은 필요하나 필요성에 비해 잘 실현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현장개선을 위한 교사의 의지와 노력은 필요하나 실제 노력하는 정도는 필요성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로 책을 찾거나 동료의 조언을 얻어 현장개선을 하지만 단기적으로 이루어지며 현장여건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가시적 효과 중심의 결과보고에 그친다는 점 등을 문제점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응답자의 절반인 51%는 실행연구를 알고 있다고 하였고 대부분의 유아교사들은 실행연구가 필요하나 실현가능성에 대해서는 낮은 확신을 보여주었다. 교사자신의 전문성 신장과 실제의 개선 및 구체적 전략 발견을 위하여 실행연구를 한다고 하였으나 아직은 실행연구를 잘 모르고 교사의 많은 업무와 현장여건의 부족함 등을 어려운 점으로 꼽았다. 교사들은 무엇보다 실행연구가 교사의 목소리를 반영하여 피수 실제의 변화를 야기하길 희망하였고 공동체 기반 연구로 타인과의 공유를 통한 반성의 기회를 필요로 하였으며 교사의 실천의지와 교육현장에 대한 이해와 존중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이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교사교육의 한 방법으로 실행연구가 유아교육에 적극 도입될 가치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The major goals of this study were 1) to find out in-service teachers' perception about the improvement of teaching and action 2) to show the demand of in-service teacherson action research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composing 24 items, was completed 308 teachers from preschool and kindergarte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most teachers recognized the necessity of the improvement of teaching practice strongly, and it is needed for teachers have a will and purpose to develop practice. To improve a teaching practice, teachers got information from text or peer teachers, but the effectiveness of teaching improvement was smaller than their effort. Second, A half of respondents as a teacher have known action research, however, they didn't know the way to accomplish anion research well. Most teachers worried about present condition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do action research, Finally, most teachers wanted to improve their teaching practice by participating in the action research, to carry out action research through teacher's reflection and getting practical knowledge in their classroom, and to establish school environment where teachers' effort and will to improve their teaching be encouraged.

      • KCI등재후보

        유아건강교육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의 개념도 분석

        하새봄 ( Sae Bom Ha ),손원경 ( Won Kyoung Son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5 교사교육연구 Vol.54 No.2

        본 연구는 유아건강교육에 대해 어린이집 교사의 개념도를 분석해 봄으로써 교사의 유아건강교육 내용을 결정하는데 기초가 되는 교사의 지식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보육교사 40명을 대상으로 유아건강교육에 대한 개념도를 작성하도록 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유아건강교육에 대한 개념은 건강, 안전, 영양 등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둘째, 건강, 영양, 예방, 안전의 순으로 종속개념이 많았고, 건강, 예방, 안전의 순으로 특성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정신건강과 관련된 개념은 적게 나타났다. 셋째, 밀도는 1.80-8.71로 개인별 편차가 많이 났으나 75%가 4.00미만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수 횟수가 증가할수록 유아건강교육에 대한 개념이 위계적이고 통합적으로 발달하는 양상을 보였다. 신체적 건강의 개념이 신체적 측면뿐 아니라 사회적, 정신적 건강의 개념까지 확장되고 있으므로 교사들이 정신건강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교육에서 실천할 수 있도록 반복적인 연수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 concept map of daycare center teachers about health education. Based on Novak and Gowin (1984) concept map, this study examined the number of upper categories, subcategories, characteristics, hierarchy and density of teachers’ knowledge. Participants included 40 teachers who drew a concept map about health education for 1 hour. The results totaled 146 upper categories used in the teachers’ concept map with the most frequently used upper category of ‘health’, followed by ``prevention``, ``safety``, and ``basic lifestyle``. When the top 10 upper categories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ir hierarchies, number of subcategory and specificity measure it was found that the hierarchy in ``prevention`` was the highest, followed by ``health``, and ``basic lifestyle``. The highest subcategory was ``health``, followed by ``nutrition`` and ``prevention``; the highest specificity measure was ``health`` followed by ``prevention`` and ``safety``. The density degree ranged between 1.80-8.71 and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health education. These results can be meaningful to decide the contents of teacher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