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새로운 혈액저류 조영제를 이용한 신장 자기공명 영상의 유용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 Gd-DTPA와 비교

        조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박사

        RANK : 1919

        Magnetic Resonance imaging provides the unique capability to assess anatomy and functional aspects of the kidney in one exami nation. With use of fast MR sequence and new contrast agents, many have shown the potential for MR to provide excellent anatomic images, dynamic images and also the measurement of renal fun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usefulness using new blood pool contrast agents (Gadomer-17 and Gadofluorine-M) of renal MR imaging in comparison with Gd-DTPA. Renal MR imaging was obtained in 20 rabbits before and 1, 5, 10, 20 and 30 minutes after intravenous injection of 0.1mmol/kg Gd-DTPA, 0.05 & 0.1mmol/kg Gadomer-17, and 0.05 & 0.1mmol/kg Gadofluorine-M. The signal to noise ratio(SNR) and contrast to noise ratio (CNR) of the renal cortex, medulla and pelvis were measured over the time. The distinctness of visualized renal vessels were graded. There was similar shape of SNR and CNR curves of Gadomer-17 and Gd-DTPA. Sequential renal MR images showed gradual parenchymal enhancement and the collecting system with Gd-DTPA and Gadomer-17. As compared with Gd-DTPA, the renal vessels were well demonstrated with Gadomer-17. There was quite different shape of SNR and CNR curves of Gd-DTPA and Gadofluorine-M. The renal cortex, medulla and pelvis were not distinctly different tiated with Gadofluorine-M. 0.1mmol/kg Gadofluorine-M yielded excellent demonstration of the rabbit renal vessel (P<0.05). Gadomer-17 was found to be promising contrast agents for renal MR imaging; further evaluation in its utility for renal MR imaging in human is warranted. Gadofluorine-M provided greater vascular imaging than Gd-DTPA and Gadomer-17, but it is suboptimal for evaluation of renal parenchymal enhancement. 신장은 복잡한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으로 인해 이상유무를 알아 보기 위해 여러 가지의 영상기기를 이용하여 검사하여야 한다. 최근 새롭고 빠른 영상기법의 개발과 조영제의 사용으로 인해 자기공명 영상을 이용한 신장의 구조와 기능의 평가가 활발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자기공명영상 조영제인 Gd-DPTA와 비교하여 새로운 혈액저류 조영제(blood pool contrast agents)가 신장 자기공명 영상시 유용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20마리의 토끼를 5군으로 나누어 각각 Gd-DTPA 0.1mmol/kg, Gadomer-17 0.05mmol/kg과 0.1mmol/kg, Gadofluorine-M 0.05mmol/kg과 0.1mmol/kg을 정맥 주사후 자기공명영상을 얻었다. T1- weighted 3D fast spoiled gradient echo 기법을 이용하여 신혈관과 신실질이 가장 잘 보이는 관상면의 조영증강 전, 증강 후 1분, 5분, 10분, 20분, 30분의 영상을 얻어서 신혈관의 선명도를 측정하고 각각 신피질, 신수질, 신우의 신호강도대 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 이하 SNR)와 대조 잡음비(Contrast to noise ratio, 이하 CNR)를 측정하였다. 신혈관의 선명성 정도는 Gadofluorine-M 0.1mmol/kg를 주입한 토끼 군에서 가장 우수하였고 Gadofluorine-M 0.05mmol/kg, Gadomer-17 0.1mmol/kg, Gadomer-17 0.05mmol/kg, Gd-DTPA 0.1mmol/kg 군의 순으로 우수하였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5). Gd-DPTA군과 Gadomer-17군의 시간에 대한 SNR과 CNR 곡선은 유사한 모양을 보였고 두 조영제군 모두 신피질, 신수질, 신우의 구별에 우수하였으며 신혈관은 Gadomer-17군에서 더 잘 보였다. 그리고 Gadofluorine-M군의 SNR과 CNR곡선은 Gd-DTPA 군과 Gadomer-17군과는 다른 모양을 보였고 신피질, 신수질, 신우의 구별이 잘 되지 않았으나 신혈관의 조영은 가장 우수하였다(p<0.05). 결론적으로 Gadomer-17은 Gd-DTPA군에 비해 신혈관 평가에는 더욱 우수하고 시간에 따른 신실질의 변화를 잘 볼 수 있는 장점을 가 지고 있어서 추후 신장 자기공명 영상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Gadofluorine-M은 신실질을 평가하거나 신장 배설 기능을 알아보는 데는 제한점이 있지만 자기공명 신혈관조영술시 같은 용량의 다른 조영제보다 우수한 영상을 얻을 수 있어서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 고려 무인정권시대 문신 조영인·조충 연구

        김태욱 한림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1917

        이 연구는 고려 무인정권시대 문신 조영인(1133∼1202)과 아들 조충(1171∼1220)에 관한 연구이다. 조영인은 최충헌집권기에 수상에 올랐으며, 조충은 재추가 되었고 거란의 침입을 물리쳤다. 이들은 모두 무인정권시대 특히 최충헌 집권기에 크게 활약한 인물들이며, 이들의 횡천조씨가문은 이후 고려의 유력한 가문 중 하나로 성장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12∼13세기 고려시대 개인들의 삶에 대한 연구이며 무신이 권력을 장악한 시대 아래 문신의 삶에 대한 연구이다. 아울러 한 가문의 위상이 변화해가는 모습을 살펴본 연구이다. 이 연구에서는 조영인⋅조충의 성장과 좌주⋅동년⋅문생 등을 통해 사회적 관계를 알아보고 관리로 활동한 기간을 시기별로 구분해 살펴보았다. 이어서 무인정권시대 속에서 이들이 문신으로 살아온 삶을 조망하였다. 이후 횡천조씨가문을 조영인⋅조충 이전과 이후로 구분해 살피면서 이들이 가문의 위상에 준 영향과 이후 자손들의 관계 진출과 혼인 양상을 추적해서 가문의 전개와 위상 변화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조영인은 서울에서 대대로 중하급 관리를 배출한 가문에서 태어나 수상을 지낸 외할아버지 문공원의 영향 속에서 성장하였다. 혼인은 두 차례 하였는데 당성홍씨 홍관의 손녀, 파평윤씨 윤언이의 손녀로 모두 잘 알려진 귀족가문이었다. 그가 28세에 과거에 급제하였을 때 시험관인 좌주는 김영부⋅이지심인데 김영부는 무신란에 반기를 든 김보당의 아버지였고, 이지심은 무신란에 죽었기 때문에 무신란 이후 이들의 후광을 기대하기는 어려웠다. 과거에 함께 급제한 동년은 유공권⋅최선 등 4명이 알려졌는데 이들과 비교해 조영인은 앞서서 승진하였으며 동년간에 사돈을 맺기도 하였다. 조영인은 40여 년 간 관리로 활동하면서 중앙의 행정사무, 외교업무 그리고 왕의 비서, 문한관의 직무를 거치고 과거 시험관도 맡았으며 능력을 인정받아 세상이 그를 중요하게 여겼다. 이의민 집권기에는 재신이 되었고 최충헌 집권기에는 총재가 되어 활약하였으며 문하시중에 오르고 사후 배향공신이 되었다. 조영인은 고려시대 관리 가운데 개인으로나 가문으로나 가장 큰 성취를 이룬 인물 중 한 사람으로 개인으로는 고려시대 최고 관리의 지위에 올랐고 가문을 일으킨 실질적인 시조로 횡천 조씨 후손들은 모두 그 자손이었다. 조영인은 어려서는 남의 잘못을 말하지 않는 생활태도를 가진 외할아버지의 훈육을 받았고, 친척인 윤인첨과 문극겸의 처지를 통해서 무인정권시대 관리가 어떻게 생활해야 하는지를 경험하였다. 계속 승진해 고위관리가 되어서는 단짝동료인 유공권이 철저히 왕을 선택한데 반해 그는 왕뿐만 아니라 세상을 함께 선택해 세상의 평판이 그를 중하게 여겼다. 두아들의 혼사도 무반가문과 무반에게 존경 받는 문반가문을 선택해 가문을 보전하고 격상시켰다. 그리고 자신은 최충헌 정권에 참여해 최고 관직에 올랐지만 그것은 명목뿐이었고 현실은 최충헌의 독재체제로 굳어져가며 그는 69세에 눈이 어둡 다는 이유로 퇴직하고 이듬해 사망하였다. 조충은 조영인의 둘째 아들로 재상가에서 태어나 자랐으며, 당시 내로라하는 귀족가문이자 아버지의 동년인 최선의 딸과 혼인하였다. 20세에 과거에 급제할 때 좌주는 이지명⋅임유인데 임유는 아버지의 동료이자 왕실의 외척이었고 최충헌의 사돈이었다. 조충은 훗날 과거를 관장한 뒤에 급제자들을 데리고 그를 찾아가 예를올렸으며 그와 사돈을 맺었다. 동년은 이규보⋅유승단 등 십 여 명이 알려졌는데, 조충은 이들과 비교가 무의미할 정도로 빠르게 승진해 가장 출세하였으며 이들에게 의지하고 기댈 수 있는 동년이었다. 조충은 30여 년 간 관리로 활동하면서 다양한 행정관직과 문한직을 거쳤지만 대간직은 거치지 않았고 과거 시험관도 맡았으며 외교와 군사 분야에서도 크게 활약하였다. 그는 자신이 뛰어난 행정관이자 문한관이었으며, 훌륭한 외교관이자 사령관임을 보여주었다. 특히 원수로 임명되어 거란의 침입을 물리치고 몽고와 외교관계를 맺는데 주도적인 구실을 하였다. 영웅이 되어 개선한 뒤에는 독락원을 조성하였는데 그것은 집권자 최충헌의 시기와 경계를 받았기 때문이었다. 조충은 이러한 상황을 벗어나기 위해 홀로 즐긴다는 독락원을 조성하고 자신이 어떠한 정치적인 의지를 갖고 있지 않다는 모습을 보여주려고 하였다. 독락원은 그에게 낙원과 囹圄의 경계선상에 있는 곳이었다. 그 해 최충헌이 사망하고 이듬해 조충도 50세의 이른 나이에 사망하였다. 고려시대 횡천조씨가문은 서울에서 대대로 중하급 관리를 배출한 가문이었는데, 조영인과 조충 이후로 정치적⋅학문적⋅사회적으로 명망이 높아져 최고의 귀족가문으로 자리잡았다. 이후 자손들은 꾸준히 관리가 되었는데 특히 조영인과 조충 이래 조계순 → 조변 → 조문간⋅조문근 → 조무에 이르는 계열은 고려 말까지 대대로 재상에 올랐다. 혼인은 3품 이상의 고위관리가문과 하였는데 시기별로 무인정권기에는 무반가문, 고려 후기에는 원 세력과 신진 문반가문과 혼인하였다. 그렇지만 지속적으로 당대 권세가와 혼인하였다는 점은 변하지 않았는데, 그들은 최충헌가, 채송년가, 김방경가, 차신가, 이제현가, 신귀가, 권용가였다. 후기에는 새롭게 등장하는 가문들에게 혼인을 통해 사회적 지배층이 되려는데 사다리와 같은 구실을 하였다. This study deals with two civil officials Cho Yǒng-in(1133∼1202) and his son, Cho Ch’ung(1171∼1220)during the Military Rule in the Koryǒ Dynasty. Cho Yǒng-in became prime minister during Ch’oe Ch’ung-hǒn’s years in power, and Cho Ch’ung served as chaech’u, a participant of Privy Council and subdued Khitan army invading Koryǒ. These father and son played great roles in political arena during the ruling period of Ch’oe Ch’ung-hǒn. Hoengch’ǒn Cho clan which Cho Yǒng-in and Cho Ch’ung came from became one of the most influential families in the Koryǒ Dynasty. This study addresses lives of Koryǒ people during the twelveth and thirteenth century. This essay also explains lives of civil officials under the rule of military officials. Finally, this dissertation shows changes of a family in terms of political and social status at the latter part of the Koryǒ Dynasty. First, this study shows the process that Cho Yǒng-in and Cho Ch’ung grew into powerful political figures. This study also analyzes social relations of Cho Yǒng-in and Cho Ch’ung by examining chwaju, the examination officer and tongnyǒn, the successful candidates at the same time. Their official careers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were also a part of this study. Next, this study reveals how Cho Yǒng-in and Cho Ch’ung maintained their official careers under the military rule of Ch’oe Ch’ung-hǒn. Finally, Istudy Hoengch’ǒn Cho clan before and after political success of Cho Yǒng-in and Cho Ch’ung. More specifically, I research changes of Hoengch’ǒn Cho clan in terms of political and social status by analyzing how much influence Cho Yǒng-in and Cho Ch’ung gave to their Cho clan and by tracing which clans they had marriage relations with. Cho Yǒng-in was born in the capital city and in the family which had produced middle and low class officials for generations. Mun Kong-wǒn, grandfather on his mother's side, had much influence on growth of young Cho Yǒng-in. Cho Yǒng-in married twice. One was a granddaughter of Hong Kwan and the other was a granddaughter of Yun Ǒn-i. Both wives came from aristocratic lineages. When Cho Yǒng-in passed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his chwaju, the examination officer, was Kim Yǒng-bu and Yi Chi-sim. Kim Yǒng-bu was a father of Kim Po-dang who rose against The Military Officers Revolt. Yi Chi-sim died during The Military Officers Revolt. Therefore, Cho Yǒng-in had no hope to gain any support from his two examination officers: Kim Yǒng-bu and Yi Chi-sim. Cho Yǒng-in had tongnyǒn, the successful candidates at the same time, such as Yu Kong-gwǒn, Ch’oe sǒn, and several others. Compared to his tongnyǒn, Cho Yǒng-in got a rapid promotion and had marriage relations with his tongnyǒn family. Cho Yǒng-in's official career was maintained for 40 years working for various offices and becoming a civil service examination officer. Cho Yǒng-in had a good reputation as an able official. During the period of Yi Ǔi-min's rule, Cho Yǒng-in became chaesin, chancellor and later became chongchae, prime minister in the years of Ch’oe Ch’ung-hǒn's rule. Cho Yǒng-in was one of the most successful civil officers in the Koryǒ Dynasty. Personally, he rose to the highest position in civil offices. In terms of family, he became a de facto progenitor of Hoengch’ǒn cho clan. In his childhood, Cho Yǒng-in got disciplined by his maternal grandfather who had life attitude that people should not find fault with others. Cho Yǒng-in also realized how civil officials could manage to survive under the rule of military officials by witnessing how Yun In-ch’ǒm and Mun Kǔk-kyǒm, his relatives, overcame life threats from military officials. When Cho Yǒng-in promoted to a high ranking official, he worked for king as well as worked for the world while Yu Kong-gwǒn, his close colleague, only stood on the side of the king. Therefore, people had a high opinion of Cho Yǒng-in. In terms of marriage relations, two sons of Cho Yǒng-in chose their spouses coming from muban, military officer order and munban civil officer order which were friendly to muban. Thus, Cho Yǒng-in could preserve his family and even upgrade its status under the military rule. He finally became prime minister but his position was purely nominal because Ch’oe Ch’ung-hǒn's dictatorship kept strengthened. Cho Yǒng-in retired at the age of 69 allegedly because of his weak eyesight and died next year. Cho Ch’ung, the second son of Cho Yǒng-in, was born and grew in the aristocratic lineage. He married a daughter of Ch’oe sǒn who was also came from a famous lineage of this day and was tongnyǒn of Cho Yǒng-in. When Cho Ch’ung passed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his chwaju, the examination officer, was Yi Chi-myǒng and Im Yu. Im Yu was one of colleagues of Cho Yǒng-in and was a royal relative by marriage. Im Yu also had marriage relation with Ch’oe Ch’ung-hǒn family. Later, Im Yu and Cho Ch’ung also had relation by marriage. Tongnyǒn of Cho Ch’ung were Yi Kyu-bo, Yu Sǔng-dan, and several others. Compared to his tongnyǒn, Cho Ch’ung was the most successful in his official career so he was a reliable supporter to depend on to his tongnyǒn. Cho Ch’ung's official career was maintained for 30 years working for various offices but he was never appointed to the position of taegan, censors. Cho Ch’ung also became a civil service examination officer an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diplomatic and military areas. Cho Ch’ung was an outstanding administrative official, excellent diplomat, military commander. Specifically, Cho Ch’ung subjugated Khitan army invading Koryǒ an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establishing diplomatic relations with Mongol. After he returned with glorious victory against Khitan army, Cho Ch’ung built Tongnagwon. This was because Ch’oe Ch’ung-hǒn was jealous and cautious of Cho Ch’ung's success. To avoid Ch’oe Ch’ung-hǒn's suspicious attention, Cho Ch’ung built Tongnagwon which meant 'the place to enjoy alone' and tried to show that he had no intention to gain political power against Ch’oe Ch’ung-hǒn. Tongnagwon was located at borderline between paradise and prison for Cho Ch’ung. Cho Ch’ung died at the age of 50 a year after Ch’oe Ch’ung-hǒn's death. Originally, Hoengch’ǒn cho clan was the capital-based family which had produced middle and low class officials for generations. However, after Cho Yǒng-in and Cho Ch’ung had great success in the officialdom, Hoengch’ǒn cho clan changed into one of the most distinguished families with political, academical and social influence. Descendants of Cho Yǒng-in and Cho Ch’ung continuously became government officials. Specifically, six Cho clan members including Cho Kye-sun, Cho Pyǒn, Cho mun-gan, Cho Mun-gǔn and Cho mu became prime ministers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Hoengch’ǒn cho clan had marriage relations only with high and mighty lineages. During the period of military rule, Hoengch’ǒn cho clan chose their spouses coming from muban, military officer order. At the end of the Koryǒ Dynasty, Hoengch’ǒn cho clan had marriage relations with families from pro-Yuan forces or new bureaucratic class. Regardless of their changes, Hoengch’ǒn cho clan did not change the one principle: they choose to marry spouses coming from powerful families at that time. They were Ch’oe Ch’ung-hǒn’s family, Ch’ae Song-nyǒn’s family, Kim Pang-gyǒng’s family, Ch’a Cín’s family, Yi Che-hyǒn’s family, Sin Kwi’s family, and Kwǒn Yong’s family. On the other hand, Hoengch’ǒn cho clan also became the career ladder to newly emerging families which tried to enter into the ruling class by establishing marriage relations. key words: Cho Yǒng-in, Cho Ch’ung, Hoengch’ǒn cho clan, Chwaju, Tongnyǒn, Tongnagwon, Mun Kong-wǒn, Yun In-ch’ǒm, Mun Kǔk-kyǒm, Kim Yǒng-bu, Im Yu, Ch’oe sǒn, Yu Kong-gwǒn, Yi Kyu-bo, Yu Sǔng-dan, Ch’oe Ch’ung-hǒn, Ch’oe Ch’ung-su, Cho Paek-ki, Cho Suk-ch’ang, Cho Kye-sun, Cho Pyǒn, Cho mun-gan, Cho Mun-gǔn, Cho mu, Cho Sa-ǔi, Ch’ae Song-nyǒn, Kim Pang-gyǒng, Yi Che-hyǒn.

      • 서울시 청년 커뮤니티 공간 이용자 만족도 및 사회적 교류 영향구조 연구 : 서울시 청년공간 무중력지대를 중심으로

        조영임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55

        청년은 만 19세부터 39세의 연령층을 뜻한다. 청년기의 주요한 문제로는 청년취업, 대학 등록금 부담, 주거 불안정, 결혼, 육아 등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들은 취업과 결혼의 포기 등의 사회문제로 이어진다. 위와 같은 청년문제의 해결방안 중 하나로, 서울시는 청년들이 모여 청년 문제를 토로하고 함께 고민을 나눌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였다. 서울시는 2013년 서울 청년허브 센터 개관을 시작으로 2015년에는 무중력지대 G밸리와 무중력지대 대방동을 순차적으로 개관하였다. 추후 서울시는 청년공간을 5곳으로 확대 설치할 예정이다. 서울시 청년공간은 청년의 커뮤니티 활성화, 네트워크 구축, 역량강화 등이 주요 운영목적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청년공간은 청년 간의 ‘사회적 교류’가 목표되어야 한다. 무중력 지대를 이용하는 청년들이 사회적 교류를 통해 서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이러한 교류가 거듭될수록 강한 커뮤니티 의식과 사회성 증대가 발생한다. 본 연구는 청년의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해 마련된 서울시 청년 공간의 물리적 요소, 프로그램, 이용자 개인특성이 청년간의 사회적 교류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사회적 교류의 구성요소는 교제수준, 유대감, 참여도로 선정하여 영향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의 대상지는 현재 서울시에서 운영 중인 3곳의 청년 공간 중, 사업의 지속성을 고려하여 무중력지대 G밸리와 무중력지대 대방동을 선정하였다. 두 대상지의 이용자 설문조사와 관찰조사를 시행 후, PLS-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통계분석 및 결과 해석을 진행하였다. 이용자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 무중력지대 G밸리는 인근 종사자가 주로 이용하고 무중력지대 대방동은 인근에 거주하는 대학생 및 취업준비생이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공간의 사회적 교류 및 만족도의 영향분석의 결과에서 무중력지대 G밸리는 물리적 요소에 대한 만족감이 사회적 교류와 전반적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중력지대 대방동은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감이 사회적 교류와 전반적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통해 도출된 청년공간의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무중력지대가 지역 청년 거점공간으로 효과적인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인근 지역 청년의 특성을 고려한 물리적 요소와 프로그램의 계획 및 운영이 필요하다. 추후 무중력지대 G밸리는 청년의 참여율을 높일 수 프로그램의 보완이 필요하고, 무중력지대 대방동은 청년의 만족감을 높일 수 있는 물리적 공간의 보완이 필요하다. 둘째, 청년공간의 물리적 요소는 이용자 특성에 적합한 공간으로 다양하게 구성하고, 프로그램은 지역 청년의 커뮤니티나 지역 청년활동을 지원하는 사업이 중요하다. 셋째, 청년공간의 사회적 교류 증진을 위해서는 무중력지대의 전반적 만족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넷째, 청년공간의 계획 및 운영 시 청년들의 지속적인 사회적 교류 증진 방안이 필요하다. 청년공간은 단순한 공간이용 외의 다양한 역할을 할 수 있어야 하며, 지속적인 청년들의 사회적 교류를 통해 인근 지역 청년의 거점 공간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청년공간의 운영목표인 사회적 교류 영향관계 분석을 통해, 추후 서울시 내에 제공될 예정인 청년 공간 무중력지대의 계획방향을 제시하였다. 또한 국내에서는 연구가 부족한 청년 공간의 기초연구를 진행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가진다.

      • 명상·마음챙김·긍정심리 훈련(MMPT) 프로그램이 교사의 소진, 스트레스 및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효과

        조영임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1855

        본 연구는 명상·마음챙김·긍정심리 훈련(MMPT) 프로그램이 교사의 소진, 스트레스 및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경험의 의미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혼합연구방법 중 설명적 순차 설계를 사용하였다. 연구1의 양적연구에서는 MMPT 프로그램을 실시간 온라인 방법으로 실시하는 집단, 녹화된 동영상 방법으로 실시하는 집단, 대기통제 집단으로 나누어서 효과를 비교하였다. 소진을 호소하는 중등교사들을 모집하여 3개의 집단에 무선할당하였다. 최종적으로 실시간 온라인 집단 16명, 녹화된 동영상 집단 19명, 대기통제집단 18명이 3시점의 검사를 모두 완료하였다. 사전, 사후, 추후 시기별로 종속측정치들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여 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에 따르면, 프로그램 실시 방법과 시간의 상호작용효과에 있어 삶의 만족, 삶의 만족예상, 마음챙김, 자기 자비, 지각된 스트레스, 교사소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다만 감사성향은 상호작용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따라서 MMPT 프로그램이 참여자들의 삶의 만족, 삶의 만족예상, 마음챙김, 자기자비, 지각된 스트레스, 교사소진을 유의하게 향상시켰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교사의 삶의 만족, 삶의 만족예상, 마음챙김, 자기자비의 증가에 대해서 실시간 온라인 방법과 녹화된 동영상 방법 간에 효과의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지만, 지각된 스트레스와 교사소진의 감소에 있어서는 실시간 온라인 방법이 녹화된 동영상 방법보다 더 효과가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MMPT의 처치효과는 프로그램이 종료된 4주 후 추후검사에서도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MMPT 프로그램의 참여가 교사소진, 스트레스, 심리적 웰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그 기제를 알아보기 위해서 MMPT의 핵심요인인 마음챙김, 감사성향, 자기자비에 대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검증결과 교사소진, 삶의 만족, 삶의 만족예상, 지각된 스트레스의 모든 종속측정치에 대해서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MMPT 프로그램이 교사의 소진과 스트레스를 낮추고 심리적 웰빙을 높이는데 효과적인 개입방법인 것이 확인되었고, MMPT 프로그램 안에 마음챙김, 감사, 자비의 훈련을 포함시키는 것이 적절했음으로 나타났다. 연구2의 질적연구에서는 실시간 온라인 집단과 녹화된 동영상 집단에 참여한 8인을 목적표집하여 MMPT 프로그램의 참여 경험을 탐색하였다. 프로그램의 참여 경험에 대해서 인터뷰하고 Giorgi 현상학적 방법으로 심층분석하였다. 그 결과 프로그램의 참여 경험은 ‘지금 여기에 주의를 두니 여유가 생김’, ‘받아들임의 태도로 나와 타인이 편안해짐’, ‘내가 이미 갖은 것이 당연하지 않아짐’, ‘이로운 관계 방식을 시작함’, ‘일상에서 가벼워지고 생기 있는 내가 됨’, ‘프로그램 교육 방법에는 각각 장점과 단점이 있음’이라는 총 6개의 범주와 14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명상·마음챙김·긍정심리 훈련(MMPT) 프로그램이 교사의 소진과 스트레스의 감소 및 심리적 웰빙의 증가에 기여한 점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 연구자로 인한 요구특성, 참여자 성비의 불균형, 대면집단에 대한 효과검증이 없었던 점, 자기보고 검사만으로 측정이 이루어진 점을 논의하였고 그에 따른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자원봉사자의 갈등과 극복사례에 관한 연구

        조영임 동아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1855

        최근 우리 나라는 자원봉사에 대한 인식과 활동이 다양하게 확산되고 있으며 참여율도 급속히 늘어가고 있다. 하지만 자원봉사자의 수적인 증가에도 불구하고 자원봉사는 크게 발전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인데 그 원인은 자원봉사자의 중도탈락이 높다는 것이다. 자원봉사자가 활동을 지속하지 못하는 것은 사회적 환경과 지원체계 등 제도와 정책의 부재 뿐 아니라 개별적 참여동기와 갈등 등 개인적 속성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자원봉사자는 갈등과 극복, 적응과 자아 발전 등의 매카니즘을 통한 내면적인 기술의 지속적인 적응과정을 보인다. 자원봉사자는 그 과정을 어떻게 지각하고, 어떤 양상으로 경험하여 성공적으로 적응하는가를 살펴보기 위해 부산시내 거주하며 자원봉사에 1년 이상 참여하였거나 현재 지속하고 있는 14명을 선정, 참여관찰과 심층면접으로 통하여 그들의 동기 및 계기, 태도, 갈등양상, 극복과 적응 등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하고자 했다. 질적 연구를 통한 자원봉사자의 적응과정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원봉사자의 참여 계기 및 동기는 자발적 참여, 비자발적 참여, 직업개념의 참여 세 가지로 유형화하였다. 둘째, 자원봉사자의 태도변화로는 긍정적 태도로 변화와 비판적 시각으로의 변화로 나누었다. 셋째, 자원봉사자의 갈등양상으로는 ①인정받지 못한다 ②부당한 대접을 받는다 ③보람이 없다 ④부담스럽고 지친다 ⑤기타(자기발전이 없다, 싫증난다, 자원봉사를 왜 하는지 모르겠다, 충실하지 못한다 등)로 나타났다. 넷째, 자원봉사자의 갈등극복과 적응은 ①인격적 성숙과 성장 ②자신의 능력과 소질 발견 및 실천 ③삶의 의욕 고취 및 가치창조 ④참된 만남으로서의 인간관계로 유형화된다. 이상의 연구분석결과를 종합해 볼 때 성공적인 자원봉사활동을 위한 방안은 참여동기의 개별적 이해와 강화가 중요하며 다양한 참여기회의 제공, 그것을 실천할 수 있는 사회적 여건 마련과 확대가 필요하다고 제시하였다. 자원봉사자의 양적, 질적 균형 있는 발전과 보편적인 시민문화로 정착하고 발전시킬 수 있도록 자원봉사자를 위한 교육이나 보상체계 등 사회 구조적, 정책적 지원체계 마련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절실히 요구된다. In recent, the acknowledgement and activity for the voluntary service is expanded variously and rate of participation is also urgently increased in our country. However, in spite of the numerical increase of the volunteers, it is the condition that the voluntary service is not largely developed and its reason comes higher to give up halfway of the volunteers. The reason why the volunteers will not continue their activities is that they have a little understanding on the individual attribute, such as not only social circumstance and supporting system and absence of system and policy, but also Individual participating motivation. The volunteers show the continuous adapting course of the internal skill through mechanism, such as discord and conquest, adaptation and self development. In order to find out how the volunteers will understand its course and have experience by any type and applicable successfully, I have selected 14 persons who are living in Busan and participating the voluntary service more than 1 year or continuously working now, and I try to have the synthetic understanding for their motivation and opportunity, attitude, condition of discord, conquest and adaption through participation, observation and the depth interview. The results for adapting course of the volunteers through this study areas follows : First, The opportunity of participation and motivation is formed by three (3) types, such as the voluntary participation, non-voluntary participation and the participation on the occupational concept. Second, The change of attitude of the volunteers was divided into the change by affirmative attitude and the critical and visual changes. Third, As a discord of the volunteers, it was shown that ① Cannot recognized by, ② Not to be given hospitable treatment, ③ There are fruitless, ④ Feel a burden and tired, ⑤ Others(There are no self-development. Get disgusted with. I don't know why I do voluntary service. I can't do it sincerely, etc). Fourth, The conquest of discord and adaptation of the volunteers will be classified to ① Maturity and growth of character. ② Finding and practice of capability and temperament of his own. ③ Inspire of intention for living and creation of value. ④ Human relations by true meeting. When totalizing the above results on analysis of study, the policy for the successful activity of voluntary service will be important to have the individual understanding and strengthening of participating motivation and an offer for the various participating chance, and it was suggested to require making the social condition and enlargement to carry out practice on it. In order to become fixed and developed to the common civil culture with a equal balance on quantity and quality of the volunteers, it is really required the policy efforts for making of social, structural, policy supporting systems, such as education or compensation systems for the volunte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