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문직업장교의 육성을 위한 일반대학 군사학과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 대전대학교 군사학과 사례 분석

        박용현 대전대학교 2013 국내박사

        RANK : 248687

        국문 초록 2004년 대전대학교와 육군은 군사학 발전 협력 합의서를 체결하여 한국 최초로 대전대학교에 군사학과를 개설함으로서 군사학이 학문의 분과로 태동하였다. 군사학과 교육목표는 군사전문지식, 군사력 운용과 정보처리, 어학 능력, 군 리더십 등을 구비한 전문직업장교와 군사전문가를 육성하는 데 있다. 군사학과 졸업생들은 야전부대에서 전투위주 임무수행 차원을 넘어 전문직업장교와 군사전문가로 정책개발, 연구개발, 군사외교 등의 전문분야에 활용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군사학과는 군의 직업선호도의 하락, 병 복무기간 단축, 군사학과 개설 확대, 빈번한 신입생 선발제도의 변경 등으로 인해 신입생 지원율과 우수학생 지원이 하락하는 추세이다. 육군은 일반대학들의 군사학과 추가 개설 요구와 형평성 논란으로 인해 장기적으로 군사학과 개설과 군장학생 선발을 자유경쟁 체제로 전환하고, 군장학금 수혜 수준을 축소하는 등 군사학과 관련 정책의 변화를 검토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은 군사학과 졸업생들의 경쟁력을 향상하기 위한 대안 모색을 요구하고 있다. 군사학과 졸업생들의 직업성 보장의 핵심인 장기복무 선발은 우수한 군사학과 학생선발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우수 학생 선발 및 충원, 양질의 교육 체계 및 방법, 우수한 장교의 품성과 자질 함양을 통해 경쟁력 있는 졸업생 배출은 장기복무 선발로 이어지는 선 순환적 관계이다. 따라서 장기복무 선발은 개인차원에서 직업성 보장의 중요한 요소이며, 육군차원에서는 육군 미래의 인재를 선발하는 더욱 중요하다. 장기복무에 선발되어야 위탁교육 기회가 주어지고, 발탁 직위에 근무가 가능하다. 장기복무 선발은 전문직업장교가 되는 첫 관문으로 군사학과 졸업생들의 경쟁력의 핵심요소이다. 이러한 군사학과의 현실과 특성을 고려해 볼 때 군사학과 교육체계는 전문군사지식을 습득하도록 이론적인 학문성을 추구하면서, 전문직업장교와 군사전문가로서 갖추어야 할 장교의 품성과 자질, 기반지식, 잠재역량계발 등 실천적인 실용성을 절충하여 구성하고 있다. 학문성에만 치우칠 경우 초급장교 생활에 적응하지 못하여 어려움을 겪거나 자칫하면 무능한 장교로 인식되어 조기에 도태될 수도 있다. 군사학과 학생들의 장교의 품성과 자질 함양과 잠재역량계발은 군사전문지식 습득만큼 중요하다. 본 연구는 지난 10년 간 대전대학교 군사학과 운영 결과를 분석․평가하여 사회와 육군의 변화 및 발전 추세에 요구되는 우수한 장교의 자격과 능력을 갖춘 경쟁력 있는 군사학과 졸업생들을 육성하기 위해 군사학과 교육체계의 발전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군에서 요구하는 우수 장교의 개념과 이를 달성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요소는 무엇인가” 에 대한 해답을 대전대학교 군사학과의 지난 10년간의 경험(실증)사례를 분석․평가하여 군사학과 졸업생들의 경쟁력 향상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이론적 연구보다 현실적인 적용과 실천방안에 초점을 두고 연구하였으며, 교육체계, 학생지도, 잠재역량계발 등 장교의 품성과 자질 향상을 위한 군사학과 교육과정의 적용방안을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되고 있는 방안들은 하나의 표준이 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토대로 각 대학들의 환경과 여건을 고려하여 응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 청년인구 변화에 미치는 도시어메니티의 영향 연구 : 대전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강영환 대전대학교 행정학과 2021 국내박사

        RANK : 248655

        본 논문은 청년인구의 변화에 지역의 어메니티(amenity)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었다. 청년의 문제는 지역소멸이라는 말도 있듯 지역의 입장에서는 존망과 직결된 문제이며, 국가 전체적으로도 균형발전을 저해함으로써 국가의 미래를 암울하게 만드는 국가적 해결과제이다. 이 문제는 정부나 지방자치단체 등 정책 입안자들만이 풀어야 할 문제는 아니다. 학문의 영역에서도 청년문제의 원인을 제대로 규명하고 그 방향성과 함께 대책을 모색해야 한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청년문제 연구는 지역 청년의 수도권으로의 유출이라는 현상의 문제를 지적해왔고, 그 원인을 신고전 경제학적 인구이동이론에 입각하여 수도권과 지역 간 일자리나 경제적 상황의 차이로 귀결시키는 경향이 있어 왔다. 그러나 본 논문은 지역 내에서의 인구변화에 초점을 맞추고 포스트모더니즘적 도시이론과 소비동기이론 중 어메니티모델에 주목하였다. 따라서 사람들은 거주지 선택 및 이동에 있어서 지역의 어메니티가 영향을 미치며, 특히나 청년층은 기능적·경제중심적 여건보다는 지역 내의 생활여건 특히 문화적 가치에 관심이 더 클 것이라는 가정하에 청년의 인구변화를 살펴보았다. 분석은 153만 인구를 정점으로 지속적으로 인구가 감소세인 대전광역시 5개 구를 동단위로, 즉 대덕구, 동구, 서구, 유성구, 중구의 79개 행정동 전체를 대상으로 연구했다. 2010년부터 2019년까지 10년을 기간으로 행정안전부가 발표하는 <주민등록인구통계자료>를 통해 15세에서 39세까지의 청년인구를 종속변수로 하였다. 독립변수로는 상대적으로 신고전 경제학적 인구이론 및 모더니즘적 도시이론 성향의 경제기능어메니티와 공공지원어메니티, 포스트모더니즘적 도시이론 성향의 교육복지어메니티, 생활편의어메니티, 문화가치어메니티 등 총 5개의 어메니티로 분류하고, 통계청에서 발표하는 <전국사업체조사>중 21개 사업체를 대리변수로 선정하여 역시 같은 기간, 같은 대상을 조사하였다. 분석은 패널 분석 방식을 취하였으며, 2019년을 대상으로 한 횡단면 분석으로 연구를 보완하였다. 청년인구 전체의 분석은 물론, 5세 단위로 5개 그룹으로 나누어 세부 연령별 비교, 전체인구 및 65세 이상 노령인구와의 비교연구도 수행하였다. 하우스만(Hausman) 검정을 통해 고정효과모형을 통한 분석결과의 적합성을 확인했다. 연구결과 예상대로 청년인구의 문제는 대전광역시 5개 구 모두가 심각한 상황으로 나타났다. 전체인구 중 청년인구 구성비 또한 모든 구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신흥지역인 유성구의 경우 의미 있는 결과가 도출되었는데 유성구는 전체인구와 청년인구는 늘어났으나 청년인구 구성비는 지속 감소추세이며, 특히 15~19세의 인구는 계속 줄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곧 ‘인구증가=청년인구증가’의 등식이 성립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아울러 유성구는 노령인구 증가율이 다른 4개 구보다 월등히 높다. 이는 ‘노령화=구도심’의 문제라는 등식 또한 성립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신흥지역도 고령화 문제가 심각하며, 오히려 신흥지역의 인구유지요인 중 하나는 청년유입보다는 지역 내 노령인구 유입일 수 있다는 점을 알게 해준다. 연구의 핵심주제인 도시어메니티의 청년인구에 대한 영향력을 분석해 본 결과, 기존의 Terry Clark의 연구와 같이 신고전 경제학적 인구이동이론에서 강조되는 공장시설 및 건설과 건축수선 서비스와 같은 경제기능어메니티는 청년인구 증가에 기여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특히 영세한 규모 및 낙후된 시설로 인하여 일자리 창출과 청년인구의 확대로 이어지는 것이 아니라 도심환경 악화에 따라 청년인구의 외부유출로 이어질 공산이 많음을 암시한다. 공공지원어메니티는 대체적으로 통계적 유의미함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세부연령별로 보았을 때는 다소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복지어메니티는 청년인구변화에 긍정의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고등학생층인 15~19세와 그 부모세대와 가까운 35~39세의 교육에 대한 관심이 반영되어 교육시설 및 서비스 어메니티가 청년인구변화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복지시설도 시설이 좋은 신흥지역을 중심으로 청년인구에 긍정의 효과로 나타났다. 생활편의어메니티는 전체적으로 긍정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나 긍정의 효과가 높게 나타난 부동산거래서비스 어메니티는 원룸 등 다가구 주택이 급증하는 현실에 ‘원룸부동산 밀집 어메니티’에 청년인구가 많이 사는 것이 반영된 결과라 판단된다. 청년층의 이용량 및 관심도가 큰 성향이 반영된 듯, 자동차·모터사이클·PC수리 서비스 어메니티와 생활과 밀접한 식당·숙박,주점,커피집 등 생활소비 인프라 어메니티 등이 청년인구 증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문화적 가치와 관련된 어메니티의 경우 유원지, PC방, 노래방 등 생활문화공간 어메니티는 긍정의 효과이나, 창작 및 예술활동 공간 어메니티와 스포츠 시설 및 서비스 어메니티는 다소 부정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왔다. 이는 문화가치어메니티의 경우 청년들이 느끼는 기대치에 비해 현실에서의 환경이 상당히 열악한 데에 그 원인이 있을 수 있다고 생각된다. 대부분 내용면에서 청년층에 어울리거나 적합한 수준에 못 미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세부 지역별로 분석하면 여건이 조성된 지역의 경우, 예를 들면 창작 및 예술활동 공간 어메니티는 구도심인 중구의 왕래가 많은 지역에 공간이 집중됨으로써 강한 긍정의 결과가 나왔고, 유원지, PC방, 노래방 등 생활문화공간 어메니티는 이들이 집중된 신흥지역에, 도서관, 역사시설 및 공원시설 어메니티 역시 이들이 집중된 서구지역에 긍정의 효과를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청년인구정책 차원에서 5가지 제안을 했다. 첫째, 청년주거정책은 도시 전역에 동일기준으로 균일한 추진보다는 최근 청년인구가 증가한 지역을 중심으로 집중지원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청년문화와 직접적 연관성이 높은 시설은 청년층의 왕래가 잦은 지역에 위치하도록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 셋째, 청년층을 연령대별로 더욱 세분화하여 그에 맞는 맞춤형 정책을 준비해야 한다. 넷째, 정부 및 지자체 차원에서 청년정책의 효율적 추진을 위해선 통합적으로 끌어가는 복합형 책임경영체제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1인가구나 젠트리피케이션 문제 등 가시화되고 있는 청년주거 및 청년문화 관련 주요 현상에 대해선 사전에 충분한 예방적 차원의 대비를 해야 한다. 이 연구가 갖는 시사점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지금까지 현안 중심으로 인구이동을 연구했던 기존연구와는 달리 소비행동이론 등 인구이동이론과 포스트모더니즘의 도시이론 등 이론적 뿌리를 접목시켜 심층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둘째, 청년의 문제를 도시어메니티와 연결시킨 실험적 연구이다. 셋째, 인구문제에 관한 한 대한민국의 표본인 대전광역시를 연구대상으로 함으로써 향후 대한민국 전체의 청년인구 연구 및 청년정책 수립방향에 기여할 수 있다. 넷째, 도시어메니티 문제를 본격적으로 제기함으로써 혁신도시나 구도심 개발 방향 등 다양한 주제로의 연구 확장성을 기할 수 있다.

      • 大田地域 在家老人福祉서비스의 實態에 關한 硏究

        천정은 大田大學校 經營行政·社會福祉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655

        재가노인복지서비스는 국가가 필요로 하는 국민에게 베풀어지지는 대표적인 대민 사업 중의 하나이다. 우리 사회도 노인인구가 7% 수준에 도달하는 고령화 시대에 접하고 있으며, 노인인구의 증가는 사회적인 면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노인문제가 나타나게 될 것이다. 우리나라는 1962년부터 시작된 고도의 경제성장정책으로 급속한 산업화, 도시화를 통해 1990년대에 이르기까지 불과 30년 만에 개발도상국에서 일약 선진국 수준의 경제대국으로 급부상했다. 이와 같은 경제성장은 국민 소득 증대와 더불어 생활수준을 향상 시켰으며, 위생 및 의학 발전은 사망률의 저하와 평균수명을 연장하여 노령인구 증가를 가져오게 되었다. 그러나 앞으로 노인복지의 여건은 핵가족화의 심화, 여성의 사회참여 확대 등으로 노인에 대한 가정부양이 점차 어려운 상황으로 변화 할 것이며, 노인들의 일상생활을 원조하고 지원해주는 재가복지서비스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전지역 재가노인에 대한 일반적인 특성 및 생활실태를 먼저 살펴보고, 재가노인복지 서비스에 대한 실태 및 만족도를 조사하고자 한다. 또한 재가노인복지 서비스에 대한 실태 및 문제점을 조사하여, 그 개선 및 발전방안을 모색하여 재가복지 서비스 발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대상은 대전지역 재가노인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고자 한다. 연구기간은 2004년 5월 6일부터 5월 15일까지 설문지 132부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전지역의 재가노인복지서비스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재가노인복지서비스를 이용하게 된 동기는 '이웃의 권유'가 전체 132명(100.0%) 중 57명(43.2%)으로 제일 많았고, 이용횟수는 75명(56.8%)이 '주 1-2회 이용한다'라고 조사되었다. 또한 서비스를 받기 시작한 기간은 97명(73.5%)이 '1년 미만'되었다고 답변을 하였고, 이용 시 교통수단은 6)명(46.2%)이 '걸어서 간다'가 가장 많았다. 둘째, 재가노인복지서비스 사업을 가정봉사원, 단기보호센타, 방문간호서비스에 대하여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정봉사원제도에 대하여 대전 지역의 재가노인들은 18.9%만이 서비스를 받아본 경험이 있다고 하였고, 나머지 81.1%는 경험한 적이 없거나 서비스에 대하여 모르고 있었다. 그리고 받아본 서비스 내용으로는 '무료 · 이미용' 서비스가 22명으로 가장 많았다. 가정봉사원 서비스를 원하실 경우 이용시간은 '필요시 잠깐'이 41.7%로 가장 많았고, 반나절도 30.0%로 조사되었다. 가정봉사원서비스를 이용료 부과 시 98명(74.2%)이 '이용하지 않겠다' 라고 하였다. 2. 단기보호센타에 대한 대전지역 재가노인들은 필요성에 대한 질문에 99명(75%)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고, 이용시 이용료를 지불해야 한다면 이용하겠는가에 대한 질문에 '이용하지 않는다'가 82명(62.1%)이었다. 이는 대부분의 재가노인들이 이용 시 이용료가 가장 큰 문제임이 조사되었다. 특히 저소득층은 이용하고 싶어도 이용하지 못하는 형편이 대부분이다. 3. 대전지역 재가노인들 중 방문간호서비스를 받아 본 경험은 전체 132명(100.0%)중 6명(4.6%)에 불과 하였다. 나머지 126명(95.4%)은 받아본 경험이 전혀 없다고 조사되었다. 방문간호서비스의 필요성을 조사한 결과 85명(64.4%)이 '필요하다'라고 응답하여 방문간호서비스를 원하고 있었다. 그러나 방문간호서비스를 받을 시 요금을 지불해야 한다면 '서비스를 받지 않겠다'라고 응답한 경우가 93명(70.5%)이었다. 셋째,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만족도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전지역 재가노인을 대상으로 재가노인복지서비스에 대하여 모든 복지서비스가 무료가 아닌 유료라면 이용하지 않겠다」 라는 질문에 67명(50.8%)이 '그렇다'라고 응답하였다. 이것으로 절반이상이 유료라면 이용하지 않겠다는 결과로 재가노인복지서비스가 유료로도 이용할 만큼 만족하지 않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문제점을 조사한 결과 「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가장 불편한 점은 무엇입니까」 라는 질문에 51명(38.6)이 '이용시간 및 이동거리'라고 응답하였다. 또한 '경제적 부담감'도 32명(24.2%)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이용을 선호하는 경우가 전체 132명(100.0%) 중 87명(65.9%)으로 조사되었고, 선호하는 분야를 분류하여 살펴보면 '가정봉사원'을 원하는 경우가 31명(35.6%) , 주간보호가 17명(12.9%), 단기보호가 15명(11.4%), 가정방문간호서비스가 24명(18.2%)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섯째, 대전지역 재가노인들의 생활실태를 분석한 결과 생활 수준은 '잘사는 편이다'라고 응답한 경우가 9명(6.8%)이었으며 '보통이다'가 56명(42.4%). '어려운 편이다'라고 응답한 경우가 67명(50.8%)으로 조사되었다. 현재 132명(100.0%) 중 49명(37.1%)이 혼자 가족 없이 살고 있으며, 배우자와 함께 살고 있는 경우가 56명(42.4%)으로 가장 많았다. 경제적 수준은 한달 용돈은 '1만원-5만원 미만'이 32명(24.2%)으로 가장 많았고, '1만원 미만'도 26명(19.7%)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체적으로 용돈이 부족하며 그나마 수입의 대부분을 자녀에게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적은 소득과 적은 용돈으로 가난한 노후를 보내고 있는 실정이었다. 여가시간은 전체 132명(100.0%) 중 '집에서 지낸다'라고 응답한 경우가 49명(37.1%)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공원에서 보낸다'가 23명(17.4%)이었다. '경로당이나 노인복지관, 노인학교 등에서도 지낸다'라는 응답도 23명(17.4%)이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대전지역에서의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이용자들이 많을 것으로 생각되고, 가까운 곳에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기관 및 시설 등이 무료로 많은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많은 투자와 노력과 봉사가 있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大田市 女性政策의 改善方案에 관한 硏究

        김경희 大田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655

        The main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valuate women's policy in Daejeon by means of a gender-recognized viewpoint and to suggest a correct direction in the local women's policy which is real and improves reality.This thesis is based upon the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books and preceding studies that have treated the theory and the evaluation of women's policy to examine how women's policy has performed its function and role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and status in women's life. To evaluate women's policy in Daejeon I interviewed the public officials related to women's policy and was provided the materials by them. An evaluating-framework which was developed by the discussion in the feminism-organization was prepared, and Kwangju that was most similar to Daejeon in the aspect of size of land and formation of population and as a center of democratization the citizens' participation to society was more active than Daejeon was compared and evaluated. Based upon its results, the correct direction and problem were suggested to evaluate establishment of women's policy and its performance in Daejeon more objectively and to accomplish them more positively. The correct direction and problems of women's policy in Daejeon are as follows: firstly, the reconsideration of public recognition in women's problems, secondly, the establishment of organization taking exclusive charge of the women's policy and the cultivation and arrangement of professional workers, thirdly, the reinforcement of connection with business matters between a city of great-sphere and a basic local autonomy and the activation of local women's businesses, fourthly, the expansion of women's participation in the policy-decision process, fifthly, the expansion of a day-care centers, sixthly, the abolition of the practice discriminating women officials, seventhly, a regular evaluation of women's policy, eightly, the immediate expansion of budget. The community has demanded the decentralization of power and autonomy more strongly, and women's absolute participation will be needed to keep and develop a community with the real advancement of a local autonomy. The interest toward the real situation and the evaluation of local women's policy has risen, and by examining and inspecting the process and the result that women's policy is planned and performed, the task to improve a plan, a performance and a result is more active. The City of Daejeon have to plan and promote women's policy to suit the level of recipient of women's policy and have to know the situation to perform women's policy by developing a scientific and systematic evaluation-framework and evaluation standard. From now on through the continuous and repetitive evaluation of women's policy, such tasks as the establishment of the evaluation direction in women's policy in Daejeon, details-promoting plan, and a performing situation will be carried out continuously to devise the development of women's policy in the City of Daejeon.

      • 지방자치단체 사회복지 예산편성에 나타난 문제점과 개선방안

        김용관 대전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55

        While decentralization policy and area balanced development policy that participation government propels solidify local government's autonomy that transfer central authority to local government that is involved each other mutually, it is that plan balanced development between area by scattering intent social·economical resources to local in central government. However, insistence that in case of autonomy and autonomy about local government's cloth administration and finance are emphasized in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field, local government's social welfare supply capacity is dwindled preferably or difference in cloth service supply may happen between area had been brought. Participation government is propelling local finance expansion with tax system reorganization to main policy subject by way to apply decentralization policy to social welfare. But, brought social welfare budget extension of local budget through decentralization policy but is expected there is difficulty that local government by ailment of budget assignment is much systematic plan of operation establishment and social welfare finance security, and is together local government's cloth awareness and business chivalry, finance independence cloth distinction by area by complex constituent of and so on magnify can. Profit business should be magnified within extent that do not injure public department firstly by improvement way in reply, and escape and improve inhabitants' quality of life and need social welfare budget bias that consider a social weak person who can secure lowest living in policy of caterer center of equipment operation putting first secondly. Need social welfare spot desire investigation for right compilation of a budget by third. Fourth, need activation of social welfare budget system that local resident participates. Regionalization between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is imperative political current. Local government is extension of profit business for financial resources preparation of suitable scale regarding regionalization of social welfare so that growth level of social welfare service may be kept, must need process of ripened cloth desire investigation - cloth plan - cloth compilation of a budget - execution - estimation of local government, and secure active participation of civic society in each step. In the meantime, central government must grope way of that present various policy guide line until whole local government through design of distribution method, responsibility sphere between the central government - wide area autonomy - drafter numerical value organization and re-set of way which capacitate area imbalance tidal waves of social welfare reaches in schedule cloth level. Specially, need role re-thesis of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in case of Daejeon Metro city that drafter numerical value organization's finance independence degree are low.

      • 大學校 學校社會事業 活性化를 위한 發展方案硏究

        鄭惟信 대전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55

        오늘날 한국의 사회뿐만 아닌 지구촌의 모든 사회가 급격하게 변해가고 있다. 이런 중에 한국의 교육 환경도 말 할 수 없는 질고 와 질책을 받으면서 급격히 변해갔다. 또한 사회의 초 관심분야인 청소년 중, 고등 학생의 문제는 많이 연구되고 있으며 시행착오를 거치면서도 개선하려는 방향으로 흐르고 있지만 대학이라는 공간만은 많은 면죄부를 받으면서 그 틀이 흐트러지고 있다. 대학은 이미 그 특성을 잃어버린 지 오래이다. 사회에서 어른으로 대접받고 어른취급을 하는 것이 당연한 것이라고 생각하던 지성의 대명사인 대학도 이젠 청소년의 연장선상으로 보는 시각으로 인하여 평준화되어 졌다는 것은 대학생 사회에도 사회복지의 개념이 활발히 적용되어야 한다는 것을 말한다. 대중문화에 노출되고 길들여진 신세대들이 대학에 진학하면서 대학은 다양한 문화가 공존체가 되었다. 또한 한국의 사회가 부유해지면서 학구열이 높은 한국사람들이 대학에 진학하는 꿈을 자식세대에서 이루려는 경향이 두드러지며 대학 또한 중, 고등학교를 졸업하는 것처럼 자연스러운 과정으로 인식되면서 대학만이 가졌던 고유의 문화들이 흐트러지기 시작했으며 청소년에게만 보여진다고 생각했던 "타인의존성"이라든지 "주체성의 부족" 등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는 모습이 대학생에게도 나타나기 시작했다. 틀이 잡히지 않은 청소년이 갑자기 어른이라는 신분을 받으며 완전한 독립인으로서 대우를 받다보니 급격한 변화에 적응하지 못한 사람들이 발생하기 시작했고 어느덧 대학가의 주변은 오색찬란한 유흥가의 모습으로 변한 것이다. 술 문화도 엄연한 대학의 문화라고 생각할 수 도 있지만 대부분 지나치다 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는 사회에서 큰문제로 생각하지 않는다 이는 어른이라는 면죄부를 대학생들에게 모두 들려주었기 때문이다. 또 이러한 방향으로 대학이 흐르는 데에는 대학의 복지문제에도 책임이 있다. 이것은 다시 말해 대학생을 위한 대학생다운 공간이 매우 부족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렇기 때문에 학생은 이미 다원화되어 여러 가지의 공간과 장소를 요하고 있는데 정작 필요로 하는 대학생 문화는 다원화되지 못하여 이젠 한계에 다다른 것이다. 이제 대학은 스스로 변하는 길을 모색하고 있고 다양한 실험들이 도처에서 시행되고 있으며 변해야 된다란 인식을 이젠 하고 있다. 무조건 어른으로 대하여 그들에게 갑작스런 부담을 주기 보다는 성인으로 인정하여 자유 함을 얻을 수 있게 하되 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게 항상 열려있는 교육의 장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생들이 학교생활에 만족할 수 있도록 학교와 가족, 지역사회에 영향을 주고, 이러한 노력들이 목적을 달성하도록 돕는 것이라고 하는 학교사회사업의 목적에 입각하여 청년의 주변인으로 그냥 방치되는 대학저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사회복지의 개념이 도입되어야 한다 는 전제하에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청소년 적 성향을 가지고 있으나 청년취급 받는 대학생들을 지원하는데 필요한 이론적인 배경을 마련하고, 둘째, 이들의 인식조사를 통하여 얼마만큼 사회복지의 개입이 필요한가에 대한 올바른 평가를 하며, 셋째, 현재의 대학교내에서 실행되고있는 대학생 대상의 학교사회사업 현주소를 조사하여 분석하고 이에 대한 긍정적인 대안이나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며 좀더 적극적인 시각에서 의 실천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모델을 제시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이론적 배경을 제시하기 위하여 문헌연구를 실시함과 동시에 실증적인 분석을 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설문조사의 대상은 현재 대전시에 위치한 3개 대학교에 재학중인 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학교의 학교사회사업(학생복지)에 대한 전반적인 의식과 현 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복지프로그램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평가함으로서 학교사회사업의 대학교로의 의미확장을 꾀하고 학생복지 프로그램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질문지는 일반적 사항을 살펴보는 5문항, 학생복지 문제에 대한 사전 인식도를 점검하는 8문항, 학생복지 프로그램의 현황 및 그 인지도를 살펴보는 20문항, 학교사회사업(학생복지사업)의 경험을 살펴보는 6문항, 학생의 사회참여를 살펴보는 4문항으로 구성되어있다. 조사되어진 설문지 290부는 자료의 수정작업을 거쳐 SPSS P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단순빈도분석 및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대학생도 학생복지서비스의 수혜자로 인식되어야 한다는 것과 이를 위하여서는 대학과 사회가 가지고 있는 대학생에 관한 인식의 틀을 수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첫째, 변해버린 사회의 모습에 비추어 대학생을 생각하지 않아 그들이 어떤 서비스도 누리지 못하고 방치되어 자아정체성 및 정서에 막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둘째, 사회의 변화와 시대의 변화에 적응하여 대학을 발전시키려는 방향이 시설이나 눈에 보이는 효과에만 치중하여 학생의 인성과 성격 등 자아형성을 위한 학교의 제도적 재정적 지원이 미비한 실정이다. 셋째, 이러한 학교의 변화와 다양한 학생의 욕구에 부흥하여 학생복지를 전문적으로 추진하고 발전시키고 정착시킬 전문인력의 부족이다. 넷째, 대학에 적응하기 위하여 가장 힘든 시절을 보내고 있는 신입생을 대상으로 한 전문적인 프로그램의 부족이다. 다섯째, 현재 대학에 있는 학생복지기관 즉 상담봉사센터, 학생생활연구소, 상담소 등의 의지부족으로 인한 홍보의 부족으로 그나마 갖추어져 있는 서비스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우선 이러한 대학교내에서의 학생복지를 활성화하고 발전시키기 위하여서는 앞서서 이야기한 바와 같이 시대의 변화 학교와 학생 모두 바르게 인식하여 이에 적절한 서비스를 실현해야 하며 이에 따라 학교는 제도적, 재정적, 인적인 지원에 대한 종합적인 대책을 강구하며 특히 신입생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의 개발 등 학생의 구미에 맞고 현실적인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이루어지며 학교간의 정보교환 및 현재의 제도적인 정비가 가장 필요하다.

      • 대전광역시 노인복지정책 현황과 발전방향

        박종갑 대전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55

        21세기를 맞이한 현시점에서 우리나라는 그 동안 지속적인 생활순준 향상과 보건, 의료 기술의 발달로 인한 국민들의 평균 수명의 연장과 함께 노인인군가 크게 늘어나고 있는 현실이다. 전체인구 중 노령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늘어나면서 도래하는 고령화 사회는 선진 각국은 일반적인 현상이 되었다. 우리나라도 2000년 현재 65세 이상의 노인인구가 7.2%를 넘어서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게 되었고, 대전광역시 역시 노령인군가 5.5%를 넘었고 2010년도에는8.2%로 전망돼 고령화 사회를 곧 맞이할 것이다.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노인들은 어떠한 형태이든지 경제발전에 헌신적인 기여를 했지만 그들의 수입원은 대부분 자녀들에게 의존하는 등 대다수 노인들이 경제적으로 어려운 생활을 유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대다수가 장기간 치료 요양이 필요한 당뇨, 관절염, 고혈압 등 만성 퇴행성 질환을 앓고 있으며 많은 노인은 일상생활을 위한 동작 수행을 전혀 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나마 건강한 상태에서는 자유로운 생활이 가능하여도 건강을 잃게 되면 자립생활을 할 수가 없다. 이러한 노인들의 빈곤, 질병, 고독 및 역할상실 등 제반 문제가 대가족제도에서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1960년대부터 급격한 경제성장에 따른 핵가족화 되면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21세기 고령화 사회에 대비하기 위한 대전광역시의 노인복지정책의 현황을 Gilbert와 Spect의 사회복지정책 분석모형에 따라 분석하고 문제점을 도출하여 보다 체계적이고 포괄적인 노인복지정책 발전방향을 대안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경로효친사상의 사회적 풍토를 확고히 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 노인공경 분위기 조성을 위한 행사를 확대하고 타의 귀감이 되는 표창자에게는 관내업체에 취직의 우선권을 부여하는 등 사후관리를 철저히 하여야 한다. 노인복지의 대상이 모든 노인에게로 확대하고 가족의 노인보호 기능을 강화시켜 주는 서비스가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지역사회 노인의 여가활동과 사회봉사활동 참가를 촉진하고 노인의 정신적 및 신체적 노쇠를 방치하기 위하여 대전광역시의 사회복지협의회를 중심으로 노인복지회관과 종합사회복지관 등이 주축이 되어, 노인들이 지역사회에서 자원봉사활동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행정적 ·재정적으로 적극 지원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사회적 할당기준과 급여를 확대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 시」』입소 노인에게 지역사회와 단절된 느낌이 없이 가정에서 생활하는 것과 같은 삶이 애루에질 수 있도록 지역주민에게 개방하도록 한다. 특히 지역사회의 노인입소시설의 기능을 지역사회의 노인전체에게 확대함으로써 재가노인 복지에 기여할 수 있도록 유기적인 역할과 기능을 수행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재가노인의 다양한 욕구에 맞게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하며 나아가서는 전체노인을 위한 보편화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안될 것이다. 소득보장 측면에서 노령인구를 위한 취업기회의 제공과 경로연금, 노인부양 수단 및 생활보호사업 등 수해대상과 급여수준을 확대하여야 한다. 셋째, 노인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개선이다. 이를 위하여 대전광역시는 노인복지정책의 기획, 조정, 평가기능을 강화하고 새로운 복지수요를 사전 예측하며 이체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노인복지 행정체계의 전문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보강시켜야 한다. 또한 양질의 노인복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노인복지행정체계의 보강과 더불어 노인복지 서비스를 담당할 전문인력의 확보가필요하다. 넷째, 사회복지에 있어서 지방자치제의 의미는 지방자치단체별로 지역의 특수성이 보장될 수 있다는 점에 있다. 즉 국민의 최저한 기본생활은 지역에 관계없이 중앙정부 차원에서 보장을 해주고, 그 이상의 욕구는 지방자치단체의 특정에 다라 다양한 프로그램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대전광역시는 지역적 특성에 맞는 다양한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재정적 자주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본 연구 결과는 대전광역시의 점증하는 노인문제에 효율적이고 장기적이며 거시적인 안목에서 노인복지정책을 수립하고 실천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국가적인 차원에서 집행되고 있던 상의하달 자세에서 벗어나 대전광역시의 전통을 계승발전 시키려는 사회·문화적 여건에 맞는 대책 마련이 절실하게 요청된다.

      • 대전광역시 5개 자치구 주민참여예산제 실태분석 : clear모형을 중심으로

        허택회 大田大學校 2014 국내박사

        RANK : 248655

        한국에서 지방자치가 부활된지 20여년이 지났지만 지방자치의 주인이 되어야 할 주민들의 참여는 활발하지 못한 편이다. 주민참여예산제는 주민들이 지방정치 과정에 직접 참여할 수 있는 참여민주주의의 대표적인 제도로 2011년 9월부터 전국의 자치단체가 의무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자치단체에 따라 주민참여예산제의 운영형태가 다양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특히 주민들의 참여활성화 수준에 따라 제도 운영의 평가에서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지방자치에서 주민참여 활성화는 참여하는 주민들의 의지도 중요하지만 자치단체가 어떠한 태도를 가지고 참여를 받아들이느냐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참여 활성화를 위해서 자치단체들은 참여에 필요한 여건 등을 스스로 진단해보고 약점을 보완할 수 있는 처방을 마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대전시내 5개 기초자치단체 사이에 나타난 주민참여예산제 제도운영 방식의 차이가 주민참여와 어떠한 연관성을 갖고 있는지 실증적으로 파악해 보기 위해 5개 기초자치단체의 주민참여예산제 구민위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심층 인터뷰를 진행했다. 실증적인 분석에 앞서 이론적인 배경으로 주민참여와 주민참여와 민주주의 관계, 주민참여예산제의 개념과 국내외 도입 및 실시현황, 운영사례 등을 살펴봤다. 이어 영국에서 개발된 주민참여진단모형(CLEAR Model)을 기반으로 실시한 설문 분석을 진행했다. 설문분석과 면접조사 결과는 대전시내 5개 자치구 사이에 주민참여진단요인 중 ‘참여여건’(Like to)과 ‘참여반응’(Responded to)에서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주민참여예산제도에 대한 일반적인 평가에서 자치구 사이에 큰 편차를 보여주고 있는데 예산의 형식적 운영 여부, 주민참여예산제의 지속성 여부에 관해서는 제도 운영이 활성화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기초자치단체와 형식적인 운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는 기초자치단체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이 같은 설문분석 결과는 주민참여예산구민위원들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접에서도 뒷받침된다. 대전지역 5개 기초자치단체는 설문분석에서 나타난 5개 참여진단요인별 강점과 약점을 바탕으로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처방 마련을 통해 주민참여를 활성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 외국인 노동자 지원단체 활동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 대전지역을 중심으로

        박은주 대전대학교 경영행정·사회복지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655

        외국인 노동자를 위한 지원단체가 설립된 지 10여년이 넘었으며 현재 대전을 비롯한 전국에 155개의 단체가 운영이 되고 있다. 그동안 노동력 확보라는 필요에 의해 국내에 들어오기는 했지만 정부로부터 보호 받지 못한 외국인 노동자들을 위해 민간의 지원단체들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나름대로 결실을 맺게 되었다. 8월부터 시행되고 있는 고용허가제가 완전한 고용허가제가 아닌 산업연수생제도와 병행 실시하는 반쪽짜리이지만 외국인 노동자를 위한 최초의 법임을 감안할 때 여러 가지의 변화를 예상할 수 있다. 아울러 고용허가제에 의해 국가가 외국인 노동자의 사후관리에 노력을 기울이게 되면 지원센터는 현재 업무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외국인 노동자 개개인의 문제해결을 위한 개별상담을 줄여 나가면서 다른 지원활동에 보다 많은 지원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전국의 많은 지원단체가 40만명의 외국인 노동자를 위해 지난 10년간 많은 노력을 경주해 왔지만 예산의 부족이나 공공기관과의 단절, 각 지원단체의 연계성 부족, 전문적인 인력의 부족 등으로 인하여 많은 한계를 노정시켜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이루어져 온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복지사업 실태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외국인 노동자를 위한 복지정책을 수립하는 데 있어 개선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내용을 보면, 첫째, 외국인 노동자의 의미와 역사, 둘째, 외국인 노동자의 복지실태를 국가 정책적 측면과 민간지원 측면으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셋째, 대전지역 외국인 노동자의 실태와 공공 민간부문의 복지지원 실태를 분석한다. 넷째, 대전지역 외국인 노동자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한 복지정책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전지역 외국인 노동자 지원단체에서는 대전 · 충남지역에는 전체 외국인 노동자의 10%가 일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고, 대전 지역에는 전체의 3.3%가량인 1,200명 정도의 외국인 노동자가 있는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대전 지역의 외국인 노동자 중 상당수는 대화동 1, 2공단, 신탄진 3, 4공단 평촌 중소기업단지 등에서 일하고 있으며, 산업연수생을 고용할 수 없는 영세한 조건의 공장에서는 미등록 노동자나 E-9비자를 취득한 노동자들이 일하고 있다. 외국인 노동자를 위한 지원단체도 서울 · 경기 지역이 가장 많고, 그 비율을 보면 전국의 63.3%가 이 지역에 위치한다. 현재 대전지역에는 대화동 빈들교회의 '대전 외국인 노동자와 함께하는 모임', 신탄진에 위치한 천주교 대전교구 소속의 '모이세', 대전복음교회 지원의 'IFC'(국제친교센터), '대전외국인 노동자 종합지원센터' 등 4개의 외국인 노동자 지원단체가 활동을 하고 있다. 고용허가제의 실시로 우리나라 외국인 노동정책은 일대 전환을 맞게 되었다. 현행 시행되고 고용허가제는 과거 10년동안 우리나라 외국인 노동자에 관한 정책의 결정판이라고 할 수 있는데 문제점 또한 많이 있다. 문제점으로 첫째, 산업연수생 제도와의 병행 실시의 폐해, 둘째, 외국인 노동자의 사업장 이동의 제한의 문제, 셋째, 고용허가제 위반에 따른 벌칙, 넷째, 민간단체 지원으로 인한 대정부 비판 기능약화를 들 수 있다. 대전지역 외국인 지원단체의 한계를 다양한 관점에서 논의할 수 있지만 외부적인 요인과 내부적인 요인으로 나누어 고찰하면 먼저 외부요인으로는 대전시를 비롯한 공공기관의 관심부족, 지원단체간 또는 관련 시민사회단체와의 연계 활동의 부족을 들 수 있다. 둘째, 내부요인으로는 재정적 한계를 인한 활발한 프로그램 진행의 한계와 인력부족과 전문가 참여의 한계를 들 수 있다. 따라서 지난 10여년간 대전지역의 외국인 노동자 지원센터가 이루어 놓은 노력의 결실이 헛되지 않도록 지원센터의 내부적인 혁신은 물론 관련 외부 환경 즉 관련 공공기관 및 지역사회는 다음의 측면에서 개선의 노력을 경주하여야 할 것이다. 먼저 외부적인 측면으로는 공공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 공공기관과 지원단체간의 일정한 역할분담, 대전지역 지원단체간 그리고 다른 지역의 지원단체와의 네트워크 형성과 협력사업이 확대 운영,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인식전환을 위한 홍보활동, 외국인 노동자 처우개선을 위한 국가정책에 적극적으로 개입할 수 있는 네트워크 구성 등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내부적 측면으로는 재정확보를 위한 다양한 방안의 강구, 전문인력 확보를 위한 노력의 경주, 전문적인 자원봉사 확보 및 운영관리, 외국인 노동자의 커뮤니티가 형성될 수 있도록 다각적으로 노력, 외국인 노동자 스스로 한국문화를 이해하고 시민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 등을 제시하였다.

      • COVID-19 전후에 따른 지역별 대전대학교 한방병원 외래 환자에 대한 통계적 분석

        차현지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55

        Purpose This study is designed to statistically analyze outpatient by year, month, gender, age, visit type (frist visit or revisit). The data was for patients visited to the Daejeon·Cheonan·Cheongju Korean Medicine Hospital of Daejeon University for 3 years from January 1, 2018 to August 31, 2020.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endencies of patients who visit the hospitals before and after COVID-19. Methods This study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medical records of 452,487 patients who visited to the Daejeon·Cheonan·Cheongju Korean Medicine Hospital of Daejeon University for 3 years from January 1, 2018 to August 31, 2020. The data is classified according to year, month, gender, age, and visit type.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IBM SPSS 25.0. Resul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452,487 patients for the past 3 years are as follows. 1. The total number of patients visiting the hospitals decreased in 2020 compared to before 2020, and the number of patients in each hospital also decreased from the previous year. 2. As a result of analysis the number of patients according to the year of each hospital, the difference by year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Daejeon Korean Medicine Hospital, and the number of patients of Cheonan Korean Medicine Hospital and Cheongju Korean Medicine Hospital de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year. 3. The change in monthly patient changes according to the year by hospital has continued to decrease from January to March in 2020, unlike the previous year, which recovered from a decline in March. 4. In the analysis of patients by ag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patients in the 50s or older according to the year, while those under 50s have a tendency to significantly decrease. 5.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nge in the number of patients divided into internal medicine(IM) and general surgery(GS),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number of patients by year according to the department. Conclusion We expect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reference materials in analyzing effects of COVID-19 at health care util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