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폴리에스테르 직물의 Sputtering 착색

        조연정,구강,Cho, Yeun-Chung,Koo, Kang 한국섬유공학회 1997 한국섬유공학회지 Vol.34 No.9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of coloration and anti-static property by sputtering on polyester fabrics. Polyester fabrics had been sputtered with gold and titan under various conditions in the presence of argon gas. We compared color, color difference, half value period and static voltage of these samples. As a result of investigation, we can find that color of sputtered samples has come out the same color as a target. Color difference of sputtered polyester fabrics increased with increasing treatment time and gas pressure and with decreasing electrode distance. There was little color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5 times washing of sputtered polyester fabrics. We can find that anti-static property of sputtered samples were improved by decreasing half value period and static voltage.

      • KCI등재

        학교급식 조리종사원의 안전사고 실태 및 신체적 피로도 분석

        조연정(Yeon-Jung Cho),김현아(Hyun-Ah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2 No.9

        본 연구는 향후 학교급식 안전관리 개선 방안 모색에 도움이되고자 경남지역 초?중?고등학교 조리종사원을 대상으로 학교급식소 안전사고 실태 및 신체적 피로도를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2011년 12월 1일부터 20일까지 총 3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276부가 회수되었고, 이 중 응답 내용이 불충분한 54부를 제외하고 총 222부(74%)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으며, 본 연구 결과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안전사고 유형별 경험 유무 및 발생 빈도 조사 결과 타박상 경험자는 92.8%, 화상 경험자 73.0%, 피부외상 경험자69.4%, 염좌 경험자 47.7%, 낙상 경험자 42.8%, 골절?탈구 경험자 31.5%, 감전사고 경험자 2.7% 순으로 나타났으며, 안전사고 유형별 발생 정도는 화상 2.04, 타박상 3.18, 염좌1.64, 피부외상 2.07, 감전사고 1.06, 골절?탈구 1.42, 낙상1.52로 나타나 타박상의 경험율 및 발생 빈도가 가장 높았다. 둘째, 노동 강도가 가장 크다고 생각되는 작업공정으로는 청소(55.4%), 안전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작업공정으로는 주조리 과정(48.6%), 급식소 안전사고의 주된 원인으로는 조리종사원의 과도한 업무량(3.52)이 조사되었다. 셋째, 조사대상이 작업 시 자각하는 신체적 피로도는 팔과 손목의 통증 4.1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어깨의 통증4.10, 척추의 통증 3.88, 빠른 피로감 3.81, 눈의 피로 3.70, 다리의 통증 3.69, 발바닥과 발목 통증 3.62, 귀의 이상 3.63, 목의 통증 3.45, 체중의 변화 3.21, 두통 2.95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학교급식 조리종사원의 신체적 피로도에 영향 미치는 요인은 학교급(P<0.05), 1일 급식횟수(P<0.05), 1일 급식인원(P<0.001), 조리종사원 1인당 급식인원 (P<0.05), 근무전 준비 운동 여부(P<0.05)로 중학교, 1일 3식을 제공하는 학교, 1일 급식 인원이 1,000명 이상인 학교, 조리종사원 1인당 급식인원이 110명 초과인 학교의 조리종사원의 신체적 피로도가 높았으며, 준비운동을 하는 경우 신체적 피로도가 낮았다. 본 연구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학교급식 조리종사원들이 가장 많이 안전사고가 발생한다고 생각하는 작업공정은 주조리 과정으로 이에 대한 정확한 작업환경을 진단하여 인체공학적 작업환경 개선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노동 강도가 가장 크다고 생각하는 청소 과정에서 무거운 물체를 들거나 반복동작으로 의한 근골격계 질환 예방하기 위해 관련시설 및 장비의 보완이 필요하겠다. 셋째, 노동량의 증가에 따라 신체적 피로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으므로 조리종사원의 적정 인력기준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넷째, 준비운동을 할 때 신체적 피로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근무 시작 전 준비운동이 이루어지도록 충분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afety accidents and physical fatigues of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Out of 300 questionnaires distributed from December 1~20, 2011, 276 responded. After excluding 54 incomplete questionnaires, 222 (usage rate: 74%) were examined in the final analysis. First, our results showed that in terms of safety accidents, most received bruises (92.8%), followed by burns (73.0%), cuts and lacerated wounds (69.4%), sprains (47.7%), falls (42.8%), fractures/dislocations (31.5%) and electric shock (2.7%). Second, we found that the average degree of physical fatigue of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was 3.65 based on the 5-point Likert scale. Specifically, pain in the arms and wrist was rated the highest, at 4.18. Third, results showed that the factors affecting physical fatigue were ‘class of school’ (P<0.05), ‘frequency of meal serving per day’ (P<0.05), ‘no. of meals served per day’ (P<0.001), ‘no. of meals per employee’ (P<0.05) and ‘warm-up exercise before starting work’ (P<0.05). This means that foodservice employees serving middle schools, serving meals three times per day, serving more than 1,000 meals per day, and serving more than 111 meals per employee perceive higher levels of physical fatigue. In addition, the physical fatigue of those who perform warm-up exercises before starting work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who do not perform warm-up exercises before work (P<0.05). In conclusion, the frequently occurring major safety accidents of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were bruises and burns. An increase in workload also leads to the increasing physical fatigue of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Thus, to lower the physical fatigue of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should be encouraged to perform warm-up exercises before staring work and new staffing guidelines for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should be developed.

      • KCI등재
      • KCI등재

        1980년대 문학에서 여성운동과 민중운동의 접점

        조연정(Cho, Yeon-jung) 우리말글학회 2016 우리말 글 Vol.71 No.-

        1980년대의 민중운동과 여성운동의 관계를 탐색할 때 민중운동이라는 대의에 의해 여성운동의 명분이 약화되고 따라서 여성운동이 지연되었다는 사실은 중요하게 검토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에 못지않게 문제적인 사실은 ‘민중’이라는 실체 없는 대상이 재현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젠더 위계화가 생겨났다는 점이다. 이때 민중을 둘러싼 도덕적 선의 영역이 남성적인 것으로 재현되며 여성적인 것은 부정의 대상이 되었다는 사실은 특히 강조될 필요가 있다. 실제 노동 현장의 여성들은 자신의 노동력을 부정당하거나 혹독하게 착취당했으며, 여성성이라는 관념 역시 도덕적으로 타락한 것으로 부정당하면서 여성들은 이중의 타자화를 겪는다. 이처럼 젠더적 관점에서 1980년대의 민중운동 혹은 민중문학론을 재인식하는 논리는 정치적으로나 도덕적으로나 절대적 당위성을 지녔던 당대 대항운동의 한계를 여실히 드러낸다. 1980년대의 무크 동인지 『또 하나의 문화』를 중심으로 활동한 여성 지식인들의 목소리와, 그들과 여러 이슈를 공유한 여성문학의 사례들은 이에 중요하게 검토될 필요가 있다. 이 글은 『또 하나의 문화』에 적극 가담한 유일한 시인이었던 고정희의 문학적 발화들을 중심으로 1980년대 여성운동과 여성해방문학의 성과를 짚는다. 여성 평론가의 부재 현상을 문단의 주요한 과제로 요청한 것의 의미, 나아가 ‘마당굿시’와 ‘해방시’ 등 그녀 시의 다양한 전략적 장치들을 여성‘운동’의 관점에서 살펴본다. 고정희에게 문학은 여성해방의식을 공론화하는 장으로서 기능한 것이라 할 수 있다. When exploring the relation between the popular movements and women’s movements in the 1980s, it is pivotal to consider the fact that the cause of women’s movements was considerably weakened and the movements delayed due to the cause of the popular movements. What is just as important is the problem that a gender hierarchy has been naturally formed as the “people,” which is an entity without substance, was reproduced. The fact that the area of moral good regarding the people was reproduced as something masculine and that femininity became the subject of denial should be emphasized in particular. Women in actual workplaces were denied of their labor or were severely exploited, and the concept of femininity was also deemed to be morally corrupt, resulting in the women to suffer a dual otherization. Attempts to reconsider the popular movement in the 1980s or the people’s literature theory in agender perspective reveal the limitations of the counter-movements which had absolute political and moral validity at the time. The voices of female intellectuals who took active parts in the literary coterie magazine An Other Culture in the 1980s and the cases of feminist literature which had various issues in common with the intellectuals need to be studied carefully. This study analyzes the achievements of the women’s movements of the 1980s and the literary works on women’s liberation by focusing on the literary works by Jung-hee Koh who was an active contributor to An Other Culture . This study looks into the implications of Koh requesting to have the nonexistence of female literary critics as a key issue of the literary scene and of her poetry foregoing aesthetic tension and written in a long form employing straightforward language in the perspective of women’s “movements.” To Koh, literature served as a platform to publicize female liberalization.

      • KCI등재

        어문학 : 주변부 문학의 (불)가능성 혹은 문학 대중화의 한계 - 백낙청의 "시민/민족/민중문학론" 재고 -

        조연정 ( Yeon Jung Cho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6 인문학연구 Vol.0 No.51

        이 글은 민족/민중문학론으로 대변되는 1970년대 백낙청의 비평을 읽으며 다음의 두 가지 질문을 해결하고자 했다. 첫째, 후진국 문학으로부터 선진적 가능성을 확인하는 그의 민족문학론이 내장한 한계에 관한 것이며, 둘째, 이러한 민족문학론의 한계가 문학에 대한 그의 기본적인 입장과 어떤 관련을 맺는지에 관한 것이다. 1970년대 백낙청 비평의 지적 여정에서 가장 매력적인 지점은 후진적 한국의 민족문학으로부터 선진적 세계문학의 가능성을 엿본 부분이다. 그의 문학론은 그구조적 상동성에 의해 제국과 피식민국가, 도시와 농촌, 도시중심부와 변두리, 혹은 남성과 여성 등 다양한 지배/피지배의 관계를 상정하는 것으로 확장된다. 그런데 문학적 차원에서라면 한 국가의 민족문학이 자신의 특수성을 인정받는 것은 긍정적 정체성을 부여받는 일종의 해방이 될 수 있지만, 현실의 차원에서는 피지배계급이 그 자신의 특수한 계급적 상황을 정확하게 확인하는 것 자체로 해방이 될 수는 없다. 백낙청의 민족문학론의 논리적 자장 안에서 후진국 민족 ‘문학’의 해방은 가능한 것처럼 보이지만, 주변부 계층의 ‘현실’적 해방은 요원한 듯 보인다. 백낙청의 민족문학론을 가로지르는 이와 같은 맹점은 선진 교육을 받았고 도시적 삶에 기반을 둔 후진국 지식인의 한계로 이해될 가능성도 크지만, 이는 문학과 현실의 분명한 차이를 재차 확인시켜주는 것이기도 하다. 나아가 창비의 민중문학론과도 그 맥이 닿아 있는 백낙청의 ‘민족/민중문학론’에서 ‘민중’이 문학의 주체로서 호명되기보다 여전히 ‘재현의 대상’에 머물고 있다는 점은 1970년대 ‘운동으로서의 문학’에 내장된 필연적 한계로 이해된다. 백낙청은 당대의 문학이 연대해야 할 대상으로 ‘민중’과 ‘시민’을 호출하지만, 문학의 수용 주체로 호출하는 것은 그저 대다수의 ‘대중’에 가깝다. 특히 그가 문학을 통한 ‘인간해방’ ‘인간다운 삶’ 등의 용어를 쓸 때 그것은 특수한 정체성을 부여받은 집단의 해방이기보다는 보편적 인류의 해방을 요청하는 것에 가까워진다. 이러한 사실들로 판단할 때, 특정 집단의 해방보다는 보편적인 인류의 모럴을 요청하는 1970년대 백낙청의 ‘시민/민족/민중문학론’은 ‘운동으로서의 문학’이기 이전에 ‘문학을 위한 문학’으로 이해될 가능성도 크다. 백낙청의 문학론에서 가장 중요한 명제인 ‘문학의 공공성’은 현실적 요구조건과 밀착한 것으로서가 아니라 문학 근본주의자의 보편적 주장으로 읽히기도 하는 것이다. This essay aimed on discussing the following issues by revisiting Paik Nak-chung’s criticism during the 1970s, which could be summed up as Paik’s theory on national / people’s literature. First, this paper centered on the limitations to Paik’s national literature theory which finds the possibility of advancement from the literature of the underdeveloped country. Second, this paper attempted to identify the relation between Paik’s own perspective towards literature and the limitations of the national literature theory. The most attractive point in the intellectual path that Paik Nak-chung’s criticism had paved in the 1970s was that he found a possibility of an advanced, world-class literature in the underdeveloped Korean national literature. Paik’s literary theory proceeds to postulate the relation between various dominating and dominated relationships such as the empire and the colonies, the city and the country, the urban and rural areas of a city or men or women. While recognizing the distinctiveness of a nation’s national literature can serves as a form of liberation in literature, the dominated class cannot achieve liberation in reality merely by recognizing one’s class distinctions. The liberation of the national “literature” of underdeveloped countries seems possible within the logical spectrum of Paik Nak-chung’s national literature theory, but the “realistic” liberation of the peripheral class seems to be a far-fetched concept. Such weak points in Paik Nak-chung’s national literature theory may be understood as his limitation as a highly educated, city dwelling intellectual from an underdeveloped country. Nevertheless, these points once again serve as a reminder of the sharp contrast between literature and reality. Furthermore, the fact that Paik Nak-chung’s theory on “national / people’s literature,” which is closely connected with Changbi’s national literature theory, is still an “object of reproduction” is an inescapable limit of the “literature as a social movement” of the 1970s. Paik Nak-chung identifies the “people” and the “citizens” as the object of solidarity for contemporary literature, the actual recipients of the literature are close to the “mass public.” Paik’s reference to “human liberation” and a “human life” through literature is a request for the liberation of humanity, rather than the liberation of a certain group with a distinctive identity. “The publicness of literature,” which is the most important proposition in Paik Nak-chung’s literary theory, can be read as a universal argument of a literature fundamentalist, rather than meeting the realistic needs.

      • KCI등재

        1990년대 젠더화된 문단에서 페미니즘하기 : 김정란과 허수경을 읽으며

        조연정(Cho, Yeonjung) 구보학회 2021 구보학보 Vol.0 No.27

        This paper is intended to re-establish the achievement of women s literature in the 90s by analyzing and considering various issues of feminist criticism in the 90s. First of all, this paper looked at the limited acceptance of feminism criticism in the male-centered literary field of the 90s. We looked at the controversies surrounding Kim, Jungran, a radical feminist poet and critic in the 90s, and pointed out the limitations of her argument that actively emphasized the Women s Poetry Movement. To sum up these discussions, the problems of women s literature discourse in the 90s are summarized into two categories: The fact that the question of feminism could not be extended to a universal problem in Korean literature, and at the same time, the practice within literature did not fully consider the contact with the reality outside of literature.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these issues, this article newly analyzed Heo, Sookyung s first collection of poems from a feminist perspective. It was intended to critically examine the criticisms of the time that read Heo, Sookyung s poems with the Practice of Great Motherhood, and to reveal that the reversal relationship between father and daughter, extracted from Heo, Sookyung s poems, confuses gender norms.

      • KCI등재

        ‘추상 충동’을 실현하는 시적 실험 : 김춘수의 무의미시론에 나타난 언어의 부자유와 시의 존재론

        조연정(Cho, Yeonjung) 한국현대문학회 2014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42

        예술의 추상 충동에 관한 이론은 예술을 요청하는 인간의 근본 조건을 설명해줌과 동시에 세계를 향한 인간의 적극적인 대응 의지를 증명해내는 이론이다. 언어 예술인 문학만이 예외적으로 이러한 충동과 무관하다고 말할 수는 없다. 이러한 추상 충동이 문학을 통해 실현되는 과정을 살피는 일은 흥미로운 결론을 도출하는데, 그 실현의 불가능이 언어에 대한 존재론적 사유를 촉발하기 때문이다. ‘역사로부터의 도피’를 감행한 김춘수의 ‘무의미시’를 이러한 사례로 읽을 수 있을 것이다. 한국현대시사에서 김춘수는 문학의 독자성과 언어의 자율성을 시인의 실존과 관련하여 오랫동만 사유한 시인으로 평가된다. 50여년 넘는 기간 동안의 방대한 작품 창작을 통해 언어와 시에 대한 시인으로서의 사명감을 증명했을 뿐 아니라, 김춘수는 특히 자신의 시 창작에 대해 상세한 해설을 덧붙이며 그러한 자기 비평을 시론의 차원으로까지 격상시켰다. 시론집 『의미와 무의미』(문학과지성사, 1976) 안에 묶인 이른바 ‘무의미시론’은 김춘수 시론의 의의와 한계를 가장 극적으로 보여주는 그의 대표시론이라 할 수 있다. 김춘수의 무의미시론은, 언어로부터 의미를 배제하고 이미지로부터 관념, 역사, 현 실, 대상 등 일체의 배후를 삭제하여 언어와 이미지에 자유를 돌려주고 결국 시의 독자적 존재 의의를 확인하려는 시론이라고 이해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무의미시론은 한국현대시사에서 시의 자율성을 가장 적극적인 방식으로 추구한 이론이라 할 수 있다. 김춘수의 무의미시론이 지향하는 ‘순수 추상’은 세계에 대한 소극적 외면이 아니라 세계와의 적극적 대면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 글은 이처럼 김춘수의 무의미시론에 대해 보다 적극적인 의미부여를 하기 위해 예술의 ‘추상 충동’이라는 개념을 중요하게 도입한다. 무의미에 도달하려는 시도, 즉 언어를 통해 추상의 영역에 도달하려는 김춘수의 시도는 그의 역사체험으로부터 불가피하게 도출된 시적 방법론이며, 이와 같은 추상 충동을 실현하는 과정에서 김춘수는 언어의 필연적 조건으로서의 의미에의 분리불가능과, 그러한 부자유를 극복하려는 시도로서의 시의 존재 의의를 확인했다고 해야 할 것이다. The theory of abstraction, the art’s aspiration to pure abstraction, explains the fundamental conditions of human existence calling for the art form and at the same time attests to human being’s will to confrontation with the world. Drawing on Wilhelm Worringer’s conceptualization of abstraction, this study rereads Kim Chunsoo’s Theory of Meaningless Poem, focusing on how abstraction is realized through literature. Tracing Kim’s frustrated attempts to reach meaninglessness/abstraction through language, I argue that a recognition of the impossibility of these paradoxical attempts leads to an ontological rethinking of language itself. While admitting to meaning as the sine qua non of language on the one hand, Kim envisions poetry as a means to get over this invincible bond between language and meaning. Reflecting his own historical experiences, Theory of Meaningless Poem attests to Kim’s affirmative confrontation with the world rather than passive withdrawal from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