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승희의 초기시에 나타난 ‘여성적 말하기’의 전략과 그 윤리

        조연정 ( Cho Yeon-jung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8 石堂論叢 Vol.0 No.70

        김승희 시에서 ‘여성시’의 전략이 변화하는 과정을 살피는 것은 한국 여성시사의 진화과정을 살피는 데 좋은 참조가 된다. 이 글은 김승희의 첫 시집 『태양미사』로부터 1980년대에 출간된 『왼손을 위한 협주곡』, 『달걀 속의 생』, 『미완성의 연가』에 이르는 시집들을 살핌으로써 ‘여성을 말하지 않는 여성시’로부터 ‘자기 자신을 윤리적으로 점검하는 여성시’에 이르기까지, 그녀 시에 나타난 여성적 발화의 특징을 추출하고자 하였다. 1980년대의 여성주의 시가 수난자로서 여성의 고통을 고발하는 데 주력했다면, 고통을 토로하는 자신의 말하기를 성찰하는 비판적 자의식을 품고 있는 김승희의 발화법은 여성적 말하기의 다양한 양태를 증명함은 물론 그것의 윤리까지 점검하는 여성시의 새로운 영역을 개척한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여성=민중’으로서의 정체성을 확고히 드러낸 고정희의 시와, 전복적 언어의 극단을 실험한 김혜순의 시가 이러한 김승희의 시와 함께 읽힐 때, 1980년대 여성시의 성과는 더욱 분명해질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독해는, 2000년대 이후 여성성이 과잉담론화함으로써 ‘여성작가는 있으나 여성문학은 없어진’ 역설적 현상을 돌파하기 위해서도 유용한 참조가 된다. The process of changing the strategy of women's poetry in Kim Seung-hee's poem is a good reference to look at the evolution of Korean women's poetry. This article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feminine utterances in Kim Seung-hee's early poetry, from ‘woman's poetry not telling women’ to ‘woman poetry checking ethically’. The 1980s' poem of feminism focused on accusing women of suffering as sufferers, Kim Seung-hee's utterance of self-critical and self-reflection reflects the various aspects of female speech, It is evaluated that it has pioneered a new field of women's poetry that checks the ethics of women. The achievement of women's poetry in the 1980s will become clearer when Kim Seung-hee compared with Kim Hye-soon, who experimented the extreme of subversive language and Ko Jung-hee, who unveiled his identity as ‘woman=people’. Furthermore, this reading is a useful reference to break through the paradoxical phenomenon that ‘female writers are present but women's literature is lost’ by the excessive discourse of femininity since the 2000s.

      • KCI등재

        1980년대 문학에서 여성운동과 민중운동의 접점

        조연정(Cho, Yeon-jung) 우리말글학회 2016 우리말 글 Vol.71 No.-

        1980년대의 민중운동과 여성운동의 관계를 탐색할 때 민중운동이라는 대의에 의해 여성운동의 명분이 약화되고 따라서 여성운동이 지연되었다는 사실은 중요하게 검토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에 못지않게 문제적인 사실은 ‘민중’이라는 실체 없는 대상이 재현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젠더 위계화가 생겨났다는 점이다. 이때 민중을 둘러싼 도덕적 선의 영역이 남성적인 것으로 재현되며 여성적인 것은 부정의 대상이 되었다는 사실은 특히 강조될 필요가 있다. 실제 노동 현장의 여성들은 자신의 노동력을 부정당하거나 혹독하게 착취당했으며, 여성성이라는 관념 역시 도덕적으로 타락한 것으로 부정당하면서 여성들은 이중의 타자화를 겪는다. 이처럼 젠더적 관점에서 1980년대의 민중운동 혹은 민중문학론을 재인식하는 논리는 정치적으로나 도덕적으로나 절대적 당위성을 지녔던 당대 대항운동의 한계를 여실히 드러낸다. 1980년대의 무크 동인지 『또 하나의 문화』를 중심으로 활동한 여성 지식인들의 목소리와, 그들과 여러 이슈를 공유한 여성문학의 사례들은 이에 중요하게 검토될 필요가 있다. 이 글은 『또 하나의 문화』에 적극 가담한 유일한 시인이었던 고정희의 문학적 발화들을 중심으로 1980년대 여성운동과 여성해방문학의 성과를 짚는다. 여성 평론가의 부재 현상을 문단의 주요한 과제로 요청한 것의 의미, 나아가 ‘마당굿시’와 ‘해방시’ 등 그녀 시의 다양한 전략적 장치들을 여성‘운동’의 관점에서 살펴본다. 고정희에게 문학은 여성해방의식을 공론화하는 장으로서 기능한 것이라 할 수 있다. When exploring the relation between the popular movements and women’s movements in the 1980s, it is pivotal to consider the fact that the cause of women’s movements was considerably weakened and the movements delayed due to the cause of the popular movements. What is just as important is the problem that a gender hierarchy has been naturally formed as the “people,” which is an entity without substance, was reproduced. The fact that the area of moral good regarding the people was reproduced as something masculine and that femininity became the subject of denial should be emphasized in particular. Women in actual workplaces were denied of their labor or were severely exploited, and the concept of femininity was also deemed to be morally corrupt, resulting in the women to suffer a dual otherization. Attempts to reconsider the popular movement in the 1980s or the people’s literature theory in agender perspective reveal the limitations of the counter-movements which had absolute political and moral validity at the time. The voices of female intellectuals who took active parts in the literary coterie magazine An Other Culture in the 1980s and the cases of feminist literature which had various issues in common with the intellectuals need to be studied carefully. This study analyzes the achievements of the women’s movements of the 1980s and the literary works on women’s liberation by focusing on the literary works by Jung-hee Koh who was an active contributor to An Other Culture . This study looks into the implications of Koh requesting to have the nonexistence of female literary critics as a key issue of the literary scene and of her poetry foregoing aesthetic tension and written in a long form employing straightforward language in the perspective of women’s “movements.” To Koh, literature served as a platform to publicize female liberalization.

      • KCI등재

        문학,문화 : 디지털 시대 도시의 생태학적 전망

        이경래 ( Kyung Lae Lee ),박규현 ( Kyou Hyun Park ),조연정 ( Yeon Jung Cho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2 비교문화연구 Vol.26 No.-

        City`s Ecological Landscape in the Digital Age Lee Kyung-Lae, Park Kyou-Hyun, Cho Yeon-Jung We all know how beautiful our wild and it`s importance to our living planet Earth. But did you realise the speed at which man himself is damaging it`s unique natural habitat. We are well on our way to destroy our forests, plants, wetlands. We are polluting our oceans and seas. This way, we`re driving numerous animal species, plant species and many others into extinction. Everyone should be aware of the importance of our natural environment. We live in the period of echocide. Why we need nature to survive and how we can deal with the environmental problems we face. This paper has the purpose to reform city`s environment. Because, Metropolis and megalopolis are the principal cause of environmental disruption. To reform the city is needed to consider digital technology in our age. In the face of economic and cultural globalization, many have argued that we live an increasingly placeless world. However, as a growing number of cities participate and compete in key marketplaces of advanced capitalism, the spectacle of the city is more than ever a significant medium of communication in its own right. In doing so, this work is focused specifically on the dimension of city`s media environment. To that end, the paper examined U-City and U-Eco city. In this study, we will introduce the study on model of U-Eco City as one way for the eco-freindly future city.

      • KCI등재

        ‘반(反)재현’의 불가능성과 ‘무의미시론’의 전략

        조연정(Cho, Yeon-Jung) 한국시학회 2014 한국시학연구 Vol.- No.41

        “이미지의 기능”론이라는 부제가 붙은 김춘수의 무의미시론은 ‘재현’의 문제와 대결하여 언어와 시의 자율성을 추구한 시론이라 할 수 있다. 김춘수는 무의미시론을 통해, 첫째, 언어가 표상의 기능으로부터 완벽히 독립할 수 없다는 사실을 확인하는 일, 둘째 그러한 언어를 매체로 하는 시가 재현 작용으로부터 자유로워지는 방법이 무엇인가를 고안하는 일에 집중한다. 시의 재현 작용을 무화시키기 위해 그는 한 편의 시에서 작동하는 이미지가 일정한 ‘상’을 그리지 못하도록 하는 전략을 모색한다. 이 글에서는 그 전략을 ‘이미지 재배치’와 ‘이미지 덧씌우기’의 방법론으로 정리한다. 언어예술로서의 시가 ‘재현’의 기능으로부터 자유로워지기 위해서는 우선 외부 세계와 완전히 절연되어야 할 것이며, 나아가 ‘쓰기’라는 순간적 행위 자체에만 몰두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시론을 통해 확인되듯 김춘수가 ‘결과로서의 작품’보다 ‘행위로서의 시작’에 중점을 두고 있다고 보기는 힘들다. 무의미시론은 시의 존재에 관한 일반론이기보다는 창작 방법론으로서의 시론에 가깝지만, 그가 창작의 목적을 시작 행위 그 자체에 두었다고 볼 수는 없는 것이다. 결국 김춘수의 무의미시론은 언어의 표상 행위를 근본적인 차원에서 거절하기보다는 한편의 시 안에서 이미지의 구성을 통해 재현이 이루어지는 결과를 경계함으로써 시와 언어의 자율성을 추구한 시론이라 할 수 있다. 요컨대, 김춘수의 무의미시론은 언어 차원에서의 ‘반-재현’의 불가능성과 시를 통한 ‘반-재현’의 가능성 사이에서 고투한 이론이라 정리된다. 이처럼 김춘수의 무의미시를 ‘재현’이라는 관점으로 읽는 일은 그의 시가 확인하고자 한 이미지의 기능과 언어의 고유성을 새롭게 인식하는 틀을 마련해 준다. 나아가 재현의 기능과 관련하여 미학의 정치성을 폭넓게 이해하는 계기가 된다. 미학의 정치적 가능성을 ‘이미지의 운명’과 더불어 숙고한 랑시에르는 ‘모든 것은 재현될 수 있다’는 사실을 강조한다. 이러한 사실을 인정하고 재현 불가능한 대상이 무엇인지를 고민할 때, 미학의 정치성이 새롭게 인식될 수 있다. 무의미시론을 ‘반-재현의 가능성’이 아닌 ‘반-재현의 불가능성’과 더불어 읽는 일은 김춘수 시론이 내포한 정치성을 새롭게 인식하기 위한 전제가 된다. Kim Ch’un-su’s nonsense poetics, subtitled “function of image”, confronts problem of ‘representation’ and pursues autonomy of language and poetry. By nonsense poetics he tries to focus on first, identify language can not perfectly be independent from function of presentation second, pursue possible method to make poetry, which medium is a language, to be free from representation. In order to eliminate poetry’s representation function, he seeks strategy to make image within a poetry not to form a consistent ‘figure’. In this paper, this strategy is designated as ‘image relocation’ and ‘image overlay’. For poetry, as art of language, to be free from ‘representation’, have to be completely renounce outer world, furthermore have to be absorbed in momentary action of ‘writing’. But as we can see in his poetics, it is hard to say that he is more focused on ‘writing poetry as an action’ than ‘work as a result’. Nonsense poetics is more of creation methodology than general discussion of poetry itself, but his aim of writing is not at the action of writing poetry. Eventually Kim Ch’un-su’s nonsense poetics does not deny language’s presentation function in fundamental level, but is cautious of image composition causing representation, in order to pursue autonomy of poetry and language. In short, Kim Ch’un-su’s nonsense poetics is a theorical struggle between ‘anti-representation’s impossibility in language, and possibility of ‘anti-representation’ through poetry.

      • KCI등재

        ‘번역체험’이 김수영 시론에 미친 영향

        조연정(Cho Yeon-jung)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1 한국학연구 Vol.38 No.-

        이 글은 김수영의 번역 체험이 시와 언어에 대한 그의 고유한 태도를 형성하는 데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를 살피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시와 시평을 쓰는 틈틈이 생계를 위한 부업으로 번역작업을 꾸준히 해온 김수영은, 자신의 「시작노트」에서 “내 시의 비밀은 내 번역을 보면 안다”라고 말한 바 있다. 이 문장에 주목한 연구자들은 김수영의 번역 목록을 작성하며 그 목록으로부터 김수영 문학의 기원을 찾는 데 많은 공을 들여왔다. 이때 연구자들은 그의 번역목록을 독서목록의 일부로 편입시키며 번역 체험 자체에 큰 관심을 보이지는 않았다. 하나의 언어체계로부터 다른 언어체계로 이동하는 번역의 과정이 김수영의 시작 태도에 끼친 영향에 대해서는 본격적으로 관심을 두지 않은 것이다. ‘번역불가능성’과 그것을 돌파하는 번역자의 ‘자유(의역)’보다는, ‘번역가능성’과 그것을 성취하는 번역자의 ‘충실성(직역)’을 강조한 벤야민의 이론을 토대로, 이 글은 번역체험이 김수영의 시론에 끼친 영향을 ‘진실한 재현이란 무엇인가’, ‘시어를 대하는 시인의 태도는 어떠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을 토대로 탐색하였다. 이 과정에서 그가 「시작노트6」에서 말한 “시의 레알리떼의 변모를 자성하고 확인”하는 일이 번역체험 자체와 관련되는 양상을 살폈다. 기존의 연구들이 김수영의 번역체험을 독서체험 안으로 함몰시켜 그의 언어관과 문학관이 그가 읽은 텍스트로부터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음을 전제하였다면, 이 글은 독서 체험과 분리되는 번역 체험 자체에 주목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이러한 연구는 물론 김수영이 실제 번역 작업에서 어떤 입장을 취했는지를 검토하는 일과 함께 진행되어야 할것이며, 결국 시론에 명시된 그의 시작(詩作) 태도가 실제 작품에서 어떻게 실천되고 있는지를 탐색하는 작업으로써 마무리되어야 할 것이다. 변모를 자성하고 확인”하는 일이 번역체험 자체와 관련되는 양상을 살폈다. 기존의 연구들이 김수영의 번역체험을 독서체험 안으로 함몰시켜 그의 언어관과 문학관이 그가 읽은 텍스트로부터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음을 전제하였다면, 이 글은 독서 체험과 분리되는 번역 체험 자체에 주목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이러한 연구는 물론 김수영이 실제 번역 작업에서 어떤 입장을 취했는지를 검토하는 일과 함께 진행되어야 할것이며, 결국 시론에 명시된 그의 시작(詩作) 태도가 실제 작품에서 어떻게 실천되고 있는지를 탐색하는 작업으로써 마무리되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how Kim Soo-Young’s translation “experiences” contributed to his unique view of poetry and language. Working on his poems and poetry criticism, Kim also engaged himself in translation jobs to make his living. Noting Kim’s statement, “The secret of my poems lies in my translation job”, in his Composition Notes, researchers have made a list of the works of Kim’s translation to locate his literary sources in there. My observation, however, is that these researchers just regarded the works translated by Kim as a part of his reading list, hence that they overlooked the significance of his translation “experience”. Drawing on Benjamin’s concept of the translator’s fidelity to achieve the translatability against the translator’s license defying the untranslatability, this paper explores how the mode of translation affected Kim’s poetics. Broadly, this paper will answer these two questions: “What is “true” representation?” “How should poets deal with poetic language?” This paper contends that “to recognize and reflect on the transformation of the poetry’s realite,” Kim declared as the poet’s calling in his Composition Note VI, closely relates to the mode of translation. To this end, firstly, I will examine Kim’s philosophy of translation, and secondly, how his poems reflect his poetics indebted to this philosophy of translation.

      • KCI등재

        어문학 : 주변부 문학의 (불)가능성 혹은 문학 대중화의 한계 - 백낙청의 "시민/민족/민중문학론" 재고 -

        조연정 ( Yeon Jung Cho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6 인문학연구 Vol.0 No.51

        이 글은 민족/민중문학론으로 대변되는 1970년대 백낙청의 비평을 읽으며 다음의 두 가지 질문을 해결하고자 했다. 첫째, 후진국 문학으로부터 선진적 가능성을 확인하는 그의 민족문학론이 내장한 한계에 관한 것이며, 둘째, 이러한 민족문학론의 한계가 문학에 대한 그의 기본적인 입장과 어떤 관련을 맺는지에 관한 것이다. 1970년대 백낙청 비평의 지적 여정에서 가장 매력적인 지점은 후진적 한국의 민족문학으로부터 선진적 세계문학의 가능성을 엿본 부분이다. 그의 문학론은 그구조적 상동성에 의해 제국과 피식민국가, 도시와 농촌, 도시중심부와 변두리, 혹은 남성과 여성 등 다양한 지배/피지배의 관계를 상정하는 것으로 확장된다. 그런데 문학적 차원에서라면 한 국가의 민족문학이 자신의 특수성을 인정받는 것은 긍정적 정체성을 부여받는 일종의 해방이 될 수 있지만, 현실의 차원에서는 피지배계급이 그 자신의 특수한 계급적 상황을 정확하게 확인하는 것 자체로 해방이 될 수는 없다. 백낙청의 민족문학론의 논리적 자장 안에서 후진국 민족 ‘문학’의 해방은 가능한 것처럼 보이지만, 주변부 계층의 ‘현실’적 해방은 요원한 듯 보인다. 백낙청의 민족문학론을 가로지르는 이와 같은 맹점은 선진 교육을 받았고 도시적 삶에 기반을 둔 후진국 지식인의 한계로 이해될 가능성도 크지만, 이는 문학과 현실의 분명한 차이를 재차 확인시켜주는 것이기도 하다. 나아가 창비의 민중문학론과도 그 맥이 닿아 있는 백낙청의 ‘민족/민중문학론’에서 ‘민중’이 문학의 주체로서 호명되기보다 여전히 ‘재현의 대상’에 머물고 있다는 점은 1970년대 ‘운동으로서의 문학’에 내장된 필연적 한계로 이해된다. 백낙청은 당대의 문학이 연대해야 할 대상으로 ‘민중’과 ‘시민’을 호출하지만, 문학의 수용 주체로 호출하는 것은 그저 대다수의 ‘대중’에 가깝다. 특히 그가 문학을 통한 ‘인간해방’ ‘인간다운 삶’ 등의 용어를 쓸 때 그것은 특수한 정체성을 부여받은 집단의 해방이기보다는 보편적 인류의 해방을 요청하는 것에 가까워진다. 이러한 사실들로 판단할 때, 특정 집단의 해방보다는 보편적인 인류의 모럴을 요청하는 1970년대 백낙청의 ‘시민/민족/민중문학론’은 ‘운동으로서의 문학’이기 이전에 ‘문학을 위한 문학’으로 이해될 가능성도 크다. 백낙청의 문학론에서 가장 중요한 명제인 ‘문학의 공공성’은 현실적 요구조건과 밀착한 것으로서가 아니라 문학 근본주의자의 보편적 주장으로 읽히기도 하는 것이다. This essay aimed on discussing the following issues by revisiting Paik Nak-chung’s criticism during the 1970s, which could be summed up as Paik’s theory on national / people’s literature. First, this paper centered on the limitations to Paik’s national literature theory which finds the possibility of advancement from the literature of the underdeveloped country. Second, this paper attempted to identify the relation between Paik’s own perspective towards literature and the limitations of the national literature theory. The most attractive point in the intellectual path that Paik Nak-chung’s criticism had paved in the 1970s was that he found a possibility of an advanced, world-class literature in the underdeveloped Korean national literature. Paik’s literary theory proceeds to postulate the relation between various dominating and dominated relationships such as the empire and the colonies, the city and the country, the urban and rural areas of a city or men or women. While recognizing the distinctiveness of a nation’s national literature can serves as a form of liberation in literature, the dominated class cannot achieve liberation in reality merely by recognizing one’s class distinctions. The liberation of the national “literature” of underdeveloped countries seems possible within the logical spectrum of Paik Nak-chung’s national literature theory, but the “realistic” liberation of the peripheral class seems to be a far-fetched concept. Such weak points in Paik Nak-chung’s national literature theory may be understood as his limitation as a highly educated, city dwelling intellectual from an underdeveloped country. Nevertheless, these points once again serve as a reminder of the sharp contrast between literature and reality. Furthermore, the fact that Paik Nak-chung’s theory on “national / people’s literature,” which is closely connected with Changbi’s national literature theory, is still an “object of reproduction” is an inescapable limit of the “literature as a social movement” of the 1970s. Paik Nak-chung identifies the “people” and the “citizens” as the object of solidarity for contemporary literature, the actual recipients of the literature are close to the “mass public.” Paik’s reference to “human liberation” and a “human life” through literature is a request for the liberation of humanity, rather than the liberation of a certain group with a distinctive identity. “The publicness of literature,” which is the most important proposition in Paik Nak-chung’s literary theory, can be read as a universal argument of a literature fundamentalist, rather than meeting the realistic needs.

      • KCI등재

        김현 비평에서 "이론적 실천"의 의미와 비평의 역할-"시의 사회학"은 어떻게 가능한가?(1)

        조연정 ( Yeon Jung Cho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6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9

        1970년대의 한국 문학 비평이 전례 없이 활성화되면서 그 자신의 존재 의의를 확고히 할 수 있었던 것은, 즉 비평이 하나의 체계적인 문학 장르로 인정받기 시작한 것은, 문학과 현실 사이, 다시 말해 문학의 자율성과 타율성을 매개하는 자신의 고유한 역할을 확인했기 때문이다. 이때 김현이 「비평의 방법」에서 제기한 ``실천적 이론``과 ``이론적 실천``의 구분은 중요해진다. 이 중 김현 등 『문지』의 비평가들이 취한 후자의 방법론이 실제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첫째, 문학의 무용한 존재방식 자체를 선험적으로 인정하기보다는 개별 작품을 단위로 그 효과를 충분히 입증해야 하고, 둘째, 작가, 비평가, 독자라는 개별 주체들 사이에서 현실 개조의 의지가 어떻게 상호 이동할 수 있는지에 대해 보다 실증적으로 살펴야 하며, 셋째, 소설과 시라는 장르의 고유한 특징을 고려해 차별적으로 논할 필요가 있다. 이 글은 이러한 질문을 토대로 1970년대 김현의 비평에서 ``이론적 실천``의 방법론 혹은 ``시의 사회학``이 어떻게 실천되고 있는지 살핀다. 시에 관한 김현의 연구는 그것이 작품의 사회학으로 향할 경우에는 시라는 장르가 발생하게 된 역사·문화적 조건을 살피는 장르사회학적인 연구로, 그것이 작가의 사회학으로 향할 경우에는 시인 개인의 콤플렉스를 점검하거나 시인을 둘러싼 문화사적 정황을 살피는 심리학적 연구로 분화된다. 이러한 연구들은 시라는 장르 혹은 하나의 시 작품이 발생하게 된 외적 동기들에 더 많은 관심을 두는 것으로서, 거꾸로 시 작품이 작품의 외적 현실에 어떻게 개입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분명한 해법을 보여주지 않는다. 그가 「비평의 방법」에서 기대한바 문학이 현실 개조의 의지를 드러낼 수 있다 하더라도, 그것이 어떻게 실증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모호한 채로 남아 있는 것이다. 물론 1970년대의 김현이 시라는 장르를 통해 반복해 강조하는 것은 시의 사회적 존재에 관한 것이다. 문학 작품의 상품화에 맞서는 시의 존재는 그 존재 자체만으로도 생산성과 교환가치만을 강요하는 산업화 시대에 제동을 거는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문학의 절대적 자율성을 전제로 말이다. 문학의 자율성만을 반복해 강조하는 김현의 ``이론적 실천``의 방법론은 결국 현실 개조의 의지가 문학 내부로부터 문학 외부로 어떻게 이행될 수 있는지 구체적으로 논증하지 못한 이론에 불과한 이론이 되어버렸다고도 할 수 있다. 그러나 적어도 김현 그 자신에게 ``이론적 실천``의 방법론이 단지 이론적인 것만은 아니게 되는 것은 한 명의 독자로서 그 자신의 독서(/비평) 과정에서 문학의 정치가 실현되기 때문이다. 즉 현실의 무지를 깨닫게 하고 문학이 하나의 꿈이 되는 과정이 한 명의 독자로서의 그 자신의 작업에 의해 증명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작가-작품-현실의 관계를 작가-작품-비평가(/독자)의 관계로 치환시킨 김현의 ``이론적 실천``의 전략은 그 성공 여부가 충분히 증명될 수 없는 이론으로 남아 있다. 문학의 정치성은 독자의 사회학으로부터 점검되어야 하는, 여전히 ``진행중``인 프로젝트인 것이다. The unprecedented proliferation of Korean literary criticism in the 1970s and its legitimization of its own existence were possible thanks to criticism`s unique role of mediating the relation between literature and reality, that is, between the autonomy and heteronomy of literature. The distinction between "practical theory" and "theoretical practice," which Kim Hyun proposed in his The Methods of Criticism, was important at this stage. For the latter method, which was what the critics of Moonji, including Kim Hyun, had chosen, to take effect, first, the critics should amply demonstrate the effect of literary works individually, rather than accepting an a priori justification of the uselessness of literature. Second, critics should be more empirical in examining how the volition to reconstruct reality can interact between writers, critics, and readers. Third, there needs to be a differentiated discussion with the unique characteristics by genres, of novel and poetry, into consideration. This essay, based on the aforementioned questions, looks into how "theoretical practice" or "sociology of poetry" is practiced in Kim Hyun`s criticism written in the 1970s. Kim Hyun`s studies on poetry can be classified in two; when focusing on the sociology of the work, his study took a genre-centered sociological approach by examining the historical and cultural conditions which led to the generation of the poetry as a genre, whereas when focusing on the sociology of the writer, Kim took a psychological approach and verified the complex the poet had as an individual or delved into the cultural history surrounding the poet. Such research puts more emphasis on the external objectives that gave rise to poetry as a genre or to a certain poem, but does not provide a clear answer to how works of poetry can be involved in its external reality. Even if literature can reflect the will to reconstruct reality, as Kim Hyun anticipated in The Methods of Criticism, how it can be demonstrated remains vague. For sure, it is the social existence of poetry that Kim Hyun is repeatedly emphasizing while considering poetry as a genre in the 1970s. That is, the mere existence of poetry, against the commercialization of literature, can act as a brake against the industrial age, which solely imposes the notions of productivity and exchange value, with the absolute autonomy of literature as a precondition. In the end, the methodology to Kim Hyun`s "theoretical practice," becomes a mere theory which repeatedly emphasizes the autonomy of literature, without providing a detailed demonstration of how the will to reconstruct reality can be implemented from literature to the outer world. Nevertheless, for Kim Hyun himself, the methodology to "theoretical practice" was not merely a theoretical approach, since the politics of literature was realized in his own process of reading (/criticism) as an individual reader. In other words, Kim`s own works serve as a proof of a process in which literature calls attention to the ignorance of reality and literature becomes an aspiration. Thus, the success of Kim Hyun`s "theoretical practice" strategies, which substituted the relation between the writer-work-and reality with that between the writer-work-critic(/reader), has not been amply prov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