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그래프 해석 및 지도 방안

        조아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그래프 해석이 어떠한지를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그래프 해석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도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그래프 해석은 어떠한가? 2. 그래프 해석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도 방안은 무엇인가? 먼저, 연구 문제 1을 해결하기 위하여 부산시 소재 D 초등학교 6학년 2개 학급을 대상으로 그래프 해석에 관한 검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그래프 해석에 특징을 보이는 학생 6명을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한 후 결과를 상세히 분석하였다. 연구 문제 2을 해결하기 위하여 통계 및 그래프 지도와 관련된 문헌과 현행 교과서 및 지도서를 검토하고, 연구 문제 1의 결과를 종합하여 5차시 분량의 그래프 해석 지도 방안을 마련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지도 방안을 심층면담 대상과 동일한 6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적용한 후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그래프 능력 향상 과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그것을 바탕으로 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변수에 대응하는 값 찾기에 대한 검사지 분석 결과, 학생들은 변수에 대응하는 값을 찾는 데에 큰 어려움을 보이지 않았다. 이는 학생들이 그래프가 나타내는 단순한 정보 이해에는 별다른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조건을 만족시키는 곳 결정하기에 대한 검사지 분석 결과 학생들은 그래프의 내용과 제시된 문제를 명확하게 이해하지 않은 채 문제를 해결하는 경향을 보였다. 우선, 그래프의 의미가 아닌 문제에 제시된 말에서 힌트를 얻어 답만 맞히는 경우이다. 또 문제에 제시된 조건을 충분히 이해하지 않고 직관적으로 답을 하는 모습도 확인할 수 있었다. 면담과정에서도 학생들은 왜 그런 답을 했냐는 질문에 ‘딱 눈에 보이니까’라는 대답을 하기도 했다. 이는 학생들이 그래프 관련 문제를 해결할 때에는 직관적인 판단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그래프가 나타내는 다양한 정보와 문제에서 제시하는 조건들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지도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변인 간 관계 진술하기에 대한 검사지 분석 결과, 학생들에게서 몇 가지 오류가 드러났다. 그 중 하나는 기울기의 의미에 대한 이해 부족이다. 학생들은 가로축과 세로축이 나타내는 것이 무엇인지 생각하지 않은 채 그래프를 해석하여 결국 기울기를 잘못된 의미로 해석하는 모습을 보였다. 다음은 그래프를 그림으로 해석하는 오류이다. 그로 인해 수평선의 의미를 그래프의 기울기로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길을 그려놓은 모양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것 역시 엄밀히 말하면 기울기의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볼 수도 있다. 또 그래프에서 변화의 흐름을 읽지 못하는 오류가 나타났다. 그래프를 종합적으로 해석하려면 그래프에서 나타내고자 하는 각각의 값들도 볼 수 있어야 하지만, 그래프의 특성상 전체적 또는 부분적인 변화의 흐름을 읽을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각각의 값들만을 생각하여 변화를 보는 것을 놓치는 오류를 보였다. 마지막은 배경지식을 지나치게 활용하여 그래프 해석을 하는 경우이다. 배경지식의 활용은 그래프 해석을 좀 더 풍성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주객이 전도되어 그래프 자체의 내용보다 자신의 배경지식을 중심으로 그래프를 해석하는 학생들도 있었다. 넷째, 종속변수 간 관련짓기에 대한 검사지 분석 결과, 많은 학생들이 종속변수를 비교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변인 간 관계 파악을 명확하게 하지 못하는 학생들은 그래프에 대한 이해력이 떨어져 문제에 따라 그래프 항목을 다르게 해석하는 오류를 보이기도 했고, 문제에서 요구하는 조건을 파악할 수 있는 학생들도 이것을 서로 관련짓는 활동에서는 헤매는 모습을 보였으며, 그래프 해석에 자신의 생각을 개입시켜 사실이 아닌 자신의 생각을 토대로 답을 하는 학생도 볼 수 있었다. 다섯째, 그래프 내삽법․외삽법에 대한 검사지 분석 결과, 그래프에 주어진 정보에서 규칙을 찾아 답을 추측하는 활동에는 학생들이 큰 어려움을 겪지 않지만, 타당한 이유를 통해 추측하는 데에는 약간의 어려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그래프 내용보다 자신의 배경지식 또는 경험에 중점을 두고 그래프를 해석하는 학생도 있었다. 또 자신에게 더 편리한 방법으로 문제에 제시된 정보들 속에서 규칙을 찾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여섯째, 그래프와 상황 연결하기에 대한 검사지 분석 결과, 학생들은 서술된 정보에서 그래프가 갖추어야 하는 조건을 모두 찾아내는 데에 어려움을 보였다. 서술된 정보를 만족시키는 그래프를 선택하려면 그 정보 속에 주어진 모든 조건을 파악해야 하지만 학생들은 하나의 조건만 만족시키면 답이라고 간주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 정보에서 찾아낸 그래프가 갖추어야 하는 조건을 제시된 두 그래프를 비교하는 기준으로 생각하는 학생도 있었다. 그리고 그래프와 실제 상황을 연결하는 활동이 자연스럽지 못했다. 이야기가 아닌 그래프의 값들을 나열하여 설명하는 경우, 이야기를 만들었다 하더라도 현실 세계와는 괴리가 있는 표현을 한 경우 등이다. 마지막으로 그래프에 담겨 있는 다양한 정보를 찾지 못하고, 문제에 제시된 단어나 그래프의 눈에 띄는 부분들에 치우친 해석을 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경직된 사고를 하는 학생들은 그래프가 담고 있는 다양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해석하는 데 어려움을 보였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학생들의 그래프 해석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실생활과 관련된 문제 상황에서의 변수에 대응하는 값 찾기, 특정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곳 결정하기, 변인 간 관계 진술하기, 종속변수 간 관련짓기, 그래프 내삽법․외삽법, 그래프와 상황 연결하기라는 그래프 해석 항목을 중심으로 지도 방안을 마련하여 적용해보았다. 그 결과 학생들은 그래프를 해석할 때 양적인 면과 질적인 면을 종합적으로 볼 수 있게 되었으며, 그래프와 실생활을 관련지어 생각하면서 그래프의 실용성을 체득하게 되었다. 그리고 무엇보다 그래프 해석에 흥미를 가지게 되었다. 이는 표본의 크기나 수업 적용 대상의 대표성 문제로 인해 그 결과를 일반화하기는 힘들지만, 실제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지도한 결과로 학생들의 그래프 해석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지도 방안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단어의 조음복잡성 및 문장 내 위치에 따른 경직형 마비말장애 화자의 자음정확도와 말명료도

        조아영 조선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Due to the damage to the central and/or peripheral nervous system, people with spastic dysarthria have abnormal muscular movements for speech production, which results in imprecise articulation. Those with spastic dysarthria have additional difficulty in proper control of muscular movements when they try to produce phonologically complex words. It is assumed that this causes articulation errors and has a negative effect on speech intelligibility. It is also expected that their articulation ability may differ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words in a sentence.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whether there were any differences in the percentage of consonants correct(PCC) and speech intelligibility according to the level of articulatory complexity (levels 1 to 4) and position (at the beginning and in the middle of a sentence) of the target words when the speakers with mild-to-moderate spastic dysarthria produce sentences.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5 speakers with mild-to-moderate spastic dysarthria and 50 normal listeners. In order to examine the articulatory characteristics of the speakers in structured sentences, carrier phrase sentences consisting of 3 eojeols were used. Twenty target words were selected from the word lists of the Assessment of Phonology and Articulation of Children. The Korean Articulatory Complexity Index was used to classify the target words into 4 articulatory complexity levels; the speakers were requested to produce sentences with diversified positions of words in the sentences (at the beginning and in the middle of a sentence). The researcher listened to the sentences produced by the speakers, and the PCC scores were calculated; 10 normal listeners were requested to listen to the speech samples of 1 speaker and the scores of speech intelligibility were calcul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As for the PCC of the target words according to the articulatory complexity and position of words in sentences, the PCC of level 4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PCC of level 1; the PCC of the word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sentenc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PCC located at the beginning of the sentence. (2) As for the speech intelligibility of the target words according to the articulatory complexity and position of words in sentenc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ll levels except between levels 2 and 4; the speech intelligibility of the word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sentenc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speech intelligibility located at the beginning of the sentence. (3)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CC and the speech intelligibility of the target words according to the articulatory complexity and position of words in sentences shows that at the level 4,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PCC and the speech intelligibility of the target words was positive with .89 at the beginning of the sentence. As fo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CC and the speech intelligibility of the target word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words in sentence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PCC at the start of sentences and the overall PCC was .98, which is also a very high level of positive correlation;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speech intelligibility at the start of sentences and the overall speech intelligibility was 1.00, which is a very high level of positive correlation.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speech intelligibility in the middle of sentences and the overall PCC was .90, which is a very high level of positive correlation. As fo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ercentage of consonants correct and the speech intelligibility of the target words according to the level of articulatory complexity,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percentage of consonants correct at the level 3 and the overall percentage of consonants correct was .95, which is a very high level of positive correlation. The clinical implication of this study lies in the fact that it has confirm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ticulation ability and the speech intelligibility according to the articulatory complexity and position of words in sentences that affect the articulation of words at the level of sentence that is a linguistic unit used in daily life by the speakers with spastic dysarthria.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for evaluation and intervention for the speakers with spastic dysarthria, both the level of articulatory complexity and the position of words in sentences should be considered.

      • 노인의 신체·심리·사회적 건강상태가 건강행위에 미치는 영향

        조아영 翰林大學校 社會福祉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60세 이상 독립적인 생활이 가능한 일반가정 노인 27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건강상태를 파악하고 각각의 건강상태가 건강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주요 요소를 파악하고 보건 교육 및 건강한 노년기를 맞이하도록 하기위한 복지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자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건강상태와 건강행위는 평균점수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노인의 신체적 건강상태는 연령, 성별, 종교, 교육정도, 직업, 용돈, 여가활동, 건강상태, 동거형태, 생활비부담 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노인의 심리적 건강상태는 연령, 직업, 용돈, 결혼상태, 동거형태, 생활비부담 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노인의 사회적 건강상태는 용돈, 여가활동, 건강상태, 동거인수, 생활비부담 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다섯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노인의 건강행위는 용돈, 여가활동, 건강상태, 동거인수, 생활비부담 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여섯째, 각각의 건강상태와 건강행위간의 상관관계에서는 모두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각각의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건강행위의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일곱째, 각각의 건강상태와 건강행위의 회귀분석에서는 신체적 건강상태가 건강행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각각의 건강상태의 요인과 건강행위간의 회귀분석에서는 신체적 건강상태중 소화기계관련능력의 노인이 건강행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신체적 건강상태가 건강행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이와 관련하여 신체적 건강상태를 증진시키기 위한 정책이나 건강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율성을 평가하는 연구를 제안한다 둘째, 신체건강상태중 소화기계관련능력이 건강행위에 미치는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연구가 요구되며, 또한 소화기계관련능력을 증진 시키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장기요양보호 노인이나 입원노인등 좀 더 다양한 노인군에서의 연구를 제안한다. This study applied a formulated questionnaire survey to 270 elders in ordinary family, who were all 60 years old or more and capable of living their own independent life. Based on the survey, this study focused on identifying their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health conditions and determining how much each health condition may have positive or negative effects on their health-promotional behaviors. Furthermore, it also aimed to identify major factors for better life quality of elders, and provide a good basic material in the level of welfare policy so that our elders may meet their own healthful old age along with corresponding reasonable healthcare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outlined as follows: First, the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health conditions of respondents and their health-promotional behaviors showed relatively high level beyond average score. Secondly, in terms of physical health conditions of elder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it was noted that there were more or less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upon their age, gender, religion, educational experiences, career, use, leisure activities, physical health conditions, types of living together, share of living expenses, etc. Thirdly, the psychological health conditions of the aged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showed more or less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age, occupation, spending money, marital status, types of living together, share of living expenses, etc. Fourthly, social health conditions of the aged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showed more or less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spending money, leisure activities, physical health conditions, number of roommates, share of living expenses, etc. Fifthly, the health-promotional behaviors of elders according to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more or less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spending money, leisure activities, health conditions, number of roommates, share of living expenses, etc. Sixthly, there were all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each health condition of respondents and their health-promotional behaviors. That is, the better each health condition they have, the higher are their health-promotional behaviors. Seventhly, the results of regressive analysis about each health condition of respondents and their health-promotional behaviors showed that their physical health conditions had the biggest impact on their own health-promotional behaviors. Finally, the results of regressive analysi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health condition and health-promotional behaviors showed that the physical capacity of respondents in relation to their digestive system of all physical conditions had the biggest impact on their own health-promotional behaviors. Based on the results as described above, this study can present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this study showed that physical health conditions of the aged had the strongest impact on their health-promotional behaviors.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o develop corresponding health-promotional policies or fitness program and conduct follow-up studies to rate their efficiency. Secondly, it is favorable to perform the studies with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digestive capacity of the aged and their own health-promotional behaviors. Moreover, it is also necessary to conduct the studies on how to enhance their digestion-related capacity. Thirdly, it is recommended to perform studies focusing on more various elder groups than now.

      • 향기가 소비자의 제품지각과 기억에 미치는 영향 : 실용재와 쾌락재를 중심으로

        조아영 강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fragrance on consumer’ perception and memory toward products, depending on product type as moderator. Previous studies found that fragrance has a positive effect on emotion, cognition and memory of consumers. However some research claim that presence effect of fragrance is not consistent and the effect of fragrance is varied according to kind of fragrance. This study explored how the effect of fragrance type on attitude, loyalty, memory toward products is moderated by product type. For diversifying the fragrances, we conducted a pilot study that measured EEG during inhalation of fragrances to 20 undergraduate students and selected arousal/relaxation fragrances. Data in the present study were collected from 60 undergraduate students who voluntarily participated in our experiment, diffusing ambient scent and measuring a survey. This study conducted a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using 3(arousal/relaxation/contral) × 2(utilitarian/hedonic) with a control variable of familiarity. Results indicated that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fragrance and product type was significant on memory of products. On the other hands, the interaction effect was not significant on attitudes and loyalty toward products. Furthermore, presence of fragrance has an significant effect on attitude, loyalty and memory of products. Finally, we discussed som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based on the findings in this study. 본 연구는 향기가 소비자의 제품지각과 기억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향기의 출현은 소비자의 정서와 인지 및 기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일부 연구들은 향기의 출현효과가 항상 일관적이지 않으며 향기의 종류에 따라 효과가 다르게 나타난다고 주장한 바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뇌파 측정을 통해 향기의 종류를 나누어 향기종류와 제품유형이 제품태도와 충성도, 기억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2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향기를 맡는 동안의 뇌파를 측정하는 예비실험을 실시하여 활성향과 안정향을 선정하고, 6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험조건에 따라 주변향을 맡는 동안의 제품에 대한 태도와 충성도를 측정하는 설문지를 실시하고 실험 후 기억에 대한 설문을 하는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독립변인은 집단 간 변인인 향기종류(활성향/안정향/통제)와 품유형(실용재/쾌락재)이었다. 종속변인은 제품태도와 제품충성도, 제품기억이었으며 향기친숙도를 통제한 3(활성향/안정향/통제)×2(실용재/쾌락재) 공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향기유무에 따른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계획비교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향기유무에 따라 제품태도와 충성도, 기억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향기가 없을 때(통제)보다 있을 때(활성향/안정향)의 참가자가 더 높은 제품태도, 충성도, 기억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제품태도와 충성도에 대해서는 향기종류와 제품유형의 상호작용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은 반면, 제품기억에 대해서는 상호작용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 한국 미용사(일반) 국가기술자격제도에 대한 실기과제분석 및 개선방안

        조아영 광주여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미용사(일반) 종목 실기과제 변화에 따른 과제 분석과 현재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제공하는 출제기준과 공개도면의 제시만으로 이루어지는 실기검정 문제점의 해결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해당 종목에 관한 교수자와 학습자(수험자)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인터뷰는 현행 미용사(일반) 실기과제에 대한 교육경험, 자격제도 관련, 자격시험 관련, 개선관련에 대한 인터뷰문항을 제시하고 답변을 얻었다. 교수자와 학습자(수험자) 선정은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각 지역별 서울특별시, 광주광역시, 대구광역시, 부산광역시로 지정하였다. 분석 및 인터뷰를 통한 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터뷰를 통해 각 지역별, 교육기관마다 교수자의 교수방법이 다르게 나타났다. 대부분의 교수자와 학습자(수험자)는 교수방법이 달라짐에 혼란이 일어났다. 미용사(일반) 국가기술자격검정에 관한 공개문제를 토대로 교수자의 교육방법에 ‘일치화’를 제시하였다. 둘째, 국가기술자격제도를 관장하고 한국산업인력공단으로 부터 작업형 과제에 대한 교수방법의 고지를 제시한다. 현재 미용사(일반) 기술교육을 전달하는 교수자들은 개인의 견해에 치우쳐 교육방법이 전달됨으로 한국산업인력공단으로 부터 작업형 과제에 대한 교수방법을 교수자들을 대상으로 작업형 교수방법을 제시하였다. 셋째, 실기검정의 결과를 학습자(수험자)에게 간단하게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세분화된 채점결과를 표시한다. 검정의 결과를 종목별로 취약한 부분을 알고 교수자의 체계적인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넷째, 교수자는 체계적이고 명확한 교육방법을 학습자(수험자)에게 전달한다. 그러므로 개인적 견해에서 나타나는 교육방법이 아니라 제시되어진 명확하고 체계적인 수준으로 교육과정으로 학습자(수험자)에게 제시한다. 따라서 한국 국가기술자격제도는 실기과제에 대한 지속적인 변화로 교육과정의 체계성과 자격증 취득의 효과성을 높여 내실 있는 국가기술자격증 제도가 정착되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 Sustained protein stability of Nurr1 in differentiating neural precursors (NPs) promotes survival and functions of the NP-derived dopamine neurons in vitro and in vivo after transplantation

        조아영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Nurr1 is a transcription factor specific for the development and maintenance of the midbrain dopamine (DA) neurons. Exogenous Nurr1 in neural precursor (NP) cells induces the differentiation of DA neurons in vitro that are capable of reversing motor dysfunctions in Parkinson disease (PD)-model rats. The promise of this therapeutic approach, however, is unclear due to poor cell survival and phenotype loss of DA cells after transplantation. We here demonstrate that Nurr1 proteins undergo ubiquitin-proteasome-system (UPS)-mediated degradation in differentiating NP cells. The degradation process is activated by a direct Akt-mediated phosphorylation of Nurr1 proteins and can be prevented by abolishing the Akt-target sequence in Nurr1 (Nurr1^(Akt)). Overexpression of Nurr1^(Akt) in NP cells yielded DA neurons in which Nurr1 protein levels were maintained for prolonged periods. The sustained Nurr1 expression endowed the Nurr1^(Akt)-induced DA neurons with resistance to toxic stimuli, enhanced survival, and sustained DA phenotypes in vitro and in vivo after transplantation. Nurr1은 중뇌 신경세포의 유지와 발생단계에서 매우 중요한 전사인자이다. 신경전구 세포에서 과발현 된 Nurr1은 운동성 장애를 가지게 된 파킨슨 질병 모델 쥐에서 도파민 신경세포를 유도한다. 하지만 이러한 치료적 접근의 문제는 파킨슨 질병 모델에 이식 한 도파민 신경세포의 낮은 생존력과 신경세포의 불완전한 형태에 있다. 그리하여 이 실험에서는 분화가 유도된 신경줄기세포에서 Nurr1 단백질이 Ubiquitin-Proteosome시스템의 매개로 인해 분해되어지며, 이 분해 과정은 Akt에 의한 Nurr1단백질의 인산화에 의해서 일어나며 인산화를 일으키는 Nurr1의 특정부분을 돌연변이화 함으로써 Nurr1단백질 분해과정을 억제 할 수도 있다. Akt에 의한 Nurr1단백질 돌연변이는 신경줄기세포에서의 Nurr1단백질의 발현을 더 오래 연장시켜 준다. 그리고 그렇게 안정화된 Nurr1단백질은 유해한 자극에도 견딜 수 있고, 생존력도 증가된 도파민 신경세포로 유도하며, in vitro 또는 이식 후의 환경인 in vivo 에서도 신경줄기세포의 형태를 유지하게 해준다.

      • 조선왕릉의 식생관리기준에 관한 연구 : 동구릉, 광릉, 서오릉을 중심으로

        조아영 상명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Royal tombs of Joseon Dynasty are cultural assets representing Korea's history and cultures. They are constructed in a good place from the standpoint of geomantic studies which make much of the places near to streams and against the background of mountains. The green tracts of land and woodlands in and outside the tombs have served as an important ecosystem since their construction. However, their scenery has been changed and damaged a lot due to the many winds and frosts or vicissitudes they have undergone over the past 500 years. Moreover, there are conflicting issues because most of the royal tombs need to provide citizens with historic education materials and resting spaces since they stand surrounded by forests while their tomb areas need to be preserved as they originally were. In order to satisfy these two conflicting needs or the tombs' utilization and preservation, it is urgent to prepare criteria for planting and managing the tomb spaces after investigations are made into historic facts attested in ancient documents describing th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the tomb sites, their vegetation and afforestation. To do that,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ancient documents about the ecological environments and vegetation of Donggureung, Gwangneung, and Seooreung and analyze the management issues of the royal tombs, with a view to present criteria for managing the vegetation of royal mausoleums constructed during the Joseon Dynasty, which are suitabl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s of the tombs and to the efficient maintenance of them. The following are major results of this research: First, pine trees are a representative tree species on the tomb sites. So, pine trees on the sites need be protected as long as possible and schemes prepared to expand the pine tree forest. Second, pine trees need be actively cultivated, broad-leaved trees and other trees which interfere with the growth of pine trees removed, and such imported trees as acacia trees and merchantable pitch pine trees thinned out. Furthermore, such naturalized plants as Ambrosia trifida and Ambrosia artemisiifolia should be taken out as soon as they are found since they will damage the ecosystem of woods and visitors to the woods. Third, the original vegetation and scenery of the grave mound or low fences around the grave and other adjacent parts to the tomb need be reproduced or maintained as far as possible. Especially, the vegetation around the tomb should be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by means of preserving pine trees and removing broad-leaved trees and, instead, planting cucumber trees and others.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maintain 30m or longer land tracts of pine trees around tomb spaces and 200m or higher historic scenery trees outside the tomb in order to succeed to the tomb scenery. Fourth, traditional native plants should stand mainly on admission passages to the tomb, but concessions may be made depending upon the features of the tomb sites. Fifth, basically, natural vegetation should stand outside of the tomb. However, it is also necessary to renovate the vegetation every 5-10 years after scientific investigations are made into the diameter measurement and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trees. Sixth, in order to efficiently manage the vegetation, it is essential to clearly define the importance and scope of the management of tomb spaces after they are classified into the absolute preservation space (red wood gate - tomb itself), the limited utilization space (outer spaces of state-owned tombs), the open utilization space, and the hill fire prevention space. Lastly, planned patrols should be implemented in a regular manner in order to prevent forest damages from winds, blight and harmful insects, disasters, etc. As a rule, trees should be cleared from the neighborhood of human habitations,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and quickly extinguishing fires. 조선왕릉은 우리나라의 역사와 문화를 대표하는 문화재로서 배산임수(背山臨水)의 지형을 갖춘 풍수적 길지에 조영되었으며 그 내부 및 주변의 녹지와 산림은 조성당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주요 생태계로 작용하여 왔다. 그러나 약 500여년의 세월동안 많은 변화를 겪으면서 그로 인한 경관의 훼손이 심화되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대부분의 조선왕릉은 주변의 산림과 연계되어 있어 시민들의 역사교육 및 휴식공간의 기능을 제공해야 하며, 동시에 능역공간을 원형대로 보존해야 하는 상충된 문제를 안고 있다. 이와 같은 이용과 보존이라는 두 가지의 개념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능역 조성부터 그 이후의 식생 및 조림, 능역 관리 사실에 관한 문헌고증을 통해 역사적 사실을 근거로 한 능역 공간내의 식재 및 관리 기준마련이 시급하다고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는 광릉, 동구릉, 서오릉의 생태환경 및 식생현황, 왕릉 관리의 사례분석 및 문헌고증을 통해 조선왕릉의 공간적 특성에 맞는 식생관리기준을 제시하여 효율적인 유지관리를 하기위한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여기에서 도출된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나무림은 능역 사적지의 대표적 수종으로 능역 내 소나무는 가급적 보호하고 소나무림을 확대하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둘째, 소나무를 적극적으로 무육하며 소나무와 경쟁하는 활엽수 및 피압목은 제거하고 아카시아나무, 리기다소나무 등의 도입종은 간벌을 통한 관리를 한다. 또한 외래귀화식물(단풍잎돼지풀 및 돼지풀)등은 숲생태계와 관람객에게 피해를 주는 식물이므로 발견 즉시 제거하여야 한다. 셋째, 봉분이나 곡장 주변처럼 능침과 바로 인접한 부분은 가능하면 원래의 식생경관을 재현하거나 유지시켜야 할 것이며, 따라서 능침 주변만이라도 과거의 식생 경관이었던 소나무림을 보존하고 일부 지역은 활엽수를 제거하여 소나무나 잣나무 등의 수목을 보식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이때 능침공간 주변의 소나무림대 폭은 30m 이상, 능침 외연부는 능역경관의 천이를 유도해서 200m 이상을 역사경관림으로서 유지 될 수 있도록 관리 할 필요가 있다. 넷째, 능 진입로 및 시설물지역 식생은 전통자생식물을 주종으로 하되 부지의 성격에 따라 유연성 있게 적용하여야 할 것이다. 다섯째, 능역외연부 경관림은 자연식생을 기본으로 하되, 5-10년 주기로 매목조사를 통한 식생현황학술조사를 실시하여 산림갱신을 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능역은 절대보존구역(홍살문-능침), 제한활용구역(국가 소유의 능침 외곽공간), 개방활용구역, 산불예방구역으로 구분하여 공간별 관리의 중요도나 범위를 명확히 하는 것이 효율적 관리를 위한 대안이라고 사료된다. 일곱째, 풍해·병충해·재난 등에 의한 피해예방을 위해 계획적인 정기적 예찰을 실시하여야 하며 방화림은 화소(火巢)의 기능을 고려하여 인가주변은 소방안전을 위해 수목 제거를 원칙으로 해야 한다.

      • 황색포도상구균 독소 B 분리 방법에 대한 연구

        조아영 한양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경제 발전에 따른 소득수준의 향상으로 국민의 외식 및 가공식품에 대한 의존도가 증가하였으며 더불어 식품 안전에 대한 관리기준이 강화되고 있다. 그럼에도 식중독, 유해한 화학물질, 이물질 유입 사고 등 안전을 위협하는 사고는 끊임없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 중 식중독과 같은 생물학적 위해요소로 인한 사고는 예측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한 번에 다수의 피해자가 발생하므로 철저한 위생⋅안전 관리가 요구된다. 식중독을 발생시키는 원인 중 하나인 황색포도상구균은 사람이나 동물에 상재해 있고, 식품 작업 환경에 의해 오염되기 쉽기 때문에 연중 꾸준히 발생하여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문제시 되는 주요 식중독 원인균이다. 황색포도상구균 식중독은 황색포도상구균이 산출하는 장독소에 의해 발생하며 원인균으로부터 오염, 오염된 식품에서의 원인균의 증식 및 장독소 생산의 3단계를 거쳐 발현된다. 16가지의 황색포도상구균 장독소 중 B형(Staphylococcal enterotoxin B, SEB)은 분자량이 가장 작으며 내열성이 가장 강하고 대부분의 유통 조건에서 안정하기 때문에 독소발현 제어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특히 흡입 중독을 일으키는 특성이 있어 연무제 형태의 생물학적 무기로 사용될 위험이 큰 독소이다. 인체에 연무제 노출로 인한 반수 유효선량(A half-effective dose, ED50)은 0.0004 ㎍/kg bw이며 반수 치사량(A half-lethal dose, LD50)은 0.02 ㎍/kg bw이다. 단순 단백질인 황색포도상구균 장독소 B형을 균체 및 독소가 산출된 배지로부터 분리하는 방법은 조분획, 크로마토그래피, 전기영동법 등이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단백질을 변성시키지 않고 분리할 수 있는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였다.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중 단백질을 신속하게 분리할 수 있는 Fast Protein Liquid Chromatography(FPLC) 기법을 이용하였으며, Ion exchange chromatography와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의 두 단계를 거쳐 분리⋅정제하였다. 연구 결과, Cation exchange chromatography에 적합한 레진과 버퍼의 pH는 WorkBeads 40S(pH 7.5)이었으며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에 적합한 레진은 Sephacryl S-100에서 최적의 분리능을 보였다. 또한 시료의 전기전도도를 낮추고 농축을 기대하기 위하여 사용한 투석 및 버퍼 치환 방법은 단백질의 손실을 가져오는 것으로 판단되어 이는 효과적인 방법이 아니었다. 이를 대체하기 위한 방안으로 5 mM Sodium phosphate 버퍼(이온 강도 0.02 M, pH 7.5)로 10배 희석한 시료를 사용하였다. 분리한 독소의 농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표준검량곡선에 시료의 흡광도를 대입하였으며 약 100 ㎍/mL의 독소를 분리 및 정제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황색포도상구균 장독소 분리 및 정제 방법에 대한 기초적인 조건 확립에 대한 연구였으며, 향후 기타 장독소 분리에 응용할 수 있고 식중독 독소의 신속 진단법 개발 및 항체 생산 발전 연구에 활용하여 국민의 식생활 안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Management guidelines of food safety were tighten up along with increased eat-out habits and consumption of processed foods. But foodborne outbreaks related to pathogens, harmful chemical substance, and foreign materials still occur. Among them, food poisoning incidents caused by microbiological hazards are most problematic because they are unpredictable and many people can get sick. Staphylococcus aureus is one of the serious causes of food poisoning. It is a common bacterium found on the skin and in the noses of healthy people and animals. Food poisoning from S.aureus is occured from Staphylococcal Enterotoxins(SEs). S.aureus has the ability to produce 16 different toxins. Among toxins, Staphylococcal Enterotoxin B(SEB) is the smallest, the strongest to heat-resistance, and stable in most of marketing conditions. Especially SEB can causing inhalation poisoning, so it can be a bio-terrorism agent and needs a special attention. Many studies reported that a half-effective dose(ED50) of SEB is 0.0004 ㎍/kg bw and a half-lethal dose(LD50) is 0.02 ㎍/kg bw in human for aerosol exposure. This study used liquid chromatography for separation of SEB from S.aureus bacteria and incubated medium. Chromatography is one of the stable separate method that do not induce denaturalization of proteins. And fast protein liquid chromatography(FPLC) is the rapid protein separation method. In this study, ion exchange chromatography and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 was applied to separate and purify SEB. Results showed that the optimized resin and buffer pH for cation exchange chromatography was WorkBeads 40S and sodium phosphate buffer(pH 7.5). Sephacryl S-100 was the optimum separation resin for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 Dialysis and buffer exchange those were performed to lower electric conductivity and concentrate SEB was unsuccessfull because of losing protein. Therefore, this step was not considered for remaining experiments. Consequently of upper experiment steps, concentration of separated and purified SEB was 100 ㎍/mL to compared with calibration curve of SEB.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d that the basic condition for separation and purification of SEB. This method can be applied to separate other enterotoxins to develop rapid detection methods for food saf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