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조세회피기업과 보수주의에 관한 실증연구

        조소연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55

        국내의 경우 조세회피기업은 조세회피를 위해 보수적 회계처리를 할 가능성과 정보 비대칭이 높아 보수적 회계처리의 성향이 낮을 가능성이 상충한다(정운오와 전병욱2010). 그러나 국내에서는 조세를 회피하기 위해서 보수적 회계처리를 수행하고 있다는 연구가 대부분이다(이세용 2010, 남혜정 등 2013). 따라서 본 연구는 보수주의에 관한 Basu(1997), Khan and Watts(2009), Dichev and Dechow(2002) 및 Ball and Shivakumar(2008)의 모형을 바탕으로 1997년부터 2010년 사이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비금융업 기업 중 실제 국내의 조세회피를 하여 대규모 추징세액을 납부한 기업을 통해 조세회피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의 세무조사 이전의 보수적 회계처리의 차이와 조세회피기업의 세무조사 이후의 회계처리의 변화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조세회피기업이 조세회피연도(수검대상연도)에는 타 기업에 비해 대부분 낮은 보수적 회계처리 성향으로 나타났고, 세무조사 이후에는 보수적 회계처리의 성향이 높아져 타 기업과 보수적 회계처리의 성향이 다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내의 경우, 타 기업에 비해 조세회피기업이 개인의 사적이익 추구의 성향이 높아 보수적 회계처리보다는 낮은 보수적 회계처리의 성향이 나타나며, 세무조사 수검 이후에는 대리인비용이 완화되어 보수적 회계처리 성향이 타 기업과 차이가 없어진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기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기업을 대상으로 조세회피기업의 보수주의 성향을 직접적으로 검증하였다. 둘째, 세무조사 이후 낮은 보수적 회계처리 성향이 높아짐을 실증함으로써 세무조사의 유용성에 대해 긍정적인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셋째, 조세회피와 보수주의 연구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혔다. 이는 자본시장의 참여자와 이를 연구하는 후속 연구자들에게 의미 있는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A tax avoidance enterprise in a country is high jn possibility of conservative accounting procedure and in information asymmetry for tax avoidance, thereby being collided the possibility that the propensity of conservative accounting procedure will be low(Jeong Eun-oh and Jeon Byeong-uk 2010). However, most of the researches are performing the conservative procedure for avoiding tax at home(Lee Se-yong 2010, Nam Hye-jeong et al. 2013).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on difference in conservative accounting procedures before tax investigation between tax avoidance enterprise and its opposite enterprise and on a change in accounting procedure after tax investigation of tax avoidance enterprise through enterprises of having paid large-scale tax amount collected in tax audit due to actual tax avoidance at home among the non-financial firms, which had been listed in the stock market from 1997 to 2010, based on a model by Basu(1997), Khan and Watts(2009), Dichev and Dechow(2002) and Ball and Shivakumar(2008) in terms of conservatism. As a result of analysis, the tax avoidance enterprise was mostly indicated to have low conservative accounting propensity compared to other enterprises in the year of tax avoidance(year of the inspected subject). The propensity of conservative accounting procedure got higher following tax investigation. Hence, the propensity of conservative accounting procedure was indicated to be not different from other firms. This can be analyzed in case of the country that the tax avoidance enterprise has high propensity of pursuing an individual's private profit compared to other firms, thereby being shown the propensity of the lower conservative accounting procedure than the conservative accounting, and that the propensity of conservative accounting procedure came to have no difference from other firms because agency cost was eased after being subjected tax investigation. The following are the contributions of this study. First, the propensity of conservatism in tax avoidance enterprise was directly verified targeting domestic firms. Second, the positive significance is being given to usefulness of tax investigation by actually proving that the low propensity of conservative accounting procedure after tax investigation gets higher. Third, the width of understanding about a research of tax avoidance and conservatism was broadened. This is expected to play a significant role in participants in the capital market and follow-up researchers.

      • 한국 성소수자 운동의 다중적 시간성 : ‘동성결혼’을 중심으로

        조소연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55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same-sex marriage has been placed on the agenda of Korean LGBT movements. Specifically, by dividing the movement into three periods and examining the identity and strategy , this paper analyzes the context, agenda, and controversy that occurred in the movemen. To do this, literature analysis of data produced by LGBT activist group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activists were used. The main analysis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Korea's LGBT movement was born based on multiple temporality triggered by the gap beetween local discourse and Queer's globalization. “Gay” was a hybrid identity that encompasses homosexual at the global level and non-normative sexual subjects at the local level. In the harsh conditions, the Korean LGBT movements have had articulated with the familiy rights movement, which combines disabilities, women, and LGBT. In the context of the movement, the Act on Registered Life Partnerships was noted as a way to enable both distancing to marriage and alternatives to the family system. Although family rights was also discussed in the LGBT movements, gay had an ambiguous status as a subcategory within the framework of the family rights. Same-sex marriage was in a paradoxical situation: it was necessary for gay equality, but it also needed to be distanced in order to criticize the institution of marriage. Second, with the rise of the conservative government, the LGBT movement in South Korea faced a distinctly antagonistic group of “haters” as conservative Protestant forces organized. Paradoxically, this l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movement's identity. During this period, the movement acquired a character as an anti-discrimination movement centered on anti-discrimination laws. Meanwhile, as same-sex marriage became institutionalized in the West, demands for same-sex marriage increased within the LGBT community in Korea. At the movement level, some argued that partnerships and the same-sex marriage should be on the agenda, other argued that the Act on Registered Life Partnerships was a better strategy. “Same-sex unions” has effectively sealed the debate over partnerships, marriage, or domestic partnership laws. Gagoo-Net, which was launched after the “natural wedding” of Kim Jo Kwang-soo and Kim Seung-hwan, sought to achieve a compromise by aiming to institutionalize same-sex marriage but also framing it in terms of LGBT family rights. Finally, after the “later” government took office, the LGBTQ movement had to confront not only outright hatred and discrimination from conservative Protestants, but also from centrist conservatives who justified discrimination against LGBTQ people by saying, ‘No discrimination, but same-sex marriage is premature’. The anti-discrimination frame, which centered on anti-discrimination laws, could no longer function as a core identity to explain what the LGBTQ movement was about. The agenda fight for marriage equality was a breakthrough for the movement. Instead of focusing on defending against discrimination and hate, the movement was able to develop a campaign strategy with a long-term plan. The tension between same-sex marriage and the Act on Registered Life Partnerships became apparent during this period. The Increase of queer studies and translations since the popularization of feminism has helped the family rights movement to gain a sense of being a “queer” movement. Same-sex marriage, on the other hand, was seen as something to be contested, not progressive enough, and not queer enough. As a result, the debate of same-sex marriage was moved to the realm of the impossible, and the lives and experiences of queer people who desire marriage were erased from the framework of queer politics. In conclusion, the debate on same-sex marriage has been delayed in the Korean LGBTQ movement. This is due to the multiple temporality embedded in the Korean LGBTQ movement and the im/possibility of queer politics in Korea. This paper promotes a productive debate on same-sex marriage within the LGBTQ movement and emphasizes the need for studies that starts from the im/possibility of queer politics in Korea. 본 연구는 한국 성소수자 운동에서 동성결혼의 의제화 과정을 국내외적 정치적, 역사적 맥락 속에서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구체적으로 성소수자 운동을 세 가지 시기로 구분하여 운동의 정체성과 전략적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동성결혼이 논의의 장에 들어오게 된 맥락과 의제화 된 배경, 이 과정에서 발생한 논쟁을 분석했다. 이를 위해 성소수자 운동 단체들이 생산한 자료에 대한 문헌분석과 활동가들에 대한 심층면접을 활용했다. 본 논문의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성소수자 운동은 퀴어의 전지구화 맥락에서 미디어 상품의 수용과 병리적 동성애라는 국내적 담론의 간극이 촉발한 다중적 시간성을 토대로 태동했다. ‘동성애자’는 글로벌 차원의 호모섹슈얼과 로컬 차원의 비규범적 성적 주체를 포괄하는 혼종적 정체성이었다. 담론적 물적 토대가 모두 척박한 환경에서 한국 성소수자 운동은 장애, 비혼 여성, 성소수자 등이 연합한 가족구성권운동과 절합적 관계를 맺어왔다. 호주제 폐지 국면에서 시작된 가족구성권 운동의 맥락에서 생활동반자법은 결혼에 대한 거리두기와 가족제도의 대안을 모두 가능케 하는 방법으로 주목받았다. 동성애자 가족구성권이 성소수자 운동 차원에서도 논의되기는 했으나 가족구성권 틀 내에서 하위범주로서 모호한 위상을 가지고 있었다. 동성결혼은 동성애자의 평등을 위해 필요하면서도 결혼제도 비판을 위해 거리 두어야 하는 모순적 위치에 놓여 있었다. 둘째, 보수 정권의 출범 후 보수개신교세력이 조직화되며 한국 성소수자 운동은 ‘혐오 세력’이라는 뚜렷한 적대적 그룹과 맞서게 되었다. 역설적으로 이는 성소수자 운동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계기가 되었다. 확립기에 와서 혐오세력에 대항하는 ‘우리’ 성소수자 정체성과 차별금지법을 중심으로 한 반차별 인권운동으로서 성격을 획득하게 되었다. 한편 서구를 중심으로 동성결혼이 제도화되며 한국에서도 동성결혼에 대한 성소수자 내부의 요구가 부상했다. 운동 차원에서도 파트너십 및 동성결혼 제도화를 의제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하는 이들이 많아졌는데, 생활동반자법이 더 나은 전략이라고 주장하는 이들과 대립을 이루었다. ‘동성결합’은 파트너십인가 동성혼인가, 혹은 생활동반자법인가 하는 논쟁을 효과적으로 봉합하는 기능을 했다. 김조광수-김승환 부부의 <당연한 결혼식>을 기점으로 발족한 <가구넷>은 동성결혼 제도화를 목표로 하면서도 성소수자 가족구성권 프레임을 가져가는 방식을 통해 절충을 이루고자 했다. 마지막으로, ‘나중에’ 정부의 출범 후 성소수자 운동은 보수개신교세력의 노골적 혐오 및 차별과 대적할 뿐만 아니라 ‘차별은 안 되지만 동성혼은 시기상조’라는 언설을 통해 성소수자의 차별을 정당화하는 중도 보수 세력과도 대결해야 했다. 차별금지법 제정을 위시로 한 반차별 프레임은 더 이상 성소수자 운동이 무엇인지 설명해주는 핵심 정체성으로 기능하기 어려워졌다. 혼인평등을 통한 의제투쟁은 성소수자 운동이 마주한 난관에 대한 돌파구였다. 차별과 혐오 대응에 치중했던 성소수자 운동은 장기적 계획을 수립한 운동 전략을 펼치게 되었다. 동성결혼과 생활동반자법 사이의 긴장은 전환기에 와서 뚜렷해졌다. 페미니즘 대중화 이후 퀴어 관련 연구 및 번역이 활발해진 것은 가족구성권 운동이 ‘퀴어’ 운동이라는 의미를 획득하는 배경이 되었다. 반면 동성결혼은 충분히 논쟁이 되기도 전에 견제해야 할 것, 충분히 진보적이지 않은 것, 퀴어하지 않은 것으로 여겨졌다. 결과적으로 동성결혼에 관한 논의는 불가능의 영역으로 이동하게 되고, 결혼을 욕망하는 퀴어들의 삶과 경험은 퀴어 정치의 틀에서 삭제되었다. 결론적으로 한국 성소수자 운동에서 동성결혼에 관한 논쟁은 지연되어 왔다. 이는 한국 성소수자 운동에 배태된 다중적 시간성과 한국에서 퀴어 정치의 불/가능성에 기인한다. 본 논문은 성소수자 운동 차원에서 동성결혼에 관한 생산적인 논의를 촉진하며, 한국에서 퀴어의 불/가능성에서 출발하는 연구의 필요성을 역설한다.

      • 스트릿댄스 연구 동향 분석

        조소연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search trends of street dance, focusing on previous studies related to street dance published in domestic master's and doctorate papers and journals for 16 years from 2007 to February 2022. In this study, 182 domestic master's and doctorate papers and domestic academic papers were collected among the databases held by the Korea Educational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RISS) and the National Assembly Electronic Library, and 153 were selected and analyzed as final data. The finally chosen research products used frequency analysis and content analysis based on publish timing, research subjects, and research methods. In order to secur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data obtained in this study, the data interpretation was secured through in-depth discussions between one dance professor and one dance-major doctor.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research papers gradually increased from 2011 to 2015, and then shows a remarkable increase from 2016 to 2020. It is believed that the academic approach has also increased in line with the increase in the general public's interest in street dance. Second, psychological and emotional effects was the highest proportion of social effects, followed by theory, culture and arts, education, dance experience recognition, content, physical, and others. Prior to 2010, only one study was conducted in social effects among dance experience recognition and dance effects, but from 2011 to 2015, research was conducted in all eight areas. In the theoretical domain, nine studies were studied between 2011 and 2015, and it is noteworthy that the 14-month study from 2022 to February 2022 exceeded the five-year study. This trend is a desirable direction in the development and establishment of theories in the field of street dance, which has a relatively short academic history compared to the field of pure dance. Third, the analysis results by research method were 60 quantitative studies, 48 literature studies, 43 qualitative studies, and 2 integrated studies. Prior to 2010, only a small number of studies were conducted, but quantitative, qualitative, and literature studies have increased significantly between 2011 and 2015 and 2016 and 2020, and the trend has continued to these days. Nevertheless, there are only two integrated studies were conducted. Research that integrates theoretical and empirical verification in early research in a specific field is a good way to firmly establish the basis of research, but has not yet been widely applied. Fourth, the analysis used for each research subject were 70 social studies, 59 other studies, 30 schools, and 7 professional organizations, and the proportion of studies targeting majors in society was the highest. Since 2011, research on society has increased rapidly, and there are more studies on society than on school subjects. Literature research and professional organizations classified as others are also steadily increasing. In the analysis of study subject, high school students, college students, and adults were actively conducted most, two elementary and one middle school student were published, and none of the studies were conducted on children and the elderly. It was found that the focus was on research targeting majors rather than non-major. Research on non-major helps to recognize the difference from major. In particular, as we enter an ultra-aged society, research on the elderly will provide an opportunity to develop into a new form of street dance. Overall, the possibility of continuous research development in the future can be expected if the research so far is converted into a five-year unit. The wide spectrum of the research subjects is the basis for creating a foundation for meaningful challenge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growth, and suggesting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This study emphasizes that the value of street dance should be further increased as various studies with established procedural validity and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study are continuously published.

      • 셀룰로오스 하이드로겔 마이크로비드의 개발 및 리파아제 고정화 담체로의 활용

        조소연 건국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Development of cellulose hydrogel microbeads and its application to lipase immobilization Jo, Soyeon Department of Biologica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of Konkuk University Cellulose hydrogel microbeads were prepared by sol-gel transition method using ionic liquid-in-oil emulsion, in this work. The influencing factors including ratio of ionic liquid to oil, surfactant concentration, and stirring speed to form cellulose microbeads were optimized for lipase immobilization. Candida rugosa lipase could be efficiently immobilized on cellulose microbeads with high immobilization yield by physical adsorption. In particular, the specific activity, thermal stability, and pH stability of lipase immobilized on cellulose microbeads prepared by optimal conditions were higher than those of free lipase. The specific activity of immobilized lipase was 1.4 times higher than that of free lipase. The immobilized lipase showed significantly enhanced thermal stability and the half-life time of immobilized lipase was 41 times higher than that of free lipase. The immobilized lipase also showed enhanced pH stability at wide pH ranges. Lipase immobilized on cellulose microbeads showed much higher loading efficiency, immobilization yield, and specificity constant than the lipases immobilized on microcrystalline cellulose and millimeter-sized hydrogel bead. To increase the reusability of cellulose microbeads as enzyme supports, magnetic cellulose microbeads were also prepared by adding Fe3O4. The lipase immobilized on magnetic cellulose microbeads was simply recovered by magnet and continuously reused with low activity loss. 셀룰로오스 하이드로겔 마이크로비드의 개발 및 리파아제 고정화 담체로의 활용 셀룰로오스 하이드로겔 마이크로비드는 이온성 액체-oil 에멀젼을 이용한 sol-gel transition 방법을 통해 제조하였다. 이온성액체와 oil의 비율, 계면활성제의 첨가비율, 교반속도가 마이크로비드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리파아제 고정화에 가장 적합한 형성조건을 설정하였다. Candida rugosa 유래 리파아제는 물리적 흡착을 통해 셀룰로오스 마이크로비드에 효과적으로 고정화되었으며, 높은 immobilization yield를 보였다. 특히, 최적 형성조건으로 제조된 셀룰로오스 마이크로비드에 고정화된 리파아제의 경우 고정화 하지 않은 리파아제보다 specific activity가 1.4배 높게 나타났으며, 열 안정성과 pH 안정성이 크게 향상되었다. 열 안정성 연구에서 고정화되지 않은 리파아제와 비교했을 때 고정화된 리파아제의 half-life time이 41배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pH 안정성 연구에서는 리파아제가 고정화 된 경우 pH 2에서 10까지의 광범위한 pH에서 pH 안정성이 증가되었다. 같은 종류의 셀룰로오스 기반 담체인 microcrystalline cellulose 분말, 밀리미터 크기의 셀룰로오스 하이드로겔 비드와 비교해 보았을 때, 셀룰로오스 마이크로비드에 고정화된 리파아제가 더 높은 단백질 흡착 효율, immobilization yield, specificity constant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셀룰로오스 마이크로비드의 효소 고정화 담체로서의 재사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Fe3O4를 첨가하여 자성 셀룰로오스 마이크로비드를 제조하였다. 자성 셀룰로오스 마이크로비드에 고정화된 리파아제는 자석을 통해 간단하게 회수될 수 있고, 큰 활성 손실 없이 연속적으로 재사용이 가능하다. 5번 재사용 한 결과 70% 이상의 활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로 개발된 셀룰로오스 마이크로비드는 입자의 크기가 매우 작아 부피당 표면적 비율이 높고, 생체적합성, 생분해성과 같은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다양한 효소의 고정화 담체로 쓰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약물전달 시스템과 같은 생물의학, 생물연료전지와 같은 생물전자공학 등의 분야에도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치매노인 부양자의 부양부담 및 가족 지지와 부양자의 정신건강과의 관계

        조소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치매노인 가족이 치매노인 부양자에게 제공하는 지지가 부양자가 느끼는 부양부담의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지, 부양자 가족의 지지가 부양자의 정신건강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지, 부양자가 느끼는 부양부담이 부양자의 정신건강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부양자의 부양부담 수준과 부양자 가족의 지지에 따라 부양자의 정신건강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치매노인 부양자의 부양부담의 수준을 파악하고, 부양자 가족이 부양자에게 제공하는 지지의 유무를 구분하여, 우울과 불안의 정도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치매노인 가족이 부양자에게 제공하는 지지, 부양자가 느끼는 부양부담, 그리고 부양자의 정신건강 간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에 소재한 4개 치매노인 주간 보호소, 한 개의 종합병원, 그리고 개포동 거주 치매노인 부양자, 총 122명에게 부양부담 검사와 정신건강 상태검사, 그리고 가족의 지지정도를 측정하는 사회적 지지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치매노인 가족들이 부양자에게 제공하는 가족 지지는 부양자가 느끼는 부양부담 수준에 직접적으로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렇지만, 지지와 부양부담의 상호작용은 부양부담으로부터 야기되는 심리적 문제의 완화에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2. 가족의 지지는 부양자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쳤다. 가족의 지지가 높을수록 부양자의 우울과 불안의 수준이 낮은 부적 관계가 나타났다. 3. 치매노인 부양자의 부양부담 수준과 부양자의 정신건강은 유의한 설명력을 보였다. 즉, 부양자가 느끼는 부양부담이 높은 집단일수록 부양자의 우울과 불안이 높게 나타났다. 위의 결과는 가족의 지지만으로는 치매노인 부양자의 부양부담 수준을 낮출 수는 없지만, 가족의 지지와 부양부담이 상호작용을 하면 치매노인 부양자의 우울과 불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consequence of caregiving burden level according to the social support, the consequence of caregiver's mental health according to the social support, and the consequence of caregiver's mental health according to the caregiving burden. In addition, this study also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among caregiving burden, social support and caregiver's mental health. In order to determine degree of anxiety and depression, the caregiving burden level was divided into high and low. Also to determine degree of anxiety and depression, the existence of social support was evaluated. The total of 122 caregivers were randomly selected from four different aging centers, one university hospital, and Gapodong located in Seoul for the survey. Burden Interview, Medical Outcomes Study, and SCL-90 scales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Caregiving burden was not directly influenced by social support alone. Yet, caregiving burden along with social support helped to reduce negative results of caregivers' mental health. 2) Caregivers' mental health was influenced by social support directly and indirectly. In other words, the more the social support was given, the less the anxiety and depression were shown. 3) Caregivers' mental health was influenced by the caregiving burden directly. Hence, the more the caregiving burden was, the more the anxiety and depression were shown. In summary, caregiving burden cannot be reduced only by social support. However, caregiving burden along with social support may reduce negative results of caregivers' mental health, such as anxiety and depression.

      • 밀레니얼 세대의 소비성향 분석에 따른 공연예술 관객개발 연구 : 디지털 친밀감을 중심으로

        조소연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as a performing arts audience development study, is to perform essential audience study for audience development and to suggest activating methods of performing arts and practical audience development by researching the consumption tendency according to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millennial generations. The Millennials is a generation that has high intimacy with digital media, which can be targeted for audience development as it exerts a leading influence in the digital culture and shows the viewpoint of digital intimacy. Accordingly, the research method focused on literature research and case studies, looking at Millennial generation theories, performing art trends, and various data of digital-related cases. Basically, the Millennials can be friends with anyone online, meet various lives, and expand their possibilities. In other words, they have a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and are familiar with various types of participation spaces, and draw good changes in social behavior, while balancing consumption with a concept of sharing rather than possession. However, the audience development research in the performing arts field is very insufficient for the analysis of the audiences. Considering only the Millennials, the audiences are not passive, but actively reflects their intentions from the production stage. In this regard, I pointed out the need to study the audiences by pointing out that methods to gain market advantage are focused on the audiences, not the product. Subsequently, I divided the trends and types of performing arts of the Millennials in Korea. First, I tried to understand the propensity and type of millennial generation through examples of performing arts with digital intimacy. Accordingly, I looked at the types of solidarity and participation as a response to global issues, secure of unrestricted access such as watching live performances or digital stages, and the types that showed voluntary and high cohesion according to fandom activities. In order to analyze the propensity of the Millennials, I divided their propensity into motivation based on individual values ​​(personal preferences) and motivation based on viewing values ​​(working value or external factors such as venue environment and services). It also emphasized the point where the Millennials view these two values ​​in harmony. The types were divided into narcissistic tendency, social value pursuing tendency, information sharing and spreading tendency, and O2O service tendency to enjoy simultaneous online and offline services. On the basis of this understanding of the millennial generation, plans for developing performing arts audiences we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it is to differentiate the planning according to taste selection. The Millennials have a self-oriented lifestyle and have features such as Mysider, Sopeaker, Value-taste, Work-and-life balance, and Cost-mind efficienc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differentiated plan suitable for those. Second, it is necessary to induce the application and participation of the concept of co-creation. Co-creation, which refers to the participation and involvement of aufienced in the process of viewing the performing arts, is to induce the creation and to share of culture to a minimum, both online and offline, starting with the act of viewing the performance. Third, it shall be planned considering the integrated approach of individual value and viewing value. Based on the factors chosen by the Millennials when deciding to visit a performance, individual values ​​that value self-centeredness and social values, I explained general performance art viewing values ​​and viewing values ​​based on digital intimacy. Fourth, maximizing the shared value using video streaming is necessary. As the Millennials possess smart devices, they are exposed to an environment in which video can be viewed without limitations in space and time. In terms of that video streaming is a means of publicity and public value, Youtube, the most frequently used SNS, is the most suitable video platform for use as creation. Fifth, It is necessary to draw sustainable audiences according to community and fandom formation. As a deepening stage of co-creation presented above, it is required is to create a global community based on SNS. They are highly engaged audiences who are active in art consumption and reproduce culture, and have a deep bond and belonging to online and offline gatherings. Performing arts organizations and venues shall manage their activities so that they can work smoothly by providing a multifaceted support and help not to limit voluntary activities but to connect the works with them. 본 논문은 공연예술 분야 관객 개발연구로서, 관객개발을 위해 필수적인 관객 연구를 실천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밀레니얼 세대를 대상으로 행태적 특성에 따른 소비성향을 연구하여 실질적인 관객개발과 공연예술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 목적이다. 밀레니얼 세대는 높은 디지털 친밀감을 드러내는 세대로서 디지털 문화에서 주도적인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점에서 관객개발의 주요 대상이 되고, 또 디지털 친밀감이라는 관점으로 접근한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미가 있다. 이에 따라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사례조사를 중심으로 진행함으로써 밀레니얼 세대 이론 및 공연예술 동향, 디지털 관련 각종 이론적 근거와 사례를 살펴보았다. 기본적으로 밀레니얼 세대는 온라인에서 누구와도 친구가 되며, 다양한 삶과 만나며 자신의 가능성을 확장하는 특성을 갖는다. 이에 따라 참여 의지를 갖고 다양한 형태의 참여공간에 익숙하며, 사회적 행동 속에서 선한 변화를 끌어내면서 소유보다 공유 개념으로 소비의 밸런스를 맞춘다는 특성을 갖는다. 그러나 공연예술 분야 관객개발연구는 관객에 대한 분석이 매우 부족한 상태이다. 밀레니얼 세대만 고려하더라도, 이제 관객들은 수동적인 입장에 머물러 있지 않고 제작 단계에서부터 적극적으로 자신들의 의사를 반영하고 있다. 그런 점에서 시장의 우위를 획득하는 길이 상품이 아닌 관객에게 초점이 맞춰지고 있음을 지적하면서 관객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이어서 국내 밀레니얼 세대 공연예술 관람성향 및 유형을 나누어 보았다. 먼저 디지털 친밀감을 갖는 공연예술 사례를 통해 밀레니얼 세대의 성향 및 유형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실시간 공연 중계 시청이나 디지털 스테이지와 같은 제약 없는 접근성 확보, 전 지구적 이슈에 대한 대응으로서 연대와 참여의 유형을 보았고, 마지막으로 팬덤 활동에 따른 자발적이고 높은 결속력을 보이는 유형을 살펴보았다. 이후 밀레니얼 세대의 성향 분석을 위해 관람성향을 개인가치(개인적 취향 중심)에 따른 동기부여와 관람가치(작품 가치나 공연장 환경, 서비스 등 외적 요인 중심)에 따른 동기부여로 나누어 보았다. 그리고 밀레니얼 세대가 이 두 가치를 조화롭게 보는 지점을 강조하였다. 유형으로는 자기애 중심 성향과 사회적 가치 추구 성향, 정보 공유 및 확산 성향, 그리고 온오프라인의 동시적 서비스를 즐긴다는 O2O 서비스 성향으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밀레니얼 세대의 이해를 근거로 공연예술 관객개발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취향 선별에 따라 기획의 차별화를 두는 것이다. 밀레니얼 세대는 자기 지향적 라이프 스타일을 갖고 마이싸이더, 소피커, 가취관, 워라벨, 가심비 등의 특징을 가진다. 따라서 이에 맞는 차별화된 기획을 준비할 필요가 있다. 둘째, co-creation 개념의 적용과 참여를 유도해야한다. 공연예술을 관람하는 과정에서 관객의 참여와 개입을 이야기하는 co-creation은 공연을 관람하는 행위를 시작으로 온오프라인에서 최소한으로 문화를 생성 및 공유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말한다. 셋째, 개인가치와 관람가치의 통합적 접근을 고려하여 기획해야한다. 밀레니얼 세대가 관람을 결정할 때 선택하는 요인을 자기중심과 사회적 가치 중시인 개인가치를 공통된 사항으로 두고, 일반적인 공연예술 관람가치와 디지털 친밀감을 바탕으로 한 관람가치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넷째, 영상 스트리밍을 활용한 공유가치 극대화를 이용해야 한다. 스마트 디바이스를 소지하고 있는 밀레니얼 세대는 시공간의 제약 없이 영상을 볼 수 있는 환경에 노출되어있으며, 가장 높은 빈도로 활용하는 SNS가 동영상 플랫폼인 유튜브라는 점에서 영상 스트리밍은 홍보의 수단, 공공적 가치 창출 등으로 활용하기에 적합하다. 다섯째, 커뮤니티 및 팬덤 형성에 따른 지속가능한 관객을 만들어야 한다. 앞서 제시한 co-creation의 심화 단계로 SNS를 바탕으로 하는 글로벌 공동체 커뮤니티를 조성하는 것이다. 이들은 예술 소비에 적극적이며 문화를 재생산하는 고관여 관객으로서, 온오프라인 모임의 깊은 유대감과 소속감을 가지고 있다. 공연예술 단체와 공연장은 이들의 활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관리해야하며, 자발적인 활동에 제약을 주지 않도록 하면서 다각적인 지원과 도움을 제공해 작품과 그들을 연결시키는 역할을 해야 한다.

      • 형사재판에서 목격자 기억에 대한 전문가 증언이 배심원의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조소연 한림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attempted to test the effects of expert testimony about eyewitness memory on juror decision making. Thre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In all studies participants were shown a part of mock jury trial video which was recorded on August 26, 2004 and run by the Presidential Commission on Judicial Reform. The purpose of study 1 was to study the effect of expert testimony about eyewitness memory on juror decision making. In the study 1, 60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four experimental conditions(no expert, defence-only expert, prosecuting attorney-only expert, or opposing experts). Results of study 1 showed that participants in the prosecuting attorney-only expert condition were more likely to believe the eyewitness and gave the defendant higher guilty ratings than those in no expert condition and opposing experts. Participants in the defense-only expert condition were less likely to believe eyewitness testimony and gave the defendant higher innocence ratings than those in the no expert condition.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ly different findings between opposing experts condition and defense-only expert condition.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t findings between no expert condition and opposing experts condition. Study 2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 of cross-examination about expert testimony on juror decision making. 60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2(strength of cross-examination: weak vs. strong) x 2(expert testimony: defense-only expert vs. prosecuting attorney-only expert) experimental conditions. As a result, participants of prosecuting attorney-only expert condition were more likely to believe the eyewitness testimony than those of defense-only expert condition. As compared to the strong cross-examination condition about prosecuting attorney-only expert, participants in the weak cross-examination condition were more likely to believe the eyewitness. Jurors in the weak cross-examination condition about defense-only expert were more likely to believe eyewitness than the strong cross-examination condi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uilty or innocent ratings across experimental conditions. Study 3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ross-examination when prosecution and defense both call for expert witnesses on jury decision making. 60 students participated in study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experimental conditions in guilty or innocent ratings about the defendant and in eyewitness credibility ratings. 본 연구는 목격자 기억에 대한 전문가 증인이 배심원의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는 연구 1과 연구 2, 연구 3으로 진행되었다. 연구 2와 연구 3은 실험설계 상의 문제로 연구 2와 연구 3으로 나누었으나 실험은 같이 진행되었다. 총 120명의 대학생들이 실험에 참가하였으며 실험자는 참가자들에게 배심원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모두 공통적으로 2004년도 8월 26일에 사법개혁추진위원회에서 주관하고 대법원에서 실시한 강도살인사건 모의배심재판을 찍은 비디오를 실험참가자들에게 보여주었다. 연구 1은 60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전문가 증인이 있는 조건과 전문가 증인이 없는 조건을 비교하여 피고인에 대한 배심원의 유무죄 평결, 목격증인 신뢰도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그러나 연구 1은 전문가 증인에 대한 반대신문이 없을 때를 보았으며 전문가가 있는 조건을 검사 측에서만 내세운 전문가 조건, 변호인 측에서만 내세운 전문가 조건, 양측 모두에서 내세운 전문가 조건으로 나누었다. 그리고 연구 1은 연구 2의 연구결과와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비교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전문가가 없는 집단보다 검사 측 전문가만 있는 집단이 목격자를 더 신뢰하였고 피고인에 대한 유죄비율이 더 높았다. 그리고 검사 측 전문가만 있는 집단이 양측에서 모두 전문가를 내세운 쌍방 전문가 조건보다 목격자를 더 신뢰하였으며 피고인에 대한 유죄비율 또한 높았다. 반대로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변호인 측 전문가만 있는 집단이 목격자를 덜 신뢰하였으며 피고인에 대한 무죄비율이 더 높았다. 그리고 쌍방전문가 집단과의 비교에서는 목격자의 신뢰도나 피고인에 대한 무죄비율에 집단 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통제집단과 쌍방전문가 집단을 비교하였을 때 목격자의 신뢰도와 피고인에 대한 유죄비율이 차이가 없었다. 연구 2에서는 60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쪽에서만 전문가를 내세웠을 때 그리고 전문가 증인에 대한 반대신문이 있을 때에도 연구 1의 결과와 비슷하게 나타나는지를 알아보았다. 또한 반대신문의 강도를 조작하여 피고인에 대한 배심원의 유ㆍ무죄 판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 2의 분석결과, 검사 측 전문가 증인 조건의 참가자들이 변호인 측 전문가 증인 조건의 참가자들보다 목격자에 대한 신뢰도가 더 높았다. 반대신문에 대한 효과는 검사 측 전문가 증인에 대해 변호인이 강한 반대신문을 할 때 약한 반대신문을 할 때보다 전문가 증인에 대한 신뢰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반면 변호인 측 전문가 증인에 대해서는 검사가 약한 반대신문을 할 때 강한 반대신문을 할 때보다 변호인 측 전문가 증인에 대한 신뢰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피고인에 대한 배심원의 유ㆍ무죄 판결에 대한 집단 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 3에서는 60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쌍방전문가 즉, 검사 측 그리고 변호인 측에서 모두 전문가 증인이 있고 이들 전문가 증인에 대한 반대신문이 있을 때 배심원의 의사결정이 연구 2와 비슷하게 나타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3의 분석결과, 전문가 증인에 대한 반대신문이 피고인에 대한 배심원의 유ㆍ무죄 판단에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전문가 증인에 대한 신뢰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즉, 변호인 측 전문가 증인에 대한 신뢰도는 변호인 측 반대신문이 약했을 때보다 강했을 때 신뢰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반면, 검사 측 전문가 증인에 대한 신뢰도는 검사 측과 변호인 측의 반대신문이 모두 강했을 때보다 약했을 때 검사 측 전문가 증인에 대한 신뢰도가 높게 나타났다.

      • 블렌디드 러닝 환경에서의 초등수학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조소연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원격수업과 등교수업이 병행되는 블렌디드 러닝 환경에서 교사별 피드백이 용이하면서 영재교육 현장에 적용 가능한 블렌디드 러닝 프로그램 예시자료를 개발 · 보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에 따라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블렌디드 러닝 환경에서 초등수학영재에게 적용해 볼 수 있는 수학영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둘째, 블렌디드 러닝 환경에서 수학영재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교수 · 학습자의 반응과 특징을 분석한다. 먼저 블렌디드 러닝의 개념과 필요성, 이러닝과 에듀테크, 원격 영재교육의 특성 등에 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였으며, 다음으로 B광역시 교육청 영재교육원의 초등수학교실 12차시 교안을 ‘블렌디드 러닝 환경에서의 초등수학영재교육 프로그램’으로 재구성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B광역시 M초등학교 5-A 일반학급 학생 25명에게 적용하였으며, 이 학급의 영재 학생 5명을 대상으로 집중 관찰 및 분석하였다. 또한 개발된 프로그램, 수업 장면 및 학생의 반응 등을 세 명의 영재교육원 지도 교사에게 제시한 후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영재학생들은 오프라인 수업으로만 진행했을 때보다 블렌디드 러닝 환경에서 온 · 오프라인이 유기적으로 연결된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을 때, 보다 높은 흥미, 관심, 의욕을 보이며 수업에 참여하였다. 또한 영재학생들은 LMS와 여러 가지 온라인 수업 도구들을 개별화 학습, 탐구과정, 협업에 적극 활용하였으며, 원격수업 시 교사의 개입 없이도 자기주도적으로 발견 · 탐구 학습을 진행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에 본 연구는 블렌디드 러닝 환경에서 영재교육원 수업 시 교사의 부담을 줄여줄 수 있도록 이러한 프로그램의 개발 · 보급이 필요하며, 원격수업과 등교수업에 모두 적용 가능한 교수학습과정안과 구체적인 온라인 수업도구 사용법 안내 등이 추가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블렌디드 러닝 환경에서의 초등수학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 키워드 : 블렌디드 러닝, 초등수학영재교육, 원격수업, LMS * 이 논문은 2020년 1월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석사학위 논문임.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disseminate examples of blended learning programs applicable to actual gifted education sites to facilitate feedback by teachers in a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where on-line classes and off-line classes are mixed. The research questions set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 develop a elementary mathematics gifted programs that can be applied to mathemat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in a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Second, after applying that gifted education program in a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I analyze the reactio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ofessor and learners. After conducting precedent research and analysis on the concept and necessity of blended learning, the characteristics of e-Learning, edu-tech and on-line gifted education, the 12 teaching plans of the elementary math class of the B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was reconstructed as a 'program for elementary mathematics gifted education in the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The developed program was applied to 25 students in general class of 5-A at M Elementary School in B Metropolitan City, and was intensively observed and analyzed on five gifted students in this class. I presented development programs, class scenes, and students' responses to the guidance teacher of the gifted education center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them. According to the study, gifted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class with higher interest, attention, and motivation when they attended in organically connected programs with on and off-line in a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than when they conducted off-line classes alone. In addition, gifted students actively utilized LMS and various online class tools for individual learning, exploration process, and collaboration, and conducted self-directed discovery and exploration learning without the involvement of teachers in on-line classes. From the teacher's point of view, it was analyzed that it is urgent to develop and disseminate such programs to reduce the burden on teachers in the gifted education center class in the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and it is necessary to add a teaching course plan and detailed instructions on on-line teaching tools that can be applied to both on and off-line clas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programs in the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 Keywords: blended learning, elementary mathematics gifted programs, on-line classes, LMS * A thesis submitted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