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신지체 아동의 음악치료 활동을 위한 활동곡집

        조성미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서는 정신지체 아동의 발달을 돕기 위한 목적으로 음악치료에서 사용할 수 있는 노래들을 엮은 활동곡 모음집이다. 음악치료는 정신지체인 에게 다음과 같은 이유로 상당한 치료 효과를 거두고 있다. 1.음악은 문화권을 넘어서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도구이다. 2. 음악은 언어를 필요로 하지 않아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의 대표적인 도구로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언어장애를 심하게 갖고 있는 아동이라도 음악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표출할 수 있는 것이다. 3. 음악은 소리라는 매개체로 사람의 몸과 마음에 직접적이며 순간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치료대상의 지능수준에 상관없이 어떤 환경에서도 생리적인 반응을 유도할 수 있다. 4. 음악은 자아성찰을 돕고 개인과 그룹간의 조화를 형성시킨다. 5.음악적인 행동을 통해 비음악적인 행동을 유도할 수 있다. 6.음악은 학습을 돕고 여러 가지 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최병철 2001). 따라서 음악치료는 발달장애인의 개인적인 발달을 도와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개인의 감정을 밖으로 표현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기 때문에 이러한 감정표출을 통해 타인과의 관계를 형성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정신지체인을 위한 효과적인 음악치료를 위해서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원리를 기억해 둘 필요가 있다. 1. 음악 프로그램은 각 개인의 정도와 필요에 따라 맞춰져야만 한다. 2. 반복되는 동작과 노래로 클라이언트의 마음을 편안하게 하며 도전과 새로운 것에 대한 불안감을 없애도록 한다. 3. 분별, 인식 능력을 길러 주기 위해 음 또는 악기를 식별하는 다양한 종류의 방법을 개발한다. 4. 클라이언트의 마음을 끌 수 있는 재미있는 노래를 다양하게 준비하여 클라이언트와의 관계를 흥미로이 지속시키고 커뮤니케이션을 유도한다. 본서의 곡들은 인지, 운동, 정서, 사회영역에 골고루 접근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으며, singing, songwriting, movement, playing을 위한 곡들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마지막 장에는 창작 음악극을 구성하여 아동이 그룹세션 안에서 일체감을 느끼게 하고, 자유로운 즉흥연주 경험을 통해 자기표현력의 기회를 제공해줄 수 있도록 하였다. 인지영역에서는 노래를 통한 지시 따르기, 집중하기, 악기소리 구별, stop-playing, 강약 구별, 음악적인 요소 등을 인지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색깔 구별, 동물소리, 자동차 소리 등 기초 학습을 도울 수 있도록 하였다. 운동영역에서는 춤추기, 뛰기, 박수치기, 신체터치 등 대근육 운동과 악기연주를 통한 소근육 운동 및 협응을 이끌어 낼 수 있도록 하였다. 정서영역에서는 칭찬하기, 모두 잘해요 등을 통해 긍정적인 감정을 경험하고 자존감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며, 사회적인 영역에서는 주고받기, 기다리기, 합주하기, 그룹원들과 즉흥연주 하기 등을 통해 타인과 다양한 방법으로 교류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서는 총 22개의 곡들과 1편의 창작 음악극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노래 악보와 함께 목적, 방법 및 응용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를 토대로 각각의 치료적 상황과 목적에 맞도록 적용되기를 기대한다.

      • 음악전공 학부 학생을 위한 음악이론 및 효과적인 교수법 연구 : 연주전공 학생을 중심으로

        조성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현재 음악전공 학부과정 중 연주전공 학생의 이론교과목 수학(修學)능력을 진단, 분석한 후 통계학적 자료와 표본화된 정보를 바탕으로 효과적 교수방법 및 개선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오늘날 음악 대학에는 여러 이론교과목이 개설되어있다. 하지만 현행의 교육체재와 환경은 교육 대상자들에게 여러 의미에서 언제나 긍정적인 상황만을 제공하고 있지만은 않다. 일단 지나치게 많은 수의 학생들이 한정된 공간에서 집단형태로 수업을 하게 된다. 지금까지의 교육이론은 문헌과 경험을 통해 우리에게 가급적 축소지향의 수업 형태를 유지할 것을 권고해 왔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학교교육에서 교수와 학생의 대상인원수를 조절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또한 방만한 교육 내용의 직선적인 전달과 학습자들의 무관심등이 음악 이론과목에 대한 인식을 어렵게 만들어왔다. 이로 인해 발생하는 교육적 역기능은 순전히 학생의 몫이며 우리 교육은 이를 단지 체재상의 문제정도로 치부하고 그 개선에 대해서는 외면해 온 것이 사실이다. 여기에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자는 이를 위한 개선안이 시급하다고 보고 그에 대한 대안으로써 수업의 내용과 콘텐츠(Contents)의 개선, 즉 교과 학습 접근방식에 대한 변화만으로 수업의 활용도와 성취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는 확신을 토대로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사용된 여러 실험과 통계는 그간 강단과 학교 일선에서 적용되어왔던 여러 이론을 토대로 한 것이며 특히 교육심리학적 이론이 다각도로 적용된 것으로써 일 년여에 걸친 교육 접근실험의 결과물이다. 연구자는 본 연구를 위해, 먼저 대상자들의 기초적인 음악 이론 능력 측정을 위한 평가와 분석을 선행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추출된 데이터를 통해 연구자와 교수진행자는 대상자들의 학력 개선을 위한 토론과 협의, 그리고 적용의 과정을 거쳤다. 그리고 이러한 적용과정이 과연 효과적이었는지에 관해 검증하게 된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과정을 관찰한 기록이며 만일 평가의 결과가 미흡하거나 접근상의 오류로 판단될 경우 수업을 통해 재 실험을 실행하였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교수진행상 도출된 교육 접근상의 방법과 이를 통한 대상자들의 반응을 수치화하거나 통계로 한 자료를 집중적으로 보고하고 있다. 왜냐하면 연구를 통해 얻어진 ‘실력 향상’의 의미란 언제나 무형의 것이며 실체화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기 때문이다. 이렇게 ‘수(數)’로 환산된 평가는 이 연구의 기준이 되어 적용된 문항에 관한 타당성을 가늠하게 하였다. 본 논문에 수록된 이원분류표와 문항분석표는 이러한 연구 방향에 대한 한 해 동안의 기록이다. 본 연구를 위한 교육 접근방법은 2009학년도 제1학기와 2학기에 행해졌고 대상은 현재 음악대학 학부과정 2학년의 화성학 Ⅲ과 화성학 Ⅳ의 수강인원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연구의 실험이 처음 시작되던 당시 관찰대상자들의 대부분은 이미 화성학 Ⅰ과 Ⅱ를 이수한 상태였다. 그러므로 이 실험은 관찰 대상자의 대부분이 어느 수준정도의 화성학적 이론과 친숙해져 있다는 가설로부터 시작된다. 참고로 대부분의 대학이 한해 단위(두개 학기)로 교과목 담당교수를 다르게 고용하는 일이 관례이고 본 연구를 진행한 수업의 담당교수도 화성학 Ⅰ과 Ⅱ의 교수진행자와 동일하지 않다.

      • 유아 모래놀이 치료에 대한 교사, 관리자, 상담자의 인식 연구

        조성미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study of recognition of sandplay therap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teachers, administrators, and consultant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recognition on the performance and education of sandplay therapy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the followings: 1. How teachers, administrators(director or vice-director), and consultan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recognize sandplay therapy? 2. How teachers, administrators(director or vice-director), and consultan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recognize the education of sandplay therapy? 3. How teachers, administrators(director or vice-director), and consultan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recognize the environment and significance of sandplay therapy in general early childhood education environment? 49 teachers, 45 administrators(director or vice-director), and 45 consultan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had an experience of sandplay therapy directly and indirectly. Questionnaire used for recognition survey on play therapy performed for kindergarten teachers was modified for sandplay therapy. To draw more intensive results,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for 2 kindergarten teachers, 2 administrators(director or vice-director) and 2 consultants. As analysis for this study, crosstabulation analysis and the chi-square test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difference of recognition by job pos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the following: First, sandplay therapy was mostly recognized by field training for teachers, administrators(director, vice-director) and consultants. Sandplay therapy was considered as a limited field than play therapy. Second, the recognition on the sandplay therapy training was positive for teachers, administrators(director, vice-director) and consultants. They had opportunities to know sandplay therapy through training program and joining sandplay therapy society since they actively participated in them. They preferred practical method for effective training and wanted to have education during kindergarten vacation period. Third, the teachers, administrators(director, vice-director) and consultants thought the recognition of the environment for sandplay therapy was positive. The participants explained that the concept and approach of sandplay therapy can be connected to both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normal children in limited level, supporting their emotional needs and expression.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 현장에서 유아의 모래놀이치료 실시 및 교육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 데 있으며,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모래놀이치료에 대한 유아교육기관의 교사, 관리자(원장, 원감), 상담자의 인식은 어떠한가? 2. 모래놀이치료 교육에 대한 유아교육기관의 교사, 관리자(원장, 원감), 상담자의 인식은 어떠한가? 3. 모래놀이치료 실시 환경 및 일반 유아교육 환경에 대한 시사점에 관한 유아교육기관의 교사, 관리자(원장, 원감), 상담자의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모래놀이치료에 대한 직·간접 경험이 있는 유아교육기관의 교사 49명, 관리자(원장, 원감) 45명, 상담자 45명 이었다. 설문도구는 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놀이치료에 대한 인식조사를 실시한 도구를 모래놀이치료 상황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작성하였으며, 보다 심층적인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유아교육기관의 교사 2명, 관리자(원장, 원감) 2명, 상담자 2명에게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분석에 있어서는 직업에 따른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고, 카이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래놀이치료에 대한 인식은 교사, 관리자(원장,원감), 상담자 모두 현장연수를 통해 알게 된 비중이 높았으며, 놀이치료에 비해 모래놀이치료는 한정된 분야로 인식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모래놀이치료 교육에 대한 교사, 관리자(원장, 원감), 상담자의 인식은 긍정적이었으며, 교육경로는 개인의 적극적인 참여로 연수과정 및 모래놀이치료학회 가입을 통한 교육의 기회가 많았다. 모래놀이치료의 효과적인 교육방법에 있어 실제적 방법을 선호하였고, 교육시간은 방학기간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모래놀이치료 실시환경에 대한 인식에서 유아교사들의 모래놀이치료 실시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모래놀이치료 실시 대상에 대한 응답결과는 특수아뿐만 아니라, 일반 유아의 정서적 어려움을 돕는데 하나의 접근법으로써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 우뇌손상 환자의 작업기억과 삼단논법 추론과제 유형 간 관련성

        조성미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뇌손상 환자들은 좌뇌손상 환자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뚜렷한 언어적 결함을 나타내지는 않지만 추상적 문장을 처리하고 논리적인 추론과 생각의 일관적 흐름을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갖는다. 우뇌손상 환자들이 보이는 비정상적인 수행능력은 정보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데 사용되는 시스템인 작업기억과 관계가 있다. 이러한 작업기억은 추론과 관련이 있다. 추론은 주어진 정보나 전제에서 출발하여 어떤 긍정할 만한 논의 형태를 통해 결론을 이끌어내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삼단논법은 대표적인 연역적 추론 형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뇌손상 집단과 정상 집단의 작업기억 용량을 측정하고, 삼단논법 추론을 조건 수에 의한 유형의 차이를 주어 수행능력을 알아보았으며 작업기억 용량과 삼단논법 추론과제 유형 간에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뇌손상 집단은 정상 집단보다 작업기억 용량이 작았다. 이로 인해 작업기억의 용량이 작은 우뇌손상 환자들이 들은 숫자나 읽은 단어를 저장하는 과정에 기억하여 말해야 하는 처리의 과정이 추가되면서 저장을 위한 용량은 줄어들게 되어 저장할 수 있는 숫자나 단어의 감소를 초래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삼단논법 추론과제 수행에서도 낮은 능력을 보였는데 이는 삼단논법 추론과제에서 여러 개의 모형을 구성하고 평가하는 과정의 어려움 때문으로 보여 진다. 추론과제의 유형 간에도 수행에 차이가 있었는데 조건의 수가 증가할수록 수행에 어려움을 보였다. 이것은 추론과제 수행의 정확성이 제시된 정보의 수가 증가할수록 감소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둘째, 작업기억 용량과 삼단논법 추론과제의 수행 간에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작업기억 용량이 큰 사람이 작업기억 용량이 작은 사람보다 삼단논법 추론과제의 수행능력이 좋았다. 이것은 작업기억 용량이 삼단논법 추론 수행에 영향을 주고, 삼단논법 추론의 결론을 판단하기 위한 조건들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작업기억 용량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우뇌손상 집단은 작업기억 용량과 삼단논법 추론과제 유형별 수행 능력 간에도 통계적으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조건의 수가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작업기억에 부담을 많이 주기 때문에 작업기억 용량이 작은 사람은 자신이 가진 용량을 초과하는 과제를 수행하는 데 어려움 보인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우뇌손상 환자의 작업기억과 삼단논법 추론 수행 능력을 살펴보고 서로간의 관련성을 확인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으며, 이를 통해 또 다른 추론과제를 사용하여 작업기억에 따른 추론 수행능력에 관한 후속연구를 제언할 수 있다. Linguistic deficit is not displayed as clearly in right brain damaged patients relative to left brain damaged patients but the exhibit difficulty in processing abstract sentences and maintaining logical thinking and general flow of thought. The abnormal performance ability displayed by right brain damaged patients is related to working memory which is used to store and process information. Also, working memory is related to reasoning. Reasoning begins from given information or premise, signifies reaching a conclusion through a form of an affirmative argument, and as a related form reasoning, there is syllogism, a form of deductive reasoning. In this study, working memory capacity of right brain damaged group and normal group was measured, observed their performance ability of syllogistic reasoning by varying the type based on the number of conditions, and observed the correlation between working memory capacity and types of syllogistic reasoning tasks.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orking memory capacity of right brain damaged group was smaller than that of the normal group. It is possible that in right brain damaged patients who relatively lack working memory capacity as a result of brain damage, capacity for storing decreases when information processing step of recalling and articulating is added in the process of storing the numbers heard or words read, causing a decrease in the number of words or numbers that can be stored. Low capacity was displayed also in performance of syllogistic reasoning tasks and this can be seen as difficulties they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formulating and evaluating multiple models in syllogistic reasoning.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types of syllogistic reasoning tasks and difficulties increased as the number of conditions increased. This shows that accuracy in syllogistic reasoning tasks decreases as the number of presented information increases. Second, there is a passive correlation between working memory capacity and syllogistic reasoning. Individuals with greater working memory capacity had better syllogistic reasoning performance ability than did an individual with smaller working memory capacity. This signifies that tasks with greater number of conditions require more information processing capacity for a decision than does a task with smaller number of conditions Third, statistically passive correlation was also found between working memory capacity and performance ability based on type of syllogistic reasoning in the right brain damaged group. Such results suggests that because increase in the number of conditions overburdens working memory, individuals with small working memory capacity display difficulties in performing tasks that exceed their capacity.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having observed and identified correlation between working memory and syllogistic reasoning performance ability in right brain damaged patients, and it may propose further studies on reasoning performance ability based on working memory by using other reasoning tasks.

      • 고무줄놀이가 유아의 기초체력과 신체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조성미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통놀이 인 고무줄놀이가 유아의 기초체력과 신체적 자아개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고무줄놀이가 유아의 기초체력(민첩성, 근지구력, 평형성, 유연성, 순발 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 2. 고무줄놀이가 유아의 신체적 자아개념(체력, 유능감, 건강, 외모)에 어떠 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 연구 대상은 서울시 송파구 관내 소재한 2개 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4세 유아 40명으로 실험집단 유아 20명(남아 10명, 여아 10명), 비교집단 유아 20명(남아 10명, 여아 10)으로 하였다. 실험집단은 고무줄놀이를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은 고무줄놀이는 전혀 하지 않고 신체활동으로 주 1회 체육선생님과 함께 하는 체육시간이 있었다. 실험처치 기간은 2008년 4월 28일 ~ 7월 4일까지 10주간 주 4회 30분씩 고무줄놀이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유아의 기초체력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안무홍(2003), 안을섭(2005)의 체력측정 검사항목을 근거로 유아들의 기초체력의 요소인 민첩성, 근지구력, 평형성, 유연성, 순발력을 본 연구자가 측정도구로 사용하였고, 신체적 자아의 연구도구로는 황순각(2000), 이현경(2004)이 제작한 신체적 자아개념의 검사 도구를 근거로 연구자가 본 연구에 맞게 재구성 하여 사용 하였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SPSS 12.0을 사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한 후 각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고 사후검사 점수를 종속변수로 하는 공변량 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무줄놀이는 유아의 기초체력 중 민첩성, 유연성, 순발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고무줄놀이가 유아의 기초체력(민첩성, 유연성, 순발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신체적 자아개념의 총합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는 고무줄놀이가 유아의 신체적 자아개념을 발달시키는 것으로 나타낸다. 특히 체력에 대한 신체적 자아개념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향상을 보였다. 이는 유아 스스로가 다른 친구들과 놀이함에 있어 체력적으로 자신감 있게 놀이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붉은곰팡이의 유성생식에 관여하는 Argonaute 단백질 유전자(FgSMS-2)의 기능분석

        조성미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Fusarium graminearum is the casual agent of the head blight of cereal crops and produces mycotoxins such as trichothecenes and zearalenone in infected plants. This fungus is a self-fertile ascomycete with ubiquitous geographic distribution. Sexual reproductionin F. graminearum is mainly controlled by the mating-type (MAT) locus. Here, we focused on the function of a gene (designated FgSMS-2) undercontrol of the MAT locus, which is a homolog of SMS-2 (Suppressor of meiotic silencing-2) in Neurospora crassa. FgSMS-2 belongs to the highly conserved eukaryotic Argonaute proteins that contain two common domains, namely PAZ and PIWI domains. Targeted deletion of FgSMS-2 (D FgSMS-2) caused no dramatic changes in major traits such as hyphal growth, conidiation, pigementation, and perithecia formation in F.graminearum. However, the D FgSMS-2 strains exhibited fewer and delayed ascospore maturation compared with its wild-type (WT) progenitor; ascospore germination was not different from WT. Quantitative real-time PCR analysis confirmed that FgSMS-2 was specifically expressed during the sexual development stage, and regulated by MAT genes at the transcriptional level. These results strongly indicate that FgSMS-2 plays an important role in regulating the meiosis and post meiotic cell division for ascospore production in F. graminearum by employing a RNA-i-induced gene silencing mechan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