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초등학생의 과외자율체육활동 참여가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조미혜(Mihye Cho),정옥분(Ockbun Jung) 인하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2003 스포츠과학논문집 Vol.15 No.-

        The subject of this study selected a total of 1,200 students in 6 elementary schools with the extracurriculum sports program in Bushceon City as the stratified sampling. From th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questionnaire, 230 students who made little or no effort in response are excluded. Therefore, for 970 students, a total of 35 questions are provided with 7 questions on school life, 7 questions on family life, 7 questions on friend relationship, 7 questions on self-awareness and 7 questions on surrounding environment. Through the data of 970 students, the following results are obtained as the result of analyzing, first, effect analysis of stress from the participation of extracurriculum sports activities, and second, the analysis of stress by the gender who participated in the extracurriculum activities. 1) Stress Impact Analysis by the Participation of Extracurriculum Sports Activities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extracurriculum sports activities have some noticeable statistical differences in all 5 categories of school life, family life, friendship, self-awareness, surrounding environment and others from that of the non-participating students. Such a result is founded that the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extracurriculum activities have less stress than that of non-participating students. 2) Stress Impact Analysis by the Participating Genders of Extracurriculum Activities In the comparison of male students and femal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extracurriculum sports activities, there is a noticeable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school life and self-awareness factors. However, in the family life, friendship and surrounding environment factors do not show noticeable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male students and female students. 3) Comprehensive Analysis Result In conclusion, the extracurriculum sports activities of elementary students would help to relieve stress for all male and female students commonly in school life, family life, friendship, self-awareness and surrounding environment, and in particular, the male students would expect significant effect than female students that the participation in the extracurriculum activities would have larger effect on relieving the stress in terms of school life and self-awareness factors. Therefore, if the extracurriculum activities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become activated, the stress of school children would be lessened and will help a great deal in concentrating on the school life and forming of right personality.

      • KCI등재

        포스트 팬데믹 시대, 교양체육 댄스스포츠 수업의 온라인 교수 프로그램 운영 사례 연구

        조미혜(Cho, Mihye),양민아(Yang, Min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4

        목적 본 연구에서는 포스트 팬데믹 시대를 맞아 대학 교양체육 댄스스포츠 수업에서 온라인 교수 프로그램을 실제로 운영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온라인 동영상 강의와 Zoom을 활용한 실시간 강의를 병행하며 진행한 온라인 교수 프로그램의 장⋅단점을 파악하고, 온라인 교수 프로그램에 대한 수강생들의 평가를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와 보완점을 진단하여 교양체육 댄스스포츠 온라인 교수 프로그램 운영의 경험을 공유하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수도권에 소재한 I 대학교의 2020년도 2학기에 진행된 댄스스포츠 온라인 교수 프로그램의 사례에서 수강생들의 강의 평가, 퀴즈와 과제 그리고 교수자의 강의 녹화기록과 수업일지 등의 자료들을 수집하고 이를 텍스트 분석과 내용 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4회의 연구회를 진행하여 구성원간 검토와 동료간 협의, 다각도 검증을 통해 신뢰도 및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결과 수강생들은 온라인 댄스스포츠 교수 프로그램을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보았다. 첫째, 일상의 스트레스 해소와 생활의 활력 증대; 둘째, 춤을 통한 사회적 연대감 유지; 셋째, 신체건강 증진; 넷째, 춤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 형성이다. 결론 교양체육 댄스스포츠 수업은 대면수업에서 적극적인 수강생들의 상호교류가 시너지를 일으켜 보다 높은 교육성과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수업이다. 그러나 비대면 수업을 진행해야 하는 포스트 팬데믹 시대에 댄스스포츠 온라인 교수 프로그램은 하나의 대안으로써 의미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operate and analyze the case of the online teaching program for dance sports as liberal arts and sports in the post-pandemic era. Through this, we identify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online teaching program concurrently conducting online video lectures and real-time lectures at Zoom and diagnose the effectiveness and complementary points of the program base on the student’s evaluation of the online teaching program. The authors would like to share the experience of this case of the dance sports online teaching program held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0 at A University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Methods The methodologies were used text and content analysis for analyzing students’ feedback, answers to their quizzes and assignments and instructor’s self-records of lectures and class journals. In addition, four research meetings were held to secure reliability and validity through member check, peer debriefing and triangulation. Results As a result of this study, students experienced the following effects. First, relieving daily stress and increasing the vitality of life; second, maintaining social solidarity through dancing; third, promoting physical health; and last, forming a positive image for dancing. Conclusions In conclusion, as liberal arts and sports dance sports is a class that can lead to higher educational outcomes by creating synergy between active students in offline class. However in the post-pandemic era where online classes are required. the dance sports online teaching program is meant as an alternative.

      • KCI등재

        ‘학교부적응’ 학생의 ‘참여’를 위한 체육활동 프로그램 개발

        조미혜(Cho, Mihye),권민정(Kwon, MinJung),김승환(Kim, Seung Hwan)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7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4 No.3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생활 전반에서 ‘부적응’을 경험하고 있는 학생들이 신체활동을 통한 사회성 관련 가치들을 학습함으로써 심리적, 사회적 특성의 긍정적 변화와 학교생활 및 일상생활 전반에서 적극적인 ‘참여’를 경험하는 체육활동 프로그램 개발에 있다. 이를 위해 중등체육교사 3명, 체육교육전공 대학 교수 2명, 학교체육 분야 전문 연구원 2명을 대상으로 조사-개발-예비검증의 단계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문헌조사, 심층면담, 전문가 회의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내용 분석 및 귀납적 범주 분석방법을 활용하였으며, 내용 타당성 및 현장적용 가능성 검토를 거쳐 최종 개발되었다. 연구 결과로는 첫째, 기존의 선행연구들에서 학교부적응의 개념과 범위, 소외의 개념을 분석하였다. 둘째, 체육활동 프로그램의 4가지 개발 방향을 설정하고, 정서와 태도의 2가지 구성 요소를 도출하였다. 셋째, 정서 및 태도 변화를 위한 체육활동 프로그램은 공통적으로 각각 8차시로 구성하였으며, 차시별 주제, 주제별 참여 유형, 신체활동, 세부 활동 내용, 교수학습 방법, 체육수업과의 연관성을 제시하였다. 넷째, 정서 변화 프로그램에서는 우울, 스트레스, 자존감 저하를 극복하기 위한 활동 내용, 태도 변화 프로그램에서는 협동, 배려, 규칙준수의 행동을 활성활 시킬 수 있는 활동 내용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프로그램의 목적 측면에서는 학교부적응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 프로그램의 내용 측면에서는 관계의 형성과 변화를 실현할 수 있는 내용 구성, 교수학습 방법 측면에서는 문제해결을 위한 탐색-탐구 과정의 투입과 지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hysical activity program in which students experiencing ‘maladjustment’ to the overall school life experience active ‘participation’ by learning values related to sociality through physical activities. For this, targeting three second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wo professors of physical education, and two researchers specialized in school physical education, a program was developed in the phase of research, development, pre-verification. In detail, data was collec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in-depth interview, and experts group meeting while using the contents analysis and inductive analysis. Verifying the validity of the contents and applicability to the field, the final program was developed. In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 concept, scope of school maladjustment, and the concept of alienation in the existing preceding researches was analyzed. Second, setting up the four developmental direction of the physical activity program, two elements such as emotion and attitude were drawn. Third, the physical activity program for changes in emotion and attitude was commonly composed of eight sessions each while suggesting the theme of each session, the participation type of each theme, physical activity, detailed contents,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correlation with physical education class. Forth, the emotional change program suggested activity to overcome depression, stress, and decline of self-esteem while the attitude change program suggested activities to active behaviors such as cooperation, consideration, and observation of rules.

      • 스포츠교육모형을 적용한 축구수업이 학생들의 심동적 · 인지적 ·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

        조미혜(Mihye cho),손상영(Sangyoung Son) 인하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2004 스포츠과학논문집 Vol.16 No.-

        본 연구의 목적은 스포츠교육모형과 전통적 수업모형을 적용하여 두 집단 간에 나타나는 심동적 · 인지적 · 정의적 영역에서 학습 효과를 비교 분석하여 스포츠교육모형 적용한 축구수업의 교육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B남자 중학교 3학년 6개 학급의 학생으로 스포츠교육모형을 적용한 실험집단 3학급 117명과 전통적 수업모형을 적용한 비교집단 3학급 117명으로 분류하여, 총 23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심동적영역의 기초 기능검사는 드리블1, 슈팅1, 드리블2, 슈팅2에 대한 측정을 하였고, 인지적 영역의 측정은 체육 교사용 지도서(강신복 등, 2004)를 참고하여 축구의 역사 및 기술, 규칙에 대한 25문항을 제작하여 지필고사로 측정하였으며, 정의적 영역의 태도검사는 김도수(1996)의 게임에 대한 태도 검사지, 김상진(2002)의 정의적 영역의 태도 검사지에 사용된 설문지를 토대로 수정 · 보완 작성하여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근거로 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심동적 영역에서는 스포츠교육모형을 적용한 집단이 축구의 드리블, 슈팅에서 기능이 더 향상되었다. 둘째, 인지적 영역에서는 스포츠교육모형을 적용한 집단의 인지적 능력에 더 향상되었다. 셋째, 정의적 영역에서는 스포츠교육모형을 적용한 집단이 축구 수업을 통하여 기본적인 태도, 심리적인 특성, 사회적인 특성이 더 향상되었다. This study conducted to show how the sports education model influences on the soccer unit, in physical education courses, was chosen for this study and applied to the sports education model that had been thought effects on psychomotor,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 when compared whit the traditional physical education model.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ove a degree of changes on psychomotor,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taught by the Sports education model and comparative group taught by the traditional education model. 117 boys' students from six classes of 9th grade attending B middle School in Inchon were chosen for the study, and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 experimental (117 boys' students from three classes applied to the sports education model) and a comparative group (117 boys' students from three classes applied to the traditional physical education model). The evaluation tools for the fieldof psychomotor are dribble 1, shootingl, dribble2, shooting2. The evaluation for cognitive domain was conducted by paper based test refers to the manual for physical education teacher; 25 questions consist of history, skill and rule of soccer. The evaluation tool of affective domain for the attitudes used in this study revised and complemented by analyzing the questionnaires of 'Attitudes for the Games Evaluation Tool' designed by Kim, Do-soo (1996) and 'the Affective Domain Evaluation Tool'designed by Kim, Sang-jin (2002). The significant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field of psychomotor domain group, applied to the sports education model made progress in their skill of dribble and shooting for soccer. Second, In the field of cognitive domain group, applied to the sports education model made progress in their ability of cognition. Third, The group applied to the sports education model made progress in basic attitude, psychological and social traits in the field of affection.

      • 대학생의 댄스스포츠에 대한 인식

        조미혜(Cho Mihye),김민정(Kim Minjung) 인하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2006 스포츠과학논문집 Vol.18 No.-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댄스스포츠에 대한 인식조사를 통하여 성별과 전공 · 비전공별로 댄스스포츠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부정적 인식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I대학교 학생과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S여자 대학교 여학생 총 273명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전문가들의 3회에 걸친 작업을 통하여 개발한 “댄스스포츠 인식조사지”를 수정 보안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각 문항의 평균, 표준편차, 빈도수 등을 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성별에 따른 댄스스포츠의 효과에 대한 결과에서는 체력단련 효과에서 여학생과 남학생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댄스스포츠의 효과에 대한 문항은 다이어트, 친목도모, 체력단련, 스트레스 해소로 이루어져 있다. 댄스스포츠의 효과에 대한 여자와 남자의 인식은 대체로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이것은 댄스스포츠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이 기존의 부정적이고 접하기 어려웠던 특수성에서 벗어나 대중적인 스포츠로 효과를 인정받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성별에 따른 댄스스포츠의 커플댄스 인식에 대한 결과에서는 여학생과 남학생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성과의 자연스러운 스킨십의 기회가 부족한 우리나라에서 양성평등 교육과 성 역할정체감 교육을 할 수 있는 매개체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셋째, 성별에 따른 댄스스포츠 참여의 부정적 동인에 대한 결과 에서는 여학생과 남학생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우리나라의 대학생들은 댄스스포츠에 대한 활용과 발전가능성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전공 · 비전공에 따른 댄스스포츠 인식조사결과 전공 · 비전공자 모두는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앞으로 우리나라의 댄스스포츠의 활성화에 대해 바람직하게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university students' positive perception and negative perception for dance sports according to their sex and major by taking a poll from them for their perception of dance sports. Total 273 subjects are collected from students at I university in Incheon and S women's university in Seoul. As for questionnaires, "Questionnaires for Dance Sports" developed from three researches by experts were modified for the use of this study. For data analysis, means, standard deviations and frequencies are calculated for each question. The result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effects of dance sports,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in improving physical strength. Questions for dance sports' effects are composed of diet, improving relationships, improving physical strength, and relieving stress.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have generally good opinions about dance sports' effects, which means dance sports are getting more accepted as dance sports become more popular than they used to be. Second, for perception of dance sports according to respondents' sex,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Dance sports can be a medium for sex equality and sexuality education in Korea where there are not much natural contacts between opposite sexes. Third, for negative causes of participating in dance sports according to respondents' sex,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Korean university students have positive opinions of dance sports' applications and potential. According to perception for dance sports based on respondents' major, despite som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ir major, they have positive views on the future of dance sports in Korea.

      • KCI등재
      • KCI등재

        10.29 이태원 참사와 애도불가능성: 살아남은 자들의 이야기

        백소현(Peik, Sohyeon),조미혜(Cho, Mihye) 한국문화사회학회 2023 문화와 사회 Vol.31 No.3

        본 논문은 10.29 이태원 참사 생존자의 관점에서 사회적 애도의 과정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살아있는 자들에 대한 애도가능성을 탐색하는 글이다. 10.29 이태원 참사는 참사 당시 현장에 있었던 이들을 비롯해 자신이 ‘살아남았다’고 느끼는 다수의 생존자들을 남긴 사건이었다. 생존자들은 이태원이라는 거주의 시공간에서 자신의 또래들에게 발생한 참사로부터 희생자가 ‘나였을 수 있다’는 생존감을 보고했다. 프로이트(Freud)에 따르면 애도는 시간을 매개로 수행되는 작업(work)의 성격을 띠지만, 일주일의 국가애도기간과 영정없는 합동분향을 거쳐 ‘마무리 된’ 이태원 참사에 대한 공적애도는 애도의 작업이 요하는 지난한 시간을 고려하지 못했다. 본 연구는 질적연구의 방법을 채택하여, 생존자 개개인이 공인된 애도의 시간 이후를 어떻게 살아냈으며, 이태원 참사가 이들의 참사 이후의 세계를 어떻게 변화시켰는지 심층면담을 통해 생존자의 이야기를 들었다. 이태원 참사를 통해 생존자 감각을 공유했던 사람들은 참사 이후 희생자들이 “놀다가 죽었”기 때문에 ‘그 어떤 인정도 없이’ 애도의 자격을 박탈당하는 것을 목격하며 자신이 속한 이 세계에서 ‘놀이’와 ‘노는 사람’이 가치 없는 것으로 평가되는 것을 넘어 혐오의 대상이 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이 글은 애도가능성이 망자 뿐 아니라 살아있는 생명체에게도 적용될 수 있다고 본 버틀러(2023)의 논의를 빌려, 이태원 참사의 생존자들이 참사 이후의 세계에서 경험한 애도불가능성을 탐구한다. 이 글은 생존자의 관점에서 이태원 참사를 돌아보면서, 우리 사회가 어떤 행위와 어떤 삶을 가치있게 평가하고 있으며 그로부터 어떠한 공동의 이상과 목표를 세우고 있는가에 대한 점검이 필요함을 주장한다. This paper explores “grievability” for the living from the perspective of “survivors” by looking at the crowd crush that occurred in Itaewon, Seoul, South Korea on October 29, 2022. Specifically, the paper examines how they make sense of the Itaewon tragedy through interviews with those who consider themselves survivors. The interviewees, who are mostly in their twenties, say that they could have been one of the victims with deep grief. However, they expressed concern that the loss of the victims lives has not been properly mourned. In addition, they said that young peoples play in Itaewon, which is seen as a deviant and carnivalesque place, is far less valued than their work in healthy workplaces. This, they argued, led them to be treated as unworthy of protection, noting that the government, or what they perceived as the social system, did not come to their rescue. Using Butlers notion of “grievability,” this paper examines how survivors express their sense of “ungrievability” in relation to the Itaewon tragedy. In doing so, the paper discusses the meaning of the value of life in relation to the question of what was lost in the Itaewon tragedy.

      • KCI등재

        역량중심 체육과 교육과정 적용을 위한 표현 영역의 내용체계 및 역량 요소 분석

        홍애령(Hong, Aeryung),조미혜(Cho, Mihy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역량중심 체육과 교육과정의 적용을 위해 표현 영역에서 가르쳐야 할 역량의 내용과 요소들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최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적용으로 교과별 역량 함양이 중요한 교육목적으로 강조되고 있지만, 실제 수업 내용과 역량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이나 방안은 다루어지지 않아 현장교사들이 교육과정 해석과 적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중등학교에서 체육교과 표현 영역 및 무용을 지도하고 있는 현장 전문가와의 FGI 및 심층면담을 실시 하여 현행 교육과정의 표현 영역 내용체계를 점검하고, 표현 영역 역량의 요소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표현 영역 역량의 요소는 5가지 상위 요소와 각각의 3가지 하위요소, 총 15가지 요소로 구분되었다. 표현 영역의 5가지 역량은 수행역량, 창작역량, 감상역량, 인지역량, 인성역량이다. 전통적인 무용교육의 대표적인 세 가지 활동(수행, 창작, 감상)과 그 과정에 관여되는 인지, 인성을 포함하고 있다. 첫째, ‘수행역량’은 표현 영역의 활동들을 효과적이고 능동적으로 할 수 있는 능력이다. 둘째, ‘창작 역량’은 표현 영역의 활동들을 창의적이고 예술적으로 만드는 능력이다. 셋째, ‘감상역량’은 표현 영역의 활동들에 관한 결과물을 관찰하고 공감하는 능력이다. 넷째, ‘인지역량’은 표현 영역의 활동들에 관한 역사적, 문화적, 예술적 지식을 습득하고 이해하는 능력이다. 다섯째, ‘인성역량’은 표현 영역의 활동과정에 요구되는 태도와 심성이다. 표현 본 연구의 결과로 나타난 표현 영역 역량 요소에 대한 구체화와 교육내용을 위한 제안을 통해 학교무용교육으로서 표현 영역 지도의 내실화와 체계화를 구축하고,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한 효과적인 교육내용으로서 표현 영역의 의미를 되새기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raw system of contents and elements to be educated in the expression area in school, bracing for the application of competency-center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The study held meetings with field experts of physical education teaching expression activity and dance at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as well as the FGI (Focus Group Interview). And then it suggested competency and elements in the expression area. As a result, the study largely divided the elements of competency in the expression area into five main factors and each three sub-factors so totally 15 sub-factors. Meanwhile, the five main factors included performance, creation, appreciation - three typical activities in dance education - cognition and personality involved therein. The study defined as follows. Firstly, performance competency is the ability to perform activities in the expression area in an effective and active manner. Secondly, creation competency is the ability to produce activities in the expression area in a creative and artistic way. Thirdly, cognitive competency is the ability to acquire and understand historical, cultural and artistic knowledge related with activities in the expression area. Fourthly, appreciation competency is the attitude and mentality required in the activities in the expression area. This study suggested the structures and elements of capabilities in the expression area as a result of drawing opinions from the field experts. In doing so, the study believes it could contribute to building substantial and systematic framework for education in the expression area during school dance education and re-illuminating the significance of the expression area as one of effective educational courses to cultivate creative and talented students.

      • KCI등재
      • 인천광역시 도서벽지 연평도 거주 학생들의 신체적 자기개념 수준 분석

        염돈일(Yeom DonIl),김영욱(Kim YoungWook),조미혜(Cho MiHye) 인하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2007 스포츠과학논문집 Vol.19 No.-

        본 연구의 목적은 인천광역시의 도서벽지에 거주하고 있는 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을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자는 연평도에 거주하고 있는 초, 중, 고등학생 총 11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신체적 자기개념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는 한국판 신체적 자기개념 척도(김병준, 2001)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성별, 연령대에 따른 차이는 독립표본 t-test를 운동관심도, 참여빈도, 참여시간에 따른 차이는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은 Scheffe’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성별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은 차이가 없었다. 둘째, 연령대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스포츠유능감, 유연성, 근력)은 마동과 청소년간의 차이가 있고 아동의 신체적 자기개념 수준이 높았다. 셋째, 학교급별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신체활동, 유연성)은 차이가 있고, 초등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 수준이 가장 높았다. 넷째, 신체활동 관심도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스포츠유능감, 신체활동, 유연성, 지구력, 근력, 신체전반)은 차이가 있고 신체활동을 좋아할수록 신체적 자기개념의 수준이 높았다. 다섯째, 신체활동 주당 참여 빈도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스포츠유능감, 외모, 신체활동, 유연성, 지구력, 유연성, 신체전반)은 차이가 있고 참여빈도가 높을수록 신체적 자기개념 수준이 높았다. 여섯째, 참여시간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스포츠유능감, 외모, 신체활동, 유연성, 지구력, 근력, 신체전반)은 차이가 있고 2시간 운동 참여자의 신체적 자기개념 수준이 가장 높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physical self-concept of students who dwelt in island nearby Incheon. For the purpsoe, 112 stundents who lived in YeonPyung Island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 used the questionnaire(PSDQ) which was developed for the Korean Version of the Physical Self-Description(Kim byungjun, 2001). For the statistics, we used t-test for the analysis on sex, ages and also we used twoway ANOVA on the concerning of exercise, frequency and time for exercise. The results were followed as: 1. among sex, there was no difference On the Physical Self-Description. 2. On the physical self-description by ages, children of school age were higher than adolescence in muscular strength, flexibility and physical competence. 3.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hysical activity and flexibility of the Physical self-description by school age, expecially children of school age showed higher physical self-description. 4.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hysical competence, physical activity, flexibility, endurance, muscular strength and body image of the Physical self-description by concerning of physical activity, expecially more favority of physical activity showed the higher physical self-description. 5. On the physical competence, appearance, physical activity, flexibility, endurance and body image of physical self description by frequency of physical activit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ddition, the more frequency for physical activity was, the higher physical self prescription was. 6. On the physical competence, appearance, physical activity, flexibility, endurance and body image of physical self description by frequency of physical activit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especially students who attent for 2 hours showed the highest physical self prescrip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