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교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완벽주의와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낙관성의 매개효과

        조무정,김도희,최선일 韓國英才學會 2017 영재교육연구 Vol.2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perfectionism, optimism, and happiness of middle school gifted students and students in terms of the mediating effect of optimism and structural difference between perfectionism and happin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0 middle school gifted students(139 male and 67 female students) and 220 general students(98 male and 122 female students) in Seoul, Gyeong-gi and Chung-cheong provinces. In order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s of optimism 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we conducted t-test to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 three-step regression analysis proposed by Baron and Kenny (1986) and Sobel 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iddle school gifted students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general students group in adaptive perfectionism, maladaptive perfectionism, optimism and happiness. Second, optimis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m and happiness was found to be a partial mediator both middle school gifted students group and general students group. As a result of the study, education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including the necessity of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 and establishment of policy for promoting optimism for desirable emotional development. 본 연구는 중학교 영재학생과 중학교 일반학생 집단의 완벽주의, 낙관성, 행복감의 차이와 완벽주의와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낙관성의 매개효과 및 집단별 변인간의 구조적 관계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충청 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교육청 영재교육원의 중학교 영재학생 206명(남학생139명, 여학생 67명)과 동일 지역의 일반학생 220명(남학생 98명, 여학생 122명)이다. 집단별로 변인 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완벽주의와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낙관성의 매개효과 및 변인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3단계 회귀분석 및 Sobel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적응적 완벽주의, 부적응적 완벽주의, 낙관성, 행복감 모두 중학교 영재학생 집단이 중학교 일반학생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완벽주의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낙관성은 중학교 영재학생 집단과 중학교 일반학생 집단에서 모두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영재학생들이 바람직한 정서발달을 위하여 낙관성 증진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정책적 수립의 필요성을 포함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텔레프레즌스 기반 홀로그램 공유교육 모델’의 대학교양수업 적용 사례 연구

        조무정 중앙대학교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23 교양학연구 Vol.- No.22

        This study explores and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variables such as teaching presence, learning presence (cognitive presence, emotional presence, social presence), telepresence, and learning effect (satisfaction, willingness to continue learning) of learners in college liberal arts classes for the first tim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average of the learners who took the lecture with the ‘telepresence-based hologram sharing education model’ was the lowest in terms of teaching presence, learning presence (cognitive presence, emotional presence, social presence), telepresence awareness intensity, and learning effect (satisfaction, learning persistence) and all seven variables were correlated. In particular, the teaching presence and cognitive presence showed the strongest correla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ender of the learners who took the lecture with the ‘telepresence-based hologram sharing education model’. In addition, the average score of the first and third grader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fourth graders in the intensity of teaching presence and telepresence awarenes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type of shared education (II) between universities had a higher social sense of presence than the type of shared education (Type I) between campuses. Fourth, the group with high telepresence awareness showed high average scores in both teaching presence, learning presence (cognitive presence, emotional presence, social presence), and learning effect (satisfaction, willingness to continue learning). This study focuses on the first analysis of the status of teaching presence, learning presence (cognitive presence, emotional presence, social presence), and learning effect (satisfaction, willingness to continue learning) of HY-LIVE classes, which applied the ‘telepresencebased hologram sharing education model’ for the first time in college liberal arts classes.

      • KCI등재

        대학생의 핵심역량 증진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 분석

        조무정,최선일 한국교양교육학회 2019 교양교육연구 Vol.13 No.4

        This study analyzed the Positive and negative determinants that affect the enhancement of the core competencies of A university students in the metropolitan area. To this end, 7,914 case A university students were surveyed using A university's core competency assessment tools, which consist of three competencies: Communication, Creativity and Convergence. The following are the determinants that influence the enhancement of university students' core competencies. First, boys over girls had a positive impact on their creative abilities and a negative impact on their communication competency. Second, the third grade had a positive impact on communication competency compared to the first grade, and the fourth grade had a negative effect on creative and convergence competency. Third, it has been shown that all colleges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ir communication competency compared to music colleges, and on their creative capacity, except for the department of arts, sports, and industry and convergence, and division of international studies. On the other hand, engineering and natural sciences colleges had a negative impact on convergence competency. Fourth, it was found that special admissions had a positive impact on communication skills and new admissions had a positive impact on creative competency, but both types had a negative effect on convergence competency. Fifth, early admissions had a positive effect on convergence competency, and transfer studies had a negative effect on convergence competency. Sixth, English-only lectures had a positive impact on communication competency. Seventh, GPA had a positive impact on both communication, creativity and convergence competency. Finally, the language and expressive domain, e-learning and basic science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ommunication competency, and the classical reading domain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communication competency and creativity competency. As a result of the study, this study is meant to be a basic study of core competency-based curriculum, which can be referred to several universities that want to introduce core competences into their curriculum and is the basis for the subsequent study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본 연구는 수도권 소재 A대학교 대학생들의 핵심역량 증진에 영향을 미치는 정적인 결정요인과 부적인 결정요인이 무엇인지를 탐색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소통 역량, 창의 역량, 융합 역량의 3개 영역으로 구성된 A대학교의 핵심역량 검사 도구를 활용하여 A대학교 재학생 7,914명을 대상으로 조사되었다. A대학교 대학생들의 핵심역량 증진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으로는 첫째, 성별에서는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창의 역량에서는 정적인 영향을, 소통 역량에서는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학년에서는 1학년에 비해 3학년이 소통 역량에 정적인 영향을, 4학년이 창의 역량과 융합 역량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계열별에서 모든 단과대학이 음악대학에 비해 소통 역량에, 그리고 예술·체육대학과 산업융합학부를 제외한 모든 단과대학이 창의 역량에, 정책과학대학, 경제금융대학, 사범대학, 국제학부만이 융합 역량에 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공과대학과 자연과학대학이 융합 역량에 부적인 영향을 보였다. 넷째, 입학유형에서 특례입학이 소통 역량에, 신입학이 창의 역량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두 유형 모두 융합 역량에는 부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입학전형으로는 수시입학이 융합 역량에 정적인 영향을, 편입학은 융합 역량에 부적인 영향을 주었다. 여섯째, 영어전용강의는 소통 역량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일곱째, GPA는 소통 역량, 창의 역량, 융합 역량 모두에 정적인 영향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교양영역을 살펴보면, 언어와 표현영역, e-러닝 및 기초 과학이 소통 역량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또한 고전읽기영역도 소통 역량과 창의 역량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핵심역량 기반 교육과정에 대한 기초연구로서 핵심역량을 교육과정에 도입하려는 여러 대학교에 참고할 수 있으며 역량 기반 교육과정 후속 연구의 기초자료가 된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교양필수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요구도 및 인식 연구

        조무정,박선영 한국교양교육학회 2023 교양교육연구 Vol.1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reorganization of S University's liberal arts core curriculum by analyzing the educational needs assessment and perceptions of members inside and outside S University to foster “H+ future talents” with future capabilities to lead a diversifying society. To this end, a total of 234 internal and external members (teachers, students, graduates, and industries) of S University were surveyed on the educational needs assessment and perceptions of S University's liberal arts core curriculum. After combining the collected data with t-verification, Borich education needs, the Locus for Focus model, and frequency analysis, the current liberal arts core curriculum was reorganized in the order of 「Computing Thinking and Coding」, 「Critical Reading and Writing」, 「EnglishⅠ(Listening & Speaking)」, and 「English II (Reading & Writing)」. In addition, through a survey on the perception of the liberal arts core curriculum, the need for class options for Christian liberal arts subjects and classes by English level were confirm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used as useful basic data for the reorganization of the liberal arts core curriculum of S University and can be a basis for the return of the direct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and the development of liberal arts subject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다변화하는 사회를 이끌어갈 수 있는 미래핵심역량을 갖춘 ‘H+미래인재’ 양성을 위해 교내⋅외 구성원의 교육요구도 및 인식을 분석하여 S대학교의 교양필수 교육과정 개편 방향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S대학의 교내⋅외 구성원(교원, 재학생, 졸업생, 산업체) 총 234명을 대상으로 교양필수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요구도 및 인식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한 데이터를 t-검증, Borich 교육요구도 분석, The Locus for Focus 모델 분석, 빈도분석을 적용해서 연구한 결과, 현행교양필수 교육과정의 개편 우선순위는 「컴퓨팅적 사고와 코딩」, 「비판적 읽기와 글쓰기」, 「영어Ⅰ (Listening & Speaking)」, 「영어Ⅱ(Reading & Writing)」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양필수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조사를 통해서는 기독교 교양 교과목에 대한 수업선택권 및 영어 수준별 수업에 대한 필요성을확 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S대학교의 교양교육과정 개편을 위한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향후 교양교육의 방향 정립 및 교양 과목 개발의 환류 근거 자료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H+미래인재 양성형 교양선택 교육과정 개편 연구

        조무정,의행 동의대학교 디그니타스교양교육연구소 2023 교양교육실천연구 Vol.7 No.2

        This study applied the ADDIE model to reorganize the elective liberal arts curriculum to foster H+ future talents required for the 'human community' of the liberal arts education center of S University. In the analysis stage, two models of liberal arts elective curriculum were derived based on environmental analysis, benchmarking of other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demand analysis. In the design stage, we established the H+ liberal arts curriculum system, defined and organized goals, and devised teaching and learning media. Finally, in the development stage, we developed a list of liberal arts elective courses by STU ore competencies and a profile of H+ future talent training type courses based on STU core competencies. As a result, the ‘Three Key Liberal Arts Areas' were newly established, and the H+ Liberal Arts Specialized Education System reflecting the human community and identity of S University was established. In addition, the ‘5 Balanced Liberal Arts Areas' based on the distribution system allowed students to take at least one course in each area to promote balanced competencies. In particular, to foster H+ future talents, we developed a profile for the course ‘Rule of Law and Republican Spirit' in the core liberal arts ‘H+ Classical Reading and Discussion' area. If this course profile is meaningfully utilized as a teaching-learning resource and teaching strategy, it can be expected to enhance the core competencies of students.

      • KCI등재

        초등학교 과학 영재학생의 집단 창의성 발현과정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조무정(Cho Moo Jeoung),진석언(Jin Sukun)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6 창의력교육연구 Vol.16 No.2

        This study is a phenomenological study that attempted to identify the essential components of group creativity that can be observed while gifted students are participating in group activities that required them to utilize their creativity on the group level. The participants are 12 sixth graders in a special class for gifted students. Twelve gifted students, composed of three subgroups with four students each subgroup, experienced group creativity in a gifted education program for 4 months, from April to July 2014, specifically, for a total of 1,400 minutes in seven session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pen observations and personal and/or group interview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Colaizzi(1978)’s method of phenomenology and Nvivo 10, which is specially designed for data analysis in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irteen essential components of group creativity experiences in the complex and simultaneous dynamics. This study found were the followings: (1) sharing knowledge, ideas, and experiences, (2) effectiveness of the ideas useful for problem solving, (3) questioning that leads the processes of problem solving, (4) communication based on attentive listening, (5) effective or ineffective decision making, (6) leadership by members contributing to group tasks, (7) complementary cooperation, (8) role allotment based on individual strength, (9) conflicts existing throughout collective task, (10) interpersonal behaviors enhancing group dynamics, (11) positive personal characteristics, (12) limited time resource, which is typical of classroom learning, and (13) strictly, and intentionally, limited intervention by the teacher.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were further discussed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과학영재 학생들이 집단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집단 창의성 발현과정의 경험을 통해 집단 창의성의 본질적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된 현상학적 연구이다. 연구 참여자는 1년부터 3년까지 영재교육 수강 경력이 있는 총 12명의 6학년 과학 영재학생들이며, 자료 수집을 위한 현장 참관은 총 7회기 28차시에 걸친 1,400분의 수업을 개방적 관찰, 개인 면담 그리고 집단 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Colaizzi(1978)가 제시한 분석 방법에 따라 Nvivo 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13개 주제묶음 즉, ‘집단 속에서 공유되는 지식, 정 보 그리고 경험, 문제해결에 유의미한 아이디어의 위력, 문제를 해결하는 핵심 질문, 경청이 기본이 되는 의사소통,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선택하는 의사결정, 영향력 있는 구성원이 집단을 이끎, 도와주고 도움 받는 상호 보완적 협력, 개인의 재능이 반영된 역할 분담, 집단과 공존하는 갈등, 집단을 변화시키는 관계적 행동, 집단을 유지시키는 긍정적 개인 특성, 유대관계 를 변화시키는 촉박한 시간, 초점에 맞춰 최소 개입하는 교사’로 범주화하였다. 집단 창의성발현과정의 경험에 대한 집단 창의성의 본질적 구조는 13개의 주제묶음들이 서로 관계성을 띄며, 복합적이고 동시다발적인 역동적 관계로 존재한다는 것을 밝혔다. 본 연구는 영재교육의 방법론 개선 차원에서 매우 실제적 가치가 있고, 영재학생들에게 집단 창의성을 촉진시켜 줄 수 있는 방법을 구안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대학생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장·단기 교양교육 성과분석

        최선일,조무정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re competency change of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completed liberal arts curriculum.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using HY-CCA, a total of 1,040 students, including 826 students who took liberal arts curriculum for one semester and 214 students who took classes for two semesters at H university. And SPSS 23.0 was used to perform a corresponding sample t-test and Wilcoxon sign rank 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mmunication, creative, convergence competency and total core competence of the undergraduate students who completed liberal arts curriculum for one semester and two semesters all developed.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in communication, creativity, convergence competence, total core competence, and sub-factors when students were classified by college. Third, there was a difference in competency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Fourth, the students with academic achievement level also showed differences in competency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This suggests that liberal education curriculum should be implemented based on the detailed definition of those who want to improve their core competencies in order to develop core competencies of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of the liberal arts curriculum for the improvement of core competencies of university students were discussed,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본 연구의 목적은 교양교육과정을 이수한 대학생들의 핵심역량 변화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H대학교에서 교양교육과정을 한 학기 수강한 826명, 두 학기 수강한 214명 등 총 1,040명을 대상으로 한양핵심역량진단도구(HY-CCA)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23.0을 이용하여 대응표본 t검증 및 Wilcoxon 부호 순위 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양교육과정을 한 학기 및 두 학기 이수한 대학생들의 소통・창의・융합역량 및 핵심역량 전체는 모두 발달하였다. 둘째, 단과대학별 학생들은 소통・창의・융합・핵심역량 및 그 하위 요인들의 변화에 차이가 있었다. 셋째, 입학 유형별 학생들은 교양교육 수강 기간에 따라 역량 발달의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학업성취수준(학점)별 학생들 또한 교양교육 수강 기간에 따라 역량 발달의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대학생들의 핵심역량 발달을 위해서는 교양교육 대상의 세밀한 정의를 바탕으로 교양교육과정이 시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대학생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고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 연구 내용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도자교육을 통한 대학생 인지발달의 모델

        모인순,김장용,우관호,황갑순,조무정,현주,최병건 한국도자학회 2009 한국도자학연구 Vol.6 No.1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to measurement models of cognitive development of university students in ceramic education at Korean universities. In the realm of ceramic education, cognition is hard to represent langage, and actually it is difficult to prove knowledge expansion and qualitative effect. The advent of the knowledge-based society in 21st century, however, has told us that unwritten realms are more creative. Therefore interest in cognition of non-literary realms rather than the literary realms of intelligence has increased. Accumulation of experience in general and cognitive experience in particular is the most important trait of ceramic education. Such emphasis is a strength element of ceramic education that differentiates it from other disciplines. It cannot be negated that the acme of individuality in ceramic education consists of the attainment of monistic state in the realm of individual achievement, which is arguably more important than acquisition of skills or techniques. So cognitive development and ceramic edu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closely related realms that supplement each other. First of all, we should be prepare contents of ceramic based in cognitive development of university students for the necessity and knowledge expansion of ceramic education. Co-researchers in this paper research steps of cognitive development within their professional practical contents and they try to systematization. I hope this research will be the base of the value and knowledge expansion in the future of ceramic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대학 도자교육에서 대학생 인지발달 단계를 측정하기 위한 모델을 제시하는 것이다. 도자교육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인지는 언어로 표현하기 힘든 내용들이고, 이러한 이유로 지식의 확장이나 도자교육의 질적 향상을 입증하기가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21세기의 지식기반사회의 도래로 인하여 문자화되지 않은 영역들이 더욱 창의적이라는 사실이 드러남에 따라, 문자적인 입장에서의 인지가 아닌 비문자적인 영역의 인지에 대한 관심들이 늘어나고 있다. 도자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경험과 인지의 축적은 타 전공과는 차별화된 도자교육만의 장점이며, 도자교육이 지향하는 개인적인 목표는 기술 혹은 기능만을 숙달하는 것이 아닌, 자아 성취의 개념에서 일원론적인 상태에 도달하는 것임은 부인할 수 없다. 이렇듯이 도자교육은 본질적으로 인지발달과 밀접하게 연결된 상호보완적인 관점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대학생 인지발달을 기초로 한 교육내용을 마련하는 것은 도자교육의 당위성과 지식확장을 위하여 무엇보다도 중요한 일이다. 본 논문의 공동연구자들은 전공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실질적인 내용들을 포함하는 인지발달의 단계들을 연구하여 체계화시키고자 노력하였다. 이 연구가 미래의 도자교육의 가치와 지식의 확장을 위한 근거로 사용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후보

        한국의 대학 도자 교육과정의 현황

        모인순,김장용,우관호,조무정,현주,최병건,황갑순 한국도자학회 2008 한국도자학연구 Vol.5 No.1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diagnose the curriculum of ceramic education at Korean universities through the phenomenon of conditions and culture in ceramic realm. To approach such issues it is need to incorporate practical issues on field. For this reason, this research adopted a research method devised in the tradition of Grounded Theory. In other words, this study focused on inputs from colleagues who are familiar with the university scene and who can extract practical questions and answers that can predict future-oriented curriculum model for ceramic education at Korea’s universities and to devise substantive plans. There are analysis of ceramic education at Korean universities. First, identity of ceramic education at Korean universities is not clear, but traditional ceramic culture is most important factor in ceramic education. Second, the most urgent problem is uniformed education with subject-focused curriculum. Third, result of ceramic education depend on professor's effort and sacrifice. These phenomenons of ceramic education at Korean universities is not evaluste quality of education.We need to reconceptualize curriculum and prepare differntiated educational contents. So next research will be solve the these problems and propose the curriculum of ceramic education at Korean universities based on more qualitative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대학 도자교육 현황과 도자문화 현상들을 통하여 도자 교육과정을 진단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들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현장에서의 실천 문제를 포함하여야 하기 때문에 Grounded Theory 연구방법론을 도입하였다. 즉 대학 현장을 알고 있고 또한 실천 문제를 추출할 수 있는 동료 교수들을 중심으로 하여 미래 지향적인 한국의 대학 도자 교육과정 모델을 예측하여 실질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기초적인 탐색이다. 한국의 대학 도자교육에 대한 분석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대학 도자교육의 정체성은 뚜렷하지 않지만, 도자 문화의 전통은 한국의 장점으로서 도자교육의 정체성과 연결될 수 있다. 둘째, 한국의 대학 도자교육에서 우선적인 문제점은 교과-중심의 교육과정에서 나오는 획일화된 교육이다. 셋째, 현재 진행되는 도자교육은 교수 개인의 노력과 헌신에 크게 좌우된다. 현재의 이런 현상들은 도자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고 미래 지향적인 도자교육을 정립하는데 무리가 있다. 그러므로 통합적인 안목으로 한국 도자교육의 질적 향상과 한국의 특수한 상황을 고려한 교육과정의 재개념화와 차별화된 교육내용을 마련하기 위한 노력들이 시급하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고 한국의 대학 도자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을 모색하는 연구가 다음의 과제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