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등수업에서 교사의 스마트기기 활용과 영향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 UTAUT를 중심으로

        정현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교육 분야에서도 새로운 매체를 활용하려는 노력이 계속되었으며, 스마트폰과 스마트패드 등의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교육이 주목되고 있다. 교육에 있어서 스마트기기를 활용하는 것은 별도로 기기를 보급해야 할 필요성이 적고, 소프트웨어 가격이 비교적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쉬운 조작으로 상호작용이 가능하며, 언제어디서나 학습할 수 있다. 특히 면대면 학습에서 활용할 때에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아 교실 수업에서 활용하기에 적합하다. 이러한 장점을 바탕으로 스마트기기를 교육에서 활용해야 할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실제로 우리나라 다수의 초·중등 학생들은 이미 가정에서 학습을 목적으로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학습을 경험하고 있으며, 이러한 흐름에 따라 공교육에서도 스마트기기를 활용하려는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졌다. 교육과학기술부는 2011년 6월 스마트교육 추진전략을 발표하였으며, 2018년부터 확대 도입할 계획을 밝혔다. 그러나 현재 학교현장에서 교사가 스마트기기를 수업에 활용하는 비율은 매우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어떠한 교사들의 태도와 인식이 이와 같은 결과를 낳았는지에 관한 논의가 필요하며, 수업에서 교사의 스마트기기 활용을 촉진하기 위해 활용 영향요인과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UTAUT(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를 바탕으로 수업에서 교사의 스마트기기 활용의도와 활용행동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려 한다. UTAUT는 70% 이상의 높은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에, 최근 새로운 정보기술의 사용자 수용을 연구하는 많은 연구자들이 UTAUT를 적용한 연구를 발표하고 있다. 교육적 맥락에서도 이를 적용한 연구가 논의되어 왔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는 대학생 및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교사를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는 부족하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UTAUT를 근거로 중등학교 교사 대상 수업에서의 스마트기기 활용의도와 실제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 각 변인들 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또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스마트기기 활용의도 및 활용행동을 촉진하기 위해 어떠한 전략이 필요한지에 대해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상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영향, 촉진조건, 활용의도, 활용행동 간에는 구조적 관계가 성립하는가? 연구문제 2.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영향, 촉진조건, 활용의도, 활용행동 간에는 직·간접효과가 존재하는가?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경기지역 중·고등학교 교사 304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분석 방법으로는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이를 위해 SPSS를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신뢰도와 타당성 분석을 실시하였고, AMOS를 이용하여 측정모형과 구조모형 검증을 통해 변인 간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연구 결과와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고안된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영향, 촉진조건, 활용의도, 활용행동의 구조모형은 보통수준의 적합도를 보여 수용할 수 있는 수준에서 구조적 관계가 성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변인들 간의 직접효과는 다음과 같다.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영향은 활용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촉진조건과 활용의도는 활용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영향은 활용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성과기대를 높이기 위해 수업에 도움이 되고, 이를 성공적으로 이끌 수 있는 사례 등을 제시할 필요가 있으며, 노력기대를 높이기 위해 이를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체적인 매뉴얼을 제시해야한다. 또한 사회적영향을 증진시키기 위해 교사들끼리 활용사례와 콘텐츠 등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며, 고충과 피드백을 나눌 수 있는 커뮤니티를 개설하여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촉진조건을 높이기 위해 지속적이고, 적용 가능한 교육과 지원이 있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결론을 바탕으로 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편의표집방법을 사용하여 서울·경기지역 304명의 중·고등학교 교사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모형에 대한 보다 많은 실증적 연구들을 통해 일반화를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많은 수의 데이터 확보를 통해 연구모형의 적합도를 재확인 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의 맥락에 맞도록 향후 교사의 스마트기기 활용의도와 활용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추가하여 이들의 영향관계를 다각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셋째, 후속연구에서는 기존 UTAUT 모델에서의 조절변수인 성별, 연령, 경험 뿐 아니라 교사의 담당교과목 등에 따라 결과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추가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efforts to utilize new media has lasted in the education field. and Learning with smart devices(smartphone, smartpad) has been noted. When learning with smart devices, price of the software is relatively inexpensive. and people can communicate with other by only easy operations, anytime anywhere. and also it is suitable for the classroom especially on the face-to-face learning. Because smart device does not take up a lot of spaces. Based on these advantages, there is a growing need to use smart devices for learning. Actually many students which are attending a secondary school in South Korea are already using smart devices for learning at home. Following this current movement, an active discussion about the using smart devices is in progress. Korean MESC(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keep up with the trend, with announcing “Smart Education Strategy action plan" in June 2011. However, the rate of using smart devices for class at school was very low. It is necessary therefore to discuss what attitudes and perceptions of teacher produce these results. and also it is necessary to study factors' relationship systematically to promote using smart devices for teachers at schoo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 devices' behavioral intention, use behavior and influencing factors. UTAUT has known to explain more then 70% the variance of behavioral intention. so many researchers studying the new information technology acceptance have published a number of studies using UTAUT model. In the educational context, an active discussion about smart devices' acceptance is in progress. However not many research for teachers were done until now. With this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choices of teachers on smart devices on the basis of UTAUT. The research question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social influence, facilitating conditions, behavioral intention, and use behavior? 2. Is there direct/indirect effect among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social influence, facilitating conditions, behavioral intention, and use behavior? In order to meet the purpose of this study, data was collected from 304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do, South Korea. For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conducted in order to confirm the normality of the data by using SPSS. After that,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as performed to test proposed model and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by using AMO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sults fro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social influence, facilitating conditions, behavioral intention, and use behavior with acceptable model fits. Second, the direct effects between the variables are as in the following.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social influence had a direct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Also, facilitating conditions and behavioral intention had a direct effect on use behavior. Lastly, behavioral intention ha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between performance expectancy and use behavior, effort expectancy, and use behavior, also between social influence and use behavior.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performance expectancy,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frequent and effective execution of teacher training or sharing well-designed cases of teaching demonstration. Moreover, given that social influence is a variable that depends on others, the positive belief of peers or the circles of teachers, surrounding circumstances toward using mobile devices in class is a key factor of increasing behavioral intention. And also, in order to improve facilitating conditions it is necessary to provide continuous and applicable supports to teacher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further research is suggested as follows: First, as the target of this study is 304 teachers in Seoul and Gyunggi-do, South Korea which implies it does not represent the whole group of teachers more empirical studies are needed to generalize these findings. Also, reconfirming adequacy of the research model needs to be followed through attaining more data. Secondly, in further studies, it is advisable to add factors affecting 'teachers' acceptance to fit the research context. Lastly, It is necessary to add the moderate variables such as gender, age, experience and subjects. and It is worth to study differences in the results according to the moderate variables.

      • 초등학교 고학년 안전보건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검증

        정현민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afety health education program geared toward elementary school upper graders by integrating safety education and health education in an effort to ensure the safe and sound lif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the upper grades. What problems ongoing safety education was confronted with was analyzed, and the needs of learners for this education and their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it's found that safety education and health education were just conducted in different classes a little by little. In other words, the two sorts of education were unsystematic, fragmentary, theory-centered and formal. In this study, safety education and health education were integrated based on a theory of lifelong education that focused on learner-centered education, learner needs, experience and practice, and then a systematic safety health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by taking into account the needs of learners for safety education and their characteristics. To be specific,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look into the areas and object of safety health educ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s of related domestic programs were analyzed to acquire detailed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a safety health education program. After a model for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was set up, five major units were selected after going through five stages of program planning, design, acting, evaluation and feedback: school safety, traffic safety, daily-life safety, and first-aid. And then 20 things were selected as what to teach, and a lesson plan of 12 sessions was mapped out by arranging what to teach.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14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were in five different sixth-grade classes. Each class received education for five days, in four sessions each, according to the program.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learners showed improvement in safety consciousness, safety knowledge, self-efficacy and safety behavior after they received education according to the safety health education program, and they expressed a lot of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as well. It indicated that the safety health education program had an effect on the students. Lack of safety health education and poor safety consciousness are apt to trigger the occurrence of safety accidents. Under the circumstances, this study is of significance in that it attempted to shed light on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safety health education in school education by looking into the problems of ongoing safety health education that was conducted merely for form's sake without considering learner characteristics and the given situations. Finally,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an opportunity for everybody in our country to receive safety health education as part of lifelong education without being restricted by time and space, and sustained research efforts should be directed into this education in the future.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안전하고 건강한 생활영위를 위해 안전교육과 보건교육이 통합된 초등학교 고학년 안전보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안전교육의 현실적 문제점과 요구도, 학습자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안전과 보건교육의 내용이 여러 과목에 파편적이고 산발적으로 분산되어져 있어 체계적이지 않고 관례적이며, 이론중심의 수동적인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 중심과 요구 기초, 경험과 실천적 문제에 관점을 둔 평생교육 이론을 바탕으로 안전교육과 보건교육을 통합하고, 안전교육에 대한 요구도와 학습자 특성을 고려하여 실제적이고 체계적인 안전보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구체적인 진행 절차를 살펴보면, 먼저 문헌고찰을 통하여 안전보건교육의 영역을 구축하고, 목적을 정립하였다. 다음으로 이미 개발되어 있는 국내외 관련 프로그램들의 특징과 제한점의 분석을 통해 안전보건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추출하였다. 그런 다음에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개발모형을 설정하고, 그에 따른 세부 단계로 프로그램의 기획, 설계, 실행, 평가 및 피드백 절차를 통해 학교안전, 교통안전, 가정안전, 생활안전, 응급처치의 5개영역의 대단원을 설정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20개의 안전보건교육 내용을 12차시의 교수학습지도안 형식으로 조직화하여 초등학교 6학년 5개 학급 114명을 대상으로 한 학급당 4차시씩 5일 동안 분산 교육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얻었다. 학습자들은 안전보건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전보다 적용한 후에 안전의식과 안전지식, 자기효능감, 그리고 안전실천 행동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안전보건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만족도도 높게 나타났다. 이런 결과를 볼 때, 학생들에게 안전보건교육 프로그램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입증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할 때, 본 연구는 안전보건교육과 안전의식의 부재가 안전사고를 증대시키고, 학습자의 특성과 현실적인 문제점을 고려하지 않은 채 의무적이며 형식적으로 실시되어 안전교육의 문제점을 환기시킴으로써 학교교육 현장에 안전보건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재조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계기로 우리나라 모든 국민이 언제 어디서나 안전보건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평생교육 차원에서 안전교육이 범국민적인 활동으로 이루어지기를 바라며, 안전보건교육에 대한 후속연구가 계속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개별공시지가 민원에 대한 실증적 분석 : 전라남도 나주시 지역을 중심으로

        정현민 목포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모든 제도는 그 도입목적 및 기능에 충실할 수 있을 때 비로소 신뢰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1989년부터 시작하여 14년 동안 운영된 공시지가제도는 최근에 와서 당초 도입목적 및 기능에 충분한 역할을 하지 못한다는 비판이 일부에서 제기되고 있다. 이는 대한 원인으로는 첫째, 공시지가가 실거래 가격과는 차이가 많아 공적지가에 대한 신뢰성이 떨어진다는 것이고, 둘째, 활용 측면에서 투자비용에 비해 미미하다는 것이며, 셋째, 인접 토지 개별필지 상호간 지가 불균형으로, 과세 등에서 토지소유자간 형평성에 문제가 있다는 것 등을 주장하고 있다. 현재 공시지가제도는 국민의 여론수렴과 알권리 등을 충족시키기 위해 결정·공시하기 전 열람과 의견 제출을 할 수 있으며, 결정·공시한 후 기간을 정하여 이의신청토록 하여 행정심판법 규정에 따라 특별한 행정심판절차를 쉽게 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토지소유자의 이해관계에 따라 과세의 부담과 관련해서는 공시지가를 하향해 줄 것을 요구하고, 각종 개발 사업에 편입되어 토지보상을 받을 예정이거나, 금융권에 토지를 담보로 대출을 하는 경우 등에는 상향 시켜줄 것을 요구하는 양면성을 띄고 있어 공시지가제도가 추구하는 목적과는 다소 빗나가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공시지가제도에 대해 이해를 돕기 위해 전문서적, 학술논문 등을 토대로 이론적 배경을 살펴봤고, 다음으로 전라남도 나주시를 대상으로 1998년부터 2003년까지 6년 동안 의견 제출과 이의신청 사항에 대한 실증적 분석과 종합평가, 개선사항을 정리 했다. 구체적인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년도별·행정구역별, 토지특성별, 신청인별, 동일 필지별 민원의 반복성, 민원의 원인별 분석을 하였다. 둘째, 분석 결과에 대해 공시지가제도, 민원의 적정성, 행정 능률성에 관한 문제점을 제시했고, 셋째, 의견제출 및 이의신청 기간, 감정평가사의 검증 방법, 의견제출 및 이의신청 토지 중점관리의 필요성에 대해 개선사항을 제시했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이 결론을 도출했다. 첫째, 국민은 성숙된 의식으로 이해관계에 따라 무조건적인 의견 또는 이의신청을 지양하여 행정력 낭비, 불필요한 비용 초래하지 않아야 하고, 둘째, 의견 제출과 이의신청된 토지에 대해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지속적 관리가 필요하며, 셋째, 의견 제출과 이의신청이 되기 전에 토지특성조사부터 지가산정, 검증 등 결정·공시까지 철저히 하여 신뢰를 얻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공시지가제도가 도입목적 및 기능에 충실하려면 국민의 의식변화, 정부·학계 등의 관심과 지속적 제도개선 노력, 그리고 일선 담당공무원의 충실한 역할이 필요하다 하겠다. Every system can have trust through the fulfillment of its role and function well. Accurate Mass Appraisal of Land has been running since 1989, there were some critics that it didnt do well for its role. The reasons of this critics are three; firstly, as the Public Land Price is different the actual price, it was not to be trusted; secondly, the use of this is lower according to the investment expense; last, because the price of individual land is not balanced with near other lands, it is out of the balance to bill the tax between land owners. We can read and suggest some opinions about Public Land Price before deciding and public announcement in order to satisfy the peoples right to know and gather public opinion. However, during this process, the people asked the price of land to be estimated lower because of the owners interests and the tax. In other way, when they will be recompensed their lands for the national development and investment, or loan from the banks, they asked the price of land to be evaluated high. Therefore, the goal of public land price system didnt work well because of these reasons. In order to help understand about the system of public land price, we examined theoretical background through the literature and academic theses. Then we also investigated the examples of suggestions and the formal objection from 1998 to 2003 at Naju city. The conten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it was analyzed the year, administrative zone, applicants, repetition of popular complaints of same land and the reason. Secondly, it provided the matters of the system of public land price, prosperity of complains, and the administrative effectiveness. Thirdly, it also suggested the improvement about period of submissions and complains, examining method, and the necessity of management for the complained land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as the people should reduce complains according to their concerns, it can save the unnecessary expense and administrative working. Secondly, it should be managed through database about the complained or submitted lands. Thirdly, the system should get the trust from the people from evaluating land price to the examination, decision and public notification about public land price before submission and complain. Finally, in order to encourage the goal and role of public land price, it will require the change of peoples consciousness, the efforts of government and academic to improve the system, and the public officers role.

      • Cascoded-Gated Lateral BJT-based Biosensor with High Sensitivity : 고감도 C-GLBJT 기반 바이오센서

        정현민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지난 10년 동안 센서 기술은 전 세계 시장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융합 기술의 발달로 인해 그 중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센서 기술은 환경 모니터링, 임상 의학, 농업, 식품 안전, 산업 안전 및 국토 안보와 같은 필수 분야의 혁신을 위한 원동력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센서 응용 분야에서 높은 감도, 높은 선택성, 우수한 가역성, 낮은 검출 한계, 넓은 동적 범위, 빠른 검출, 및 소형화와 같은 많은 특성이 요구되고 있다. 1960년대에 소개된 게이트 측면 양극성 접합 트랜지스터 (GLBJT)는 기존의 금속 산화막 반도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MOSFET) 보다 높은 트랜스컨덕턴스와 낮은 노이즈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이것은 바이어스 인가 조건에 따라 독특한 구동 모드를 가지며 MOSFET 모드, BJT 모드 및 MOSFET-BJT 하이브리드 모드로 각각 동작이 가능하다. 이러한 장점을 바탕으로 화학 및 생물학적 센서 응용 실험에 대한 보고가 이루어 졌으며 센서 응용 분야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특성을 만족시키는 결과가 보고되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MOSFET 구조를 가지는 이온 선택성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ISFET) 의 감도는 감지막에 의존성이 높다고 보고되어 왔다. 이러한 장치의 감도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구조적 접근 방법을 통한 센서 감도 개선에 대해서 보고된 사례는 없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표준 상보성 금속 산화막 반도체 (CMOS) 공정을 통해 제작된 GLBJT의 감도 향상을 위해 GLBJT와 캐스코드 구조 (cascade structure) 의 결합된 장점을 제공하는 새로운 구조의 C-GLBJT를 제안하고 검토 하였다. 먼저, 본 논문의 3장에서는 제안된 장치의 기본적인 전기 특성을 평가 하였다. 제안된 장치는 다양한 센서 응용 분야에서 보고된 GLBJT와 동일한 기능과 장점을 가지며, GLBJT보다 높은 트랜스컨덕턴스를 확인 하였다. 이것은 캐스코드 구조를 이용하여 출력 임피던스 및 입력 임피던스가 개선되며 이를 통해 트랜스컨덕턴스 및 증폭대역에서 높은 이득을 달성하는 것으로 해석 되었다. 두 번째, 본 논문의 4 장에서는 센서 응용 성능 평가를 위해 C-반응성 단백질 항원 (CRP antigen) 검출 실험을 수행 하였고, 캐스코드 구조를 가지는 C-GLBJT는 종래의 GLBJT 보다 약 2.5배 향상된 감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바이오센서의 감도 향상을 기반으로 고감도 센서 응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의 5장에서는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고감도 미각 센서를 제안하였다 서로 다른 반응성을 가지는 5가지 지질막 (Lipid membrane)을 사용하여 인간이 느낄 수 있는 신맛, 쓴맛, 단맛, 짠맛 및 감칠맛을 검출하고 레이더 차트를 통해 맛의 패턴을 분석하고 평가 하였다. 실험 결과 1 fM ̶ 1mM의 넓은 동적 범위를 가지며, 1 fM의 매우 낮은 농도의 미각 물질 검출이 가능 하였다. 또한, 레이더 차트를 통한 패턴 분석으로 5가지 맛이 서로 다른 패턴을 가지는 것을 확인 하였으며, 이러한 특성을 기반으로 5가지 맛이 분류되는 것을 확인 하였다. 또한, 위 결과를 기반으로 시중에 유통되는 서로 다른 브랜드의 간장 6가지(국산 4종, 일본산 2종)를 준비하여 센서 응답 패턴을 확인하였다. 명확한 정량 분석이 이뤄질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주성분 분석법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PCA)을 통해 분석하였고, 간장의 염도 및 제조 국가에 따라 구분되는 위치 분포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C-GLBJT 는 플로팅 게이트 구조를 기반으로 표준 CMOS 공정을 통해 제작되며 저비용, 추가 공정의 불필요, 저전력 소비, 소형화 및 대량 생산의 이점을 가진다. 또한, 제안된 장치의 다양한 응용 실험을 통한 성능 평가에서 넓은 동적 범위, 우수한 선형성 및 낮은 검출 한계 (limit of detection) 를 확인 하였다. 이는 기존 학계의 결과와 비교를 하였을 시, 상당히 우수한 바이오센서로 평가된다. 추후 제안된 장치는 다양한 화학 및 생물학적 센서 응용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동북아시아 안보정세와 대한민국 안보전략 방향 연구

        정현민 영남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동북아시아는 전 세계 국가 중 국력의 크기가 다섯 손가락 안에 드는 국가들이 밀집해 있다. 그리고 미국과 중국의 패권경쟁이 격화되고 이 패권경쟁을 중심으로 대한민국-미국-일본, 중국-러시아-북한의 대립구도가 형성되고 그 안에서 치열한 생존경쟁이 벌어지고 있다. 본 논문은 “동북아시아에서 날로 격화되고 있는 패권경쟁 속에서 대한민국의 생존을 보장받을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은 무엇인가?”에 대한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동북아시아의 패권경쟁 연구의 기본전제는 “국제질서는 힘에 의해 유지된다.”라는 것이다. 하지만 현재 동북아시아에서 벌어지는 미국과 중국의 패권경쟁을 단순한 강대국 간의 경쟁으로 인식해서는 곤란하다. 두 강대국의 패권경쟁은 역내의 안보정세를 변화시킬 수 있는 매우 중요한 변수이기 때문에 미국과 중국의 패권경쟁을 중심으로 동북아시아의 패권경쟁을 분석하되 두 강대국의 기본적인 국가안보전략, 그리고 미국과 중국이 역내에서 구축하고 있는 동맹체제 내지는 균형연합 내에서 벌어지고 있는 각국의 경쟁이 동북아시아의 안보정세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하게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그에 대응하여 대한민국이 국가생존을 위해 수립해야 할 안보전략의 기본방향을 설정하는 방향으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위와 같은 문제인식과 연구의 기본 전제를 바탕으로 미국의 미어셰이머 교수가 주장한 ‘공격적 현실주의’ 이론을 바탕으로 역내의 모든 국가들은 힘의 극대화를 추구하고 그 목적은 국가생존이라는 개념으로 동북아시아의 패권경쟁을 분석하였다. 특히, 동북아시아의 안보정세를 미국과 중국이라는 강대국 사이에서 우리를 비롯한 일본, 북한 등 완충국의 상호작용이라는 기존의 개념에서 벗어나 역내의 모든 국가는 현재 미국 주도의 국제질서 하에서 지정학적 한계, 경제규모와 운용, 군사력 등을 고려 힘의 분포 변화 내지는 유지를 위해 가치동맹의 기치 아래 상호 연합하면서도 그 안에서 힘의 극대화를 추구한다는 것에 집중하여 사례연구를 통해 이를 밝히는데 집중하고 우리가 취해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미국과 중국의 패권경쟁에 대한 연구결과는 당분간 현재와 같은 미국주도의 국제질서가 유지될 것이고 그 근거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은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태평양과 대서양 양 대양으로 해양력을 투사할 수 있는 지정학적 이점을 가지고 있고 또한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그 능력을 가진 나라이다. 둘째, 미국은 달러($)라는 기축통화와 미래생산 인구가 현재의 생산인구 보다 많은 인구구조로 전 세계의 경제구도를 지금과 같이 주도할 것이기 때문이다. 셋째, 미국이 추구하는 자유민주주의 가치를 공유하는 국가들이 가지는 반중(反中), 혐중(嫌中) 정서가 전 세계로 확산되고 있고 특히, 코로나19 펜더믹과 중국이 중국내 인권문제는 전 세계에서 중국을 고립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미국이 주도하는 현재의 국제질서가 당분간 유지될 것이기 때문에 우리는 그동안 취해왔던 ‘안보는 미국, 경제는 중국’이라는 전략적 모호성(Strategy Ambiguity)을 바탕으로 한 균형자적 태도를 버리고 전통적인 한미동맹에서 발전하여 한ㆍ미 동맹을 강화하고 나아가 한ㆍ미ㆍ일 삼국의 안보협의 강화를 적극 검토하여 현재의 동북아시아 질서 내에서 우리의 이익을 극대화하여 국가생존을 보장받아야 한다. 본 논문의 결론은 복잡한 동북아시아의 안보정세의 복잡성에 비해 매우 단순하고 명료하다. 가진 경제규모와 군사력에 비해 주변국이 너무나도 강대하기 때문에 과거 역사적 갈등을 극복하고 동북아시아 역내에서 생존하기 위해 현재의 국제질서를 주도하고 국제질서를 주도할 수 있는 미국과의 동맹의 결속력을 굳건하게 하고 이를 한ㆍ미ㆍ일 삼국의 안보협의 강화로 발전시키는 방안까지 검토하여 역내에서 국가생존을 위한 국가안보전략을 수립, 시행해야한다. 이를 통해 역내에서 미국의 동맹으로서 역할을 위한 중거리 미사일 배치와 전술핵무기 재배치가 이루어져 동북아시아에서 우리의 생존을 보장할 수 있어야 한다. 지금 벌어지고 있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사태에서 볼 수 있듯이 확실하게 우리를 지킬 수 있는 능력과 우리의 편에 서서 같이 싸워줄 수 있는 동맹국이 없으면 국가는 생존을 보장받을 수 없다. 우리의 생존을 위한 가장 합리적인 안보전략과 그 전략을 뒷받침 하는 힘만이 우리를 지킬 수 있다.

      • Cascoded Compatible Lateral Bipolar Transistor (C-CLBT) 형 수소이온 센서

        정현민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focuses on highly sensitive proton ion sensor based on semiconductor device which consisted of cascoded compatible lateral bipolar transistor (C-CLBT). In this work, for the first time, we apply C-CLBT for the fabrication of hydrogen ion senosor. The fabricated C-CLBT showed high trans-conductance and high sensitivity than the previously reported proton ion sensor based on CLBT. Owing to the presence of cascoded configuration, it exhibits improved sensitivity for wide pH responses. C-CLBT type proton ion sensor can overcome the above drawbacks of gated lateral bipolar junction transistor (GLBJT) for detection of the hydrogen ion. showing the improved sensitivity of C-CLBT in electrolyte of 5.3 ㎃/pH.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ascode configuration is promising for enhancing device performance and realizing sensor with high sensitivity.

      • 정부의 임금피크제 지원제도 개선을 위한 연구 : 보전수당 수급 사업체 사례조사를 중심으로

        정현민 고려대학교 노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유례가 없을 정도로 가장 빠른 속도의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18년만에 고령화사회에서 고령사회로 이행할 뿐 아니라 고령사회에서 초고령사회로 진입하는데 불과 8년이 소요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러한 급격한 고령화는 출산율의 저하와 평균수명의 연장에 기인한다. 고령화는 기업의 고령화로 이어지고, 기업은 이에 대한 대응방안으로 인력조정, 성과주의 임금체계 전환, 임금피크제 등을 시도하게 된다. 본 연구의 대상인 임금피크제는 본질적으로 임금유연성을 바탕으로 고용을 유지하고자 하는 제도이다. 임금피크제의 유형은 크게 정년보장형, 고용연장형으로 나눌 수 있고, 고용연장형은 다시 정년연장형과 재고용제도로 나뉜다. 정년보장형 임금피크제 하에서는 근로유인의 문제, 기업과 근로자간의 정보의 비대칭성으로 인한 갈등이 존재할 수 있고, 퇴직금 및 국민연금 등의 불이익 문제가 걸림돌이 된다. 궁극적으로는 고용연장형 임금피크제를 지향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일본의 임금피크제는 인구고령화에 따른 연금재정의 악화와 연금수급연령 연장에 따른 고령자 고용 연장이라는 배경에서 비롯되었다. 일본의 임금피크제는 고용연장형이 많은데 정년만료 후 재고용제도가 활성화되어 있다. 반면, 한국의 임금피크제는 임금부담 완화, 구조조정의 대체수단으로 도입되기 시작했다. 2003년7월 신용보증기금에서 처음 도입한 이래 주로 정년보장형 임금피크제가 활성화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고용연장형 임금피크제도 많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임금피크제는 기업차원에서 인력구조조정, 인사적체의 해소 및 인건비 절감의 효과를 제공한다. 근로자 측면에서는 고용안정 또는 고용불안의 해소와 노후생활 및 사회적 신분의 유지를 도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사회적 차원에서는 고령자의 고용확대와 절감된 인건비를 통해 신규인력을 채용함에 따라 청년실업 해소에도 기여하게 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정년보장형 중심의 임금피크제와 임금하락형 위주의 제도설계, 기업의 특성에 맞는 차별화된 모델이 부족하고, 정부의 제도적 지원이 미흡하다는 한계를 안고 있다. 정부의 고령자고용정책은 90년대 이후부터 시작되어 최근 제1차 고령자고용촉진기본계획으로 체계화되었다. 본 연구의 주제인 정부의 임금피크제 지원사업은 2006년 1월부터 시작되었다. 임금피크제 실시에 따른 임금감액분을 보전해주는 임금피크제보전수당지원사업이 그것이다. 임금피크제의 확산을 통해 고령자의 고용연장과 고령자에 적합한 임금체계를 유도하겠다는 취지이다. 보전수당 수급사업체 70곳 중 300인 이상 대기업은 17곳이었고 이중 5곳을 선정하여 사례조사를 실시하였다. 정년연장형 2곳, 정년보장형 1곳, 혼합형 임금피크제가 2곳이었다. 조사 결과, 고령자 고용확대에 가장 효과적인 유형은 정년연장형 임금피크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년보장형과 혼합형의 경우에는 고령자 고용확대의 목적보다는 인건비 절감, 명예퇴직 유도, 인사적체 해소 등 인사관리의 합리성을 제고하기 위한 목적이 강조되고 있었다. 임금삭감방식, 적용대상, 직무재배치 등 임금피크제의 세부 사항들도 임금피크제의 유형과 실시목적에 따라 명확한 차이를 보였다. 임금피크제에 대한 회사와 근로자의 만족도 역시 정년연장형이 비교적 높았다. 한편, 임금피크제 보전수당의 효과는 미흡한 것으로 확인됐다. 모든 조사대상 기업체에서 사중손실이 확인되었으며, 근로자 중 일부만 보전수당의 지원을 받는 경우도 있었다. 기업의 임금부담 완화에 미치는 효과는 극히 미미했다. 임금피크제가 기업의 성과주의 임금체계 확산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다른 고령친화적 경영기법과의 연계를 통한 시너지 창출이 과제로 도출되었다. 정부의 지원사업의 개선방향은 다음과 같이 도출되었다. 첫째, 임금피크제 보전수당의 경우 고령자 고용확대라는 정책목표를 관철하기 위하여 제도지원의 대상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고용연장형 임금피크제 위주의 지원, 중소기업 및 경영상 어려움에 처한 기업에 대해서만 보전수당을 지원하는 것이 적절하다. 둘째, 보전수당 제도와 별도로 다양한 지원제도를 신설하여 효과를 제고할 필요가 있다. 모범사례 전파, 전문기관을 통한 컨설팅 제공, 기업맞춤형 제도설계 지원 등 컨설팅 서비스를 실시하여야 한다. 기업들이 다양한 고령친화적 경영기업을 실시하도록 지원하고, 이를 임금피크제와 연계토록 함으로써 시너지를 도모하는 것이 적절하다. 셋째, 정부의 임금피크제 지원사업은 개인별 보충소득 지원제도와 같은 적극적 고령자고용정책으로 확대 발전하여야 한다.

      • AHP와 수정 델파이를 활용한 특성화고 국어교사의 교수역량 평가기준 탐색 및 분석

        정현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델파이 기법과 계층적 의사결정법(AHP)을 활용하여 특성화계 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국어교사에게 필요한 교수역량 평가기준을 탐색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교원 연수 개발 및 자기평가를 통한 전문성 함양 등에 있어 평가기준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교수역량과 관련한 국내·외 연구, 2015 개정 교육과정, NCS 직업기초능력 학습모듈 및 실용 국어 교과서에 대한 문헌 조사를 바탕으로 수정 델파이에 필요한 폐쇄형 설문지를 구안하였다. 국어교육 전문가들의 협조로 설문지에 대한 수정·보완 작업을 거친 후 특성화계 고등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35명의 국어교사들을 전문가 패널로 선정하여 총 3회의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각 회차가 끝나면 통계적 처리와 더불어 개방형 질문에 대한 응답을 정리하였으며, 특이한 의견을 낸 참여자나 전체 평균에서 크게 상이한 답변을 한 참여자들에게는 개별적으로 전화 또는 이메일 연락을 통하여 의견을 수렴하였다. 내용 타당도 비율(Content Validity Ration)을 토대로 75개의 잠정적 구인들을 7개의 평가준거와 30개의 세부 평가기준을 갖춘 교수역량 체계로 소거·정리하였다. 각 절차에서 의견 합의도를 산정하였으며, 1차 조사에서 .699이었던 의견 합의도가 3차 델파이 조사가 끝날 때에는 .855로 상승함으로써 전문가 패널의 의견이 수렴되어감을 입증하였다. 연구 마무리 단계에서의 Cronbach`s α는 .819로 높은 수준의 평가자 간 신뢰도를 보였으며 대부분 항목에서 1의 내용 타당도 비율(CVR)을 보여 전문가들로부터 적합한 구인으로 평가받았다. 또한 델파이 기법의 결과로 도출된 교수역량 체계에 대하여 계층적 의사결정법(AHP)에 따라 쌍대비교를 통한 교수역량 간의 상대적 가중치를 추산하였다. 이에 따라 30개의 세부 평가기준에 대한 상대적 가중치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산술적으로 비교하여 우선순위를 매길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각 장에서 다루고 있는 구체적 내용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에 대하여 논하였다. NCS 국가직무능력표준에서 요구하는 직업기초능력, 그 중에서도 의사소통 능력을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어떻게 수용하였는지 살피고 특성화계 고등학교 국어교사에게 특히 요구되는 교수역량 연구가 필요한 이유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Ⅱ장에서는 이론적 배경들에 대한 설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교수역량(teaching competence; teaching competency), 델파이 기법(Delphi), 계층적 의사결정법(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교수역량을 다룬 여러 정의에 대하여 폭넓게 살펴보고 학자들의 견해를 종합적으로 수용하였다. 특히 교수역량에 대해 “배울 내용과 관련된 역동적 상호작용과 더불어, 교육학적 방법이 적용되었으며, 개인 학습자의 특성에 대한 이해와 배움이 일어나는 상황 맥락에 대한 고려가 포함된 교육에 필요한 능력”으로 정의한 Schalock, et al.(1993)의 견해와 교수역량을 “교과교육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이론적 교수역량(theoretical teaching competence)과 실천적 교수역량(practical teaching competence)의 총체”로 나누어 정의한 백순근 외(2007)의 견해를 따랐다. 다음으로 델파이 기법(Delphi technique)의 목적과 절차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Delbecq, Van de Ven, Gustafson(1975)가 정의한 델파이 기법의 목적에 따라 본 연구에 델파이 기법을 사용한 이유를 설명하였다. 특히 전통적 대면조사에 비해 갖는 델파이 기법의 장점을 극대화하고 이 과정에서 생겨날 수 있는 약점(weakness)를 보완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정리한 Hsu, Sandford(2007b)의 연구를 참조하였다. 특히 개방형으로 시행되는 델파이 조사의 최초 1회기에는 응답이 가장 저조하며 결과를 산출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대두된 수정 델파이 방식(modified Delphi)을 언급하였다. 또 전문가 집단의 구성이 갖는 중요도에 대한 논의들(Judd, 1972; Taylor, Judd, 1989; Ludwig, 1994; 김병성, 2001; 이종성, 2001; Hsu, Sandford, 2007a; Hsu, Sandford, 2007b)을 종합하였다. 마지막으로 델파이 연구의 의견 합의도를 산출하는 공식과 사사분위 계수를 활용하여 내용 타당도 비율(CVR)을 산정하는 방법에 대해 언급하였다. 세 번째로는 계층적 의사결정법(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의 개념, 원리, 절차에 대해 다루었다. 1970년대 군비축소 시기 게임이론 전문가들이 모여 협력적으로 정책을 평가하는 과정에서 의사결정의 비능률을 개선하고 더 나은 대안을 선택하기 위해 고안해낸 계층적 의사결정법(AHP)은 의사결정자의 판단에 기초하여 의사결정 문제를 표현하고 대안에 대한 선호도를 개발하기 위하여 계층 혹은 네트워크구조를 사용하는 다기준 의사결정모델(Multi-Criteria Decision Model)이다(Saaty, 1987). AHP는 다목적(multiobjective), 다기준(multicriterion), 다자간(multiactor) 의사결정에 사용되는 포괄적인 틀로서, 목표들 사이의 중요도를 계층적으로 나누어 파악함으로써 각 대안들의 중요도를 기반으로 한 우선순위를 가리는 기법으로 평가 기준이 다양하며 직관적으로 대안들 사이의 우열을 가리기 어려운 문제에 최적화된 의사결정 방식 중 하나이다. 따라서 AHP를 구성하는 핵심적 공리(axiom)들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AHP에 사용된 산술적(arithmetic) 원리를 Harker, Vargas(1987)의 예시와 함께 알아보았다. 또 AHP의 쌍대비교 수행과 최대 고윳값(max eigenvalue), 고유 벡터(eigenvector)을 사용한 정규화 방식으로 상대적 가중치를 산정하는 원리에 대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간단한 예시를 제공하였다. 마지막으로 AHP 연구의 신뢰도를 보장하는 일관성 지수(CI: Consistency Index)를 산출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Ⅲ장에서는 본 연구에 사용된 델파이 조사, AHP 과정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시기별로 진행된 연구 단계에서 발견된 의문점이나 연구 방향에 대한 결정 사항을 서술하였다. 델파이 기법에는 IBM SPSS Statistics Subscription과 Excel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였으며 AHP에는 Dress ver. 1.5를 사용하였다. Ⅳ장에서는 구체적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델파이 조사 결과에 따라 처음 설정된 잠정적 구인들이 소거·종합되는 과정을 서술하였으며, AHP를 거쳐 상대적 중요도를 산정하고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7개의 교수역량 평가 준거에 대한 가중치는 ① NCS와 실용국어의 기본적 이해(.193), ② NCS와 연계한 실용국어 수업 설계 (.415), ③ NCS와 연계한 실용국어 수업 평가 및 활용(.392) ④ 협업을 위한 의사소통 (.321), ⑤ 정보전달을 위한 의사소통 (.181), ⑥ 설득을 위한 의사소통 (.171) ⑦ 갈등 관리를 위한 의사소통 (.327)로 나타났다. 또한 30개의 세부 평가기준은 [지원을 요청하는 상사나 동료의 이메일을 통해 입장을 이해하고 업무 진행을 조율하기](.064)부터, 가장 낮은 가중치를 부여받은 [NCS의 개념과 의미](.014)까지 우선순위를 나타냈다. 본 연구 과정을 종합하였을 때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의사소통능력 중 문서이해, 말하기 능력에 대한 우선순위가 높았음을 밝힌 선행연구들과 유사한 경향성을 입증하였다. 둘째, 의사소통능력에 관련하여 이론적 교수역량에 해당하는 교과지식 전문성에 더 높은 가중치가 부여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교육현장에 활용될 수 있는 AHP의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교수역량 평가기준을 교원평가 등에 활용하고자 할 때 쌍대비교를 통한 통계적 접근 방식이 유효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 과정에서 나타난 여러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보편적인 의미에서의 교수역량을 더 구체화시켜 특정 학교급에 필요한 교수역량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