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척추 안정화 운동이 원발성 생리통 여성의 통증, 근 구조,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정유정 삼육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71

        본 연구에서는 척추 안정화 운동이 생리 기간 중 허리 통증이 있는 원발성 생리통 여성의 통증, 근 구조, 요통 장애 정도,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8명의 생리기간 중 허리 통증이 있는 원발성 생리통 여성을 무작위 배치하여 척추 안정화 운동 집단 14명과 스트레칭 운동 집단 14명으로 분류하였다. 두 집단 모두 10주간 주 3회, 회당 30분간 운동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통증은 시각적 사상 척도검사를 사용하였으며 근육의 두께를 측정하기 위하여 재활 영상 초음파를 사용하였으며, 요통 장애 정도를 비교하기 위해서 오스웨스트리 요통 장애척도를 사용하였고, 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을 측정하기 위해 SF-36을 사용하였다. 또한 연구 결과 척추 안정화 운동은 허리 통증에 집단, 시간, 상호작용 효과 모두 스트레칭보다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근 두께는 외복사근의 휴식기 때, 척추 안정화 운동이 스트레칭보다 집단, 시간, 상호작용 효과에서 모두 유의한 증가가 있었고(p<.05), 수축기에서 이완기를 뺀 차이 값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내복사근에서는 휴식기 때 시간, 상호작용 효과에서 유의한 증가가 있었고(p<.05) 수축기에서 이완기를 뺀 차이 값에서는 시간에 따라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복횡근의 경우 휴식기 때 집단, 시간, 상호작용 효과에서 모두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p<.05) 수축기에서 이완기를 뺀 값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복직근의 경우 휴식기 때 양쪽 복직근 모두 상호작용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나(p<.05), 수축기에서 이완기를 뺀 차이 값에서는 오른쪽 복직근의 시간에 따른 유의한 증가만 있었다(p<.05). 다열근은 휴식기 때 양쪽 다열근에서 시간에 따른 근 두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5), 수축기에서 이완기를 뺀 차이 값에서는 양쪽 모두 집단, 시간, 상호작용 효과 모두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05). 오스웨스트리 요통 장애척도에서 척추 안정화 운동 집단은 운동 유형에 따른 시간, 상호작용 효과에서 스트레칭 집단보다 유의하게 감소했고(p<.05), SF-36에서는 신체기능, 활력, 신체통증, 일반적인 건강에서 시간, 상호작용 효과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5) 신체 건강 문제로 인한 역할 제한, 정서적 문제로 인한 역할 제한, 정신건강, 사회적 기능에서는 집단, 시간, 상호작용 효과 모두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05). 위 결과를 통하여, 척추 안정화 운동이 생리 기간 중 허리 통증이 있는 원발성 생리통 여성에게 통증, 근 구조의 변화, 삶의 질 향상에 더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생리 기간 중 허리 통증이 있는 여성들에게 약물 사용으로 인한 부작용 없이 척추 안정화 운동이 스스로 생리 기간 중 통증을 조절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청소년의 채팅상담 이용 및 재이용 경험에 대한 연구

        정유정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내담자들의 채팅상담 경험, 효과, 재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채팅상담을 이용한 청소년 14명과 개별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합의적 질적 분석(CQR)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총 8개의 영역, 30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첫째, 청소년들의 채팅상담 주제는 대인관계, 가정문제, 정서 및 위기상담, 학업 및 진로 등이었으며 채팅상담에 기대한 바는 전문적 조언과 정보, 경청과 위로, 정서적 안정과 위기상황 극복이었다. 둘째, 채팅상담의 긍정적 경험은 고민을 이야기하고 이해받음, 해결책과 정보를 얻음, 정서와 사고의 변화, 문제 해결과 행동 변화, 시공간 제약 없음, 익명성, 글로 정돈하여 표현이었으며, 부정적 경험은 비언어적·언어적 소통의 어려움, 일회성으로 인한 한계, 상담자의 주도성과 성의 부족, 위로와 공감 부족, 전문적 조언과 정보 부족, 유대관계 형성 어려움이었다. 채팅상담의 긍정적, 부정적 경험에 상담 과정, 매체 특성 및 단회성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채팅상담의 효과는 정서, 사고, 행동적 변화였다. 셋째, 채팅상담을 재이용한 이유는 새로운 도움 기대, 높은 접근성, 고민을 나눌 곳이 없음이었으며, 재이용하지 않은 이유는 문제가 해결되어 다룰 문제가 없음, 이전의 부정적 경험이나 도움 부족, 대면상담이나 다른 방법 이용이었다. 이전 상담 경험, 매체 특성, 다른 심리적 지지 자원의 유무가 채팅상담 재이용 여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채팅상담 사이트나 플랫폼 시스템에 대한 긍정적 경험은 채팅 시스템의 익숙함과 편리함, 직관적이고 귀여운 디자인이었으며, 시스템에 대한 개선점 제안은 긴 대기시간, 홍보 부족이었다. 본 연구는 채팅상담을 실제 이용한 청소년 내담자들의 경험을 다각도로 탐색하고 채팅상담을 다시 이용하는 데에 어떠한 요인이 영향을 주었는지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the factors that affect the chat counseling experience, effectiveness, and reuse of adolescents clients. The individual interviews participants are 14 adolescents using chat counseling and analyzed by consensus qualitative analysis (CQ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 total of 8 areas and 30 categories were derived. First, the topics of chat counseling for adolescents were personal relationship, family problem, emotional and crisis counseling, academic and career counseling, and the expectations for chat counseling were professional advice and information, listening and comfort, emotional stability and overcoming crisis situations. Second, the positive experiences of chat counseling were talking and understanding concerns, obtaining solutions and information, changing emotions and thoughts, problem solving and behavioral changes, no time and space constraints, anonymity, one-off limitations, lack of initiative and empathy, and difficulty in forming bonds. The counseling process, media characteristics, and one-off influence the positive and negative experiences of chat counseling, and the effect of chat counseling was emotional, thinking, and behavioral changes. Third, the reasons for reusing chat counseling were new help expectations, high accessibility, and no place to share concerns, and the reasons for not reusing it were no problems to deal with as the problem was solved, previous negative experience or lack of help, using face-to-face counseling or other methods. It was found that the previous counseling experience, media characteristics,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other psychological support resources affected the reuse of chat counseling. Fourth, the positive experience of the chat counseling site or platform system was the familiarity, convenience, and intuitive and cute design of the chat system, and the suggestions for improvements to the system were long waiting times and lack of publici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lored the experiences of adolescents clients who actually used chat counseling from various angles and suggested what factors affect the re-use of chat counseling.

      • 산욕기 산모의 삶의 질 영향요인

        정유정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55

        Purpose: This descriptive research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influences of postpartum depression, postpartum fatigue, marital intimacy, and breastfeeding adaptation on mothers’ quality of life after childbirth.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on 179 postpartum mothers within six weeks of giving birth.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June 20, 2019, to September 30, 2019. Postpartum mothers' general characteristics, postpartum fatigue, postpartum depression, marital intimacy, breastfeeding adaptation, and quality of life were identifi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an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6.0 program. Result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marital intimacy has the most significant impact on postpartum mothers (β=.466, p<.001). Postpartum fatigue (β=-.192, p=.001) was the second influencing factor, followed by postpartum depression (β=-.190, p=.001), breastfeeding adaptation (β=.163, p=.002), and jobs (β=.163, p=.004). The order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ostpartum mother’s quality of life (F=32.09, p<.001), with 63.6% of the total explanatory power. Conclusion: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most factor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of postpartum mothers during the postnatal period was marital intimacy, followed by postpartum fatigue, postpartum depression, and breastfeeding adapta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postpartum mothers during this period through the development of interventions that increase the marital intimacy identify the influences, lower postpartum fatigue and postpartum depression, and increase breastfeeding adaptation. Accordingly, nurses need to pay attention to comprehensive factors including the physical, psychological, and relational ones for postpartum mothers.

      • 性ㆍ情의 발현과 '樂'의 현대적 표현 연구

        정유정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8655

        본 논문은 인물화의 예술 형상 속에 담긴 성정(性情)의 발현과‘락(樂)’에 의한 심미적ㆍ내적 교감에 대한 연구이다. 이 연구를 진행하기 위하여 개념 및 실천 범주와 특징에 관하여 회화 창작 이론과 문헌을 통해 고찰하였다. 이는 현대인이 추구하는 락의 형태와 연구자 작품에 나타난 즐거움은 어떠한 관계성을 지니고 있으며, 작업에 반영되었는지 분석하여, 향후 연구자의 작품 세계가 더욱 새롭고 현대적인 표현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서이다. 인물이 지닌 성(性)과 정(情)의 조화로운 발현에서 오는 즐거움(樂)에 대한 본질적 문제에 접근 해가는 것은 화가에게 요구되는 이열성정(怡悅性情)의 최고의 즐거움이자 자신만의 개성을 부여하는 직접적인 방법이다. 먼저 성발위정(性發爲情)의 유가적 관점에서 중시하는 허정지성(虛靜之性)과 도가에서 추구하는 자연지성(自然之性)의 초월적 자유로부터 화가는 창작의 세계에 진입할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그 이유는 유가의 중화지정(中和之情)과 도가의 초월지정(超越之情)은 화가의 고유한 천성이 대상을 접했을 때, 표현 욕구를 일으키는 성발위정(性發爲情)의 과정에서 세속의 고정관념과 기술적 습관에서 벗어나 기성세대에 의해 규정된 정욕을 극복할 수 있다는 점 때문이다. 무엇보다도 현실의 조화로움(中和)을 중시한 유가에서 언급한 진락(眞樂)에 이르기 위해서는 인욕과 욕망 충족에서 오는 쾌락을 배제할 줄 알아야 한다. 이러한 절제로 부터 유어예(遊於藝)에 의한 즐거움을 얻을 수 있고, 나아가 자겸(自謙)의 깨달음과 안빈낙도(安貧樂道)에 의한 무욕(無欲)의 경지로 이어질 수 있음을 논하였다. 한편 도가에서 추구하는 천락(天樂)을 작품 창작 과정에서 어떻게 실현 할 것인가 하는 문제의식은 연구자에게 많은 생각을 제공하였다. 그것은 먼저 대상물을 접할 때 선입견이나 편견에 의한 차별심을 일소 할 수 있는 순수한 자연지성의 유지와 실천에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을 통해 회화 창작에서는 인간과 인간, 자연과 인간, 만물과 인간이 상생·공존하며 생생지락(生生至樂)의 다양한 상황을 표현해야 한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연구자는 이러한 사상과 창작 실천이 반영된 작품을 찾아 그 긴밀한 관계를 분석해 보았다. 그 대표적 사례가 인물산수화이다. 동양의 인물산수화는 끊임없이 변화 생성하는 자연 세계의 신비함과 교감하면서 화가 개인의 희열을 솔직하게 그림에 나타내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다. 또한 인간의 천성 차이와 일상 삶의 영위에서 나타난 생의 즐거움을 풍속인물화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로써 화가에게 주어진 성정의 조화로운 발현에 의한 자연스러움과 욕망의 절제 그리고 현실 순응의 긍정적 여유를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성정의 발현과 락에 대한 탐구는 연구자의 회화 창작에 있어서 정신의 자유로움과 인생의 긍정적 유쾌함을 창작 사유의 중심 개념으로 삼는 계기가 되었다. 이에 따라 초월적 의식에서 추구하는 락을 근거로 현대인의 즐거움의 형태를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나아가 해학적 락의 화의(畵意)적 표현으로 성정이 어떻게 구체적으로 나타났는지 분석하면서 현대적 표현에 대해 새로운 가능성을 세단계로 나누었다. 첫째, 휴머니즘을 바탕으로 한 진락(眞樂)의 욕구에서 출발한 작품이다. 여기에서 창조적인 삶을 이끌어 갈 수 있는 순수한 존재로서 행복을 추구하려는 인간의 모습을 집중적으로 조명하였다. 제1기 습작기에서는 “인간의 천성은 서로 가깝다”는 천성론을 바탕으로 다른 인간의 모습을 자화상에 대입시켜 상호 공통적 성정의 조화로움을 모색하였다. 제2기는 나를 비롯한 타인의 내면을 면밀히 관찰하는 시기로 궁리진성(窮理盡性)에 의한 생의 ‘희망’을 표현하였다. 자연이연(自然而然)의 성정 발현은 연구자와 함께 현대 사회를 살아가고 있는 여성을 대상으로 조명하였다. 작품 속 인물들은 자신의 고유한 본성을 중시하며 때로는 있는 그대로의 소박함과 평범함을 가식 없이 보여주고 있다. 연구자는 이러한 삶을 영위하는 여성이야 말로 진정한 천락의 한 영역을 살아가는 미인으로 해석하였다. 제3기 창작 연구기는 동시대인의 사상과 정서를 반영하여 해학적으로 구사하거나 현대인의 일상 안에서 새롭게 전개되는 내적 욕구를 풍자적으로 표현하였다. 특히 인간의 희로애락의 표정 중 즐거움에 초점을 맞추어 형(形)·신(神)의 양자가 상호 일치된 문질빈빈(文質彬彬)의 인격 수양을 통한 쾌락의 경지와 감정의 복합성을 인간의 다의적(多意的) 성정으로 해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초월적 자유를 구사하기 위해 간일한 필획 구사와 기존 재료의 한계에서 탈피하여 의도된 발묵(潑墨) 효과와 우연적 번짐을 혼용하기도 하였다. 또한 과감한 색채 대비와 조화를 통해 성정 발현과 락의 여러 성향을 직접적으로 제시하는 여러 방법들도 시도해 보았다. 둘째, 정신의 자유로움과 소박, 무가식의 자연스러움으로부터 인간의 진솔함을 담은 해학적 표현이다. 여기에는 본 연구자 경험에서 출발한 순수한 웃음과 즐거움이 융합 되었다. 특히 자유로운 성정 발현에 의한 낭만적 감성과 경쾌한 유희적 해학의 파동을 전달하는데 주력하였다. 이때 생(生)에 대한 긍정적 사고, 허정지성과 자연지성에 의한 순수성, 회화에서의 생생지락의 역동적 리듬과 인간 사회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공유의 즐거움을 표정과 동작의 강약, 반복, 속도 등을 통해 나타내었다. 또한 사랑 예찬에 대한 풍자적 해석으로 인간의 본능적 자유, 원초적 성정의 발현을 조형적으로 해석해 보았다. 이에 대해 본능적 쾌감 표출로 드러난 에로티시즘은 생의 건강한 표현이며, 인간 본성과 존재에 대해 근원적 질문이라고 판단하고, 이를 연구자만의 방식으로 전달하였다. 여기에 인물의 시선을 통한 동세(動勢)와 인물이 처한 환경을 접목하여 그 사람의 내적 진실성을 나타내었다. 셋째, 자연적 순응에 위배되어 있는 현대인의 모습을 시대적 흐름과 생생지락에 근원한 일상의 모습안에서 연구자의 주관적 시선으로 바라보았다. 이는 개개인이 지닌 다양한 성정으로부터 독특한 원천임을 확인하는 계기이기도 하다. 본 논문은 성정의 조화로움으로 인한 락의 경지를 경험하고 예술로 승화시키려는 이열성정에 대한 창작의 다양한 가능성에 대해 동양의 이론과 작품 분석을 바탕으로 정리한 것이다. 이는 자연이 제공하는‘생명의 뜻’을 회화 예술로 승화시키려는 것으로 이것이야 말로 유가·도가에서 말하는 진정한 즐거움이자 초월적 자유라는 점을 밝히려는 연구자의 의지이다. 따라서 최고의 인생 경지이자 예술 창작의 지향점인 락은 향후 연구자가 인물화 창작에 있어서 인간과 자연의 조화로운 관계를 모색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다. This paper presents a study on manifestation of the nature (性情; xingqing), aesthetic and inner communion in figure paintings. To perform research, I have studied theories and literatures on painting for finding fresher and more modern works of painting analyzing the pleasure that contemporary people is seeking and have expressed on my previous paintings. Approaching the essence on the pleasure (樂; le) from the harmony of the character (性; xing) and the situation (情; qing) of human nature is the ecstasy of the delight nature (怡悅性情; yiyuexingqing) which is required to painters and the direct method to allow to have his/her own individual character. Above all I’m emphasizing painters can go into the creativity through the nature of the emptiness and the quietness (虛靜之性; xujingzhixing) on which Confucianism of the character from situation (性發爲情; xingfaweiqing) emphasis and the transcend freedom of the character of the nature (自然之性; ziranzhixing) which Taoism pursues. Because with the feeling of the neutralization (中和之情; zhonghezhiqing) of Confucianism and the beyond of the feeling (超越之情; chaoyuezhiquing) of Taoism you can overcome fixed old ideas, technical practices and the lusts which is fixed by the older generations when painter’s own nature that cause creativity meets the objects. Most of all to reach the true pleasure (眞樂; zhenle) which is descried in Confucianism that emphasizes harmony in the neutralization (中和; zhonghe), pleasures from the lust and the desire must be controlled. You can reach the true pleasure of the playing in the Art (遊於藝; youwuyi) by practicing self-controls, get enlightenment of the self-abasement (自謙; ziquin) and achieve the state of the no desire (無欲; wuyu) by the way of frugal and simple life (安貧樂道; anpinledao). In other hand, I have questioned how to realize the heavenly pleasure (天樂; tianle) of Taoism on my paintings. Answer is keeping and practicing of innocent sincerity of nature that eliminates prejudice or discrimination when you see objects. So I’m proposing various situation of the pleasure in the daily life (生生至樂; shenshengzhile) that covers human to human, the nature to human and all creatures to human should be described on the paintings by this view point. I’ve studied the thoughts and the paintings reflect this idea. One good example is the figure in landscape painting. You can observe the mysterious nature of perpetual changing and creation which painters commune with in the Oriental figure in landscape paintings. Also you can find the pleasure of life from the differences of human nature and leading daily life by enjoying these paintings. You also would understand naturalness through the harmony of the nature, moderations and affirmative attitudes given to painters. The manifestation of the nature of personage and the modern expression of the pleasure described above gave me an opportunity that the free spirit and the affirmative mind on the pleasure are the major theme on my paintings. So I studied forms of pleasure of contemporary people based on the one is pursued by transcendental consciousness roughly categorizing into two. Moreover analyzing how Xingqing of the humorous pleasure as pictorialization is expressed concretely, I categorized new possibility of modern expression into three. First is the pieces started from the true pleasure based on humanism. I spotlighted figures who seek happiness as innocent beings. At the first studying painting period, I have painted self-portraits substituting other peoples figure based on the theory of nature, human nature of personage is identical each other. At second period, observing inner side of others and mine carefully, I have portrayed hopes for life of the character of exhaustive inquiry (窮理盡性; qionglijinxing). As a woman, I have focused women who are living modern lives for expression of the nature as naturality. In the paintings, figures stressed on their own natures, sometimes expressed their simplicities and mediocrities without pretenses. I described the women who pursue these form of lives as beauties who enjoy true pleasure. At the third period, I portrayed people humorously who seeks desire as contemporary people. Especially the state of pleasure through self-discipline by harmony of the refined manner (文質彬彬; wenzhibinbin) corresponding soul and body, complexity of human emotion were explained as polysemantic nature. Through these works, to express transcendental freedom, I have usually used simple brushing strokes, intended ink splash and also unintended ink spread effects from the existing boundaries of media. Moreover I have tried various methods to express the pleasure and nature through practicing bold color contrast and harmony. Second is humorous expression indwells mental unconventionality, simplicity, non-pretense and human sincerity. I have blended innocent laughter and pleasure based on my own experiences. Especially I focused on delivering romantic, cheerful playing and humorous energy. I have expressed differently the various pleasures from various situations through varying face looks, dynamic motions, repetitiveness and speed: affirmative attitude on their own lives, purity of the nature of the emptiness and the quietness and the character of the nature, energetic rhythm in the paintings of the pleasure in the daily life. And I have painted human instinctive freedom, original nature formatively through love as humorously. Eroticism is healthy expression showing instinctive pleasure, also original question for human nature and existence. So I painted this my own ways. Furthermore I expressed figures inner integrity showing their various gazing and movement. Three is subjective view point to contemporary people who is out of natural accommodation through change of time and daily lives based on the pleasure in the daily life. You can find each character is the unique source of the nature. The paper sums up the various potential of paintings on the delight nature that sublimates the state of pleasure by nature of harmony to art. This is what I insist the meaning of live is true pleasure and transcend freedom which Confucianism and Taoism have discussed about. Therefore, the pleasure the state of superb in life also in artistic works is my purpose that pursues harmony of human and nature.

      • 영아반 보육교사의 교사민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정유정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영아반 보육교사의 교사민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보육교사의 개인 배경 변인, 개인 심리적 변인, 사회 심리적 변인 그리고 근무환경 변인으로 나누어 교사민감성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러한 변인들이 교사민감성에 얼마나 영향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영아반 보육교사의 개인 배경 변인, 개인 심리적 변인(정서안정성), 사 회 심리적 변인(대인관계 스트레스), 근무환경 변인과 교사민감성(민감 한 상호작용, 비민감한 상호작용) 간에는 관계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영아반 보육교사의 개인 배경 변인, 개인 심리적 변인, 사회 심리적 변 인, 근무환경 변인은 교사민감성을 얼마나 설명하는가? 연구대상은 보육시설에서 근무하는 영아반 보육교사 236명이었으며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변수 각각에 대해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그에 따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반 보육교사의 교사민감성 하위요인 중 민감한 상호작용과 관련하여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정서안정성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원장과의 관계, 동료교사와의 관계, 학부모와의 관계, 타장소 평균 업무 시간, 1일 평균 개인시간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아반 보육교사의 교사민감성 하위요인 중 비민감한 상호작용에 대한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정서안정성, 1일 평균 휴게시간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원장과의 관계, 동료교사와의 관계, 학부모와의 관계와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를 근거로 영아반 보육교사의 교사민감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면, 민감한 상호작용은 동료교사와의 관계에 대한 스트레스와 학부모와의 관계에 대한 스트레스가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변인이었고, 비민감한 상호작용은 정서안정성과 동료교사와의 관계에 대한 스트레스가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변인이었다. 따라서 대인관계 스트레스, 특히 동료교사, 학부모와의 관계에 대한 스트레스를 줄이고 보육교사의 정서안정성을 높인다면 영아반 보육교사의 교사민감성 수준은 높아질 것이며 보육의 질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ill inquire into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influencing teacher sensitivity of infant classes of Educare Center teachers and teacher sensitivity, by classifying the variables into individual background variables of Educare teachers, individual psychological variables, socio-psychological variables and work environment variables, and finally it aims to inquire about how much these variables influence on teacher sensitivity. The research was oriented to 236 Educare teachers in charge of infant classes working in infant-caring facilities. Based 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ignificance test was carried out to each variable. The research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evaluation regarding sensitive interaction of infant classes of Educare Centers, it turned out that emotional stability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hile there was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relationship with the director, relationship with the colleagues, relationship with parents, mean working hours in other places and mean daily personal time. Secondly,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evaluation regarding insensitive interaction of infant classes of Educare Centers, it turned out that there was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stability and mean daily break time, while there wa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relationship with the director, relationship with the colleagues and relationship with parents. Based on the results, regarding the influences on teacher sensitivity of infant classes of Educare Centers, as for sensitive interaction, the most significant influences consisted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colleagues and the relationship with parents. On the other hand, as for insensitive interaction, the most significant influences lied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colleagues and emotional stability. Consequently If reduc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stress and increasing emotional stability of educare center teacher will increases the sensitivity level of the teachers. furthermore, the quality of care will be improved.

      • 배려적 창의성 함양을 위한 디자인 교육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고학년을 중심으로

        정유정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배려적 창의성을 함양할 수 있는 디자인 교육 모델인 ‘디자인 탐구협동학습 모형’을 개발하여 디자인 교육을 통해 배려적 사고와 창의적 사고를 균형있고 통합적으로 발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배려적 창의성을 ‘배려적 사고를 바탕으로 한 창의성’으로 정의한다. 이는 자아와 타인과 사회에 대한 배려, 특히 타인의 감정과 생각에 대한 이해와 공감을 바탕으로 원활한 의사소통을 통하여 문제를 발견하고 독창적으로 해결하는 것을 말한다. 배려적 창의성을 계 발하는 것은 초등학교 교육의 목표인 전인적 성장에 매우 중요하며 디자인 수업을 통해 효과적으로 함양할 수 있다. 연구의 방법은 문헌연구와 실험연구 두 가지로 나뉜다. 배려적 창의성 함양을 위한 교육 모형을 개발하기 위해서 배려와 배려적 사고, 창의성, 구성주의 교육, 사고력 교육 등의 주제에 대한 이론연구 등 문헌연구를 하였다. 문헌연구는 국회도서관과 국내외 논문 검색 사이트를 이용하여 철학과 윤리학, 국어학, 사회학, 과학 등 여러 분야의 문헌에 대해 연구하였다. 그 결과 배려적 사고력과 창의적 사고력을 함양할 수 있는 디자인 탐구협동학습 모델을 개발하였다. 디자인 탐구협동학습이란 배려적 창의성 함양을 위해 개발한 교육 모델로 구성주의 교육과 탐구공동체의 특성을 함께 가진다. 디자인 탐구협동학습은 크게 ‘사고과정’과 ‘표현과정’의 두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사고과정’에서는 대화와 토론을 통해 상대방의 의견을 경청하면서 학습자의 실생활과 연계된 디자인 개념과 문제들을 함께 탐색하고 추론하며 배움의 공동체 활동으로 배려적 사고력, 창의적 사고력을 함양한다. 또한 ‘표현과정’에서는 ‘사고과정’에서 도출된 것을 심화시켜 디자인 결과물로 표현한다. 이는 텍스트(TEXT)제공, 질문 만들기(ASK), 탐색과 조사(SEEK), 쟁점 토론(PICK), 연습(PRACTICE), 시각화(VISUALIZE) 6단계로 이루어진다. 개발한 교육모델을 통한 배려적 창의성 함양을 검증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배려적 창의성 검사와 평가지, 그리고 교사 관찰 척도를 구안하여 연구도구로 사용하였다. 실험연구에서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려적 창의성 함양을 위해 연구자가 개발한 교육 모형인 디자인 탐구협동학습 과정에서 배려적 창의성은 어떻게 나타나는지 둘째, 배려적 창의성 함양을 위해 개발된 디자인 탐구협동학습 모형이 학습자의 배려적 창의성 함양에 영향을 미치는지 셋째, 디자인 탐구 협동학습 후 학습자의 사고에는 어떤 변화가 있는지 등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O 초등학교 5학년과 6학년에서 편의 표집한 학생 50명이다. 2012년 5월에 예비조사를 시작으로 연구자가 개발한 교수?학습 모델로 2012년 11월 5일부터 12월14일까지 6주 동안 사전 검사와 4차시 시범 수업을 직접 실시하였고, 4차시 수업 후 심화 면담을 실시하여 학생들의 반응과 만족도 검사를 하였다. 수업과 주요한 활동은 카메라와 비디오 카메라로 촬영한 후 분석하였다. 수업은 텍스트(TEXT)제공, 질문 만들기(ASK), 탐색과 관찰(SEEK), 쟁점 토론(PICK), 연습(PRACTICE), 시각화(VISUALIZE) 순으로 실시되었고 협동과 탐구를 바탕으로 학습자들 스스로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창의성과, 공감과 의사소통을 바탕으로 모두가 참여할 수 있는 활동이 되도록 배려를 강조하였다. 첫 번째 문제인 디자인 수업 중 배려적 창의성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디자인 탐구 협동학습을 하는 동안 주요한 활동을 촬영한 후, 학습자에게서 나타난 배려적 사고의 특성, 그리고 수업 진행에 따른 사고의 변화를 질적으로 분석하였으며 토론 중 전개된 학습자 상호간의 작용과 교사와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을 살펴보았다. 두 번째 연구문제인 디자인 탐구협동학습 모델이 학습자의 배려적 창의성 함양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세 가지의 분석이 수행되었다. 첫째, 디자인 탐구협동학습을 한 학생들의 수업을 실시하기 전과 후의 배려적 창의성 검사의 점수 결과를 비교하였다. 사전 검사에서는 4점 척도로 평소 자신의 배려적 창의성을 평가할 수 있는 설문지에 답하게 하였고, 4차시 수업 후에는 마찬가지로 자기 성찰지를 통해4점 척도로 된 배려적 창의성에 관한 문항을 스스로 평가하도록 하여 이를 비교하였다. 둘째, 디자인 탐구협동학습으로 수업을 진행한 학습자의 배려적 창의성의 함양 유무를 알아보기 위하여 집단간 배려적 사고 수행 능력을 비교하였다. 디자인 탐구 협동학습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기존의 디자인 수업을 받은 통제집단의 학습자들에게 비교적 짧은 시간에 해낼 수 있는 동일한 과제를 주고, 수행과정을 관찰 후 비교하였다. 셋째, 4차시 수업 후 디자인 탐구협동학습을 실시했던 학습자 11명을 무작위로 선발하여 심층 면접(Depth interview)을 실시하였다. 또래 관계를 중시하는 학습자들의 연령에 따른 특성상 상황에 따라 집단 면접(group interview)과 일대 일 면접(In?depth interview)을 같이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연구 문제 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디자인 탐구협동학습에 참여한 학습자들은 수업이 진행될수록 배려적 창의성을 나타내는 어휘나 행동의 횟수가 더 많이 보였다. 특히 기존의 학교 수업에서 ‘잘 그리지 못해’ 스스로 미술과 디자인 수업에서 소외되었던 학생들의 참여도가 눈에 띌 정도로 높아졌다. 둘째, 디자인 탐구협동학습 유무에 따라 학습자의 배려적 창의성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려적 창의성의 수업 실시 전과 후의 자기 성찰 검사 결과, 사전 검사보다 사후 검사에서 배려적 사고와 책임감이 증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교사의 관찰을 통한 결과 분석에서는 학습자의 배려적 사고뿐 아니라 문제해결력, 그리고 다른 부분에서도 의미있는 변화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4차시 수업이라는 단기간 동안의 변화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차후 후속연구에서 꾸준하게 수업이 진행된다면 보다 더 의미있는 결과가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셋째, 디자인 탐구협동학습의 유무에 따라 학습자의 배려적 창의성 수행능력이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실험 집단의 학습자들이 통제 집단의 학습자들보다 더 적극적이면서도 대상에 대한 배려적 사고를 더 많이 나타내었다. 심화 면접에서 디자인 탐구협동학습을 실시한 학습자들은 기존의 학습에 비해 만족도가 높았다고 밝혔다. 특히 기존의 학교 수업에서 결과물로만 평가 받던 방식에서 벗어나 그림을 잘 그리지 못해도 다른 방식으로 자신들의 아이디어를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다는 사실에 학습자들이 가장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사후 검사에서 나타난 학습자들의 디자인에 대한 긍정적 의식 변화와도 그 맥락을 같이 한다. 결론적으로 디자인 탐구협동학습은 배려적 창의성 함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자인 탐구협동학습을 통하여 학습자는 디자인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로 보다 주체적이고 능동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디자인 사고과정과 실습과정에서 타인의 의견을 존중하고 배려를 실천하는 행동을 함으로써,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배려적 창의성이 함양되었음을 확인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design education method of ‘inquiry community based design learning model’ to improve ‘caring creativity’ that can enhance both caring thinking and creativity. Caring creativity in this study is defined as ‘creativity based on caring thinking’ which can be nurtured with design class. Caring creativity, which is based on caring for self and others, finds and solves problems with good communication based on understanding and sympathy with other’s feeling and thinking. Inquiry community based design learning is an educational model that was developed for improving caring creativity. It has both characteristics of constructivism education and Lipman’s community of inquiry. Students can improve caring thinking and creative thinking with design inquiry community by inquiring meaningful concepts of design through listening to each other during discussion and debate. Students can explore their knowledge of caring creativity in their personal experience and in real life. In this study, the author searched for literatures and also performed an experiment. To develop an educational model of improving caring creativity, literatures on caring thinking, creativity, and constructivism have been searched. To explore the efficiency of the educational model, new methods of the evaluation and examination on caring creativity, and the observation scale for teachers have been developed by the author.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the inquiry community based design learning model to improve caring creativity was developed. Inquiry community based design learning consisted of providing text(TEXT), making questions(ASK), explore(SEEK), debate(PICK), practice, and visualization in order. ‘Creativity’ based teamwork and exploration that encouraged students to find and solve problems by them, and ‘caring’ based on sympathy and communication that encouraged all the students to be involved were emphasized during the classes. It has both characteristics of constructivism education and Lipman’s community of inquiry. The author evaluated how caring creativity appears during inquiry community based design learning; whether inquiry community based design learning affect students’ caring creativity; and changes in thinking after inquiry community based design learning. A total of fifty students who were in 5th and 6th year from a primary school in Seoul, Korea were enrolled for this study. A preliminary study was performed in May 2012. Pretest and four classes of inquiry community based design learning were performed for 6 weeks by the author during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y (November 5 to December 14, 2012). Classes and major activities were recorded by camera and video, which were analyzed later. To evaluate how caring creativity appeared during inquiry community based design learning, the characteristics of caring thinking in students and changes in thinking were analyzed after recording major activities during the classes. The interactions among students and the interactions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during discussion were analyzed as well. To evaluate whether inquiry community based design learning affect students’ caring creativity, the analyses were performed in three ways. First, the scores of caring creativity from students were compared before and after the inquiry community based design learning. The survey was performed in a 4?scale questionnaire on caring creativity. Students completed the questionnaire by themselves before the class and after four classes of the inquiry community based design learning. Second, the performance indexes of caring creativity between groups were compared to evaluate whether caring creativity of the students was improved.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group took a course of the inquiry community based design learning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group took a conventional design classes as a control. After giving same tasks which could be done in a relatively short period, the performance indexes of caring creativity between the groups were compared. Third, eleven students who took a course of the inquiry community based design learning were randomly recruited for a depth interview. Individual and group interviews were performed because they were in ages that cared peer relationship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inquiry community based design learning showed increased frequency of ‘using words’ or ‘performances’ that could reflect caring creativity class by class. Especially those who were neglected or did not actively participate because they ‘could not draw picture well’ in the conventional design classes showed remarkable active participation in the classes. Second, the scores of caring creativity improved by the inquiry community based design learning. Caring thinking and responsibility were improved after the inquiry community based design learning. The spirit of teamwork, the drive, and problem?solving ability were not changed. The performance indexes of caring creativity were better in the group that took a course of the inquiry community based design learning than in control group. Those who took a course of the inquiry community based design learning showed more active participation and caring thinking for the subject. In depth interview, students showed more satisfaction on the classes of the inquiry community based design learning than the conventional design classes. Especially students showed remarkable satisfaction on that they can express their ideas freely in a different way although they could not draw picture well. Previously they were evaluated by the products such as drawings in the conventional design classes. Interestingly, students showed a change of mind toward positive attitude on design after the inquiry community based learning. In conclusion, the inquiry community based design learning improved caring creativity. Students not only could solve problems more independently and actively but also they respected other’s opinion and cared for others, which confirmed the improvement of caring creativity with the inquiry community based design learning.

      • 초등 통합영어(English-Language Arts) 교육과정 개발 연구 : 4학년 체육교과와 영어의 통합을 중심으로

        정유정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55

        국제어로서 영어의 중요성에 비해 현재 초등학교 영어 교육 상황을 보면 7차 교육과정에서 영어교과목 시수가 3, 4학년이 주당 1시간, 5, 6학년이 주당 2시간으로 정해져 있어 영어교육 시간이 턱없이 부족하다. 따라서 학교 영어교육은, 교실에서의 영어수업을 통하여 아이들이 다른 교과목에서도 영어를 부담 없이 적용하고 이를 확장하여 일상생활에서도 상황 변화에 맞추어 자연스럽게 영어를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Not How to Help, but How to Support) 교수방법 및 교수환경을 마련하는 &#985168;질적인 향상&#985169;을 추구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영어교육의 질적인 향상을 위하여, 학생들이 교과목의 경계 없이 신체활동과 음악적 활동 등을 통하여 다양한 학교 수업에서 재미있고 자연스럽게 영어를 접할 수 있게 하는 English-Language Arts(통합영어, 이하 ELAs로 표기함) 교육과정, 즉 영어와 타 교과 통합 교육과정을 개발하려 한다. 연구대상 및 범위는 다양한 과목 및 교육활동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초등학교 교육과정이 ELAs를 적용하기에 가장 적합하고 큰 효과가 기대되므로 초등학교 교과를 중심으로 하였다. 대상은 초등학교 4학년으로 하여, 초등학교 3학년 때 영어를 정식교과로 배우기 시작하고 1년 동안 영어의 기초를 닦은 후에 타 교과에서 영어를 접하도록 하였다. 대상 교과는 다양한 신체활동, 표현 활동, 게임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 활동 중심의 체육 교과로 하였다. 체육 교과는 영어와 통합하여 음악을 듣고 표현하기, 다양한 신체 움직임, 영어 듣기와 말하기 연습 등 영어로 다양한 내용을 경험할 수 있고, 교사의 영어 지시가 즉시 행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자연스럽게 The Total Physical Response Method(전신반응교수법, 이하 TPR로 표기함) 학습 모형이 적용되어 어린이들의 듣기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본 연구자는 먼저 영어교육에서 LAs의 정의와 교육과정 통합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재정립하고, 통합영어(ELAs)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이론적인 토대를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초등학교 학습자의 특성과 초등영어 교육의 특징을 살펴보고 초등영어교육에서의 통합영어(ELAs)의 필요성과 영어와 체육 교과와의 통합의 유용성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영어와 예체능 교과의 통합이 학생의 흥미 중심의 통합, 경험 중심의 통합, 공통 요소를 연결하는 간학문적(interdisciplinary) 통합이라는 점에서 간학문적 통합 방법을 취하고 있는 Jacobs(1989)의 통합교육과정 개발 절차를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수정하여 통합영어(ELAs) 교육과정을 개발하게 되었다. 개발된 ELAs 교육과정은 먼저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정규 교육과정의 교과 수업 진도를 진행하면서 학생들의 영어 사용 기회가 확대되어 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둘째,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목표를 설정하여 목표 달성 정도를 7단계에서 평가하도록 하였다. 셋째,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으로 영어과 체육과 간의 공통된 내용을 연계할 수 있는 주제를 선정한 후, 주제 망 구성을 통해 학생들의 아이디어와 의견을 수렴하였다. 넷째, 학생 수준에 맞는 언어수준과 4가지 언어기능(말하기, 읽기, 듣기, 쓰기)을 포함하는 교수-학습 활동을 수업에 적용한 수업 모형, 수업지도안을 설계하였다.

      • 법률비서의 역량 중요도에 관한 연구

        정유정 이화여자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55

        다가오는 법률시장 개방에 따른 외국법률회사의 등장과 법률서비스 시장의 국제화, 대규모화로 법률비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법률비서의 역량이 중요해지고 있다. 또한 업무도 분야별로 전문화되어 가고 있기에, 법률비서의 업무에 따른 역량과 역량개발이 필요하다. 그러나, 지금까지 법률비서의 역량에 대한 정확한 개념이 정립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세부적이고 구체적인 업무에 따른 역량과 직무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미국의 전문직으로 인식되는 법률비서의 역량을 바탕으로 국내 법률비서에 대한 각 역량요소에 따른 중요도를 알아보고, 세부적으로 업무에 따라 역량 중요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 연구는 법률비서의 핵심역량을 직업적 역량과 내면적 역량으로 나누어 각 역량요소 중요도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법률비서의 역량 중요도를 파악함으로써, 현재 그들에게 필요한 역량요소를 알 수 있고, 더 향상된 법률비서 능력의 중요성을 인지시킬 수 있다. 또한 로펌 비서업무에 있어 자문업무와 송무업무에 따른 차이점을 비교함으로써 개인이 타고난 내면적 역량에 차이가 있는지, 직무에 따라 개발 가능한 직업적 역량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이 연구의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법률비서들의 각 역량요소 중요도를 알아본 결과, 법률비서에게는 전화응대, 사건 파일 및 서류를 자료실의 체계적 보관, 상사와의 스케쥴 관리, 고객이나 법원에 제출되는 법률적 서류 접수 및 우편, 팩스발송 업무의 순서로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법률비서의 기술 요소의 중요도는 기본적인 듣기 능력, 문서 커뮤니케이션 능력, 구두 커뮤니케이션 능력, 조정 및 협력능력의 순서로 나타났다. 하지만 의사결정이나 판단 또는 학습전략과 같은 개인의 능력활용이나 책임 능력이 상대적으로 중요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법률비서에게 필요한 지식요소는 사무지식, 고객서비스지식, 영어지식, 컴퓨터 및 사무전자기기 지식을 습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지만, 법률적 지식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중요도를 보이고 있다. 법률비서의 직업성격유형은 O*NET에 나타난 직업성격유형 6가지, 사무형, 사업형, 탐구형, 사회형, 예술형, 현장형 중에서 비서직을 포함하여 사무직군을 나타내는 사무형이 직업성격유형에 가장 가까웠다. 그 다음으로 사회형, 현장형, 탐구형, 사업형 마지막으로 예술형이었다. 법률비서는 상사에 대한 업무지원이 직업에 대한 가치에 있어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담당 변호사의 업무를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업무를 지원하는 것이 법률비서에게 가장 중요하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법률비서가 다른 일반 비서와는 달리 2~3명의 팀제로 일하고 있기에 팀에 소속된 상사와 동료비서와의 관계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법률비서의 직업에 대한 안정성과 사회적인 측면에서는 인정이 중요햐게 나타나고 있다. 법률비서들은 업무 특성 상, 법적 기밀문서를 다루고 있기에 어떤 다른 직무보다 세심함과 신뢰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또한 시간을 준수해야 하는 업무가 많아 일에 대한 압박을 잘 견딜 수 있도록 자기통제도 필요하고, 인내심도 길러야 한다. 그러나 법률비서는 일에 대한 진취성이나 창의성, 일에 대한 성취감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고 있다. 법률비서는 인간관계, 즉 담당 상사, 고객, 동료비서들과의 관계가 일을 하는데 있어 동기부여 된다. 또한 직업에 대한 안정성과 보상이 다른 일반 비서들에 비해 동기부여되어 법률비서들의 재직기간이 길어지고 있다 또한 법률비서들은 직무를 수행하는 빈도와 중요도에 차이가 있음을 보였다. 즉, 법률과 관련된 서류 작성이나 사건 파일 기록 및 보관과 같은 업무는 빈도에 비해 중요도가 더 높고, 일반적인 전화응대, 문서 복사 및 제본, 사무 메모나 작성과 같은 단순업무는 빈도는 높지만 중요도는 높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다. 법률비서들은 업무에 따라 송무부 비서와 자문부 비서들의 직업적 역량과 내면적 역량에 차이가 있다고 보였다. 특히 내면적 역량인 직업성격유형, 직업가치, 직업태도, 직업에 대한 동기부여 중요도보다는 직업적 역량 요소인 직무, 기술, 지식에 있어 차이가 있다고 보였다. 이는 송무부 비서와 자문부 비서에게 있어 업무에 따라 직무가 틀리고, 직무가 다르다 보니 거기에 요구되는 기술이나 지식도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송무부 비서는 재판과 소송에 관련된 소환장, 고소장, 명령신청과 같은 법적 문서 및 서류 준비 및 작성 업무를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반면, 자문부 비서는 기업의 계약서 및 자문을 담당하는 담당 상사의 업무에 따라 클라이언트 관리와 관련된 상사의 스케쥴관리, 기업에 대한 리서치 및 정보수집 사무 메모를 중요시 하고 있다. 자문부 비서는 재판을 담당하는 송무부 비서들에 비해 담당 변호사와 접촉하는 시간이 많고, 그로 인해 상사의 시간관리 능력이나 스케쥴 관리가 중요하다. 국내 재판이나 소송 업무와는 다르게 외국 고객이 많은 자문부 비서들은 영문서 작성이나 영어 번역 업무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그에 따른 영어지식이 송무부 비서에 비해 많이 중요하다. 직무에 따라 지식요소에도 차이가 있으며, 영어뿐 아니라 기업에 대한 기사 스크랩을 통해 대중매체 미디어 지식과 커뮤니케이션 지식이 더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송무부와 자문부 비서 모두 담당 변호사들의 업무를 지원하는데 높은 가치를 두고 있으며, 특히 송무부 비서가 자문부 비서에 비해 업무지원에 대한 가치가 높게 나타났다. 법률비서들은 성실성을 중요시하며, 특히 업무에 대한 세심함과 상사와 동료와의 신뢰감이 직업태도에 있어 중요하다. 조직 및 업무의 특성상 정해진 시간 안에 긴급히 처리해야 하는 일이 많기 때문에 신속성과 중요한 법적 서류들을 다루는 일이 많기 법원서류와 법률문서 준비에 있어 세부사항까지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특히 고객과의 약속 및 마감시간, 법정 기일과 등의 정확한 일정 기입 및 관리가 요구된다. 이 연구는 법률비서에 대한 역량 중요도를 일반 비서와의 역량과 차별화하여 미국 직업분류체계인 O*NET에 기초한 역량을 사용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앞으로 미국 법률비서와 한국 법률비서의 차이점을 분석하여 한국 법률비서에게 필요로 하는 역량을 알아보는 데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지금까지 법률비서에 대한 연구 논문이 있었지만, 역량요소 중요도에 대한 논문이나 특정 업무에 대한 상세하고 구체적인 역량에 대한 연구가 없었기에 구체적인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유용한 지침서를 제공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Recently with the rapid change and diversification of social structure internationalization of the legal service market, and especially with the increase in the legal profession, legal secretaries of the advanced level are required as well as legal officials and assistants. The legal secretarial occupation has been a major area of specialization in the general secretarial field. However, the job as a professional is far from being systematical, such as analyzing specific competencies according to each work as can be found in the United Stat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professional competencies including task, knowledge, skills and personal competencies including interest, work value, attitude, motive and to conduct a competence importance of legal secretaries. For these purposes, we analyzed domestic and foreign cases, and derived seven competencies (task, knowledge, skills, interest, work values, attitude, motive) required to legal secretary. This study surveyed the each competency importance of legal secretary in Korea based on legal secretary’s competency as stated above O*NET recognized by professionals in United States. In addition, this was conducted to know how competency importance is different between advice and litigation according to each work. In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was prepared by O*NET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conducted questionnaires survey of 160 legal secretaries living in big lawfirm over 50 attorney but 129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recovered 80.6% of distributed questionnaires. Actually, 126 questionnaires were only have been analyzed by using statistics program package, SPSS12.0 for Window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T-test to analyze between advice and litigation.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summaries as follows: First, it is important for legal secretary to receive and place telephone calls, organize and maintain law libraries, documents and case files, make photocopies of correspondence, documents and other printed matter, draft and type office memos, complete various forms such as accident reports, trial and courtroom requests and applications for clients, submit articles and information from searches to attorneys for review and approval for use. It is also important for legal secretary to basic communication including reading comprehension, to adjust actions in relation to others’ actions and time management. They have recognized it is important to be clerical, that is knowledge of administrative and clerical procedures and systems such as work processing, managing files and records, stenography and transcription, designing forms and other office procedures and terminology. Further more, they considered it is most important ‘integrity’ including honest and ethical and ‘support’ to offer supportive management that stands behind employees. Corresponding needs are company policies, supervision: Human Relation and Supervision: Technical. Second, task competency in legal secretary has a different between importance and frequency. Though task needs high frequency, the importance could be high. Especially, the frequency to be high appeared to receive and place telephone calls, organize and maintain documents and case files and make photocopies of correspondence, documents and other printed matter in comparison with importance. Third, professional competency in legal secretary has a difference between advisory and litigation. The competency of task, knowledge and skill in advisory work is more important to receive and place telephone calls, mail, fax or arrange for delivery of legal correspondence to clients, witnesses and court officials, prepare and process legal documents and papers, such as summonses, subpoenas, complaints, appeals, motions and pretrial agreements on task, manage time on skill, to use foreign language and know communications and media on knowledge than litigation work. Especially there is little difference in personal competenc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erived and proposed four tasks to be promoted as a part of national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 the future: Establish national standard and visions for competencies in legal secretary, Provide training opportunities for development of competency in legal secretaries, Develop and offer competency development programs for legal secretaries and Build a network and a support system among lifelong education trai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