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CBM기반 실내 공간 유지관리 시스템 개발

        정유석(Yoo-Seok Jung),강태욱(Tae-Wook Ka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3

        협업과 소통하는 업무 분위기가 중시되면서 개방형 사무실이나 공유사무실이 나타나고 있다. 기존에는 사용자가 공간 유지보수의 주체가 되었으나 정해진 자리가 없어지면서 실내공간의 유지관리가 어렵게 되었다. ICBM 프레임워크를 활용한다면 실내 공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공간유지보수에 활용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ICBM(Internet of Things, Cloud, Big Data, Mobile) 기반의 프레임워크를 제안하고 이를 활용한 실내공간 유지관리 시스템의 가능성을 검토 하였다.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기술을 이용하여 실내의 온도, 상대습도, 재실 여부, 밝기를 지속적으로 측정하고 WiFi를 통해 Web API 에 제공한다. 온습도센서, 조도센서, 초음파 거리센서와 와이파이 모듈로 구성된 IoT 디바이스를 설계하고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였다. IoT를 통해 자동으로 취득된 데이터와 기존 유지보수 데이터, 공간정보가 Cloud(클라우드)를 통해 통합된다. 센서로 수집한 Big Data(빅데이터)는 유지보수용으로 의미 있는 공간 정보로 가공할 수 있을 것이다. 실내 공간 정보 및 유지관리 사항을 모바일(Mobile)을 통해 관리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결과, 사용된 초음파센서의 측정범위 한계로 인해 재실여부의 파악은 제한적이었다. 하지만 밝기 정보는 공간의 활용 행태를 충분히 나타내어, 조명의 켜짐/꺼짐여부와 주말, 주중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온도와 상대습도 정보 또한 안정적으로 수집되어 공간의 쾌적성을 평가할 수 있었다. An open office or a shared office is emerging as the emphasis on the collaborative and communicative work environments is increasing. In the past, the user maintained the space, but the maintenance of indoor space became difficult because there is no fixed user. Indoor space information can be collected using the ICBM framework system. The facility management can achieve this with data.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a framework based on ICBM (Internet of Things, Cloud, Big Data, and Mobile) for verifying the possibility of a smart facility management system for indoor space. IoT (Internet of Things) technology was used to measure the indoor temperature, humidity, occupancy, and brightness continuously, and provided the data to Web API via WiFi. Data acquired automatically via IoT, existing maintenance data, and spatial information were integrated through the Cloud. Big data collected by sensors were processed as meaningful spatial information for maintenance. Indoor space information and maintenance information can be delivered to the manager through the mobile. Based on the collected data, room occupancy recognition is limited due to a range of ultrasonic wave sensors. On the other hand, brightness represents the space conditions. The difference between lighting on/off, weekday and weekend can be shown. The temperature data and the relative humidity data were collected steadily to evaluate the comfort.

      • KCI등재

        비타민 D와 만성 질환과의 관련성

        정유석(Yoo-Seok Chung),유병욱(Byung-Wook Yoo),오정은(Jung-Eun Oh),이덕철(Duk-Chul Lee),이홍수(Hong-Soo Lee),조주연(Choo-Yon Cho)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10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11 No.2

        Background: Vitamin D deficiency is prevalent worldwide, not only in patients with osteoporosis but also in normal adults. Because the situation is especially severe in Korea. So, we take a look at the degree of vitamin D deficiency in Korea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hronic diseases which are common in primary care and vitamin D level. Methods: 200 patients above the age of 20, who were admitted to the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at Soonchunhyang University from June of 2009 to May of 2010 were chosen. Questionnaires regarding the patients' drug history and afflicted disease and the average serum 25-hydroxyvitamin D, 1,25-dihydroxyvitamin D levels were obtained and we looked into their relationships to the diagnosed chronic disease or possessed chronic disease such as like diabetes, hypertension, osteoporosis, hyperlipidemia. Results: In our study a serum 25(OH)D level lower than 80 nmol/dL (32 ng/mL) was considered vit D deficient. 127 patients (63.5%) were deficient in vit D and 126 patients (73%) were beyond adequacy. The serum 25(OH)D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total cholesterol (P=0.01), triglyceride (P=0.049), High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P=0.001), and Low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P=0.007). The serum 1,25(OH)₂D₃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with Triglyceride (0.018). The serum 25(OH)D level was not shown any significant effect by Fasting plasma glucose, HbA1c,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High density lipoprotein, Low density lipoprotein. The serum 25(OH)D showed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presence of existing diseases as diabetes, hypertension, hyperlipidemia, osteoporosis or newly diagnosed as same above at admitted. also, the serum 1,25 (OH)₂D₃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 presence of existing diseases as diabetes, hypertension, hyperlipidemia, osteoporosis or newly diagnosed as same above at admitted. Preexisting treatment history or newly diagnosed at admission of diabetes (P=0.003) and hypertension (P=0.009) showed a significant inversely proportional correlation to the serum 1,25 (OH)₂D₃ level and of hyperlipidemia showed a significant directly proportional relationship to the serum 1,25 (OH)₂D₃ level (P=0.008). Conclusion: About a two-thirds of those surveyed is found to have vitamin D deficiency. Vitamin D, in addition to its role in bone metabolism, seems to have an effect on the genesis of hypertension and diabetes. So, it is considered that a further prospective study on the clinical usefulness of vitamin D will be needed for chronic diseases increases due to the increase of the elderly population. 연구배경: 본 연구는 전 세계적으로 비타민 D 영양 상태가 골다공증 환자뿐만 아니라 정상 성인에서도 불충분하고, 우리나라의 비타민 D 불충분은 특히 심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비타민 D 불충분의 정도와 일차의료 현장에서 접할 수 있는 만성 질환과 비타민 D 혈중 수준과의 연관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방법: 2009년 6월부터 2010년 5월까지 순천향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에 입원한 20세 이상의 200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입원 환자들에게 설문지를 통해 과거 병력 및 약물복용력 등을 조사하였고, 혈청 25-hydroxyvitamin D, 1,25-dihydroxyvitamin D 등을 측정하여 평균을 구하였으며 과거 병력 중 당뇨병, 고혈압, 골다공증, 고지혈증의 만성 질환이 있거나 만성 질환을 진단받은 경우와 비타민 D의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결과: 본 연구에서 혈청 25(OH)D 농도가 80 nmol/dL (32 ng/mL) 이하일 때 비타민 D 불충분으로 봤을 경우 200명의 입원 환자 중 63.5%인 127명이 비타민 D 불충분으로 나타났고, 적정도(Adequacy)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는 126명(73%)인 것으로 나타났다. 혈청25(OH)D의 경우 총콜레스테롤(P=0.01), 중성지방(P=0.049), 고밀도콜레스테롤(P=0.001), 저밀도콜레스테로(P=0.007)와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25(OH)₂D₃와 중성지방은 유의미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P=0.018). 공복 혈당(Fasting plasma glucose), 당화혈색소(HbA1c), 총 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중성지방(Triglyceride), 고밀도 콜레스테롤(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저밀도 콜레스테롤(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은 혈청 25(OH)D 농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혈청 25(OH)D의 경우 만성 질환인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골다공증의 과거 병력이 있거나 입원 시 진단 받은 경우에 있어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25(OH)₂D₃의 경우 당뇨병, 고혈압의 과거력이 있거나 입원 시 진단 받은 경우와 유의미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골다공증은 혈청 25(OH)D에 의미있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뇨병(P=0.003), 고혈압(P=0.009)으로 치료를 받았거나 새로 진단 받은 경우 1,25(OH)₂D₃ 농도에 반비례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고지혈증(P=0.008)의 경우에서는 1,25(OH)₂D₃ 농도에 비례하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결론: 조사대상자의 약 2/3에서 비타민 D 부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비타민 D는 골대사와 관련된 역할 이외에 고혈압과 당뇨 발생에 있어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이며, 향후 노인 인구증가에 따른 만성 질환의 증가와 함께 비타민 D 사용의 임상적인 유용성에 대한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Multi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PCR)법을 이용한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enterica subsp., Vibrio parahaemolyticus의 다중동시검출

        정유석(Yoo Seok Jeong),정희경(Hee Kyoung Jung),전원배(Won-Bae Jeon),서화정(Hwa-Jung Seo),홍주헌(Joo-Heon H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9 No.4

        본 연구는 국내 주요 식중독 원인균인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enterica subsp., Vibrio parahaemolyticus를 동시에 검출 및 동정할 수 있는 simultaneous multiplex PCR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S. aureus의 23s rRNA 유전자(482 bp), V. Parahaemolyticus의 toxR 유전자(368 bp), S. enterica subsp.의 invA 유전자(284 bp)를 특이적으로 검출 및 동정할 수 있는 3개 primer set 즉, STA-5F/STA-5R, ToxR-F/ToxR-R, 139/141을 구축하였으며, 그 결과 정제되어진 각 식중독 원인균의 genomic DNA를 template로 하여 세 균주 모두 10 pg까지 다중동시 검출이 가능하였다. 생균수(CFU)와 상응되는 검출한계 결과로써 10¹~10² CFU/reaction의 검출한계를 보였으며 이는 즉, S. aureus 6.0×10⁴ CFU/mL, S. enterica subsp. 9.5×10⁴ CFU/mL, V. parahaemolyticus 6.1×10? CFU/mL의 검출한계를 나타내었다. 균체회수부터 agarose gel 상에서 검출 및 동정까지 3~4 hr의 시간 소요로 single tube 반응으로 세식중독 원인균의 다중동시검출이 가능하였다. 또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하여 세 식중독 원인균주의 검출을 위한 향상된 민감도를 가지는 multiplex PCR법 및 real time PCR을 이용한 다중동시검출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 가능할 것이라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ct and identify Staphylococcus aureus, Vibrio parahaemolyticus, and Salmonella enterica subsp. using simultaneous multi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 (multiplex PCR) assay. 23S rRNA partial gene (S. aureus), tox R gene (V. parahaemolyticus), and inv A gene (S. enterica subsp.) as diagnostic marker gene were suggested, and their amplicon sizes were 482 bp, 368 bp, and 284 bp, respectively. Non specific amplicons by STA-5F/STA-5R primer, ToxR-F/ToxR-R primer, and 139/141 primer were not observed in genomic DNA of pathogen bacteria as Bacillus cereus, Listeria monocytogenes, Escherichia coli, Proteus vulgaris, Streptococcus pyogenes, Candida albicans, and Shigella sonnei. The extracted crude DNA of targeted bacteria was detected as PCR template successfully. The detection limits were 10<SUP>5</SUP>~10<SUP>4</SUP> CFU/mL and 10 pg of purified genomic DNA of S. aureus, V. parahaemolyticus, and S. enterica subsp. by using simultaneous multiplex PCR.

      • KCI등재

        비파엽(Eriobotrya japonica Lindl.) 열수추출물의 생리활성

        정유석(Yoo-Seok Jeong),정희경(Hee-Kyoung Jung),윤광섭(Kwang-Sup Youn),김명옥(Myoung-Ok Kim),홍주헌(Joo-Heon H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8 No.8

        비파엽 열수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성과 항히스타민 및 항염증 효과를 조사하였다. 비파엽 열수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28.91±2.1 ㎎/g,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0.54±4.6 ㎎/g으로 분석되었다. 전자공여능은 400 ㎍/mL에서 81.04±1.55%로 가장 높았으며,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1.2(49.52±1.04~72.52±0.84%)> pH 4.2(35.28±0.78~51.20±1.10%)> pH 6.0(27.90±0.36~32.26±1.20%) 순으로 pH가 낮을수록 비파엽 열수추출물 농도가 높을수록 높았다. 비파엽 열수추출물 100, 200, 300 μg/mL에서 β-hexosaminidase방출 억제능은 각각 14.58±0.97%, 43.69±0.96%, 95.58±0.75%로 농도에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비파엽 열수추출물을 이용하여 RAW cell을 대상으로 항염증 활성을 조사한 결과,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여 400 ㎍/mL에서 44.35±0.63%를 나타내어 다양한 생리활성을 보여주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physiological activities in the extract of Eriobotrya japonica in order to elevate its utilization as a functional material. The maximum total polyphenol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were 28.91±2.1 ㎎/g and 10.54±4.6 ㎎/g, respectively. The nitrite scavenging abilities at pH 1.2 were in the range of 49.52±1.04~72.52±0.84% whereas they were 35.28±0.78~51.20±1.10% at pH 4.2 and 27.90±0.36 ~32.26±1.20% at pH 6.0. At the concentrations of 100, 200 and 300 ㎍/mL of the hot-water extract, the degranulation of RBL-2H3 cells were inhibited 14.58±0.97%, 43.69±0.96% and 95.58±0.75%, respectively. The anti-inflammation activity was the highest as 44.35±0.63% at a concentration of 400 ㎍/mL.

      • KCI등재

        연구노트 : 오미자와 뽕잎 추출물이 glucose 에 의해 유도된 HIT-T15 세포의 인슐린 분비능에 미치는 영향

        정유석 ( Yoo Seok Jeong ),홍주헌 ( Joo Heon Hong ),정희경 ( Hee Kyoung Jung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구 한국농산물저장유통학회) 2011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Vol.18 No.6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Schizandra chinensis fruit and Morus alba leaf on insulin expression in HIT-T15 cells, which is exposed by glucose.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the S. chinensis fruit ethanol extract and the M. alba leaf hot-water extract were 20.11±0.35 mg/g and 50.02±0.62 mg/mL, respectively. The S. chinensis fruit ethanol extract and the M. alba leaf hot-water extract contained 2.85±0.15 and 8.76±0.43 mg/g flavonoids, respectively. The antioxidant ability of the M. alba leaf hot-water extract was found to be superior to that of the S. chinensis fruit ethanol extract. Compared to the HIT-T15-treated 10 mM 2-deoxy-D-glucose, the 100 μg/mL S. chinensis ethanol extract was found to have a two fold increase in insulin productivity. Moreover, the 100 μg/mL M. alba leaf hot-water extract promoted the insulin secretion of high-glucose-damaged HIT-T15 almost ten fold. The above results showed that the S. chinensis fruit ethanol extract and M. alba leaf hot-water extract mayimprove the insulin productivity of the beta cell with glucose-induced oxidative damage. These data suggest that the S. chinensis fruit ethanol extract and the M. alba leaf hot-water extract can be used as food materials for the regulation of insulin secretion.

      • KCI등재후보

        세기조절방사선치료를 시행받은 두경부암 환자군에서 구강건조증지표 분석

        이석호(Seok Ho Lee),김태현(Tae Hyun Kim),지의규(Eui Kyu Chie),임현선(Hyun Shil Im),임은실(En Shil Im),류준선(Jun Sun Ryu),정유석(Yoo Seok Jung),박성용(Sung Yong Park),김주영(Joo Young Kim),표흥렬(Hong Ryull Pyo),신경환(Kyung Hwan Shi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4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2 No.2

        목 적: 세기조절방사선치료 (IMRT) 를 시행받은 두경부암 환자군에서 구강건조증 지표들을 측정시점별로 비교분석 하고 이 지표들과 이하선에 £사된 방사선량과의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03년 2월부터 10월까지 두경부암으로 IMRT를 시행받은 1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IMRT군의 연령은 43-77세(중앙값 57서1) 01 었고, 구강건조증을 평가하는 주관적 지표로서 4항목으로 구성된 구강지표점수 (xerostomia questionnaire score: XQS) 와 객 관적 지 표로서 자극유무에 따른 saliva 의 분비 량(unstimulated & stimulated salivary flow rate: USFR & SSFR) 를 측정하였고, 주관적 그리고 객관적 통합지표로서 LENT SOMA scale(LSC) 을 측정하였다 측정시점은 치료 전, 치료 후 1 개월, 3개월이었다 IMRT 군 내에서 전체 환자군과 전체이하선에 조사된 평균방사선량을 기준으로 나눈 두 군에서의 측정시점에 따른 지표들 간 변화유무를 보았고 나아가 구강건조증지표들과 타액분비량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 과 IMRT 군 전체 13 명 내에서 치료 전과 치료 후 1 개월, 3개월에 측정된 XQS, LSC, USFR &SSFR은 유의한 번 화가 없어 구강건조증의 발현이 관찰되지 않았다. 전체이하선에 조사된 평균선량 3,밍o cGy를 기준으로 환자군을 나누어 보았을 때, 3, 500 cGy 미만 조사받은 8명의 환자군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나 3,500 cGy 이상 조사받 은 5명의 환자군에서는 XQS, LSC, SSFR 그리고 USFRol 유의하게 증가되어 구강건조증의 발련이 관찰되었다- 또 한 각 지표들과 타액분비량 간의 상관관계를 보았을 때 치료 후 1 개월째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 나, 치료 후 3개월째에서 XQS, LSC:가 커질수록 USFR, SSFROI 감소하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 론 본 연구결과 IMRT는 구강건조증을 상당한 정도로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XQS와 LScol 유용한 임상지표로서의 가능성을 보였음을 알 수 있었다 삶의 질을 저하할 정도의 심한 구강건조증을 피하기 위해서는 양측 이하선 전체에 조사되는 평균선량을 가능한 한 3,500 cGy 미만으로 조사되도록 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향후, 충분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전체이하선의 평균선량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결과와 나아가 타액의 분비량을 대신할 수 있는 임상적지표를 선정하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evaluate xerostomia following intensity modulated radiotherapy for patients with head and neck cancer, an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osimetric parameters and xerostomia parameters. .Materials and Methods: From February till October 2003, t3 patients with 3 months of follow-up were evaluated for xerostomia after being treated for head and neck cancer with IMRT. Their median age was 57 years (range: 43 - 771. Xerostomia were assessed with a 4-question xerostomia questionnaire score (XQS) and a test for salivary flow rates (unstimulated and stimulated), The patients were also given a validated LENT SOMA scale (LSC) questionnaire. The evaluations were completed before radiation therapy (pre-RT) and at f and, 3 months after radiation therapy (RTI. We evaluated xerostomia at pre-RT, 1 and, 3 months after RT. The association between the xerostomia parameters (XQS and LSC) and salivary flow rates (unstimulated and stimulated: USFR and SSFR) was assessed at 1 and 3 months after RT. Results: All t3 patient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in XQS, LSe and Salivary How rates. As a result, we couldn't find out about xerostomia development. Based on the total mean parotid dose, 3,500 cGy, we divided these patients into two groups. The 8 patients « 3,500 cGy)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in XQS, LSC and Salivary Flow rates. However, in 5 patients (23,500 cGy),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USFR and, SSFR at 3 months after RT, and for the XQS and, LSC at t and 3 months after RT. The correlation between XQS and, LSC, and USFR and, SSFR in all patients (t 3) was significant at 3 months after RT. The correlation had a tendency to the decrease for USFR and, SSFR In proportion to the Increase of XQS and, LSC.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RT seem to be an effective treatment to significantly decrease the xerostomia. XQS and, LSC seem to be a effective tool for predicting the xerostomia. A total parotid gland mean dose of <3,500 cGy should be a planning goal if substantial sparing of the gland function is desired. Furthermore, patients should be enrolled in a study to define a more accurate threshold dose for the parotid gland.

      • KCI등재

        이미지 기반 실시간 건설 현장 장비 및 작업자 모니터링을 위한 딥러닝 플랫폼 아키텍처 도출

        강태욱,김병곤,정유석,Kang, Tae-Wook,Kim, Byung-Kon,Jung, Yoo-Seok 한국BIM학회 2021 KIBIM Magazine Vol.11 No.2

        Recently, starting with smart construction research, interest in technology that automates construction site management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s increasing. In order to automate construction site management,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objects such as construction equipment or workers, and automatically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For example, if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ers and construction equipment at a construction site can be known, various use cases of site management such as work productivity, equipment operation status monitoring, and safety management can be implemented. This study derives a real-time object detection platform architecture that is required when performing construction site management using deep learning technology, which has recently been increasingly used. To this end, deep learning models that support real-time object detection are investigated and analyzed. Based on this, a deep learning model development process required for real-time construction site object detection is defined. Based on the defined process, a prototype that learns and detects construction site objects is developed, and then platform development considerations and architecture are derived from the results.

      • KCI등재

        진피 에탄올 추출물이 Alloxan에 의해 유도된 HIT-T15 세포의 산화적 손상에 미치는 영향

        정희경(Hee Kyoung Jung),정유석(Yoo Seok Jeong),박치덕(Chi-Deok Park),박창호(Chang-Ho Park),홍주헌(Joo-Heon H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9 No.8

        본 연구는 진피 에탄올 추출물의 alloxan에 의해 유도된 HIT-T15 세포의 산화적 손상으로부터 세포 생존율 및 인슐린분비 조절능에 대해 조사하였다. 진피 에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한 결과, 각각 57.00±2.91 ㎎/g, 8.11±2.83 ㎎/g으로 나타났으며 alloxan 처리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 HIT-T15 세포의 생존율은 감소하였으며, alloxan 11.58 mM에서 약 50%의 세포독성이 일어남을 확인하였다. 동결건조 된 진피 에탄올 추출물(CP-Et) 0.125~0.75 ㎎/mL 농도에서 무처리구의 세포생존율은 100.90±1.51~97.56±0.73%로 나타나 HIT-T15 세포에 대한 CP-Et의 처리 농도는 0.125~0.75 ㎎/mL로 결정하였다. 0.125, 0.25, 0.5 ㎎/mL 농도의 CP-Et를 처리한 결과, alloxan에 의해 유도된 산화적 세포손상으로부터 세포생존율이 각각 80.52±3.29, 74.17±6.75, 67.53±5.8%로 나타나 유의성 있게 보호되어짐을 확인하였다. CP-Et를 처리한 HIT-T15 세포에서는 산화적 손상에 대한 세포 생존율과는 다르게 0.125 ㎎/mL 농도에서 116.93±2.11 ㎍/㎎로 인슐린 분비가 대조구와 비교 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진피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항산화적 방어로 2형 당뇨의 β-cell 양의 감소와 인슐린 저항성에 대한 개선이 가능함을 제시하며, 그 작용 기작에 대해서는 차후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하겠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thanol extract from citrus peels (CP-Et) against the alloxan-induced oxidative damage on HIT-T15, Hamster pancreatic β-cell.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in CP-Et were 57.00±2.91 ㎎/g and 8.11±2.83 ㎎/g, respectively. Cell toxicity on HIT-T15 by CP-Et (0.125~0.75 ㎎/mL) was not observed. CP-Et (0.125 ㎎/mL) increased cell proliferation rate of HIT-T15, which was treated alloxan (IC50=11.58 mM) (cell viability=80.52±3.29% of normal cell, p<0.05). In comparison with insulin secretion of oxidative damaged HIT-T15, 1.5 fold (116.93±2.11 μg/㎎ protein) was increased by treatment CP-Et treatment (0.125 ㎎/mL) in HIT-T15 (p<0.05). These results showed that CP-Et contribute to repairing cells and improvement of insulin expression on oxidative stress pancreatic β-cell, and also suggested application of CP-Et as a functional food material for type 2 diabe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