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성공업지구 확장을 고려한 남북농업협력 방안

        정유석 ( Yoo Suk Jung ),박용한 ( Young Han Park ),김관호 ( Kwan Ho Kim ) 평화문제연구소 2015 統一問題硏究 Vol.27 No.1

        Kaesong Industrial Complex carries a symbolic significance for inter-Korean peace and economic cooperation, while its role in mitigating tension in the peninsula through increasing North-South contact in human and material traffic is also highly meaningful. The growing concern is to secure a support system of sustainable food and material supply to the resident employees at Industrial Complex. If food supply can be procured from collective farms near Kaesung Complex in DPRK, much economic gains through low unit cost and further inter-Korean cooperation can be exp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planned expansion and growth of Industrial Complex, this research explores the possibility of inter-Korean agricultural cooperation in close vicinity of KIC which may also help to improve North Korean agricultural production in general. Inter-Korean agricultural cooperation at collective farms near the Kaesong can restore the current disproportionate ratio between industry and agriculture in North Korea. Furthermore, procuring food materials locally from within the vicinity of the complex will not only benefit the employees and firms of the complex and increase household income in the area, but also become a new opportunity of laying the foundation for peaceful unification through inter-Korean agricultural cooperation project. 개성공업지구는 남북 평화 및 경제지대로서의 상징성을 지니고 있으며 남북한 사이에 인적·물적 왕래로 남북 주민 간 접촉 등을 수반 한다는 점에서 한반도의 긴장을 실질적으로 완화시키는 주요한 의의가 있다. 개성공업지구에는 약 53,500명의 근로자가 종사하고 있으며 그 인원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따라서 개성공업지구에서 근무하고 있는 남북 근로자에 대한 식부자재 공급을 위한 지원체계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개성공업지구 배후 지역의 협동농장에서 식부자재를 공급할 경우 비교적 저렴한 생산원가로 제공하여 경제적 효과와 남북교류협력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개성공업지구의 확대·발전 가능성을 연계하여 북한 농업의 생산성 향상과 남북농업협력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개성공업지구 배후지역의 협동농장을 거점으로 남북농업협력 사업을 전개할 경우 북한의 불균형적인 산업과 농업의 비중을 적절한 수준으로 회복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식부자재를 현지에서 조달하여 배후지역 협동농장 주민의 소득을 증대시키고 개성공업지구 근로자와 입주기업의 먹거리 해결에도 도움이 될 뿐 아니라 남북농업협력사업을 발전시켜 평화통일 기반구축을 위한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김정은의 현지지도와 관광정책

        정유석 ( Jung Yoo Suk ) 평화문제연구소 2016 統一問題硏究 Vol.28 No.2

        집권6년차를 앞둔 김정은은 더욱 본격적으로 북한에 자신만의 색깔을 입히고 있다. 김정은의 현지지도를 분석한 결과 인민들에게 자신의 존재를 충분히 각인시키고 강렬한 이미지를 심어줄 도구로서 관광산업에 주력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김정은은 관광 산업을 통하여 북한 최고 지도자로서의 이미지 형성과 더불어 폐쇄적인국가 이미지 개선을 도모하고 있다. 하지만 무분별한 개발과 체계가 결여된 즉흥적인 사업추진으로 인하여 전시성 사업 추진이라는 한계를 드러냈다고 하겠다. 결국 외국 자본의 유치가 불가능한 지금의 현실에서 북한은 과거 금강산관광과 개성공단건설 사업의 경험을 살려 우리와 협력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판단된다. 관광객 확보와 투자재원마련이 동시에 해결될 수 있으며 남북협력의 또 다른 형식으로 관광사업을 발전시켜 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Entering his fifth year of rule, Kim Jong Un has more rigorously embarked on dressing North Korea with his own color. Kim Jong Un utilizes the tourism industry extensively as his tool to carve his image for his people as a strong leader. His on-the-spot guidance has been concentrated on tourism facilities including leisure and amusement spaces, such as the Masikryong resort. Through the tourism industry, Kim Jong Un seeks to build his own image as a supreme leader of the country while improving the country image of the hermit kingdom. However, ill-considered development and poorly designed impromptu plans have revealed the project as showcase display at best. Also, Kim Jong Un attempted at establishing his own particular system of rule by integrating the tourism construction project with the demagogic catch-phrase of `speed battle` used by his fathers, but it has only resulted in poor construction of the facilities now suffering from its side-effects. Nonetheless, this paper has analyzed the following reasons behind Kim Jong Un`s particular focus on the tourism industry. For North Korea, it is currently impossible to attract foreign capital by itself. But if it builds upon previous economic cooperation projects with South Korea such as the Mount Kumkang tourism and Kaesung Industrial Complex, it may stand a chance at securing tourists and investments from its always willing counterpart in the south.

      • KCI등재

        CPTED를 위한 Way Finding 디자인 융복합 연구

        정유석(Jung, Yu Seok),김형준(Kim, Hyoung Ju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5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1 No.-

        2012년 서울시에서 대표적으로 마포구 염리동 소금길 마을에 범죄예방디자인 시범사업을 시행한 후 전국 각 지방자치단체(이하 지자체)에서 CPTED를 도입한 안전 주택단지 및 환경개선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피해자 중심으로 범죄발생 당시 즉각적인 도움을 주어 문제 상황에 해결법을 제시할 수 있는 정책은 아직까지 미흡하다. 신변을 보호받기 위해선 문제 장소에서 벗어나는 게 중요한데 안전한 장소로 가는 웨이파인딩(Way Finding)을 그 해결책으로 삼고자 한다. 사람들은 일상생활 속에서 대부분 익숙하고 잘 알고 있는 길을 정하여 그 길만 주로 다니려고 한다. 일상적인 활동양상 속에서는 매일 웨이파인딩의 문제점에 직면하지 않는다. 그러나 범죄학 학자 Lawrence Cohen과 Marcus Felson가 말한 일상활동이론(Routine Activity Theory)에서처럼 일상적 활동속에서 갑작스레 범죄의 위험성을 느끼고 그 위험을 회피하기 위한 행동으로 도움을 요청하거나 안전 영역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 사람의 인지능력은 급격히 감소하고 이 때 웨이파인딩의 문제점은 극대화된다. 지금까지 CPTED는 범죄의 실행 중이거나 실행의 우려가 있는 경우, 즉 범죄의 고의를 가지게 된 자의 범행의지를 꺾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범행의지를 불러일으키지 않게 하는 물리적 환경조건 조성에만 국한하지 않고 범행의지가 생겨난 이후 범죄피해자가 생기지 않도록 하는 부분까지 확장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 범죄예방에 디자인적 요소의 융복합을 위해 범죄행위에 대한 회피방안으로써 웨이파인딩 디자인의 필요성을 언급하고, 현재 국내 CPTED 현황을 통해 범죄예방 웨이파인딩 디자인의 미흡함으로 인한 그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결론적으로 현 CPTED만으로는 범죄를 예방하기 어려우며, 예비 범죄피해자를 위해 현재의 위치파악, 안전지역으로 방향성 제시, 시인성 확보를 중점으로 범죄예방 웨이파인딩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After carrying out the pilot project of crime prevention design at Sogeumgil village, Yeomridong, Mapogu, Seoul in 2012, national local governments are implementing safe housing complex and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adopting CPTED. However, it is not sufficient for strategy of escaping criminal crisis to support victims promptly at the time of crime. In order to be guarded safety, it is important to escape the spot of crime, and we are making of the way finding to the safe place as a solution. People tend to go to and from mainly in the accustomed and well-known ways in everyday life. Within daily activity, it can hardly face the problem of way finding. On the contrary, just like the Routine Activity Theory of Lawrence Cohen and Marcus Felson, criminologist, when one feels the dangerous crime suddenly in routine activity, moves to the safe place or requests help, the human cognitive ability declines and the problem of way finding is maximized at that time. In case of committing crime or possibility of it, however, the CPTED has a limitation to prevent crime will of criminal. Therefore, it is necessary not only to make physical condition not committing criminal will, but to have no more victims after criminal will. The research refers to the way finding for the convergence of crime prevention and design as shunning method against criminal act. The research also deduces its necessity because the way finding design is insufficient in present domestic CPTED condition. In conclusion, we suggest the way finding design for the crime prevention that focuses on identifying the current location for victim, directing to safe zone, and securing high visibility because the current CPTED has difficulty to the prevent crime.

      • AREIDS : 적응적인 실시간 침입탐지시스템 평가도구.

        정유석(Yoo-Suk Jung),조성배(Sung-Bae Cho) 한국정보과학회 2001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Ⅰ

        최근 몇 년간에 이루어 진 네트웍 및 인터넷 시장의 발전과 더불어 성정한 시스템에 대한 침입 등은 이를 방어하기 위한 여러 도구의 개발을 가져왔다. 이러한 도구들 중 침입탐지시스템은 시스템 방어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데, 현재까지 이를 평가하기 위한 자동화된 온라인 평가도구는 없는 실정이다. 보안관련 학문 및 시장이 발달한 미국에서는 DARPA의 지원아래 관련된 연구가 진행되어 1998년과 1999년 대규모의 침입탐지시스템 평가가 이루어졌으나, 이때의 평가들은 당시의 침입 수준만을 고려한 것으로 새로운 침입 환경에 대한 확장은 용이하지 않기에, 급속도로 발전하는 침입 기술에 대응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침입 환경에 적응적이며 실시간으로 다량의 침입에 대한 정량적 탐지성능을 측정하고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출력할 수 있는 통계적인 침입탐지 평가도구를 개발한다.

      • KCI등재

        Multi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PCR)법을 이용한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enterica subsp., Vibrio parahaemolyticus의 다중동시검출

        정유석(Yoo Seok Jeong),정희경(Hee Kyoung Jung),전원배(Won-Bae Jeon),서화정(Hwa-Jung Seo),홍주헌(Joo-Heon H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9 No.4

        본 연구는 국내 주요 식중독 원인균인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enterica subsp., Vibrio parahaemolyticus를 동시에 검출 및 동정할 수 있는 simultaneous multiplex PCR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S. aureus의 23s rRNA 유전자(482 bp), V. Parahaemolyticus의 toxR 유전자(368 bp), S. enterica subsp.의 invA 유전자(284 bp)를 특이적으로 검출 및 동정할 수 있는 3개 primer set 즉, STA-5F/STA-5R, ToxR-F/ToxR-R, 139/141을 구축하였으며, 그 결과 정제되어진 각 식중독 원인균의 genomic DNA를 template로 하여 세 균주 모두 10 pg까지 다중동시 검출이 가능하였다. 생균수(CFU)와 상응되는 검출한계 결과로써 10¹~10² CFU/reaction의 검출한계를 보였으며 이는 즉, S. aureus 6.0×10⁴ CFU/mL, S. enterica subsp. 9.5×10⁴ CFU/mL, V. parahaemolyticus 6.1×10? CFU/mL의 검출한계를 나타내었다. 균체회수부터 agarose gel 상에서 검출 및 동정까지 3~4 hr의 시간 소요로 single tube 반응으로 세식중독 원인균의 다중동시검출이 가능하였다. 또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하여 세 식중독 원인균주의 검출을 위한 향상된 민감도를 가지는 multiplex PCR법 및 real time PCR을 이용한 다중동시검출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 가능할 것이라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ct and identify Staphylococcus aureus, Vibrio parahaemolyticus, and Salmonella enterica subsp. using simultaneous multi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 (multiplex PCR) assay. 23S rRNA partial gene (S. aureus), tox R gene (V. parahaemolyticus), and inv A gene (S. enterica subsp.) as diagnostic marker gene were suggested, and their amplicon sizes were 482 bp, 368 bp, and 284 bp, respectively. Non specific amplicons by STA-5F/STA-5R primer, ToxR-F/ToxR-R primer, and 139/141 primer were not observed in genomic DNA of pathogen bacteria as Bacillus cereus, Listeria monocytogenes, Escherichia coli, Proteus vulgaris, Streptococcus pyogenes, Candida albicans, and Shigella sonnei. The extracted crude DNA of targeted bacteria was detected as PCR template successfully. The detection limits were 10<SUP>5</SUP>~10<SUP>4</SUP> CFU/mL and 10 pg of purified genomic DNA of S. aureus, V. parahaemolyticus, and S. enterica subsp. by using simultaneous multiplex PCR.

      • KCI등재

        효율적 차량 검지를 위한 PVDF 압전센서의 사용성 연구

        정유석(YooSeok Jung),오주삼(JuSam Oh)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10

        교통분야에 활용되는 여러 가지 센서 중에서 PVDF(Polyvinylidene fluoride) 압전센서는 차량의 축을 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차종을 분류하여 수집하는 용도로 쓰인다. 압전센서는 주로 도로 포장에 매립하여 설치되는 형태로 교통 하중과 온도하중에 항상 노출되므로, 평균 수명이 6년 이내로 매우 짧다. 또한 설치와 유지보수에 교통통제가 필요하고, 고장 기간 동안 데이터 수집도 중단된다. 센서의 설치 깊이를 늘린다면 교통 하중 및 온도중의 영향이 줄어들 것이고, 센서설치가 포장에 미치는 영향도 축소되어 수명의 연장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설치 깊이에 따른 센서 신호의 출력을 분석하여, 센서 제조사에서 제시한 설치 깊이인 1cm 보다 더 깊게 설치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추가로, 윤하중의 크기, 속도 등 다양한 변수에 따른 압전 센서의 출력 신호도 분석하였다. 윤하중은 APT를 이용하여 재하 하였다. 실험 결과, MSI BL센서는 3cm 에 설치해도 안정적으로 데이터를 수집 할 수 있는 100mV 이상의 신호가 출력되었다. 3cm 깊이에 설치한다면 센서의 기대수명 또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MSI cable은 가장 얕은 1cm 깊이에서도 100mV 이하의 신호가 출력되어 현장 적용이 불가능 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Among the various sensors for measuring traffic, PVDF (polyvinylidene fluoride) piezoelectric sensors are used to classify vehicles because they can detect the axle of the vehicle. Piezoelectric sensors are embedded in road pavements and are always exposed to traffic loads and environmental loads. Therefore, the life expectancy is very short, less than 6 years. Traffic control is essential for reinstallation and data collection is interrupted during the failure period. The lifespan will increase if the sensor installation depth is increased. In this study, the sensor signal output was analyzed with a variable depth of sensor installation to verify the possibility of deeper installation. Furthermore, various parameters, such as the weight and speed, were analyzed. The wheel load is applied using APT. As a result, the MSI BL sensor output signal is higher than 100mV when installed at 3cm, which is reliable. If the location of the sensor is deeper in the pavement, the expected lifetime of the sensor is also increased. On the other hand, the MSI cable was found to be less than 100mV at the shallowest depth of 1cm, making it impossible for field applications.

      • HPV 관련성에 따른 구인두암에서의 positive/close 절제연의 의미

        정유석(Yuh-Seog Jung) 대한두경부종양학회 2018 대한두경부 종양학회지 Vol.34 No.2

        With the emerging knowledge about tumor biology specific for human papillomavirus (HPV)-related head and neck cancers, the classical understanding about the curative surgery in head and neck cancers are starting to progress, customized for their HPV-associations and ultimately specific for tumor biologic characteristics. The common rule for surgery should reflect the biologic characteristics of target tumors, but still, multi-institutional large-scale data could be scarce, due to the subjective feature of surgical treatment itself. However, the impact of HPV for margin determination is now being questioned by multiple groups, and typical example is European Cooperative Oncology Group (ECOG)-3311 study. Here, we review the impact of viral association for surgical decision and its biological background and implications.

      • KCI등재

        ICBM기반 실내 공간 유지관리 시스템 개발

        정유석(Yoo-Seok Jung),강태욱(Tae-Wook Ka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3

        협업과 소통하는 업무 분위기가 중시되면서 개방형 사무실이나 공유사무실이 나타나고 있다. 기존에는 사용자가 공간 유지보수의 주체가 되었으나 정해진 자리가 없어지면서 실내공간의 유지관리가 어렵게 되었다. ICBM 프레임워크를 활용한다면 실내 공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공간유지보수에 활용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ICBM(Internet of Things, Cloud, Big Data, Mobile) 기반의 프레임워크를 제안하고 이를 활용한 실내공간 유지관리 시스템의 가능성을 검토 하였다.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기술을 이용하여 실내의 온도, 상대습도, 재실 여부, 밝기를 지속적으로 측정하고 WiFi를 통해 Web API 에 제공한다. 온습도센서, 조도센서, 초음파 거리센서와 와이파이 모듈로 구성된 IoT 디바이스를 설계하고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였다. IoT를 통해 자동으로 취득된 데이터와 기존 유지보수 데이터, 공간정보가 Cloud(클라우드)를 통해 통합된다. 센서로 수집한 Big Data(빅데이터)는 유지보수용으로 의미 있는 공간 정보로 가공할 수 있을 것이다. 실내 공간 정보 및 유지관리 사항을 모바일(Mobile)을 통해 관리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결과, 사용된 초음파센서의 측정범위 한계로 인해 재실여부의 파악은 제한적이었다. 하지만 밝기 정보는 공간의 활용 행태를 충분히 나타내어, 조명의 켜짐/꺼짐여부와 주말, 주중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온도와 상대습도 정보 또한 안정적으로 수집되어 공간의 쾌적성을 평가할 수 있었다. An open office or a shared office is emerging as the emphasis on the collaborative and communicative work environments is increasing. In the past, the user maintained the space, but the maintenance of indoor space became difficult because there is no fixed user. Indoor space information can be collected using the ICBM framework system. The facility management can achieve this with data.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a framework based on ICBM (Internet of Things, Cloud, Big Data, and Mobile) for verifying the possibility of a smart facility management system for indoor space. IoT (Internet of Things) technology was used to measure the indoor temperature, humidity, occupancy, and brightness continuously, and provided the data to Web API via WiFi. Data acquired automatically via IoT, existing maintenance data, and spatial information were integrated through the Cloud. Big data collected by sensors were processed as meaningful spatial information for maintenance. Indoor space information and maintenance information can be delivered to the manager through the mobile. Based on the collected data, room occupancy recognition is limited due to a range of ultrasonic wave sensors. On the other hand, brightness represents the space conditions. The difference between lighting on/off, weekday and weekend can be shown. The temperature data and the relative humidity data were collected steadily to evaluate the comfo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