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인터넷 쇼핑몰 디스플레이 디자인이 소비자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의류제품을 중심으로

        정수지 덕성여자대학교 패션·텍스타일 비즈니스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터넷 사용인구의 증가로 인해 점점 발달하고 있는 전자상거래는 소비자와 판매자 모두에게 큰 장점을 제공한다. 소비자는 집안에서 편리하게 상품을 구매하고 대금을 결제하며 구입한 상품을 받아볼 수 있게 되어 구매의 편리함과 시간절약을 동시에 얻게 되었다. 한편 판매자는 유통과정을 축소함으로써 물류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적은 비용으로도 효율적인 홍보를 할 수 있게 되었다. 이처럼 소비자와 판매자 모두에게 유익함을 주는 인터넷 쇼핑몰은 해마다 거대한 유통시장으로 탈바꿈 하고 있다. 의류업체들도 이러한 흐름에 발맞추어 인터넷 쇼핑몰을 제작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기업을 홍보하고 상품을 판매하고 있다. 그러나 주로 직접 입어보거나 만져보고 구입하는 의류제품의 경우 그 특수한 구매습관에 의해 인터넷 쇼핑몰의 활성화가 느린 상태이다. 또한 쇼핑몰 홈페이지는 소비자가 접하는 첫 번째 관문으로서 소비자에게 신뢰감을 주는 한편 호기심을 자극하여 구매 욕구를 유발시키는 역할도 담당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쇼핑몰 디자인 요소와 상품들의 적절한 디스플레이가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파악하고자 함으로써 향후 의류제품 인터넷 쇼핑몰을 구축하고자 하는 데에 있다. 이론적 배경에서 먼저 일반적 인터넷 쇼핑몰에 대한 정의와 인터넷 쇼핑몰의 특징에 대해서 알아본다. 또한 의류제품 인터넷 쇼핑몰의 개념, 종합쇼핑몰, 전문쇼핑몰로 구분되는 인터넷 의류 쇼핑몰의 유형과 쇼핑몰을 이루고 있는 요소들을 추출하여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인터넷 쇼핑몰을 이루고 있는 요소들로 상품제시방법, 상품 이미지 크기 및 유형, 시각요소인 레이아웃, 문자, 색채, 그래픽 등을 포함하였다. 소비자들이 인터넷 쇼핑몰에서 쇼핑할 때 그들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디스플레이 디자인의 시각적, 구조적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하여 응답자들을 구매의도집단과 비 구매의도 집단으로 분류하여 각 집단의 인구 통계적 특성, 인터넷 이용 행동, 쇼핑몰에 관한 전반적인 선호도와 쇼핑몰 디자인의 시각적 요소에 대한 선호도등을 파악하였으며, 나아가 구매의도 예측력을 알아보았다. 편의 추출에 의한 200명의 여성들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X^(2)-검증과 t-검증, 그리고 조사 변인들의 소비자 구매의도예측을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조사한 4가지요인 중 디자인의 시각적 요소, 인구 통계적 특성, 전반적인 선호도, 인터넷 이용행동 순으로 구매의도에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디자인의 시각적 요소에서는 홈페이지 구조, 타이틀 색상, 일관성 있는 색이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통계적 특성에서는 직업과 결혼유무가, 전반적인 선호도에서는 쇼핑몰의 유형, 상품의 제시형태가, 인터넷 이용행동에서는 인터넷 사용기간이 구매의도에 높은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인터넷 쇼핑몰 홈페이지 디자인 구성요소와 시각 요소에 대한 구매의도집단의 선호도 및 구매의도예측변인들은 쇼핑몰을 구축하고자 하는 업체에서 쇼핑몰 디자인에 지침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데에 시사하는바가 크다. Electric commerce which has developed with the increase in population of internet user provides great advantages to both purchasers and sellers. Customers can purchase goods and take them in their house, which gives them convenience of purchase and economy of time. And sellers can cut down the expenses by reducing distribution channel and making inexpensive publicity activities. By these merits electric shopping mall is getting bigger and bigger in size and quality. Apparel businesses also keep pace with the times to organize internet shopping mall with which they make publicity work and sell goods. But people have a tendency to try on the clothes before they buy them, which make slow the development of electric shopping mall in an apparel business. Shopping mall homepage is the first gate the customers enter so that the homepage should give them trust and stimulate their curiosity for them to purcha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pendence of customers' purchase decision on display designs of electric shopping mall and to apply the information to constructing a good internet shopping mall. In theoretical background I investigate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internet shopping mall. I made out questions by distinguishing the types of internet shopping in an apparel business mall and factors which form the shopping mall. The factors which constitutes internet shopping mall include the way to present goods, the size of images of goods and visual elements(layout, letter, color, graphic and so on). I classify into two groups, i.e. group of people who have purchase intention and group of people who do not have purchase intention and get the information of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population and behavior of internet use and general tastes on shopping mall and inclinations about the visual elements to investigate the dependency of customers' purchasing choice on display designs of electric shopping mall. The question sheet was distributed to 200 unspecified women by internet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x^(2)-test,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The analysis explains that visual elements of design,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population, general tastes on shopping mall and behavior of internet use are in sequence that former one has closer relation with purchase intention than latter one, and purchase intention also depends on homepage structure, title color and degree of monotone color in visual elements of design; and occupation and marriage in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population; and types of shopping mall and ways of presenting goods in general tastes; and a term of internet use in behavior of internet use. The elements of homepage design of internet shopping mall and the preference tendency on visual elements and the prediction factors of purchase decision that are obtained in this study are very suggestive in that sellers who have a plan to construct electric shopping mall can refer to them and apply the information to constructing a good shopping mall.

      • 액티브 시니어(Active Senior)의 외적 이미지 인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뷰티 관리 행동을 중심으로

        정수지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사회는 빠른 속도로 사회화와 인구변화로 한국은 초고령사회로 진입하고 있다. 예전에 노년층과 달리 새롭게 떠오르고 있는 액티브 시니어는 경제활동에 적극적이며 자기 자신을 위한 소비성향을 보이고 외모에 대한 관심도가 높다. 이들은 앞으로 뷰티 산업시장에서 잠재력이 매우 크다. 이에 본 연구는 액티브 시니어를 대상으로 뷰티 산업시장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필요한 해결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양적 연구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50세에서 70세 이상의 서울, 경기, 인천 및 대전지역 액티브 시니어를 대상으로 2020년 10월 12일부터 10월 18일까지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총 350부를 배포하고 최종 300부를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액티브 시니어들의 외적 이미지 관심도 및 만족도와 뷰티관리행동, 그리고 삶의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test(검증)와 One-way ANOVA(일원변량분석), χ²(Chi-square) 검증, 그리고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외적 이미지 인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Multiple Regression(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뷰티관리 만족도와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Correlation(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액티브 시니어의 일반적특성에 따라 외적 이미지 인식 중 관심도는 여성, 연령이 적을수록, 최종학력이 높을수록, 직업이 있을수록, 월평균 소득이 높은 집단이 높았으며 외적 이미지가 이미지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적 이미지 만족도는 평균이 3.22로 그다지 높지 않았으며 외적 이미지 관리이유에는 자기만족을 위해 하였다. 둘째, 뷰티관리행동중 화장관리행동은 여성, 배우자 유, 소득이 높은, 직업이 있는 집단이 높았고 헤어관리행동은 여성, 연령이 적을수록, 대학교 졸업자, 직업이 있으며, 소득이 높은 집단이 높았다. 피부관리행동은 여성, 소득이 높은 집단이 높았고 반영구화장행동은 경험해본 적이 없는 경우(50.7%)가 경험이 있는 집단(49.3%)보다 약간 많았다. 연령별로는 60~69세, 최종학력별로는 대학교 졸업자가 가장 많았으며 소득별로는 400~500만원 미만인 집단이 가장 많았다. 셋째, 액티브 시니어들의 외적 이미지 인식에 따라 뷰티관리행동과 삶의 만족도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외적 이미지에 대한 관심도가 높은 집단이 뷰티관리행동이 높았다. 외적 이미지 관심도가 높고, 외적 이미지가 이미지 인식이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할수록, 그리고 외적 이미지 만족도가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았다. 넷째, 액티브 시니어들의 뷰티관리행동에 따라 삶의 만족도는 뷰티관리행동이 높은 집단이 삶의만족도가 높았으며 뷰티관리 만족도와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는 뷰티관리 만족도가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았다. In modern society, Korea has rapidly turned into a superaging society due to socialization and changing population. Unlike the elderly in the past, newly emerging active seniors are active in economic activity, are inclined to consume for their own sake and show a lot of interest in appearance. They will have great potential in the beauty industry in the fu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external image awareness of active seniors on their life satisfaction in an effort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the beauty industry and the right direction for that. A quantitative study was implemented. A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12 through 18, 2020, on the active seniors who were over the ages of 50 and 70 and who resided in Seoul, Gyeonggi Province, Incheon and Daejeon. 350 questionnaires were handed out, and 300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version 25.0 for Windows. To find ou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tatistical data on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obtained. To figure out the concern of the active seniors for external image, their satisfaction with it, beauty care behaviors and life satisfaction, -test, one-way ANOVA, X²(chi-square) test and frequency analysis were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impact of external image on life satisfaction,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made, and 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grasp the relationship between beauty care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external image awareness of the active seniors by general characteristics, the groups who were female, who were younger, who were better educated, who had occupations and whose monthly mean income was larger were more interested, and external image affected image awareness. They got a mean of 3.22 in external image satisfaction, which was not that high. In regard to the reason for external image management, they took care of their external image to be satisfied with themselves. Second, among beauty care behaviors, makeup management behaviors were more common in the groups who were female, who had spouses, whose income was larger and who had occupations, and hair care behaviors were more dominant in the groups who were female, who were younger, who were college graduates, who had occupations and whose income was larger. Skincare behaviors were more prevalent in the groups who were female and whose income was larger. As for semipermanent makeup behavior, the respondents who had never experienced it(50.7%) slightly outnumbered the group with that experience(49.3%). By age and academic credential, the respondents who were aged between 60 and 69 and who were college graduates showed the most makeup care behaviors. By income, the group whose income was between four and less than five million won showed the most makeup care behavior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beauty care behaviors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active seniors according to external image awareness, the group who was more interested in external image showed more beauty care behaviors. Life satisfaction was higher in the respondents who had more interest in external image, who perceived that external image had a larger impact on image awareness, and who were more satisfied with their external image. Fourth, as for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active seniors by beauty care behaviors, the group who showed more beauty care behaviors expressed more life satisfaction.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eauty care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was higher when beauty care satisfaction was stronger.

      • 프랙탈 기하학적 구성에 의한 칠보 표현 연구

        정수지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나뭇가지는 한 그루의 나무와 닮았고 파도는 해안선을 닮았다. 이러한 것들은 프랙탈 기하학의 특성을 알려주는 단적인 예로, 1975년 만델브로트가 ‘프랙탈(Fractal)’이라는 용어를 만들기 이전에도 프랙탈 기하학의 구조에 대한 논의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계속 있어왔다. 동양에서 말하는 불교의 윤회사상(輪廻思想)과 우주를 음양(陰陽)의 구조로 파악하는 것, 십간(十干)과 십이지(十二支)로 이루어진 육십갑자(六十甲子)로 시간의 흐름과 인간의 운명을 따지는 것, 이런 것들은 모두 프랙탈 구조적인 해석이라 할 수 있다. 현대에는 프랙탈 기하학이 과학과 수학, 의학과 경제에 이르기까지 다방면에서 사용되어지고 있으며, 프랙탈 도형을 그려주는 컴퓨터 프로그램까지 생겨나 추상적이고 기하학적인 이미지들이 프랙탈 갤러리라는 이름으로 소개되어지고 있다. 이렇듯 프랙탈에 대한 인간의 관심이 과거와 현재를 막론하고 끊이지 않는 이유는 주위에서 쉽게 접할 수 있다는 이유도 있겠지만, 프랙탈 기하학이 갖는 특성을 통해 주위의 소소한 환경들을 해체하고 재창조해봄으로써, 새로운 시각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프랙탈 기하학의 특성을 나타내는 도구로 ‘원’을 이용하였다. 기하학적인 형태 중에서도 어느 방향으로도 기울지 않으며 중심대칭인 원은 무엇보다 완전한 형태이며, 일면을 개방하거나 다양한 중첩을 통한 변화를 줌으로써, 리듬과 속도, 공간감과 시간의 변화 등 무궁무진한 역동감의 표현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원’은 과거와 현재, 동서양을 막론해 사람을 담아내는 중요한 가치를 의미하고 있다. 이는 음식을 담을 뿐만 아니라 사람의 품격을 이르는 용어인 ‘그릇’과 그 의미가 상통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이유에서 접시형 그릇(vessel)을 바탕이 되는 형태로 표현하였다. 프랙탈 기하학의 실제적인 공간감을 나타내기 위한 기법으로는 금속위에 색을 표현할 수 있는 방법 중 칠보기법(Enameling)을 활용했다. 칠보는 유약의 배색을 통해 프랙탈 기하학의 구성을 표현하기에 용이한 기법이며, 금속공예의 기법 중 하나인 칠보를 통해 과거 서양으로부터 개념화되어온 프랙탈 기하학의 새로운 표현을 보여주기 위함이다. 또한 색의 점층법(gradation)으로 프랙탈 구조의 공간감을 보다 효과적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는데, 대비가 되는 색상의 규칙적이고 안정된 점층법에서 마치 무한한 우주의 시공간을 떠올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보다 또렷한 발색을 위해서는 불투명 칠보유약을 이용하였으며, 그릇의 바탕재료가 되는 재료는 열 관리, 유약 관리에 용이한 동의 비율이 높은 적동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자는 이 논문연구를 통하여 프랙탈 기하학을 표현한 작품연구 사례는 모든 시대에 아울러 많은 예술가들의 작품 안에 내포되어 있으며, 우리의 일상에서 공존해왔음을 깨달았다. 아울러 칠보기법의 색 배색을 통한 공간감의 무한한 표현에 프랙탈 기하학에 관한 조형적 연구가 더욱 심도 깊게 더해진다면 그 활용도만큼 더욱 다양해진 작업이 나오지 않을까 하는 가능성을 제시해본다. A branch looks like a tree and a wave looks similar to coastline. These are good examples showing the features of fractal geometry. Even before Mandelbrot created the term “fractal” in 1975, the structure of fractal geometry were discussed both in the Eastern and the Western. Some characteristics of the Eastern, e.g. the reincarnation of Buddhist doctrine, the notion that the universe is maintained through the yin-yang balance, and grasping the flow of time and the fate of human being based on the sexagenary cycle formed by combining the ten celestial stems and the twelve horary, are all considered based on the interpretations of fractal structure. Today, fractal geometry is used in various areas ranging from science, to mathematics, to medical science and to economics. In addition, through the release of computer programs that draw fractal figures, abstract geometrical images are being introduced in the name of fractal gallery. Fractal has ceaselessly attracted people’s attention since old times. This is because people can easily experience it, but the main reason is that people can acquire new views by dismantling and recreating trivial environments around them through the fractal geometry features. In this study, circles were employed as a tool showing the features of fractal geometry. That is because a circle, one of geometrical shapes, is a perfect shape that is not tiled in any direct and has a center of symmetry. Also, making some changes on circles like opening one side of a circle and piling it can express numerous dynamics including rhythm, speed, spatiality and the change of time. In addition, circles have meant the significant value of embracing human beings from old times in the Eastern and the Western. In this regard, a circle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a “vessel,” the term means not only a container used to hold food but also human dignity. This explains why a plate-shaped vessel was expressed as the basic pattern in this study. As for the technique to express the actual spatiality of fractal geometry, enameling, among techniques to express colors on metal, was used. The reason enameling, one of metal craft techniques, was employed in the study was that the structure of fractal geometry can be easily expressed with the technique through coloring enamel. And the researcher wanted to show new expressions of fractal geometry whose concept was largely formulated in the Western. Furthermore, color graduation was employed to effectively express the spatiality of fractal structure. That is because regular, stable graduation using contrasting colors conjures up the unlimited time and space of the universe. In order to express color more clearly, opaque enamel was used. And red copper containing a high proportion of copper which makes it easy to handle heat and enamel was employed as a basic material of the vessel. The researcher realized through this study that fractal geometry has been expressed in the works of numerous artists of all ages and is present in our daily lives. It is to be hoped that further research will be done regarding the boundless expressions of spatiality through coloring in enameling and fractal geometry in order to create more diverse works.

      • 부모와의 어휘 상호작용이 유아의 수용어휘 크기에 미치는 영향 : 단어인식과 우연적 단어학습의 이중매개효과

        정수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부모와의 어휘 상호작용이 유아의 수용어휘 크기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모-유아 어휘 상호작용이 유아의 어휘발달을 설명하는지 살펴보고, 부모-유아 어휘 상호작용과 유아의 단어인식의 세부 유형이 각각 어휘발달의 어떠한 영역을 촉진하는지 비교하였다. 더 나아가 부모-유아 어휘 상호작용이 수용어휘 크기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와 유아의 단어인식과 우연적 단어학습을 매개로 수용어휘 크기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세종시와 대전시에 위치한 어린이집의 5세 학급에서 취학 전 5, 6세 유아와 그 어머니 203쌍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어머니는 설문지를 통해 부모-유아 어휘 상호작용 척도(Parent-Child Lexical Interaction Scale for Preschoolers, PLIS-P)에 응답하였고, 유아는 연구원과의 면대면 조사에 참여하여 단어인식(단어 단위/임의성/형태/어종 인식), 우연적 단어학습, 수용어휘 크기 과제를 수행하였다. SPSS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PROCESS 매크로를 이용한 이중매개모형 분석 및 부트스트래핑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유아 어휘 상호작용은 유아의 어휘발달을 설명하는 타당한 개념이다. 부모-유아 어휘 상호작용은 유아의 단어인식, 우연적 단어학습, 수용어휘 크기와 모두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그리고 부모-유아 어휘 상호작용은 하위요인 차원에서도 유아의 단어인식, 우연적 단어학습, 수용어휘 크기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는 부모-유아 어휘 상호작용이 유아의 단어인식, 우연적 단어학습, 수용어휘 크기를 예측하는 예측타당도가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부모-유아 어휘 상호작용의 세부 유형과 유아의 단어인식의 세부 유형은 각각 어휘발달의 다른 영역을 촉진한다. 어머니의 단어 자극 제공은 유아의 수용어휘 크기에 정적 영향을, 어머니의 단어인식 지도는 유아의 단어인식과 수용어휘 크기에 정적 영향을, 어머니의 발현적 단어지도는 유아의 단어인식에 정적 영향을, 어머니의 단어 정교화는 유아의 우연적 단어학습에 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어머니의 관습적 단어지도는 유아의 단어인식, 우연적 단어학습, 수용어휘 크기 모두에 부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유아의 단어단위인식과 단어어종인식은 우연적 단어학습에 정적 영향을 미쳤고, 유아의 단어임의성인식과 단어형태인식은 수용어휘 크기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부모-유아 어휘 상호작용은 유아의 수용어휘 크기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유아의 단어인식과 우연적 단어학습을 통해서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쳤다. 이는 부모가 어휘 상호작용을 통해 유아의 수용어휘 크기의 성장을 직접 도울 뿐 아니라, 유아가 스스로 단어를 인식하고 학습하도록 촉진함으로써 수용어휘 크기의 성장을 간접적으로 지원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유아 수용어휘 크기의 성장을 위해서는 부모-유아 어휘 상호작용의 직간접적인 영향력을 모두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부모-유아 어휘 상호작용 척도를 활용하여, 부모와의 어휘 상호작용이 유아의 어휘발달을 촉진함을 밝혔다. 또한 부모-유아 어휘 상호작용과 유아의 단어인식의 각 세부 유형이 어휘발달에 기여하는 바가 각각 다름을 밝혔다. 더 나아가 유아의 단어인식과 우연적 단어학습의 이중매개효과를 살펴봄으로써 부모-유아 어휘 상호작용이 유아 수용어휘 크기의 성장을 간접적으로 지원하는 기제를 밝혔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유아의 독립적이고 능동적인 단어인식 및 단어학습을 촉진하는 부모-유아 어휘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이러한 정보는 유아의 어휘발달을 증진하기 위한 부모-유아 상호작용 중재 및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 of parent-child lexical interaction on preschoolers’ receptive vocabulary size. For this end, it was examined whether parent-child lexical interaction can explain preschoolers’ vocabulary development and which aspect of vocabulary development each sub-factor of parent-child lexical interaction and preschoolers’ word awareness can facilitate. Furthermore, the study also verified whether the effect of parent-child lexical interaction on receptive vocabulary size can be mediated by preschoolers’ word awareness and incidental word learning. The participants involved in the experiment were 203 pairs of five-year-old to six-year-old children and their mothers from childcare centers in Sejong and Daejeon city, South Korea. Mothers were provided with questionnaires to mark on the Parent-Child Lexical Interaction Scale for Preschoolers (PLIS-P), while preschoolers were engaged in face to face settings with researchers to perform tasks on word awareness (awareness on word unit, word arbitrariness, word morphology, and word type), incidental word learning, and REVT-R vocabulary test.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al package to conduct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PROCESS macro was also used to verify the dual mediation model and to perform bootstrapping analysis. The main finding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rent-child lexical interaction was found to be a valid construct explaining preschoolers’ vocabulary development. Parent-child lexical interac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reschoolers’ word awareness, incidental word learning, and receptive vocabulary size. In addition, the sub-factors of parent-child lexical interaction were also correlated with preschoolers’ word awareness, incidental word learning, and receptive vocabulary size. This confirms the predictive validity of Parent-child Lexical Interaction Scale. Second, results showed that each sub-factor of parent-child lexical interaction and preschoolers’ word awareness contributed to different aspects of vocabulary development. Children’s exposure to words by their parents had a positive effect on preschoolers’ receptive vocabulary size while parents’ instruction on word awareness positively affected preschoolers’ word awareness and receptive vocabulary size. Parents’ emergent word instruction positively influenced preschoolers’ word awareness, while parents’ word elabor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preschoolers’ incidental word learning. In contrast, parents’ conventional word instruction had a negative impact on preschoolers’ word awareness, incidental word learning, and receptive vocabulary size.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sub-factors of word awareness had differential effects on incidental word learning and receptive vocabulary size. In specific, preschoolers’ awareness on word unit and word type had a positive impact on incidental word learning, whilst preschoolers’ awareness on word arbitrariness and word morphology positively affected receptive vocabulary size. Finally, it was shown that parent-child lexical interaction not only affects preschoolers’ receptive vocabulary size directly but also indirectly through preschoolers’ word awareness and incidental word learning. This finding indicates that parent-child lexical interaction supports the growth of preschoolers’ receptive vocabulary directly and also indirectly by enabling them to recognize and acquire words on their own. Therefore, both the direct and indirect impact of parent-child lexical interaction should be considered for preschoolers’ receptive vocabulary size to grow. This study confirmed that receptive vocabulary in early childhood develops through parent-child lexical interaction, thus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parent-child interaction on word acquisition. In addition, the study showed that each sub-factor of parent-child lexical interaction and word awareness in preschoolers have different degrees of contribution to word acquisition process. Finally, the study verified the mediation effects of word awareness and incidental word learning, unveiling the underlying mechanism by which parent-child interaction affects preschoolers’ receptive vocabulary size indirectly. This study suggests that parent-child lexical interaction supporting the preschoolers’ independent awareness and learning of words should be promoted to facilitate vocabulary developm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develop the effective interventions and parents education programs on parent-child lexical interaction for preschoolers’ vocabulary development.

      • ADHD아동의 정서지능 향상과 문제행동 감소를 위한 신체활동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정수지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group art therapy using physical activities to increase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in effect decrease the behavioral disorders of children with ADHD. The four subjects of this case study were selected from children who were diagnosed with ADHD and wanted to receive art therapy at M center in A city. They showed their participation spontaneously. The research was conducted from August 24th to October 28th in 2010. These were 18 sessions except the pre and post sessions that were presented twice a week, and each session was 60 minutes. The art therapy program, using physical activities in this particular case study, was created with physical activities and art activities with precedent studies related with emotion. The order and process of the activities were simplified by considering children's overaction, impulsion, and carelessness which ar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ADHD. The physical activities included bodily expressions, plays, games. etc. The art activities were carefully planned for children to express their feelings and thoughts as a result of the physical activities by using many art materials and methods. To present how this program influenced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behavioral disorders of ADHD children, a graph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test results and the comparative analysis results of the pre and post K-ADHDDS scores is included. Based on the video recording for each session, the sub-filed observation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by subjects was recorded in activities. Also, the graph of the frequency changes of the behavioral disorders during activities was presented. The simplified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ost-emotional intelligence test scores were higher than the pre-emotional intelligence test scores. Also, as the sessions passed, children were observed to have adjusted and expressed emotion for others and themselves, and also had positive relationships with others. This means that the group art therapy using physical activities acted positively for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ren with ADHD. Second, in the change of the behavioral disorders, the post K-ADHDDS test score decreased compared to the pre K-ADHDDS test score, and in subjects' activities, the problematic behavior frequencies decreased. These results show that the group art therapy using physical activities affected in relation to the children's past problematic behavior positively. In conclusion, the group art therapy using physical activities brought great changes on the improvement of ADHD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decrease of problematic behaviors. The subjects had low emotional intelligence and behavioral disorders, and acted constantly distracted, got negative feedback from others experiences frustration, and fail ed to interact with others because of the in appropriate cognition of emotion about others and themselves even though they tried to interact positively. However, through this case study, children with ADHD had a chance to relate to themselves and others through the physical and art activities, and they were able to have positive relationships with others. Also, because of the rules and orders of the group, it offered children chances to express their feelings constructively from senses. Therefore, the group art therapy using physical activities affected positively reinforced the balance with combination of using five senses physically, mentally and emotionally with children with ADHD who had low emotional intelligence and many other behavioral disorders. 본 사례 연구에서는 신체활동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ADHD 아동의 정서지능과 문제행동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오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ADHD 진단을 받고, A시에 위치한 M센터에서 미술치료 받기를 희망하던 아동들 중, 부모에 의해 자발적인 참여의사를 밝힌 아동4명으로 구성되었다. 프로그램 실시기간은 2010년 8월 24일부터 10월 28일까지 주 2회에 60분씩 사전, 사후검사를 빼고 총 18회기가 진행되었다. 본 사례에 사용한 신체활동을 활용한 미술치료는 정서지능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에서 쓰였던 정서와 관련된 주제들을 가지고 신체활동과 미술활동으로 계획되었다. ADHD 아동의 문제행동의 특성인 과잉행동, 충동성, 부주의를 고려하여 활동과정과 순서를 최대한 단순화시켰다. 신체활동에서는 신체표현, 놀이, 게임 등의 방법을 이용하였고, 미술활동에서는 신체활동을 통해 느낀 정서와 생각들을 다양한 미술매체와 기법들을 이용하여 표현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본 연구의 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정서지능과 문제행동에 어떠한 변화를 주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정서지능 검사와 K-ADHDDS 검사의 사전•사후검사 점수를 비교 분석하여 그래프로 제시하였고, 매 회기 녹화한 비디오 촬영의 내용을 바탕으로 활동 안에서 보여지는 대상 별 정서지능 하위영역 관찰내용을 기록하였으며, 활동에 안에서 나타난 대상 별 문제행동의 발생빈도수 변화를 그래프로 제시하였다. 본 사례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활동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ADHD 아동의 정서지능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정서지능의 변화를 살펴보면 정서지능 사전검사 점수에 비해 사후검사 점수가 증가하였으며 대상별 로 활동 안에서 보여진 하위영역 관찰내용에서 회기가 진행될수록 활동 안에서 자신과 타인의 정서를 인식하고 조절, 표현하며 긍정적인 대인관계를 맺어가는 모습들이 관찰되었다. 이는 신체활동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정서지능에 긍정적인 변화를 주었음을 의미한다. 둘째, 둘째, 신체활동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ADHD아동의 문제행동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문제행동의 변화를 살펴보면 K-ADHDDS 사전검사 점수에 비해 사후 검사 점수가 감소하였으며 대상 별로 활동 안에서 관찰된 문제행동 발생빈도수가 감소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신체활동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ADHD 아동의 문제행동에 긍정적인 변화를 주었음을 의미한다. 본 사례연구를 종합해 보면, 신체활동을 활용한 집단 미술치료가 ADHD 아동의 정서지능향상과 문제행동감소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온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자신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끊임없이 산만하고 과하게 움직이며 결과적으로 부정적인 피드백을 받게 되고, 좌절을 경험하고, 자신과 타인의 정서에 관한 정보를 잘 인식하지 못하고 부정적인 관계를 경험하는 즉, 정서지능이 낮고 많은 문제행동을 가진 ADHD아동들에게 신체활동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는 신체의 움직임과 미술 매체와 기법을 통해 자신과 타인을 인식하고 긍정적인 상호관계를 맺을 수 있는 기회들을 제공한다고 할 수 있겠다. 또한 오감으로 체험된 정서를 집단의 규칙과 질서 안에서 건설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긍정적인 경험의 기회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정서지능이 낮고, 많은 문제행동을 가진 ADHD아동들에게 신체활동을 활용한 미술치료가 긍정적인 경험의 기회를 제공하였다고 할 수 있겠다.

      • 초등 수학 영재 프로그램 평가 : 서울시 A 교육청 사례를 중심으로

        정수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the Act on the Promotion of Specific Education for the Gifted and Talented was enacted in January 2000, followed by the Enforcement Decree for the Act on the Promotion of Specific Education for the Gifted and Talented in April 2004, legal and systematic measures were designed for the education for the gifted children. Currently, with more gifted cluster classes created within the general schools, and with a growing number of gifted education centers and private centers for gifted education under the central/ regional Offices of Education, we have more windows of opportunities for gifted education. In spite of all these quantitative expansions, the educational programs for the gifted - including the objectives, programs, curriculums, teachers which all differs depending on its institutions - come out with different qualities. In this context, discussions on the development of gifted education not only in its size but also in its quality is critic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hance the quality of gifted education programs by revising and upgrading the existing ‘Program Module of Education for Mathematically Gifted Children,' which is presently implemented by Gifted Education Center A under the Office of Education. To this end, the contents of the teaching-learning programs for mathematically gifted children in the elementary schools were examined in terms of the individual subjects provided through the courses of gifted education programs. The relevant parts of the program to be subject to this study were decided through the discussions with teachers belonging to professional gifted education, and the program was evaluated based on the revised version of the existing module. The focus of the analysis was; 1. Does the objective of the teaching-learning programs for mathematically gifted, conducted by the Gifted Education Center A under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fit for the objective of gifted education? 2. Does the teaching-learning programs for mathematically gifted, conducted by the Gifted Education Center A under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reflect the distinct features of the gifted education? (ⅰ) Among the advanced part and the selective part of the gifted educational program, which part was more included in the teaching-learning programs for mathematically gifted? (ⅱ) Were the contents properly organized and implemented? (ⅲ) What are the differences of the teaching-learning program from grade to grade? 3. Were the module and method of the teaching-learning programs for mathematically gifted children, implemented by the Gifted Education Center A under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properly utilized in terms of the subjects? 4. Is the evaluation of the teaching-learning programs for mathematically gifted, conducted by the Gifted Education Center A under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suitable for the educational objectives and for the real oper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ducational objectives of teaching-learning program did fit the objectives of gifted objectives, and cognitive and definitional exploration processes were distinctly presented. The educational objectives of cognitive exploration processes were clear, whereas those of definitional objectives were partly not. Second, among the advanced part and the selective part, which are the two parts defined in the gifted educational program, the teaching-learning program organized by the Gifted Education Center A consisted more of the advanced parts rather than of the selective parts. Based on subjects, the contents were divided into numbers and calculation, shapes, measurement, regularity and problem solving parts, and they were mainly consisted of numbers and calculation, shapes, regularity and problem solving. In terms of the specific areas dealt with based on grade, fourth grade classes were focusing on identifying shapes, whereas the fifth graders in numbers and calculation, and the sixth grade students on shapes.. Third, the teachers in the teaching-learning program for the gifted were adequately instructing their students, but the programs were focusing on problem-based learning and cooperative learning. The students in this program were also playing a leading role in the learning process. Fourth, the contents of evaluation were clearly presented. The contents and forms of evaluation were suitable for the objectives of the program, and the evaluation was conducted through performance assessment rather than through paper and pencil test. 2000년 1월 영재교육진흥법이 제정되고 2002년 4월 영재교육진흥법 시행령이 공포·시행됨에 따라 법적 제도적 장치를 갖추게 되었다. 현재 영재교육을 받을 수 있는 곳은 일반학교 내 영재학급, 교육청 산하의 영재교육원, 사설 영재교육 센터 등이며 영재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는 점차 많아지고 있다. 하지만 다양한 영재교육을 받을 수 있다고 하더라도 영재교육을 하는 기관에 따라 영재교육 목표, 프로그램, 교육과정, 영재 교사 등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질에는 차이가 있다. 이를 위해 이제는 영재교육에 있어서 양적 성장과 더불어 질적인 성장에 관한 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현재 A 교육청 영재교육원에서 실시 중인 영재교육 프로그램을 기존의 ‘수학 영재교육 프로그램 평가 틀’을 수정·보완하여 평가함으로써 영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개선과 질적 향상을 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수학 영재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내용영역을 영재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영역별로 살펴보고 프로그램의 해당 영역을 영재 담당교사와 함께 논의하여 결정하였으며 수학 영재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기존의 평가 틀을 수정ㆍ보완하여 수정된 평가 틀을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평가해 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서울시 A 교육청 영재교육원의 수학 영재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교육 목표는 영재교육의 목표에 부합하는가? 2. 서울시 A 교육청 영재교육원의 수학 영재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내용은 영재교육의 특성을 반영하는가? 가. 영재교육과정 중에서 심화와 선택 중 어느 영역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인가? 나. 내용영역이 적절하게 편성되어 운영되고 있는가? 다.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학년별 특징은 무엇인가? 3. 서울시 A 교육청 영재교육원의 수학 영재 교수-학습 모형과 방법은 주제에 따라 적절하게 활용되는가? 4. 서울시 A 교육청 영재교육원의 수학 영재 프로그램의 평가는 학습목표 및 실제 운영과의 적합성을 포함하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바탕으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수학 영재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목표는 대체적으로 명확하게 제시되어 있었으나 인지적 탐구과정의 학습 목표는 명확한데 반하여 정의적인 학습 목표는 명시되지 않은 경우가 있었다. 영재교육의 목표에 적합하게 차별화 되어 있었고, 대부분 성취 가능한 목표로 이루어져 있었다. 둘째, 수학 영재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내용영역의 편성은 영재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심화 영역과 선택 영역 중에서 심화 영역에 해당하는 내용으로 구성된 부분이 더 많았다. 주제에 따른 내용영역으로 살펴보면 수와 연산, 도형, 측정, 확률과 통계, 규칙성과 문제해결의 5개 영역으로 나눌 수 있으며 주로 수와 연산, 도형, 규칙성과 문제해결 영역에 관한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학년별 특징을 살펴보면 4학년은 도형, 5학년은 수와 연산, 규칙성과 문제해결, 6학년은 도형에 대한 부분이 중심이 되는 프로젝트로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수학 영재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내용에 대한 평가지표는 총 17개로 제시되어 있으며, 평가항목 중 가장 많은 평가지표로 구성되어 있다. 수학지식의 내용 특성에서 심화 영역에 해당하는 내용으로 구성된 부분이 많았고 수준별/개별화를 위한 개방적 활동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가 있었고, 최신 연구 내용이 고르게 반영되어 제시되어 있었다. 수학적 사고는 모든 사고 전략을 고르게 사용하도록 되어 있었고 모든 프로그램에서 문제해결에 대한 평가지표를 만족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창의적 사고와 수학적 태도는 대부분의 프로그램이 적절하거나 보통으로 평가되었으며, 인성/가치 함양에 대한 평가지표는 명확하게 제시되지 않은 프로그램이 있었다. 참고서적은 명확하게 제시된 프로그램이 없었으나 자료의 제시는 구체적이고 적절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셋째, 수학 영재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교수-학습 방법에서 수업은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성격에 맞게 교사들이 적절하게 가르치고 있었으나 주로 문제중심학습, 협동학습으로 수업을 하고 있었다. 학생들도 활동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며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하고 있었다. 넷째, 수학 영재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평가에 대한 내용은 분명하게 제시되었고, 평가의 내용과 형태가 프로그램의 목표와 실제 운영과 적합하게 운영되었으며 지필평가보다는 수행평가를 활용한 평가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 인지행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만성 조현병 환자의 자아존중감과 공감에 미치는 효과

        정수지 광주여자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인지행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만성 조현병 환자의 자아존중감과 공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전남 K 시에 있는 정신건강증진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20세부터 60세 이하의 DSM-IV의 진단 기준에 의해 조현병으로 판명을 받고 5년 이상 경과되어 약물을 복용하고 있는 만성 조현병 환자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중 프로그램 참여 의사를 밝힌 24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12명과 통제집단 12명을 무선 배정하여 2014년 6월 3일부터 9월 9일까지 주 1회 매 회기 각 90분씩 시행하여 전체 15회기를 실험집단에게 실시했으며 통제집단은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행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자아존중감이 전체적으로 향상되었고, 하위 요인인 긍정적 요소가 증가하였으며 부정적인 요소는 감소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인지행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만성 조현병 환자의 공감능력이 전체적으로 향상되었고, 하위 요인인 인지적 요소와 정서적 요소가 증가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행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만성 조현병 환자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가 있다. 둘째, 인지행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만성 조현병 환자의 공감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다. LMT 사후검사 결과에서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그림의 전체적인 완성도와 구성요소, 색채의 사용 등의 표현에서 점수가 높아졌다. 그리고 전반적인 그림에서 등장하는 자아 상이 사전에 비해 커지고 더 정밀하게 표현 것을 볼 수 있었고 그림의 구조화가 사전보다 더 많이 이루어진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그림의 크기와 전체적인 구조의 변화는 자아존중감과 공감능력에 변화를 가져다주었다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로써, 인지행동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조현병 환자의 자아존중감 향상과 공감능력 향상에 효과를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산업재 브랜드의 페이스북 팬페이지 메시지 유형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효과 연구

        정수지 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산업간 경계가 희석되고 기술의 발전과 정보의 확산이 빠른 속도로 진행됨에 따라, 산업재 기업에서도 급변하는 환경에서 생존과 성장을 담보하기 위한 새로운 마케팅 전략을 고민해야 하는 시점이 되었다. 산업재 기업의 제품과 기술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날로 증가하고 소비자 주도형 커뮤니케이션이 확실한 흐름이 됨에 따라, 산업재 기업도 SNS를 통한 소비자 접점의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활동에 보다 능동적이고 전략적으로 참여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측면의 효과에 대한 검증과 구체적인 방법론에 대한 제시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기업의 마케팅 수단으로 가장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는 페이스북 팬페이지를 대상으로 산업재 브랜드의 페이스북 메시지의 유형(정보적/감성적)과 메시지의 제품 관련성(고(高)/저(低))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효과 차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여, 산업재 기업의 SNS 활동에 대한 메시지 전략 방향을 제시하고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산업재 브랜드의 페이스북 팬페이지 상태 메시지 유형에서 감성형 메시지보다 정보형의 메시지에 노출된 피험자들이 메시지에 대해 더 긍정적인 태도를 나타냈으며, 메시지를 온/오프라인 상에서 공유하고자 하는 행동 의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산업재 브랜드에 대한 긍정적 태도와 친밀감, 브랜드 신뢰도, 구매의도에 있어서도 정보형 메시지에 노출된 피험자들이 더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제품과 메시지와의 관련성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효과 차이와, 메시지 유형과 제품과의 관련성 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 소비재 시장 중심의 SNS 연구를 산업재 시장으로 확대하여 산업재 브랜드 마케팅과 관련한 새로운 연구 성과물을 제시하였고, 페이스북 메시지의 특성을 중심으로 종합적 관점의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살펴봤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산업재 기업의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써 SNS의 기대효과를 제시하여 산업재 기업이 자사 마케팅에 SNS를 사용할지 판단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였고, SNS 운영에 보다 체계적인 메시지 전략 수립에 도움을 주어 실무적인 함의를 전달하였다. As industry boundaries have disappeared and technological achievement and the spread of information are progressing at a rapid pace, industrial companies have to consider new marketing strategies for long-term growth in a fast-paced business environment. As consumers' interest in industrial goods and technologies increases and consumer-driven communication becomes an important trend, industrial companies should participate more actively and strategically in brand communication activities with consumers through SNS.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verify the communication effects of comprehensive view and to present more specific methodologies. Given that premise,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in the communication effects of the message of the industrial brand to Facebook fan pages which is most actively used as a marketing tool. The study examined how the type of the message(informational vs. emotional) and the relevance of the message with company or product(high vs. low) of the Facebook messages influence communication effect consum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concrete direction of message strategy for industrial companies' SNS activities and to clarify the effect of comprehensive view point on communication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identify that subjects exposed to informational messages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messages and more intention to share messages than emotional messages on the Facebook fan page. In addition, subjects exposed to informational messages tend take a positive view on attitude toward brand, intimacy, credibility, and they appear to experience the level of their purchasing intention on rise. On the other hand, the difference in communication effects according to the relation with product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 type of message(informational vs. emotional) and product-message relevance were also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suggest that industrial companies should use SNS in order to adapt current practices to fit the characteristics of today's digital media landscape. This study proposes new research achievements related to industrial brand marketing by expanding SNS research, which was limited to consumer brand, to industrial brand. It is also meaningful examining communication effects focusing on characteristics of Facebook fan page messages. In addition, by presenting the expected effect of SNS as a marketing communication channel of industrial companies, it provides a base for decisions whether industrial product companies use SNS for marketing and provides a practical implications to help establish more systematic message strategy for SNS operation.

      • 부정정서가 스마트폰 관련 자극 주의편향에 미치는 영향 : 스마트폰 중독경향군의 대처동기를 중심으로

        정수지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경향군을 대상으로 부정정서가 스마트폰 관련 자극에 대한 주의편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n=60). 피험자는 대처동기 수준에 따라 두 집단으로 나뉘었다. 각 집단은 부정정서조건과 중립정서조건에 무선 할당되었고 해당 정서를 유도한 후 탐침 탐사 과제를 실시하였다. 탐침 탐사 과제는 두 가지 자극제시시간(100ms, 500ms)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결과, 부정정서는 스마트폰 관련 자극에 대한 주의편향을 증가시켰고, 구체적으로는 부정정서를 다루기 위해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피험자에게서 부정정서 유도 후 주의편향이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같은 결과는 자극제시시간500ms에서만 관찰되었는데, 이는 부정정서가 최초의 지향탐지 수준에서 스마트폰 관련 자극에 대한 주의편향을 증가시킴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을 논하고 추후 연구를 제언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negative emotion on attentional bias for smartphone related stimuli in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group(n=60).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level of coping motivation. Before completing a dot-probe task in which smartphone-related stimuli were presented for either 100ms or 500ms, each group was randomly induced to negative or neutral emotion. The result indicated that negative emotion increases attentional bias on smartphone-related stimuli. A further analysis demonstrated that participants who reported using smartphone to cope with negative emotion had increased attentional bias for smartphone-related stimuli after negative emotion induction. These influences of negative emotion induction on attentional bias were only showed when stimuli were presented for 500ms.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y were presented.

      • 폐절제술 환자의 수술후 폐합병증 발생 예측도구의 타당도

        정수지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potential use of predictive models on patients following lung resection in South Korea by examining the incidence of PPCs (Postoperative Pulmonary Complications) in patients who underwent lung resection, and analyzing the predictive validity of the models. Method: A retrospective study was carried out on 1,160 patients selected among admitted patients who underwent lung resection surgery. Using electronic medical record, the participants’ 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The risk of PPCs was determined by 4 prediction model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IBM SPSS 25.0. The predictive validity of each model was determined by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s, and the area under the curve (AUC). Results: Among the participants, the percentage of patients with PPCs was with 34.7% for ARISCAT (Assess Respiratory Risk in Surgical Patients in Catalonia Tool), 6.7% for PCRS (Pulmonary Complications Risk Score)-lung resection model, 1.0% for NSQIP (National Surgical Quality Improvement Program) pneumonia risk model, and 0.7% for NSQIP respiratory failure risk model. Applying each model to predict PPC, the cutoff points with the highest Youden’s index with the highest predictive validity,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s were as follows : 52.2%, 70.6%, 49.0%, and 74.0%, respectively, for 47 scores of the ARISCAT; 53.8%, 78.5%, 15.3%, and 95.9% for 147 scores of the PCRS-lung resection model. The AUC was 0.65 for the ARISCAT and 0.70 for the PCRS-lung resection models, respectively. Applying each model to predict postoperative pneumonia, the cutoff points with the highest Youden’s index with the highest predictive validity, specificity, positiv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s were as follows : 91.7%, 48.3%, 1.8%, and 99.8% for –1.31 scores of the NSQIP pneumonia risk model. The AUC was 0.71 for the NSQIP pneumonia risk model. Applying each model to predict postoperative respiratory failure, the cutoff points with the highest Youden’s index with the highest predictive validity,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s were as follows : 62.5%, 75.5%, 1.7%, and 99.7% for –2.01 scores of the NSQIP respiratory failure risk model. The AUC was 0.71 for the NSQIP respiratory failure risk model. Conclusions: The results collectively indicated that the PCRS-lung resection model, NSQIP pneumonia risk model, and NSQIP respiratory failure risk model showed the highest vailidity. It is potentially useful as a valid predictive tool for intensive monitoring of patients who undergo lung resection with a high risk of PPCs in South Korea. This study also provided basic data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clinical practice programs and educational materials for th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of patients with a high risk of PPCs. 본 연구는 폐절제술을 받은 입원환자의 수술후 폐합병증 발생빈도를 확인하고, 수술후 폐합병증 발생 예측도구의 타당도를 분석하여 국내 폐절제술 환자에게 수술후 폐합병증 발생 예측도구의 적용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한 후향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일개 대학병원에서 2018년 5월 1일부터 2021년 4월 30일까지 폐절제술을 받은 입원환자 1,160명이었다. 폐절제술을 받은 환자의 인구학적 및 임상적 특성, 수술후 폐합병증 발생 여부에 대해 조사하고 수술후 폐합병증 발생 예측도구인 ARISCAT (Assess Respiratory Risk in Surgical Patients in Catalonia Tool), PCRS (Pulmonary Complications Risk Score)-폐절제술 모델, NSQIP (National Surgical Quality Improvement Program) 폐렴 위험사정 도구, NSQIP 호흡부전 위험사정 도구로 수술후 폐합병증 발생 위험을 사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5.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도구의 예측타당도는 Youden 지수가 최대가 되는 경계점수에서의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도, 음성예측도 및 95%의 신뢰구간에서 곡선하면적을 확인하여 비교하였다. 연구대상자 중 수술후 30일 이내 폐합병증이 발생한 환자는 각 예측도구의 수술후 폐합병증 세부정의에 따라 ARISCAT 34.7%, PCRS-폐절제술 모델 6.7%, NSQIP 폐렴 위험사정 도구 1.0%, NSIQP 호흡부전 위험사정 도구 0.7%였다. 수술후 폐합병증에 대한 각 예측도구의 위험요인을 사정하였고, Youden 지수가 최대의 값이 되는 경계점수와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도, 음성예측도는 ARISCAT에서는 47점에서 53.2%, 70.6%, 49.0%, 74.0%, PCRS-폐절제술 모델은 147점에서 53.8%, 78.5%, 15.3%, 95.9%, NSQIP 폐렴 위험사정 도구는 –1.31점에서 91.7%, 48.3%, 1.8%, 99.8%, NSQIP 호흡부전 위험사정 도구는 –2.01점에서 62.5%, 75.5%, 1.7%, 99.7%였다. 각 수술후 폐합병증 발생 예측도구의 곡선하면적(AUC)은 ARISCAT은 0.65, PCRS-폐절제술 모델은 0.70, NSQIP 폐렴 위험사정 도구 0.71, NSQIP 호흡부전 위험사정 도구 0.71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폐절제술 환자에게 수술후 폐합병증의 발생 위험을 예측하는데 ARISCAT보다 PCRS-폐절제술 모델이 양호한 도구로 나타났는데, 이는 일반적인 수술을 대상으로 개발된 도구보다 수술에 따라 특이적인 도구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수술후 폐합병증 중 폐렴이나 호흡부전을 개별적으로 사정하기 위해서는 NSQIP 폐렴 또는 호흡부전 위험사정 도구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임상실무에서 수술후 폐합병증에 대한 사정이 어려운 상황에서 예측도구를 사용하여 발생 위험을 평가함으로써, 고위험군을 선별하고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할 뿐만 아니라 간호사 교육에 근거 중심의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