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청국장 점질성 중합체의 첨가 식이가 Streptozotocin 유발 당뇨쥐의 혈당 및 혈청지질 감소에 미치는 영향

        김성호(Seong-Ho Kim),정소형(So-Hyoung Jung),김인호(In-Ho Kim),이유순(Yu-Soon Lee),이진만(Jin-Man Lee),김종국(Jong-Guk Kim),이명철(Myung-Chul Lee),최미자(Mi-Ja Choi),김덕진(Duk-Jin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7 No.1

        본 연구는 청국장 점질성 중합체의 첨가식이가가 STZ로 유발된 당뇨쥐의 혈당과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동물은 정상군(N), 당뇨 유발군(D) 및 청국장 점질성 중합체 첨가식이 당뇨 유발군(DCB)으로 4주간 실험식이를 공급하였다. 체중증가량과 식이효율은 D군이 N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간무게는 D군이 N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DCB군의 간무게는 D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D군의 혈당은 4주 동안 비슷한 범위를 유지하였으나 DCB군의 혈당은 실험 4주째에 D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혈중 중성지방은 D군이 N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그러나 DCB군은 D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DCB군의 혈중 총콜레스테롤은 DM군에 비해 낮은 경향이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혈중 HDL-콜레스테롤은 N군과 D군이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DCB군은 두 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혈중 LDL-콜레스테롤은 DCB군이 D군에 비해 낮은 경향이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간의 중성지방 함량과 콜레스테롤 함량은 D군이 N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DCB군은 D군에 비해 낮은 경향이었다. 따라서 청국장 점질성 중합체의 첨가 식이는 STZ로 유발된 당뇨쥐의 혈당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으며 당뇨의 대표적인 합병증인 지질대사 이상 중 증가된 혈중 중성지방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으며 감소된 HDL-콜레스테롤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으므로 당뇨의 혈당조절과 고지혈증 개선에 유익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hungkookjang viscous biopolymer supplementation on blood glucose and serum lipid-lowering in Streptozotocin (STZ)-induced diabetic rats. The rats were divided into three experimental groups; a normal group (N), diabetic control group (D), and a diabetic group with the supplementation of Chungkookjang viscous biopolymer (DCB). The groups were given experimental diets for four weeks. The normal group (C) was fed a casein-based diet, and the Chungkookjang viscous bio-polymer group (DCB) received 3% biopolymer added to the casein-based diet. In the diabetic group (D), food intake increased significantly, but weight gain decreased significantly. The food efficiency ratio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diabetic group. Liver weight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D group as compared to the N group. However, the DCB group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liver weight when compared to the D group. Blood glucose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DCB group after receiving the experimental diet for four weeks, as compared to the diabetic control (p<0.05). Serum triglyceride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DCB group than in the D group, whereas HDL-cholesterol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5). Total cholesterol was decreased in DCB group,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lso, LDL-cholesterol level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experimental groups. Hepatic triglyceride and cholesterol were lower in the DCB group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ietary supplementation of Chungkookjang viscous biopolymer improved glucose lowering and lipid metabolism in diabetic rats.

      • KCI등재
      • KCI등재

        젊은 여성과 중년 여성의 차와 음료 소비 비교에 관한 연구

        조현주(Hyun-Ju Jo),정소형(So-Hyoung Jung),정윤정(Yun-Jung Jung) 한국차학회 2023 한국차학회지 Vol.29 No.4

        본 연구는 젊은 여성(20대와 30대)과 중년 여성(40대와 50대)의 세대 차이가 차와 음료 소비에 미치는 차이를 알아보고자 만 20세 이상 59세 미만의 대구⋅경북지역 성인 여성 147명을 대상으로 차가 포함된 음료류와발효도가 따른 4가지 차(녹차, 홍차, 우롱차, 보이차)에 대한 평소 섭취 실태를 조사하였고, 차를 섭취하는 이유와 마시지 않는 이유 및 녹차와 홍차에 대한 효능 인식도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젊은 여성군의 평균연령은 24.97세, 중년 여성군은 49.49세였다(p<0.001). 젊은 여성군은 커피를 평소 가장 즐겨 마시고, 두 번째로는 탄산음료를 가장 많이 마신 반면, 중년 여성군에서는 커피를 평소 가장 즐겨 마셨으나 두 번째로는 우유 및유제품을 즐겨 마셔 유의미한 세대 간 차이가 나타났다(p<0.001, p<0.01). 최근 1년간 섭취한 음료 섭취빈도에서탄산음료(p<0.001)는 젊은 여성군에서 섭취하는 비율이 현저히 높았고, 커피(p<0.001), 우유 및 유제품(p<0.05) 과 전통차(p<0.001) 섭취는 중년 여성군에서 섭취 빈도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젊은 여성군은 녹차 다음으로 홍차를, 중년 여성군은 녹차 다음으로 보이차를 선호하는 비율이 높은 경향이었고, 중년 여성군의 녹차 섭취 비율이 젊은 여성군 보다 높았다(p<0.05). 홍차, 우롱차, 보이차의 섭취빈도는 세대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젊은여성 군은 차를 마시는 이유와 마시지 않는 이유에서 모두 ‘맛’과 ‘향’이 중요하였고, 중년 여성군에서는 ‘건강관리’, ‘다이어트’, ‘카페인’ 같은 건강과 관련된 이유들에 대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p<0.001). 녹차의 효능 인식도는 ‘건강증진’, ‘성인병 예방’, ‘체중조절’, ‘피부미용’에 대한 효능 항목에서 젊은 여성군이 중년 여성군 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결론적으로 두 군 모두 평소 커피 보다 차의 선택비율이 현저히 낮았고, 젊은 여성군에서는 중년 여성 군 보다 녹차의 효능 인식도가 높았음에도 불구하고 녹차의 섭취 빈도는 더욱 낮아 연령에 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차를 마시는 이유와 기피 이유에서도 기호성을 중요시하는 젊은 여성과 건강을 중요시하는중년 여성 간의 차이가 나타났다. This study compared the differences in tea and beverage intakes of young and middle-aged wome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eference and frequency of consumption of beverages and four teas (green tea, black tea, oolong tea, and Pu'er tea), the reasons for consumption and avoidance, and the recognition of the efficacy of green tea and black tea. The young women enjoyed coffee the most, followed by carbonated beverages. The middle-aged women enjoyed coffee the most, but milk and dairy ranked second, resulting in significant differences (p<0.001, p<0.01). In the frequency of beverage intake over the past year, the percentage of carbonated beverages (p<0.001) was significantly higher in young women, while coffee (p<0.001), milk and dairy products (p<0.05), and traditional tea (p<0.001)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middle-aged women. The young women preferred black tea over green tea, and the middle-aged women preferred Pu’er tea over green tea. The middle-aged women's green tea intake rat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young women (p<0.05). In the young women, ‘taste’ and ‘scent’ were important in both the reasons for tea consumption and avoidance, and the proportion of health-related reasons, such as ‘health care,’ ‘diet,’ and ‘caffeine,’ was high in the middle-aged women (p<0.001). Recognition of the efficacy of green tea was significantly higher in young women than in middle-aged women in the areas of ‘health promotion,’ ‘adult disease prevention,’ ‘weight control,’ and ‘skin beauty.’ In conclusion, the tea intake rat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coffee in both groups. Although the young women group had a higher awareness of the efficacy of green tea than the middle-aged women group, the frequency of green tea consumption was lower, showing a difference due to age. In addition, differences appeared in the reasons for drinking tea and avoiding it between young women who value preference and middle-aged women who value health.

      • KCI등재

        일개 대학 간호학과 학생의 대학생활 적응 관련 연구

        박선애 ( Park Sun Ae ),정소형 ( Jung So Hyoung ),박희숙 ( Park Hee Sook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일개 대학 간호학과 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을 알아보고 대학생활 적응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연구방법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자료는 2017년 11월 20일부터 12월 10일까지 수집되었다. 경북 소재 일개 대학 간호학과 학생 13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2.0을 이용하여 t-test, ANOVA, Scheffe’s,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자아존중감 평균은 2.93(0.50)점, 우울 평균은 0.42(0.33)점, 대학생활 적응 평균은 8.74(6.84)점이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 차이는 학교생활의 어려움, 교수와의 관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상자의 대학생활 적응의 영향요인은 자아존중감, 우울, 학교생활의 어려움으로 나타났으며, 대학생활 적응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우울(β=.511, p <.001)이었다. 대상자의 대학생활 적응에 대한 회귀모형 설명력은 34.7%였다. 이 결과를 근거로, 간호학과 학생의 자아존중감을 증진시키고 우울을 해소하는 교과과정을 개발하여 대학생활 적응력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adaptation of school life of nursing students in a college. The research method was a descriptive study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Data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20, 2017 to December 10, 2017.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134 students of nursing students in a college of Kyongbuk provinc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OVA, Scheffe’s, Pearsi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22.0. The subject’s mean score of self-esteem was 2.93 (0.50), depression average was 0.42 (0.33),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was 8.74 (6.84). Differences in adaptation to school lif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howed significantly in the difficulty of school life and the relationship with professors.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regression model for the subject’s adaptation to school life was 34.7%. Self- esteem, depression, and difficulty in school life wer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adaptation of school life. The major factor influencing adaptation to school life was depression (β=.511, p <.001).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adaptability of a school life by developing curriculum to improve self-esteem of nursing students and relieve depression.

      • KCI등재SCOPUS
      • KCI등재SCOPUS
      • KCI등재

        감식초가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한 흰쥐의 혈중 지질 성분에 미치는 영향

        정소형,김주현,정용진,최미자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999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Vol.9 No.4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persimmon vinegar on serum lipid components in the hypercholesterolemic Sprague-Dawley male rats. Forty ra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nd fed diets containing 1% cholesterol for 4 weeks. Experimental diets added to distilled water, 1.5%, 3%, and 7% persimmon vinegar(PV) as drinking water. Concentration of total cholesterol, LDL and HDL cholesterol, triglyceride in serum and activity of AST, ALT in serum were assayed. Average food intake, weight gain and FER of experimental ra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contents of persimmon vinegar. Concentration of total cholesterol and LDL cholesterol in serum were lowest in 7% persimmon vinegar group. However concentration of HDL cholesterol in serum was highest in 3% persimmon vinegar group. Concentration of triglyceride in serum was significantly lower in persimmon vinegar group than control group. Activities of AST and ALT in serum were lowest in 7% persimmon vinegar group. The results in this study suggest that persimmon vinegar is effective in lowering serum triglyceride level.

      • 식물성 단백질 수준이 성장기 흰쥐의 골밀도에 대한 칼슘 효율에 미치는 영향

        정소형,최미자 東國專門大學 1996 金龜論叢 Vol.3 No.1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성장기 흰쥐의 경우 동물성 단백질인 casein의 수준(20%, 40%)을 달리 하였을 때 골밀도 및 골밀도에 대한 칼슘효율이 고단백군에서 높게 나타났으므로 단백질 급원을 식물성 단백질로 대치하였을 경우에도 골밀도에 대한 칼슘 효율에 미치는 영향이 동일하게 나타나는지를 조사하고자 시도하였다. 실험식이는 단백질 급원을 Soy protein으로 대치한 것 외에는 선행연구의 모든 조건과 실험방법을 같게 하였다. 즉, 단백질 급원은 식물성 단백질인 Soy protein을 사용하였고, 단백질 수준을 대조군 20%, 고단백군 40%로 조절하여 9주간 실험하였다. 골밀도와 골무기질 함량은 양에너지 방사선 골밀도 측정기(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를 이용하여 9주째 측정하였고 요와 혈청에 대한 생화학적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요중칼슘 배설량과 Crosslinks value, 혈청 칼슘, 인, ALP, Osteocalcin함량은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총 골밀도, 총골무기질 함량, 총골칼슘 함량 및 척추와 대퇴부의 골밀도 함량과 이에 대한 각각의 칼슘효율은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단백질의 종류에 따라서 단백질 급여수준이 골밀도 및 골밀도에 대한 칼슘 효율에 미치는 영향이 다름을 알 수 있었다.

      • 대구지역 대학생의 패스트푸드점과 대학식당 이용실태조사

        정소형 東國專門大學 1998 金龜論叢 Vol.6 No.1

        대구지역의 계명대학 남녀 대학생 210명(남 109명, 여 101명)을 대상으로 패스트푸드점과 대학식당의 이용실태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패스트푸드점을 선택하게 된 이유로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맛, 가격, 분위기 순으로 나타났으며 대학식당의 경우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편리함이 가장 우선순위로 나타났다. 패스트푸드점의 이용빈도는 남녀학생 모두 한달에 2회 미만이 전체 45.4%로 가장 높았으며, 대학식당은 남녀대학생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여 여학생의 빈도가 남학생보다 높았다. 음식선택의 기준은 남녀대학생 모두 맛이 최우선 순위로 나타났으며 1회 식사비용으로 패스트푸드점의 경우는 남녀대학생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여 남학생의 비용지출이 여학생에 비해 높았으며 대학식당의 경우 유의적인 차이 없이 1500원 미만이 85.6% 였다. 패스트푸드점의 만족도는 위생, 서비스, 음식의 온도면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여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좋게 평가하였으며(p<0.05, p<0.001) 대학식당은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맛을 좋게 평가하였다.(p<0.0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