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도바울의 목회관 : 행 20:17-35절 중심으로

        정성진 영남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앞에서 고찰 해본 결과, 사도바울의 목회적인 열정과 자세들은 현대 목회자들에게 요청되어 지는 것들이다. 그의 고별 연설에 나타난 목회적인 활동들은 장로들에게 바울의 행위를 그대로 연장하기를 간절히 애원하는 부분들이다. 바울은 신앙적으로도 목회적으로도 장로들과 초기 그리스도교 공동체에 모범이 되었다. 그리고 자신은 그리스도의 모범으로 그리스도께서 자기를 따르는 자는 자기를 부인하고 십자가를 지는 삶이라고 하신 말씀을 그대로 이룬 그리스도의 산 제자이다. 첫째. 바울의 첫 번째 보여준 목회적 자세는 겸손한 목회자이다. 바울의 겸손은 밀립보서에서 보듯 사심 없는 태도를 취하는 겸손은 전적으로 인간을 위한 봉사이다. 그리스도의 겸손에 참여한 바울은 겸손은 곧 다른 사람의 행복에 대한 관심을 나타낸다. 둘째. 성령에 매여 있는 자이다. 충실한 그리스도인들은 성령의 인도하심에 따라 움직인다. 목회 사역은 성결해야 한다. 인간의 욕심, 쾌락, 정욕, 등은 성령에 불순종하는 자의 삶이다. 바울은 성령과 일치된 삶을 살았다. 세째. 온 양떼를 위해 삼가는 하는 자이다. 하나님의 사역은 거룩해야 잘 감당할 수 있다. 사도 바울은 목회 사역은 전적인 헌신과 수고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예수님은 우리를 위해 죽어 주셨다. 그러나 인간은 얼마나 하나님을 위해 살고 있는가 하는 문제이다. 내가 하고 싶은 것 놀고 싶은 것 다하고는 하나님의 목양 사업을 할 수 없다. 넷째. 훈계하는 자 이다. 바울은 한 사람 한 사람 하나님의 뜻에 맞는 사람이 되게 하기 위해서는 그는 밤낮으로 훈계를 하였다. 훈계는 상호간에 선이 된다. 훈계를 하는 이도 받는 이도 서로가 서로를 완성해 가는 것이다. 훈계는 형제를 사랑하는 독특한 방법이다. 다섯째. 봉사하는 자이다. 바울은 공동체의 모범이었다. 바울의 길을 따라서 가면 그리스도를 닮는 것이다. 그리스도를 닮는 생활은 그리스도가 자신을 내어 주신 것처럼 목회자들도 자신을 향기로운 예물로 내어놓는 생활을 하기를 바라고 있다. 여섯째. 수고하는 자이다. 목회자는 수고하는 자이다. 주님이 값 주고 사신 양들을 잘 돌보아야 할 것이고, 아직도 길을 잃어버리고 방황하는 많을 양들을 찾는데 우리의 수고를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사도바울은 돌봄과 선교에 자기 자신의 것은 조금도 귀하게 여기지 않고 수고했다. 일곱째. 주는 자이다. 바울이 보여준 목회자의 마지막 모델은 주는 자의 삶이다. 예수님이 먼저 말씀하셨다. 주는 자가 받는 자가 보다 복이 있다고 말했다. 사도바울은 우리는 주님께 너무나 큰 것을 받았기에 우리도 아낌없이 남에게 베풀어 주어야 할 것이다. 사도 바울은 주는 자의 삶을 살았다. 결론적으로 목회자로서 바울 사도가 보여준 모범은 목회자들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다. 바울 사도가 그리스도를 닮았기에 바울 사도의 목회 활동은 열매를 맺을 수 있었다. 그가 보여준 목회자의 강한 애정은 성령의 묶여 있었고, 초대 교회공동체에 의해서 전해진 신앙고백 안에서 이루어져 있다. 오늘날 목회자들도 예수그리스도의 희생과 헌신으로 일치된 바울의 모습을 닮아야 할 것이다.

      • 홈 인테리어 서비스 체험 속성이 몰입과 브랜드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정성진 동아대학교 경영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홈 인테리어 서비스에 관한 연구를 위하여 Schmitt(2000)가 주장한 홈 인테리어 서비스 체험 속성으로 감각, 감성, 인지, 행동, 관계적 체험을 활용하였으며 이러한 홈 인테리어 서비스 체험 속성과 몰입, 브랜드 애호도간의 관계에 대해서도 알아보고자 한다. 이와 함께 홈 인테리어 서비스 체험 속성(감각, 감성, 인지, 행동, 관계)과 몰입의 관계에서 소비자 주관적 지식의 조절적 역할에 대해서도 살펴보고자 한다. 이상과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주제와 관련된 문헌연구를 통해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다. 한편, 가설검정은 설문지를 이용한 서베이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홈 인테리어 서비스의 이용경험이 있는 실제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지는 270부 회수되었으나 무성의한 설문지를 제외한 268부가 본 연구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 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홈 인테리어 서비스 체험 요인 중 감각적, 감성적, 인지적, 행동적, 관계적 체험은 홈 인테리어 서비스의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홈 인테리어 서비스의 몰입은 브랜드 애호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홈 인테리어 서비스 체험 요소(감각, 감성, 인지, 행동, 관계)가 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주관적 지식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서 홈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자는 소비자들에게 감각, 감성, 인지, 행동, 관계의 총체적 체험 제공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다섯 가지의 홈 인테리어 서비스 요소에 따른 몰입과 브랜드 애호도의 구체적 관리 필요성이 확인 되어졌다. 한편, 감각, 감성, 인지, 행동, 관계적의 다섯 가지 홈 인테리어 서비스 요인이 무분별하게 소비자들에게 제공 되어지는 것 보다는 소비자들의 주관적 지식에 따라 선별적인 서비스 제공이 필요한 것으로 본 연구는 제시한다.

      • 창녕지역 초등학생의 김치 관련 기호도 및 섭취빈도 조사

        정성진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창녕지역 초등학생들의 김치관련 기호도 및 섭취빈도조사 본 조사는 경상남도 창녕지역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5·6학년 남학생(254명),여학생(246명) 총500명을 대상으로 김치의 기호도, 지식, 가치관, 섭취빈도 등을 설문 조사하였고, 이들의 상호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우리 식생활이 점차 서구화되어 김치에 대한 기호도가 낮아지고 있어 성장기에 있는 아동들의 기호에 맞는 김치를 개발하여 영양적으로 우수한 전통적인 김치 식문화를 계승, 발전시키기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할 목적을 두고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김치를 좋아하는 정도는 ‘좋아한다’ 41.6%, ‘아주 좋아한다’ 26.2%로 조사대상자의 67.8%가 김치를 좋아하였다. 2. 김치종류 별 기호도 점수는 배추김치 4.15, 깍두기 3.81, 동치미 3.73, 총각 김치 3.68, 순으로 나타났다. 3. 김치에 대한 지식점수는 평균점수가 9점 만점에 3.32로 나타났다. 4. 김치를 섭취해야하는 이유는 ‘건강에 좋으므로(30.72%)’, ‘맛이 있어서 (25.21%)’, ‘영양적이므로(19.96%)’, ‘전통음식이므로(16.12%)’, ‘항상 먹으므로 (5.92%)’, ‘부모님의 권유로(2.07%)’의 순으로 나타났다. 5. 김치 종류에 따른 기호도는 김치 음식에 대한 기호도(r=0.430, p<0.01), 김치 종류에 대한 섭취빈도(r=0.588, p<0.01), 김치 음식에 대한 섭취빈도(r=0.311, p<0.01)는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김치종류에 대한 섭취빈도가 높을수 록 김치 음식에 대한 섭취빈도(r=0.613, p<0.01)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조사대상자의 김치에 대한 기호도와 섭취빈도는 비교적 높은 편으로 나타났으나 여러 가지 김치의 종류나 김치를 이용한 음식 중 우리의 일상적인 식생활에서 자주 접할 수 없는 종류에 있어서는 기호도와 섭취빈도에서 다소 낮은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보완할 수 있도록 대상자에게 김치를 제공할 때 학교의 영양교사 들이 좀 더 다양한 김치의 종류를 학교 식단에 넣어 학생들이 다양한 김치를 경험해 볼 수 있도록 해야 하겠다. A Survey on Kimchi preference and It's Intake Patterns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Changnyeong Area This investigation polled at 500 fifth and sixth graders in Changnyeong, Gyeongsangnam-do on preferences, knowledge, values, intake frequency, and etc of Kimchi and analyzed interrelated influences. Today, School children Kimchi preference has been decreased because our dietary life has been westernized. We initially prepared various kinds of Kimchi, which children would like to eat. And we report here study results to develop traditional Korean food culture for educational purpose. 1. Interviewed children consisted of 500 elementary school students - 50.8% boys, 49.2% girls, in 46.4% fifth, and 53.6% sixth graders. Most of them were nuclear families(79.8%). 62.4% of students' mothers had occupations. 41.6% of students liked Kimchi. And 26.2% of them were Kimchi. 67.8% of surveyed students liked Kimchi. Regarding the question why do you like Kimchi? - 45.4% of students said, "because of chewed taste", 33.7% of students said, "spicy taste", 12.1% , "sweet and sour taste", 5.3% "acid taste", and 3.5% , "fresh taste". 2. According to kinds of Kimchi, Students gave preference marks. Pickled Kimchi was 4.15 points, white-radish Kimchi 3.81, watery radish Kimchi 3.73, and pickled young radishes 3.68. Regarding the question "how often do you eat Kimchi?" - for pickled Kimchi, students ate everyday, and for white-radish Kimchi boys once a week, girls once a few days. In addition, for pickled young radishes, watery radish, young radish Kimchi, stuffed cucumber pickles, pickled scallion, sesame leaves, Korean-leek Kimchi, and white cabbage Kimchi once a week. Intake frequency on foods made from Kimchiwere as follows. Kimchi fried rice, Kimchi-dried Seaweed rolls, roasted Kimchi, noodles with Kimchi were taken once a week. On the other hand, Kimchi-pizza, Kimchi-dumpling, Kimchi-spaghetti, Kimchi-Hamberger, Kimchi-iced vermicelli, hard-boiled pork with Kimchi, Kimchi-rice served in soup, hard-boiled mackerel with Kimchi were never taken. 3. A knowledge on Kimchi marked 3.32 out of 9 points. 4. Regarding the question "why do you eat Kimchi? - They answered sa follows because it is good for health(30.72%), delicious(25.21%), nutritious(19.96%), traditional food(16.12%), always eat(5.92%), parents recommend(2.07%). 5. Preference tests for Kimchi type - preference for Kimchi foods(r=0.430, p<0.01), the frequency of intake for the kinds of Kimchi(r=0.588, p<0.01), the frequency of intake for Kimchi foods(r=0.311, p<0.01) - wer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them. Between Kimchi in food preferences and Values for kimchi(r=0.332, p<0.01) there also were positive correlations. The more they intake for the kinds of Kimchi, the more they intake Kimchi foods(r=0.613, p<0.01). According to the results, Kimchi preferences and ingestion frequency were shown to be relatively higher. But types of Kimchi, which can't eat frequently, were shown to be somewhat lower. Therefore, when dieticians provide students with Kimchi, they should plan many different kinds of choices. Also, we should provide more Kimchi choices to eat at home or at school and eventually they like to have it. And most surveyed students like to eat Kimchi, so developing a new recipe and will menu help children to take more Kimchi. On knowledge of Kimchi, students answered that they don't know much about Kimchi. Now, the results indicate that nutrition educations in elementary school haven't made systematically. To resolve it, we should attempt different nutrition educations.

      •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한 뮤지컬 지도 방안 연구

        정성진 국민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하여 학습자들의 지능별 영역을 구성하고 ‘이해를 위한 교수’ 모형으로 뮤지컬 지도 방안을 연구하였다. 2009 개정 음악과 교육 과정을 보면 음악의 미적 경험과 안목을 높이고 이를 바탕으로 실제 삶에서 즐길 수 있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실천하기 위해서는 단일 척도로서 일원적 지능을 강조하는 전통적인 학습 방법에서 벗어나 학습자 개개인의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 기존의 전통적인 방식의 지능 구성이 아닌 학습자들의 다양한 지능에 맞게 지도 방안을 구성하는 것 또한 필요하다. 본 연구자는 이에 대해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하였다. 가드너는 학습자들이 각각 다른 지능 프로파일을 지니고 있으며 발달 정도도 다르다고 주장한다. 이에 학습자의 관점에서 그들이 지니고 있는 다양한 지능별 영역에 맞게 교수-학습을 구성하여 적용했다. 또한 가드너와 퍼킨스가 제시한 ‘이해를 위한 교수’ 교수 모형을 통해 교수-학습 지도안을 연구 하였다. 뮤지컬은 다양하고 폭넓은 음악적 예술 공연 양식이여서 학습자들이 다방면의 참여를 유도 할 수 있는 동기 부여가 용이하다. 무엇보다 음악을 다양하게 체험하고 느낄 수 있는 장이 형성되어 뮤지컬을 중심으로 지도안을 제시 하였다. 본 연구는 총 3차시로 구성 되었으며 차시별로 여덟 가지 지능들이 모두 사용 되도록 노력 하였다. 학습자들이 수업 참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활동지를 활용 하였다. 총 3차시 지도안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매 차시마다 배경 음악을 먼저 제시하여 학습자들이 음악실에 입장함과 동시에 친숙할 수 있는 분위기를 형성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동기 유발 과정에서 뮤지컬에 대한 다양한 생각을 적게 하고 제시된 상자에 여러 방법으로 넣게 하여 생각을 공유하였다. 이는 학습자들의 다양한 생각을 나누면서 흥미와 집중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이 모든 과정이 폭넓은 예술 공연 양식, 즉 뮤지컬이라 설명 하면서 수업을 전개해 나갔다. 이로 인해 학습자들은 자연 이해적 지능을 제외한 음악적, 언어적, 시각·공간적, 논리·수학적, 대인 관계적, 개인 이해적, 신체·운동적 지능을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뮤지컬 “오페라의 유령”을 중심으로 뮤지컬의 구성요소를 파악 할 수 있을 것이다. 서곡에서 나오는 주요 멜로디를 제시하고 이를 시각·공간적, 신체·운동적, 음악적으로 표현할 수 있게 연구하였다. 또한 제재곡 ‘Thing of me’를 통해 뮤지컬 넘버를 학습하고 가창을 통해 배우들의 감성을 느끼며 표현하는 학습과정을 계획 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뮤지컬 “렌트”중 ‘Seasons of love’곡을 중심으로 악보에 표기된 기호들을 이해하고 쉼표와 박자의 리듬 패턴을 지키며 가창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모둠별 창작(개사)활동으로 학습자들의 협동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으며 창의적인 표현이 가능할 것이다. 다섯째, 뮤지컬 “캣츠”를 통해 줄거리 및 ‘Memory'곡이 나오는 상황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Memory'곡이 지니고 있는 박자의 변화를 이해하고 배경이 되는 그리자벨라의 감성을 느끼며 가창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실제 수업에서 실험을 통해 검증 과정을 거치지 않았기에 그 효과를 확인 할 수 없다. 다양한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아도 다중지능이론 을 적용한 지도안은 많았으나 뮤지컬 보다 오페라의 비중이 높았고 실제 학교 현장에서 시연한 연구는 찾기 어려웠다. 따라서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한 다양한 뮤지컬의 작품과 제재곡을 통해 활발한 연구가 진행 되고 실제 학교 현장에서의 검증 과정을 통해 효과를 입증하는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고 본다.

      • 미술과 수업에서 자화상 그리기 지도방안 연구 : 고등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정성진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입시경쟁 속의 고등학교 학생들은 ‘나는 누구인가?’ 라는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 자문할 여유도 없이 살아간다. 이로 인해 가치 판단력이 흐려지고 자신이 진정 무엇을 원하는가에 대한 자기 인식이 부족한 실정이다. 청소년기인 고등학생들은 미래에 대한 불안감과 내면적 갈등이 높아지는 시기로써 인격형성에 매우 중요한 시기이다. 따라서 이시기의 미술교육은 자신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가질 수 있도록 접근과 방법이 필요하다. 이런 미술활동 중 자화상 그리기는 마치 일기를 적는 것과 같이 자기반성과 함께 여러 화가들에 의해 중요한 소재로 다루어져 왔으며 미술과 수업에서는 위와 같은 맥락에서 지도하고자 하였다. 현행 미술과 수업에서 자화상은 인물묘사의 사실적인 관찰에 의한 표현을 중시하고 있어 창의적이고 개성적인 자기표현이 결여될 가능성이 크다. 이런 문제를 본 연구는 의미 있는 자기표현의 수단으로 삼고자 ‘미래의 자화상그리기’를 제시해 보았다. 자신의 모습과 미래에 대한 상상을 그리는 미래의 자화상 그리기는 청소년기 학생들의 자아정체감 확립과 함께 긍정적인 가치관 형성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지금까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자화상의 대표적인 작가들의 작품 감상수업이 이루어졌으며, 막연할 수 있는 작품의 계획을 마인드맵(Mind map)을 제시 하여 자기표현에 있어서 보다 쉽고 자신감을 갖고 접근하도록 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자기 탐색과 막연하게 느껴졌던 자신의 내면을 시각적으로 구조화 시킬 수 있는 시간을 마련하였다. 또한 사실적인 인물묘사 위주의 수업이 아닌 다양한 재료와 기법을 활용한 개성적인 자화상을 제작하도록 하여 흥미와 적극적인 미술활동 참여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표현과정 후에는 자신이 그린 자화상에 대한 감상과 함께 느낀 점 등을 발표함으로써 서로에 대한 이해가 더욱 깊어지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미술의 근본적인 목적을 조화로운 인간의 성장을 돕고, 의미 있는 자기표현의 수단으로 삼고자 했다. 자화상 그리기를 통하여 표현의 즐거움뿐만 아니라, 미래의 상상을 통해 자신을 되돌아보는 계기가 될 것으로 생각되며 현재와 미래에 있어서 긍정적이며 건전한 가치관 형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These days, high school students in the competitive entrance examinations have lived without being able to afford to ask themselves their own identity, 'Who am I?' As a result of this, it is the actual circumstances that students are increasingly losing their judgement and have a lack of self-awareness on what they really want. High school students belong to adolescence when they have the increasing inner conflicts and feelings of uneasiness about their future. This period is the very critical one for the formation of character. Therefore, art education in this period require the approaches and ways for students to have a correct awareness of themselves. Of all these art activities, drawing a self-portrait has been treated as one of the important materials by many artists, with self-reflection, just like writing a diary. In lessons in art, students will be guided in the above-mentioned context. In existing art lessons, there is the strong possibility that a self-portrait will have a lack of the creative and unique self-expression because it attaches importance to the expression by actual observation in representing a human figure. To regard this problem as a means of self-expression, this study presented 'drawing a future self-portrait.' It is thought that drawing a future self-portrait which draw one's own figure and imagination about one's own future can help students in adolescence form positive values as well as establish their self-identity. Until now, students have taken lessons in appreciating works by the representative self-portrait artists in order to attain the objects of this study, and they have been enabled to have confidence and approach self-expression more easily by presenting the mind map for plans for works that may be vague. This study prepared the time for students to visually structuralize self-inquiry and the inside of their own which was felt vague through this course. Moreover, this study was intended to have students draw their own unique self-portrait utilizing a variety of materials and techniques rather than represent a human figure realistically to provide them with the interest in art and the opportunity to take part in art activities actively. They were enable to have the deeper understanding of each other, by presenting the things they felt, along with the impressions of a self-portrait they drew on their own after the expression process. This study tried to regard the fundamental objects of art as a means of helping the harmonious growth of humans and expressing themselves. It is thought that drawing a self-portrait will serve as the momentum of reflecting on oneself through imagination about one's future as well as feeling the pleasure of expression. Also, it seems that it will have an effect on the positive and sound formation of values at present and in the future.

      • 대공간의 열환경 특성과 효율적 제어에 관한 연구

        정성진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민의식 및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편리나 안전이라는 기능적인 만족을 넘어 생활을 보다 쾌적하고 문화적으로 하고자 하는 욕구가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며, 이러한 경제적, 사회적 변화에 따라 외부조건에 영향을 받지 않고 쾌적한 환경에서 안정적으로 스포츠나 이벤트 등의 행사를 진행할 수 있는 대공간의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최근의 대공간은 건설기술이 발달되어 감에 따라 점차 대형화되고 있으며, 기존의 실내에서 행해지는 일반적인 행사 이외에도 야구, 축구 등의 각종 실외 스포츠 경기를 개최하기 위해 대형화, 다목적화 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대공간의 다양한 행사에 적합한 실내온열환경조성을 위한 실내환경 제어기술 개발에 대한 요구도 한층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대공간의 실내온열환경 실측평가를 통하여 대공간의 열환경 특성과 분포상의 문제점을 정량적으로 파악하였으며, 국내외 주요 대공간에 대한 사례조사도 병행하였다. 이 같은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효율적 대공간 설계를 위한 설계상의 유의점과 제어기술을 정리함으로서 향후 본격적인 국내 대공간 건설에 즈음한 설계지침으로 참조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시코자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기존 대공간의 수직온도 실측데이터를 분석함으로서 경기장내 온도성층 발생정도와 영향범위 및 분포상의 문제를 파악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로 인해 대공간은 운영유지측면에서 에너지 다소비형 특성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대공간 계획시 건물의 배치 및 형태에 의한 자연환기와 자연채광을 증대시키는 계획, 여름철 냉방부하 피크 컷을 위한 빙?수축열의 이용, 지중 덕트 및 열교환기를 통해 외기부하를 줄이는 방법 등 다양한 에너지 절약 계획이 반영되어야 한다. (2) 대공간의 객석온도 실측데이터를 분석함으로서 대공간 냉방시의 경우 낮은 곳에 위치한 가변형 객석은 상대적으로 높은 곳에 위치한 2층 객석부보다 비교적 낮은 온도분포를 나타내었다. 또한, 급기구 위치보다 높은 곳에 위치한 2층 객석상부의 경우 취출기류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 못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한편, 난방시의 경우는 가변형 객석과 2층 객석의 온도차가 5℃전후로 크게 나타났다. 이는 고온의 급기류가 취출직후 강한 부력에 편승하여 공간상부로 상승함으로서 하부 거주역의 온열환경조성에 효과적으로 작용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거주역의 분포상 문제를 해결하고 쾌적한 열환경 조성하기 위해서는 대공간 계획시 좌석취출 공조, 객석바닥 공조 등 거주역 공조 시스템의 적용과 관람객의 유무에 따른 영역별 냉난방제어가 고려되어야 한다. 3) 실측 대공간에 설치된 기류유인팬 작동에 따른 온도 분포를 분석한 결과 공간상부에 형성된 온도성층 완화에 효과적으로 작용하였으며, 선회류가 도달하는 영역에서는 상하온도차가 크게 경감하였다. 기류유인팬은 대공간 내부에 폭넓게 형성된 온도성층 완화에 효과적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거주역의 온도는 기류유인팬의 선회류 확산성상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사료되므로 대공간의 온도균일화와 냉난방 에너지 절약을 위해 기류유인팬의 배치 및 선회류의 확산성상, 운전조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추정된다. 4) 대공간은 넓은 천장면과 큰 용적의 형태적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유지관리 측면에서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대공간 계획시 큰 면적의 천장면과 외벽면을 이용하여 자연채광과 자연환기를 도입함으로서 조명 에너지의 저감효과와 중간기의 냉난방 에너지 저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자연환기를 유도하여 하계실측에서 나타난 상부에 정체된 고온의 공기를 배출함으로서 하부 거주역의 열환경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5) 대공간의 난방설계시 고려할 점은 공간의 상하 온도차가 크게 나타나고 특히 낮은 곳에 위치한 경기장과 객석영역은 급격한 온도저하가 발생되는 것이다. 따라서 지붕과 벽면의 단열성능을 강화하여 외부의 냉기 침입을 최소화하는 방안이 고려되어야한다. 사례에서와 같이 대공간 시설을 지하화 함과 동시에 천장면을 흙으로 덮어 천장 및 외주부 벽체의 단열성능과 열관류를 저감시킴으로서 난방 부하의 감소와 그에 따른 에너지 저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난방시 온도 성층화에 의한 에너지소비를 줄이기 위해 대상공간에 직접난방을 공급하는 방식이 고려되어야하며 실측에서 그 효과가 평가된 기류유인팬을 사용하여 고온의 상부공기와 저온의 하부공기를 혼합하여 난방에너지를 절약하는 방안이 고려되어야 한다. 대공간의 냉방설계시 주요 냉방부하 요소로는 관객과 조명 등의 실내부하요소와 외부의 높은 온도에 의한 천정면과 외주벽에 발생하는 복사열이 있다. 이는 사례조사에서와 같이 별도의 자연환기 시스템과 연동하여 축적된 열을 방출함으로서 거주역 냉방에 최소한의 영향을 미치게 계획되어야 한다. 또한, 대공간은 하부영역에 거주역이 집중되어 있으므로 실내공간 전체를 냉방대상으로 하지 않고 냉기류의 부력을 이용하여 대상공간에만 기류흐름을 유도하는 공조 시스템의 적용이 고려되어야 한다. As the citizens' awareness and living level have improved, the demands for more pleasant and cultural life, more than functional satisfaction, such as convenience or safety, have emerged, and these economical and social changes also have caused the need for Larger space to increase, in which sports can be played or events held in a pleasant environment with stability without being affected by outward conditions. Recently, the size of Large Space has been gradually enlarged, owing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because they’re used not only for general indoor events, but also for various outdoor sports, for example, baseball or soccer, and it make them become Larger-sized and used for multiple purposes. Therefore, there are more demands for developing indoor environment control technology to establish indoor thermo-environment which is proper for different events held in Large Space.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heat environment and problems of the distribution of Large Space in quantity by the actually measuring the existing indoor thermo-environment of Large Space, and also researched the examples of main Large Space inside or outside of Korea. This study aims at offering some basic data which can be referred to as the construction guide for the full-scaled construction of Large Space in Korea afterwards, by arranging the matters to be attended to in designing, and controlling technologies for efficient Large Space design,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s. (1) When the existing actual data of vertical temperature of Large Space, actually measured, were analyzed, the degree of temperature layer development inside the stadium, the influence range and distribution problems can be sorted out. These problems cause Large Space to have the feature of excessive energy consumption, in terms of management and maintenance. Accordingly, when a plan is being made for Large Space, different energy saving plans should be included, such as the plan to extend natural ventilation and lighting by the allocation and forms of buildings, use of freezing?contracting heat for peak cut of air cooling load in the summer, decrease of external air load through in-the-earth duct and heat exchanger, and etc. (2) The analysis of the actually measured data of the temperature of seats in a Large Space revealed that the changeable seats located on the lower level had lower temperature, compared to the seats located on the second level, in case of Large Space air cooling. Also, the upper part of the seats on the second floor, located higher than the air supplier were proved not to be affected directly by the exiting air flow.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heating,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changeable seats and the seats on the second floor was big by around 5℃. This is because the fast air flow of high-temperature took a lift on the strong buoyancy and ascended to the upper part of the air right after exit, and therefore it didn’t work effectively to create a thermo-environment in the lower part of residence area. In order to solve these distribution problems of the residence area and to create more pleasant thermo-environment, during planning a Large Space, the application of the mutual assistance system of residence area, such as mutual assistance for seat exit and the seat floor, and heating and cooling control of each area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audience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3) The analysis result of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depending on the operation of air flow inducement fan, set up in Large Space, proved that they worked effectively to decrease temperature layer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air, and the vertical temperature differences dropped a lot in the area where circling flow reached. Since it was confirmed that the air flow inducement fans were functioning to ease the temperature layers formed broadly inside the Large Space, and since it seemed like the temperature of residence area was affected by the air flow inducement fans' circling flow diffusion, follow-up researches are necessary on the arrangement of air flow inducement fans, circling flow diffusion, and operating conditions, in order to make the temperature in Large Space even and to save energy for heating and cooling. 4) The features of the shape of Large Space, wide ceilings and big capacity, make it difficult to manage and maintenance it. Therefore, when Large Space is being designed, natural lighting and ventilation, using the big-sized ceiling and outside walls, can be introduced for the effect of saving lightning energy and cooling and heating energy. In addition, it’s expected that natural ventilation can be induced, which will help emit the hot air staying in the upper part, which was checked in the actual measurement, and the thermo-environment of the lower part of the residence area can be improved. 5) Another consideration for the designing of heating of a Large Space is that the vertical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space is big, and in particular, the temperature drops sharply at the stadium and seats located in the lower part. Accordingly, the way to minimize the intrusion of cool air from outside needs to be considered by strengthening the insulation function of roofs and walls. As the examples show, when the Large Space facilities are built underground, and simultaneously, when the ceiling is covered with soil, and therefore when the insulation function and heat pipes of the ceiling and external wall are decreased, it can be expected that the heating load also decreases, and energy can be saved. Furthermore, the method to supply heating directly in the object space to save energy spent by thermal stratification in heating, and the measures to save heating energy by using air flow inducement fan, whose effect has been proved by actual test, and by mixing the hot upper part air and the cool lower part air, also have t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Main cooling load elements in case of cooling design of a Large Space are indoor load elements, such as audiences and illumination, and the radiant heat generated on the ceiling and external wall caused by high outside temperature. In relation to this, it should be designed that the influence on the cooling of the residence area can be minimized, by interlocking a separate natural ventilation system, and by emitting the accumulated heat, as the example researches display. Besides, because the lower part of Large Space is centered on the residence area, the application of mutual assistance system needs to be taken into account, where cooling is not for all indoor space, but only the air flow is induced only for the target space using the buoyancy of cool air flow.

      • 무용전공 학생들의 신체만족도와 공연자신감의 관계

        정성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무용전공 학생들이 자신의 신체만족도가 무대 공연상황에서 개인차 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규명하고, 무용전공 학생들이 신체만족도와 공연과제에 대한 자신감과의 구체적인 상호관계를 파악함으로써, 공연의 최상수행에 필요한 최적의 심리상태를 알아보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첫째, 배경적 특성과 신체만족도의 관계, 둘째, 무용성취 · 무용참가와 신체만족도의 관계, 셋째, 무용성취 ? 무용참가와 공연자신감의 관계 , 넷째, 배경적 특성과 공연자신감의 관계, 다섯째, 신체만족도와 공연자신감의 관계 간의 인과 관계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신체만족도와 공연자신감에 관련되어 있는 여러 요인들의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이 연구는 신체만족도를 독립변인으로, 공연자신감을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였고,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배경변인으로 개인적 특성, 인지된 무용능력, 중요타자의 지원을 설정하였으며,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의 관계에 개입하는 의미 있는 매개변인으로 무용성취와 무용참가를 설정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은 각 대학의 무용수업 시간 및 무용발표회의 공연에 참가한 무용전공 학생들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설문 조사에 참가한 학생수는 총 340명이 표본으로 수집되었다. 수집한 자료 중 무응답 내용이 10문항을 넘는 응답자 20명의 표본은 분석 시 제외하여 최종적으로 자료 분석에 사용된 인원은 총 320명이었다. 수집된 자료 중 분석 가능한 자료를 이용하여 신체만족도가 배경변인, 무용성취, 무용참가, 공연자신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적 특성, 중요타자의 지원은 신체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인지된 무용능력은 신체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성취와 무용참가는 신체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용성취와 무용참가는 공연자신감에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개인적 특성 중 부모의 교육수준, 가정수입은 공연자신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된 무용능력은 공연자신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요타자의 지원 중 부모의 관심과 친구의 관심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신체만족도는 공연자신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인지된 무용능력과 신체만족도는 공연자신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결론을 종합하여 보면 공연상황에서 자신감은 무용전공 학생들의 신체만족도와 무용성취, 무용참가 변인들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특히 무용입상 횟수나, 무용경력이 많은 학생일수록 공연 시 무대에서의 자신감도 높다. 한편, 인지된 무용능력 수준이 높을수록 신체에 대한 만족도가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공연자신감 또한 높게 나타나 공연자신감에는 인지된 무용능력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how one's physical-contentment and stage confidence can be influenced to one's performance of a dance and to investigate what mental factors can make one's dance ability maximize. This thesis consists of five parts: 1.the relationship between one's background and physical-contentment, 2.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the number of given prizes and participation of performances) and physical-contentment, 3.the relationship between one's physical-contentment and stage confidence, 4.the relationship between one's background and stage confidence, 5.the relationship among the all the factors above. For this study, 320 students (originally,340, however, those who didn't give answers more than 10 questions were not counted) whose major were in dance or had performed on the stage were asked to answer some sampling questions to analyze how physical-contentment, one's background and stage confidence can be influenced in one's performance. From the collected data, I analyzed how physical-contentment can have an effect on one's background, career( the number of given rizes and participation of performances), and stage confidence. On the basis of the results analysed, the conclusions were drawn as followings; 1. Their age, family′s income, parent′ job, and perceived dance abilities don′t have significant influences on Physical-contentment. 2. The more they won the prizes and participate performances, the higher they can get stage confidence. 3. Physical-contentment is significant positively in stage confidence of students. 4. Sex, age, parents′ job, and perceived dance abilities has significantly influences on stage confidence. Parents′ and friends′ concern can give positive affect to students. 5. There were significant causal relationships among physical-contentment and stage confidence of students.

      • 자기통제 피드백 제시에 따른 청소년의 동적·정적 평형성의 변화

        정성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표는 제공되는 피드백의 내용에 따라 슬랙라인(slackline) 한발 서기 과제(single-leg stance)의 수행변화 양상을 학령기 청소년을 대상으로 규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전라북도 소재의 W중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30명을 피험자로 삼았고, 연령은 14에서 16세 사이 (평균= 14.06세, 약 168개월)로 운동수행과 실험과제 수행에 어려움이 없는 학생으로 구성되었다. 피험자들은 실험이 진행되기에 앞서 세 집단(자기통제, 보강, 통제)에 무작위로 배정되었다. 실제 훈련 기간은 2주가 소요되었으며, 주당 5회, 집단별 1시간씩 총 10시간의 훈련을 실시하였다. 1회당 약 30회의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각 집단 별 피드백은 매 수행이 끝날 때마다 제공하였다. 통제집단은 실험이 진행되는 동안 피드백을 부여하지 않고 다른 집단과 동일한 시간 동안 개인 연습을 실시하도록 하였다. 실험이 진행되는 동안 피험자는 슬랙라인의 기본 기술 중 하나인 한발 서기를 연습하였고 실험처치의 효과를 측정하는 검사에서는 동적 평형성 검사도구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Star Excursion Balance Test(SEBT)와 정적 평형성 검사도구인 한 발 서기 검사(single leg stance test)를 사용하였다. 검사 도구의 측정은 개인별 3회씩 실시하였고 측정된 값의 평균치를 산출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실험에 참여한 피험자들은 집단별 훈련이 시작되기 전 사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2주의 훈련 기간이 종료된 후 사후 검사도 사전 검사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종속변인인 동적평형성과 정적 평형성의 분석을 위해서 개인별 SEBT 수행의 전체 기록과 각 방향별 기록, 한 발 서기 검사의 수행기록을 측정하였고, 이를 통해서 결과를 도출하였다. 산출된 자료를 토대로 집단과 검사 시기에 따라 동적 평형성 검사와 정적 평형성 검사에 대하여 반복측정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 방법을 기초로 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피드백 제시 형태에 따른 동적 평형성의 변화에서는 자기통제 피드백을 부여받은 집단이 보강 피드백을 부여받은 집단과 통제 집단에 비해 우수한 수행 결과를 나타내었다. 둘째, 피드백 제시 형태에 따른 정적 평형성의 변화에서는 자기통제 피드백을 부여받은 집단과 보강 피드백 및 통제집단 사이에 피드백에 따른 수행의 차이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 태양열 시스템 적용을 위한 에너지 분석과 이용에 관한 연구

        정성진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devices, 46 temperature sensors and calorimeter were installed at collector, heat exchanger and accumulator to investigate the performance of solar system. The system was set up at the roof of pig farms around district ‘Gunwi’ for the fermentation of feces and urine and the amount of energy consumed during the process was evaluated. Followings are the analysis results conducted to assess efficiency of the solar system with respect to the azimuth, inclination angle of the pig farms and classification of the farmland. (1) Vacuum tube type of collector, heat exchanger and accumulator were designed to analyze the solar system and a system to be exploited for the fermentation of feces and urine was developed. (2) Ratio of non-agricultural area in ‘Gunwi’ was 47.8% and it was revealed that 21.7% area was able to be utilized for solar system properly due to its optimum azimuth. However, it was concluded that 90% of the pig farms were supposed to be inadequate for the application of solar system since the examinations figured out that only 10.9% was in optimum condition considering both of agricultural area and the azimuth. (3) It was found that roof angle of 17 pig farms was ranged from 10 to 15° and the case less than 20° was 63% out of total examinations. Regarding only 35% of total pig farms were built with roof angle bigger than 20°, it could be concluded that roof inclination of the most of the pig farms was not significant. Hence, the angle of the roof should be increased by 4-5° to improve performance of the solar system, considering insolation. (4) Roof structure of the most pig farms was estimated to be unstable when solar system was installed on it since the roof was built with galvanized iron sheet. (5) Temperature of the feces and urine rose up to 30 °C by supplying warm water of 35 °C obtained from the solar system. Energy consumed for the fermentation of feces and urine in June, July and August were 1927, 2269 and 1368 kWh, respectively and actual efficiencies compared to the theoretical energy storage at the same period were 49.7%, 65.0% and 37.1%,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