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생체 부분 간이식(LDLT) 기증자의 경험

        정선주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71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general understanding how and what Living Donor Liver Transplantation(LDLT) donors experience in everyday life.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it is tried that we provide LDLT donors to right management and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education program, base data which is needed the way of support and political base required urgently. Method : In-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nt observation research methods over the ethnographic research methods were applied, the data collection period to July 2010 data saturation was held early in March 2011. Informants for the selection and data collection café.daum.net/liver donor (Korea Liver Donor Association) in the September 2009 target date for the donor, has been consulting the Internet and by phone, prior to the consultation members(living liver Donors) are willing to participate in the study during the active and the most suitable for research purposes purposive sampling was selected as providers of information. Informants of this study were café.daum.net/liver donor as a full member of the membership of 450 people who have experienced living donor liver donation of 10 liver donors qualified written consent by participating parties were selected. Individual in depth interviews with a number of interviews per person 2-3 times, per interview took 1-3 hours. Result : The results donor’s experiences of LDLT were classified 9 areas, 33 categories, 110 properties. Specific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Determine the motive for the donation was categorized influences of a high price on family culture(extremely devote, the sticky brotherhood, a spirit of self-sacrifice), religious influences(religious), the influence of mass media(TV programs). 2. Lack of information was categorized insufficient advance information (the lack of information about operation process and complication occurred and the lack of information about long-term physical sequela), doctor’s information and the different reality(different return period), and inadequate post-information(the lack of information about health status after donation), absence of education materials(absence of education program for donor). 3. Lack of management of the doctor was categorized doctor’s incomprehe- nsion(understanding shortage about liver donor), doctor's neglect(neglect about complaint symptoms, neglectful follow up). 4. Physical difficulty was categorized that is Incomplete recovery(100% recovery before liver donation is not possible), severe pain(severe pain than expected, long-lasting pain, liver biopsy due to pain), physical sequel(internal disorders, immune loss, chronic fatigue syndrome, gastrointestinal disorders, weight changes, constitutional changes, skin problems, circadian rhythm imbalance, discomfort in the scar area, causing complications and risks). 5. Mental-psychological ambivalence was categorized positive emotions (relief, happiness, satisfaction, full heart, appreciation), negative emotions, difficulty in emotional expression, body image damaged(difficulty of damaged the body accept, difficulty in using public baths, hideous scars caused by the withering), psychological problems(depression, cumbersome due to bile leakage and mental trauma, sleep disturbances, personality changes, poor morale and confidence, poor understanding, poor concentration and poor judgement, forgetfulness and memory loss). Showed a significantly more negative emotions than positive emotions, negative emotions was classified that is anxiety and fear, emptiness and absurd, unfair, regret, sorrow, resentment, distrust, disappointment, sense of loss, frustration, alienation and hurt, regrettable, betrayal, concern(worried), cumbersome than the military life, suffering, never do anything in life again, if you are not an immediate family the difficulty of liver donor. 6. Social-economic difficulty was categorized personal difficulties(early return to an incomplete recovery condition, a jobs or business capacity degradation, maintaining economic activity and the return of the difficulties, lack of care in the workplace, switch to lighter jobs after liver donation, employment difficulties, difficulties in maintaining relationships, Economic burden, the burden treatment pay after discharge), and social prejudice(liver donation is easy), unfair treatment(unfair treatment of insurance company, harsh treatment of workplace), no social support(no rights protection, no support for employment, lack of awareness about transport week). 7. Delay of Return and recovery period were categorized delay of return to everyday life(required at least three months after donation, it takes more than six months duration after occurred complications), delay of a job to return(three months after donation, if physical labor is strong it take over a period of one year after donation), delay of physical recovery period(30% physical recovery is required at three months after donation, 70%physical recovery is required at six months after donation), before donate a similar physical recovery(at least 1 year after liver donation is required). 8. Desire was categorized desire about recipients(live healthily, discarding bad habits, keeping promises, have divided hearts, to know the donor sacrifice, to know the donor heart), Desire about family(to understand for donor), desire about medical worker(twenties and early thirties the donor selection, genital examination(women: cervical, ovarian, etc.), follow-up, should do minimally invasive, eager convey to the recipient, receiving a memorandum), Personal desire(scar removal, support for additional costs, activate support group, provided liver donor courtesy). 9. Overcoming difficulties were categorized the power of faith(the death of the recipients accept the will of God), family support, self-overcoming (meeting with people, interest in life), liver donor support group(sympathized with). Conclusion : Based on the foregoing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By developing effective education program for living liver donor appropriate preparedness and response of liver donation before and after, and the surgery after adaptation costs for professional nursing interventions so that they can continue to positively. After donating, even though it passed away many years, Liver donor had difficulty troubling such as physical disabilities and mental-psychological, social-economic all their life. The insurance company treated Liver donor who sacrificed to save someone’s life unfair like refusing of insurance, resigning at the official suggestion and so on. We think that liver donors should not take such difficulties and suffers any more. The frequency of brain-dead donor is only 3.1 per a million people and it is only 1/10 compared to developed country. However Liver donation is expected to increase steadily like in America and Europe(operating of Liver transplant- tation more than 7000 times in a year in America and Europe). Since it is considered that the problem of Liver donor occurs continuously, the right policy and legislation which protect and support Liver donor urgent. 본 연구의 목적은 생체 부분 간이식(LDLT) 기증자가 일상적인 삶에서 무엇을 어떻게 경험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함이며, 이 결과를 토대로 LDLT 기증자들에게 적절한 관리와 교육프로그램 개발, 절실히 요구되는 지원방안 및 정책기반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방법은 심층면담과 참여관찰을 통한 일상생활기술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0년 7월부터 자료가 포화상태에 이른 2011년 3월까지 진행되었다. 정보제공자 선정과 자료수집을 위해 café.daum.net/liver donor(한국간기증자협회)에서 2009년 9월부터 현재까지 간 기증자를 대상으로 인터넷과 전화로 상담해 왔으며, 사전에 상담한 회원(생체 간 기증자)중에 적극적으로 연구에 참여할 의사가 있고, 연구목적에 가장 적합한 정보제공자를 의도표출법(purposive sampling)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정보제공자는 café.daum.net/liver donor의 회원으로서 전체회원 450명 중 생체 간 기증을 경험한 간 기증자 10명으로 서면화된 연구참여 동의서를 작성한 자로 선정하였다. 개별적 심층면담에 있어 1인당 면담 횟수는 2∼3회였고, 면담 1회당 1∼3시간이 소요되었다. 생체 부분 간이식 기증자의 경험을 분석한 결과 9개의 영역, 33개의 범주, 110개의 속성으로 분류되었다. 도출된 연구의 결과를 구체적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간 기증 결정동기는 가족중시문화의 영향(지극한 효심, 끈끈한 형제애, 희생정신), 종교적 영향(신앙심), 대중매체의 영향(TV프로그램)으로 범주화 되었다. 2.정보부족은 불충분한 사전정보(수술과정 및 합병증 발생여부와 장기적으로 발생되는 신체적 후유증에 대한 정보부족), 의사의 정보와 상이한 현실(상이한 복귀시기), 불충분한 사후 정보(기증 후 건강상태에 대한 정보부족), 교육자료부재(기증자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부재)로 범주화되었다. 3.의사의 관리부족은 의사의 이해부족(기증자에 대한 이해부족), 의사의 소홀함(호소증상에 대한 무관심, 소홀한 추후 건강관리)으로 범주화 되었다. 4.신체적인 어려움은 불완전한 회복(간 기증 전으로 100%회복은 절대 불가능), 극심한 통증(예상보다 더욱 극심한 통증, 장기간 지속되는 통증, 간 조직검사(간생검)로 인한 통증), 신체적 후유증(내부적 장애, 면역저하, 만성피로증후군, 위장관 장애, 체중변화, 체질변화, 피부트러블, 생체리듬 불균형, 흉터부위의 불편감, 합병증 및 위험성 유발)으로 범주화되었다. 5.심리∙정신적인 양가감정은 긍정적정서(안도감, 행복감, 만족감, 뿌듯함, 감사함), 부정적정서, 감정표현의 어려움, 신체상 손상(손상된 신체 수용의 어려움, 대중 탕 이용 시 어려움, 흉측한 흉터로 인한 위축), 정신적 어려움(우울증, 담즙누출로 인한 힘듦, 정신적 트라우마, 수면장애, 성격의 변화, 의욕 및 자신감 저하, 이해력저하, 집중력 및 판단력 저하, 건망증과 기억력 감퇴)으로 범주화 되었다. 긍정적 정서 보다 부정적 정서가 두드러지게 나타났고, 부정적 정서는 불안함과 두려움, 공허함, 황당함, 불공평함, 후회, 서러움, 원망감, 불신감, 실망감, 상실감, 좌절감, 소외감과 상처, 섭섭함, 배신감, 염려함(걱정), 군생활 보다 힘든 것, 개 고생 한 것, 평생 다시는 못할 짓, 직계가족이 아니면 간 기증은 하기 어려운 것으로 분류되었다. 6.사회∙경제적인 어려움은 개인적 어려움(불완전한 회복상태로 조기복귀, 일(업무)역량저하, 경제적 활동유지와 복귀의 어려움, 직장 내 배려부족, 기증 후 가벼운 일로 전환, 취업의 어려움, 인간관계유지의 어려움, 경제적 부담감, 퇴원 후 치료비부담), 사회적 편견(간 기증을 쉽게 생각하는 문제), 부당한 대우(보험회사의 부당한 대우, 직장의 냉혹한 대우), 사회적 지원 전무(권익보호 전무, 취업 시 채용에 대한지원 전무, 교통약자에 대한 인식부족)로 범주화 되었다. 7.복귀 및 회복시기의 지연은 일상생활복귀의 지연(기증 후 최소한 3개월 이상 소요, 합병증 발생 시는 기증 후 6개월 이상의 기간이 소요), 일(직장)복귀의 지연(합병증 발생 없이 기증 후 3개월 소요, 육체적 노동이 강할 경우 기증 후 1년 이상의 기간이 소요), 신체회복시기의 지연(30% 신체회복은 기증 후 약 3개월 소요, 70% 신체회복은 기증 후 6개월 이상 소요), 기증전과 비슷한 신체회복시기(기증 후 최소한 1년 이상의 기간이 소요)로 범주화 되었다. 8.바램은 수혜자에게 대한 바램(건강하게 살기, 나쁜 습관 버리기, 약속 지키기, 나누는 마음 갖기, 기증자희생 알기, 기증자 마음 알기), 가족에 대한 바램(기증자 이해해주기), 의료진에 대한 바램(20~30대로 기증자 선정해주기, 생식기 검진해주기[여성: 자궁, 난소 등]), 추후관리해주기, 최소절개해주기, 수혜자에게 절절함 전해주기, 각서 받기), 개인적인 바램(흉터제거해주기, 추가적 비용 지원해주기, 지지그룹 활성화해주기, 간 기증자 예우 마련해주기)으로 범주화 되었다. 9.어려움 극복은 신앙의 힘(수혜자의 죽음을 신의 뜻으로 수용), 가족의 지지, 스스로 극복(사람들 만나기, 취미활동하기), 간 기증자 자조모임(동병상련)으로 범주화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생체 간 기증자를 위한 효율적인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간 기증 전∙후 적절한 준비와 대처 및 수술 후 적응을 긍정적으로 해나갈 수 있도록 전문적인 간호중재를 요한다. 생체 간 기증자는 간 기증 후 수년의 시간이 경과 했음에도 불구하고 신체적 후유 장애, 심리∙정신적, 사회∙경제적 등 생활 전반에 걸쳐 어려움과 힘듦을 겪고 있었다. 한 생명을 살리기 위해 희생한 생체 간 기증자에게 배려와 지원을 고사하고, 보험회사로부터 보험가입 거부, 직장 내에선 권고사직 등 부당한 대우를 받고 있었다. 이와 같은 어려움과 힘듦은 더 이상 간 기증자들이 개인적으로 감내해야 할 몫이라 볼 수 없다고 사료된다. 한국 뇌사자기증의 빈도는 인구 100만 명당 3.1명 수준으로 선진국에 비하여 1/10 수준에 불과한데, 뇌사자 기증이 증가한다 하더라도 미국과 유럽(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연간 7000예 이상의 간이식 수술 시행)에서처럼 생체 간 이식은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이러한 생체 간 기증자의 문제는 앞으로도 계속 발생할 것으로 사료되며, 이에 따른 생체 간 기증자를 보호하고, 지원할 수 있는 적절한 정책 및 법률제정이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 그림이야기책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과 그림 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

        정선주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5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an activity to make a picture storybook affected the language and drawing expression abilities of young children. Th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as follows: 1. What influence does picture storybook making activity on the language ability of young children? 2. What influence does picture storybook making activity on the drawing expression ability of young childre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0 young children who were at classes of two different kindergartens attached to K and N elementary schools respectively in Gochang-gun, Cheon-Buk. They were five years old in American age, and the two classes were randomly selected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which included 10 boy children and 10 girl children each. The experimental group was engaged in picture storybook making after listening to an illustrated story book, and the control group had a discussion after they listened to an illustrated story book.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15 times for five weeks, three times a week. The instrument used to evaluate the language ability of the young children in pretest and posttest was Korean-Wechsler Preschool and Primary Scale of Intelligence K-WPPSI. And Chi Sung-Ae(2001)'s Drawing Representation Scale was utilized to assess their drawing expression abilities. When pretest was conducted to see if the two groups were equivalent, they were considered equivalent since there appeared no significant intergroup gaps in language and drawing expression abilities. To determine the effect of picture storybook making on their language and drawing expression abiliti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program, and t-test was used. The brief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below: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that was engaged in picture storybook making made significantly higher progress in language ability than the control group that wasn't. By subarea,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improvement than the control group in common sense and vocabulary. The former scored better than the latter in understanding, common characteristics and sentence, but the gap between the two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picture storybook making activity made significantly better strides than the control group. By subarea, the former got significantly better scores than the latter in diverse colors, detailed description, harmony of construction, perfection of drawing and connection between representation and language. The experimental group scored better than the control group in combination of basic diagram and line, theme-related representation and creative representation, but their gap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In conclusion, the activity of making a picture storybook provided an opportunity for the young children to express the given story in writing and drawing in the presented order, and that experience allowed them to foster their language ability such as common sense and vocabulary. And that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ir drawing expression abilities as well, which referred to understanding the visual images of the picture storybook, expressing their ideas and feelings in diverse ways, and drawing what they intended to do. The findings of the study showed that picture storybook making was one of the appropriate and meaningful teaching methods to further the language and drawing expression abilities of young children, and that it could be applicable to preschool education. 본 연구는 그림이야기책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 및 그림 표현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그림이야기책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 2. 그림이야기책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그림 표현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본 연구의 대상은 전라북도 고창군에 소재한 N초등학교 병설유치원과 K초등학교 병설유치원의 만 5세반 2개 학급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학급은 각각 실험집단(남:10명, 여:10명)과 비교집단(남:10명, 여:10명)으로 무선 배정하였으며, 참여유아는 총 40명이었다. 실험집단 유아들은 그림이야기책을 읽어주고 그림이야기책 만들기 활동을 전개하였으며, 비교집단 유아들은 그림이야기책을 읽어주고 토의활동을 실시하였다. 실험처치는 5주 동안 1주에 3회씩 총 15회에 걸쳐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측정도구는 유아의 언어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K-WPPSI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를 사전․사후검사로 사용하였으며, 유아의 그림 표현능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지성애(2001)의 「그림 표상능력 평가척도」를 사전․사후 검사로 사용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유아들의 집단별 동질성을 알아보기 위한 사전검사 결과, 두 집단간의 언어능력과 그림 표현능력 검사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동질 집단으로 간주하였다. 그림이야기책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 및 그림 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집단간 사전과 사후검사 후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이야기책 만들기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언어능력에서 유의하게 점수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언어능력의 하위영역 중 상식과 어휘에서는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증진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해, 공통성, 문장 능력에서는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점수는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둘째, 그림이야기책 만들기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그림 표현능력에서 유의하게 점수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표현능력의 하위영역 중 다양한 색채, 세부적 묘사, 조화로운 구성, 다양한 형체, 그림의 완성, 표상과 언어의 연계성에 대한 점수가 비교집단 유아들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기본도형과 선의 병합, 주제관련 표상, 표상의 창의성 능력에서는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점수는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그림이야기책 만들기 활동의 경험은 이야기를 순서에 맞추어 글과 그림으로 짜임새 있게 표현함으로써 상식과 어휘 등 언어능력을 증진시키며, 그림이야기책의 시각적 영상을 이해하고, 생각과 느낌을 다양하게 표현하면서, 유아 자신이 그리고자 하는 표상을 그림으로 풍부하게 나타낼 수 있는 그림 표현능력 증진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그림이야기책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 및 그림 표현능력 증진을 위해 적절하고 의미 있는 교수방법으로 유아교육 현장에서 활용해 볼 가치가 있음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 그림일기를 활용한 언어중재가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화용적 언어능력향상에 미치는 영향

        정선주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림일기를 활용한 언어중재가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화용적 언어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며 본 연구의 대상은 생활연령이 5 ∼ 6세인 3명의 아동으로 PRES검사결과 수용언어능력은 정상범주에 속하나, 표현언어 능력이 생활연령에 비해 1년이상 지체되고, 지능지수는 K-WPPSI로 측정한 결과 85이상이며, 시각, 청각, 정서, 행동문제를 보이지 않으며, 자유화와 글쓰기가 가능한 아동으로 선정하였다. 중재 프로그램은 2007년 12월 12일부터 2008년 3월 20일 까지 1주일에 2세션씩 총 24회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의 진행 순서는 단계별로 구조화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일기를 활용한 언어중재가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객관적 언급하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대상 아동모두 사전 검사에서는 70%, 사후 검사에서 90%로 대상 아동 모두 20% 향상을 나타내었다. 둘째, 그림일기를 활용한 언어중재가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주관적 진술하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대상 아동 1은 사전 검사에서 40%, 사후 검사에서는 80%, 대상 아동 2는 사전 검사에서 60%, 사후 검사에서는 90%, 대상 아동 3은 사전 검사에서 50%, 사후 검사에서는 90%로 대상 아동 1은40%, 대상 아동 2는 30%, 대상 아동 3은 40% 향상을 나타내었다. 셋째, 그림일기를 활용한 언어중재가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대화내용 수신 표현하기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대상 아동 1은 사전 검사에서 20%, 사후 검사에서는 50%, 대상 아동 2는 사전 검사에서 40%, 사후 검사에서는 80%, 대상 아동 3은 사전 검사에서 30%, 사후 검사에서는 70%로 대상 아동 1은 30%, 대상 아동 2는 40%, 대상 아동 3은 40% 향상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그림일기를 활용한 언어중재가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화용적 언어능력향상에 효과적인 방법임을 지지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intervention through picture diary program on the improvement of pragmatic competences of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ree children who chronological age was 5 to 6, receptive language was ability normal but expressive language ability was delayed in 1 year, intelligence quotient was above 85, and there were no problems in visible, hearing, emotional and behavior abilities. The intervention program was executed 2 sessions in 12 weeks, namely, total 24 ses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ll subjects were improved 70% to 90%in the objective mentions. Second, all subjects were improved in the subjective statements. Concretely, there were the improvements 40% to 80% in subject 1, 60% to 90% in subject 2, and 40% to 80% in subject 3. Final, all subjects were improved in the expression receiving the content of the dialogue. That is, there were the improvements 20% to 50% in subject 1, 40% to 80% in subject 2, and 40% to 80% in subject 3.

      • 육자배기토리를 활용한 중학교 가야금병창 지도 방안

        정선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55

        가야금병창 연주 활동은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노래를 부르고 악기를 연주하며 음악의 아름다움을 만끽하고, 음악 경험에 스스로 참여하며 자기 주도성을 기르는 대표적인 활동이다. 가야금병창을 통해 가창과 기악을 아울러 제재곡의 음악적 특징을 학습하며 연주 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지도가 가능하다. 이에 본 연구자는 공교육 현장에서 학생들에게 친숙한 민요를 활용하여 가야금병창을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도록 연구하고자 하였다. 판소리 곡에서 활용도가 높은 가야금병창은 여러 지역 민요의 토리 중 육자배기토리의 시김새 표현에 실용적이다. 이를 위해서는 오른손 주법의 학습과 더불어 왼손 주법의 학습도 반드시 이루어져야 하며, 가창과 기악을 병합하여 연주하기 때문에 민요의 선행 학습이 충분히 이루어진 중학생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음악 수업의 기본적인 지침이 되는 음악 교과서에 수록된 가야금병창의 지도 내용과 육자배기토리 제재곡의 수록 현황 및 학습 활동을 검토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제재곡 ‘진도 아리랑’을 선정하여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7차시의 육자배기토리를 활용한 가야금병창 지도 방안을 구안하였다. 가야금병창 지도 방안의 각 차시는 가야금병창 이해하기, 제재곡 학습하기, 오른손 기초주법 학습하기, 왼손 주법 학습하기, 오른손 심화주법 학습하기, 발표 준비하기, 발표 및 평가하기로 설정하였다. 차시별 지도 방안은 도입, 전개, 정리의 세부 단계로 나누어 효과적인 수업을 위한 구체적 교수⋅학습 활동과 전략 및 지도상의 유의점을 안내하였다. 이를 통해 가창과 기악을 아울러 연주 능력을 향상하고 육자배기토리의 음악적 특징이 내면화될 수 있는 효과적인 수업이 이루어지기를 바라며, 학생들이 능동적으로 연주하고 발표 및 평가하는 활동을 통해 연주 문화의 인식과 공동체 속에서 음악으로 소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또한, 가창과 기악을 병합한 장르에 대한 공교육 현장에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여 이와 관련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공공기관의 기업복지유형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신세대 직원의 복지수요를 중심으로

        정선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공공기관의 기업복지제도 유형에 따라 근로자의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해 보고자 한다. 특히 20년, 10년 전과 현재의 공공기관 구성원의 세대구성의 변화와 그 특징을 살펴본 후 공공기관의 기업복지제도가 구성원 특성 변화에 따라 수혜자의 요구에 맞게 변화되고 있는지 확인하고 그 결과를 통해 구성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높이기 위한 개선방향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노동패널조사(KLIPS)의 5차(2002년), 14차(2011년), 24차(2021년)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시대 흐름에 따른 공공기관 조직구성원의 세대구성 및 제공받는 복지제도의 변화를 확인하고 기업복지제도 유형별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세대 특성에 따른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공공기관의 금전적 복지제도가 20년 전과 비교하여 큰 폭으로 축소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반면에 비금전적 복지제도에 대한 수혜 비율의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20년 전에 비해 금전적인 복지수준이 현저히 축소되었다는 것은 기성세대와 신세대의 복지수준에 대한 갈등이 발생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더구나 신세대 미혼 비율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개인 중심 복지항목의 제공 비중이 상대적으로 더 낮기때문에 신세대 미혼자의 복지제도에 대한 만족도가 낮아지고 결국 조직몰입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기업복지제도의 유형을 금전적 복지제도, 비금전적 복지제도, 가족중심 복지제도, 개인중심 복지제도로 나누었을 때 각각의 복지유형 모두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도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많은 수의 복지제도를 제공 받을수록 조직몰입도에 더 큰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한 가지의 특정한 제도가 조직몰입도에 크게 영향을 주기보다는 여러가지 제도를 다양하게 제공받는 것이 조직몰입도에 더 크게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따라서 기업복지제도가 조직몰입에 긍정적 더 큰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보편적으로 많은 근로자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제도로 변화해야 한다. 많은 근로자들이 다양한 복지제도 혜택을 누리고 특정 제도들에서 배제되지 않도록 기업복지제도를 개선해야 한다. 기업복지제도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나이나 결혼여부 등 세대별 특성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지는 못했다. 20년 간 공공기관 기업복지제도가 제공된 변화의 비율, 개인특성변수의 변화 등을 확인한 결과 복지수준은 확연히 축소되었고, 조직구성원의 특성 또한 변화하였으나 결과적으로 나이나 결혼여부 등의 변수가 기업복지유형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지는 못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복지’에 대한 개념이 확장되고 있는 시대적 환경에서 공공기관 구성의 주축이 되는 신세대 직원이 지속적으로 배제되는 복지제도가 유지된다면 그들의 조직몰입도는 결국 약화될 것으로 보인다. 제도나 규정화 되어 있는 비금전적인 복지제도는 물론이고 특히 금전적인 복지에 있어서 더욱 공정성을 고려하여 더 많은 근로자들이 보편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제도로 개선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study how the types of corporate welfare systems of public institutions in Korea affect work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study aims to study how the types of corporate welfare systems of public institutions in Korea affect work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particular, after examining the changes in the generation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members of public institutions 20 or 10 years ago and now, the corporate welfare system of public institutions is changing to meet the needs of beneficiaries. The 5th (2002), 14th (2011), and 24th (2021) survey data of the Korea Labor Panel Survey (KLIPS) were used to confirm the generational composition of members of public institutions and changes in the welfare system provided according to the trend. In addition, th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type of corporate welfare system and the moderating effect according to generational characteristics were confirmed. It was confirmed that the monetary welfare system of public institutions was greatly reduced compared to 20 years ago, while the difference in the ratio of benefits to non-monetary welfare systems was not significant. The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level of monetary welfare compared to 20 years ago suggests the possibility that conflicts over the level of welfare between the older and new generations may arise. Moreover, as the proportion of individual-centered welfare items is relatively lower at a time when the proportion of unmarried people in the new generation is increasing, satisfaction with the welfare system of unmarried people in the new generation can be reduced and eventually negatively affect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types of corporate welfare systems were divided into monetary welfare systems, non-monetary welfare systems, family-centered welfare systems, and individual-centered welfare systems, and it was confirmed that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organizational members also had a positive effect.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larger the number of welfare systems provided, the greater the impa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other words, rather than one specific system greatly affect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receiving various systems has a greater impa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refore, in order for the corporate welfare system to have a positive and greater impa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t must be transformed into a system in which many workers can generally benefit. The corporate welfare system should be improved so that many workers enjoy various welfare system benefits and are not excluded from certain systems. In the effect of the corporate welfare system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t was not possible to confirm the moderating effect of generational characteristics such as age and marital status. Over the past 20 years, the level of welfare has significantly decreas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al members have also changed, but as a result, variables such as age and marital status do not control the effect of corporate welfare type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However, in an era when the concept of "welfare" is expanding,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is expected to eventually weaken if the welfare system is maintained, which continuously excludes new generations of employees who are the main pillars of public institutions. The welfare system, which generally allows many employees to benefit evenly, should consider more fairness, especially in terms of financial welfare, as well as the system or non-monetary welfare system stipulate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o a system in which more workers can receive various welfare systems.

      • 사립유치원 일반학급 특수교육대상유아 순회 교육에 관한 유아특수교사의 경험과 요구:심층 면담을 중심으로

        정선주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55

        사립유치원 일반학급 특수교육대상유아 순회 교육에 관한 유아특수교사의 경험과 요구 - 심층 면담을 중심으로 -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유아특수전공 정선주 지도교수 : 이병인 본 연구는 사립유치원 일반학급의 특수교육대상유아를 대상으로 순회 교육을 실시한 경험이 있는 유아특수교사의 경험과 지원요구를 심층 면담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목적 표집을 통해 연구 참여자 3명을 선정하였다. 면담은 반 구조화 된 질문지를 활용하여 개별로 진행하고 연구 참여자에게 연구에서 고려해야 할 윤리성에 대하여 사전에 안내하였다. 면담 후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진실성 확보와 윤리적 고려를 위해 연구 참여자 확인법과 동료검토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상위 범주 3개, 하위 범주 7개, 주요 내용 26개로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현재의 순회 교육 현황’,‘순회교육에 대한 어려움과 고민으로 지새운 밤’을 통해 순회 교육 과정에서 유아특수교사의 경험을 이해할 수 있었고,‘내일의 순회 교육을 위한 유아특수교사의 기대’를 통해 순회 교육을 위한 유아특수교사의 지원요구를 발견할 수 있었다. 주제어: 유아특수교사, 사립유치원 일반학급배치 특수교육대상유아, 순회 교육

      • 도시 여성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교육요구에 관한 연구 : 인천광역시소재 지역농협기관 교육프로그램 참여자를 중심으로

        정선주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5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quirement of female members of National Agricultural Cooperative Federation(NongHyup) living in cities on lifelong education programs and to give city women a chance to be educated for their effective leisure, the improvement in life quality, and the motivation for self-realization. Also,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requirement of the participants in lifelong education programs which has evolved from the educational function NongHyup has and at providing basic data that shows there i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NonHyup and local community education. A questionnaire was used for this study and the participants in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provided by 8 branches of NongHyup in Incheon answered the questionnaire, and SPSS was used to analyze the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ajority of participants said that the reason they participated in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provided by NongHyup was because they enjoy learning. The participants in their 50s and 60s were interested in health care and longevity. The 40s were interested in economy and financial technology, and the ones under 39 years of age were interested in home management, cooking, and interior design. They all preferred experts and lectures on each subject for learning. Second, the majority of participants preferred the programs lasting less than 3 months and twice a week. They also preferred Tuesdays and mornings on weekdays. They said that the total number of participants should be between 71 and 100 and the class size should be between 21 and 30. They also said that the tuition should be paid by both participants and NongHyup, and that the tuition shouldn't be more than 10,000 won. This result shows that most of the learners want cheaper tuition for their participation in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Third, the majority of participants said that NongHyup is an indispensable organization not only for farmers but also for the local community, and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provided by NongHyup are very necessary. They think the subjects and contents of the programs are the most important part and hope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s in hobbies, leisure, and sports. The major obstacle is lack of awareness of the programs. They think many staff members of NongHyup should be trained as specialists in the programs. They also think that other organizations as well as NongHyup need to provid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This shows that the education for women needs to have a variety of the curriculums in many different organizations that are in the community. Fourth, the majority of participants are willing to continue their participation in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provided by NongHyup. What they like most about the programs are the curriculum itself and the staff members. They are satisfied with the reasonable number of staff members in NongHyup, the modernized facilities, the positive attitude to their opinions, and counseling support. They also like the quality of the programs, and after completing, their self-esteem and learning competence were greatly improved and they wanted to participate in more programs. This study shows that city women consider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provided by National Agricultural Cooperative Federation are very important to them. Not only NongHyup but also other organizations have to provide these programs for lifelong desire and a healthy life. Those organizations should be located in many places where people can easily reach so that many people can participate in various programs. Also, standardized criteria must be made to increase participants satisfaction and the number of staff members in NongHyup needs to be increased. The number of experts on lifelong education is not enough, so organizations should hire more qualified ones. The incentive policy for the expert's certificate is also required. The requirements of participants need to be examined and the consultation support should be provided. The facilities for the programs need to be more modernized. In addition, organizations should advertise the programs in public to remove the major obstacle, lack of awareness of the programs. 본 연구는 도시 지역 농협 여성 평생교육 프로그램 교육 요구를 파악하고, 도시 여성들의 건전한 여가와 삶의 질 향상과 함께 자아실현의 동기부여를 위한, 평생교육 기회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농협의 교육적 기능을 평생교육에까지 확대하여 농협에서 실시하는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직접 참여하는 참여자들의 평생 교육적 요구가 무엇인가를 밝혀내고자 한다. 나아가 평생학습 사회에 대비하여 농협 평생교육과 지역사회 평생교육의 관계 재설정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가장 활발히 운영하고 있는 인천광역시 소재 8개 지역 농협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 결과를 SPSS프로그램에 의해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 여성들의 농협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실태를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응답자 대다수가 ‘배우는 것이 좋아서’ 평생교육에 참여한다고 하였다. 참여하고 싶은 평생교육 프로그램은 연령대로 살펴보면 50대와 60세 이상 집단은 건강관리 및 장수에 가장 관심이 많은 반면, 39세 이하 집단은 가정관리·요리·인테리어, 40대는 경제·재테크에 가장 많은 관심을 보였다. 평생교육 강사로는 해당분야 전문가를 원하였다. 희망하는 프로그램 진행방식은 전문가의 강의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도시 여성들의 농협 평생교육의 적절한 교육 기간은 3개월 이내가 적절하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적절한 교육 횟수는 주 2회로 나타났다. 희망 요일은 화요일, 운영 시간대는 평일오전이 가장 많았다. 주부대학 총학생수는 71명~100명을 선호하였고, 학급당 학생 수는 21명~30명이 가장 적절하다는 의견이 다수로 나타났다. 교육 참여경비 지급주체는 학습자 본인과 농협이 공동 부담해야 한다고 하며, 학습자 본인의 자부담 경비는 1만원이 적절하다고 하였다. 이런 점에서 대부분의 학습자들은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시 비교적 적은 비용을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농협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 실무자와 기관에 대한 기대 수준을 살펴보면, 농협은 농민뿐만 아니라 지역사회를 위해 필수적인 기관이라고 인식하였으며, 농협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협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은 프로그램의 주제 및 내용을 가장 중요시 하였고, 취미·여가·스포츠 관련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를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협 평생교육 프로그램은 관련 정보 부족이 가장 큰 장애 요인으로 나타났다. 농협 직원의 농협 평생교육 프로그램 진행 전문요원화는 필요하다는 의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농협 이외의 기관에서도 여성을 위한 평생교육을 받을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압도적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불필요 하다는 의견은 소수에 불과하여 여성을 위한 여성교육이 여러 기관에서 다양하게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나타냈다. 넷째, 도시 여성들의 농협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의견을 살펴보면, 농협에서 평생교육을 받고난 후에, 앞으로도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싶은 의욕이 높아졌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농협 교육담당 직원 수 현황의 적절성, 농협 교육시설의 현대화 정도, 수강생의 의견 반영 정도, 상담 지원의 충분 정도는 보통 수준이었고, 프로그램 참여와 담당자는 만족하는 것으로, 프로그램 질 관리도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 수료 후 자기개발 및 학습능력에 대한 자신감 향상과 향후 프로그램 참여 의사가 증진되었음이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도시 여성들은 농협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은 매우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배우고 싶은 욕구 만족과 건강한 삶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농협에서뿐만 아니라 행정기관 등 평생교육 기관에서도 다양한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이 필요하다. 그리고 많은 교육기관이 도처에 위치하고 있어 접근성이 용이해져서 더욱 많은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어야 하겠다. 또한, 향후 농협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만족도를 높이기 위하여, 프로그램 표준안을 마련하고, 농협 교육 담당 직원 수를 늘리고, 평생교육사의 양성과 배치, 자격증 가점 제도를 도입하고, 전문직 직원을 채용하는 등 인력 양성에 노력을 기울여야 하겠다. 그리하여 교육생들의 요구조사, 교육 상담지원 등의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교육 시설의 현대화도 아직 많이 부족하여 향후 시설 확충에도 힘써야 하겠다. 아울러, 프로그램 참여의 장애 요인인 정보 부족을 해소하기 위하여 더욱더 잠재적 학습자 참여 유도를 위한 홍보 활동을 내실화 할 필요가 있다.

      • 새터민의 적응유연성과 직업의식이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정선주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8655

        This study is descriptive research that confirms the effects of Saeteomin's resilience adaptation and job consciousness on self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and that confirms the effects of population demographic traits on resilience adaptation, job consciousness, self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The duration for investigation took place from April 5th 2008 to June 4th 2008 and 289 Saeteomins who lived in suburban region of Seoul city participated in investigation and data analysis only contains sincere answers which are 289 questionnaires.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survey in which contains 57 questions in subtotal, consisting of 7 questions on general traits, 22 on resilience adaptation, 18 on job consciousness, 5 on self efficacy, 5 on job satisfaction. The tool used in this study investigates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measurement of resilience adaptation was used for the survey in which contains 20 out of 42 questions of Kim (2006) modifying Hutton (2003) developed for Saeteomin in subtotal. The factors are strength, social support and religious tendency. The measurement of job consciousness was used for the survey in which contains 18 out of 45 questions of Kim (2006) in subtotal. The factors are value, attitude, custom and opinion. The measurement of self efficacy was used for the survey in which contains 5 out of 13 questions of Kim (2006) in subtotal. The measurement of job satisfaction was used for the survey in which contains 5 out of 20 questions of Kim (2006) in subtotal. All data collected from surveys were processed by SPSS 14.0. To set the variables of demographics, the author had done frequency test and the author also had reliability test to find the reliability of each variable. Factor analysis was also done to test the validity of each variable. Also, AMOS 6.0 program is used to analyze the effects on control hypothesis test and population demographic trait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following. 1. The strength, social support and religious tendency which are the resilience of the Saeteomin have significant effect on the self efficacy. The attitude, convention and opinion which are the job consciousness of Saeteomin also have the significant effect on the self efficacy. The strength, social support and religious tendency which are the resilience of the Saeteomin does not have significant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The value which is the job consciousness of Saeteomin has the significant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2. The strength and social support which are the resilience of the Saeteomin have significant effect on the self efficacy for female. The attitude and opinion which are the job consciousness of Saeteomin have th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self efficacy for male. 3. The stregth, religious tendency and social support which are the resilience of the Saeteomin does not have significant differency depending on gender. The value which is the job consciousness of Saeteomin have th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self efficacy depending on gender. 4. The stregth which is the resilience of the Saeteomin has significant effect on the self efficacy for married Saeteomin, and the social support has significant effect on both married and singles. The religious tendency has significant effect on singles. 5. The attitude, convention and opinion which are the job consciousness of Saeteomin have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rital status. The attitude has significant effect on both married and single. The convention and opinion have significant effect on single and married couple respectively. 6. The attitude, value and convention have differences on marital status. The value and attitude has differences on married. The value has significant effect on self efficacy and attitude has significant differences on married on and convention has significant effect on self efficacy of single. 7. Depending on income of Saeteomin, strength has significant effect on self efficacy for those who are able to earn over a million won and social support has significant effect on self efficacy for those who are able to earn over a million won. 8. Depending on income of Saeteomin, the attitude and convention have significant effect on self efficacy for those who are able to earn over a million won and opinion has significant effect on self efficacy for those who are able to earn over a million won. 9. Depending on income of Saeteomin, value and convention have differences on income and job satisfaction. The value and convention have significant effect on self efficacy for those who are able to earn less a million won. Depending on the age of Saeteomin, strength and social support have effect on self efficacy for those who are over 30 and less than 29. The religious tendency has effect on for those who are less than 29. 10. Depending on the age of Saeteomin, attitude and convention have effect on self efficacy for those who are less than 29. The opinion has effect on self efficacy for those who are over 30. The strength, social support and religious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depending on age. The attitude and value have differences on self efficacy for those who are over 30. In conclusion, the higher resilience of adaptation of Saeteomin, the more positive self efficacy they have. The higher job consciousness they have, the higher job satisfaction they have. Since the population statistical traits are proven to be the variables to control the resilience of adaptation and job consciousness, government, private organization and other organization should have plans or programs to increase the resilience of adaptation and job consciousness of Saeteomin and to induce to have positive attitude of job consciousness.

      • 생존장기기증자의 경험에 기반 한 지원체계 마련방안

        정선주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655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사회문화적 배경 속에서 생존장기기증자가 무엇을 경험하는지 심층적으로 탐색하여 이들 경험에 대한 깊은 이해를 토대로 생존기증자의 지원체계 마련방안을 모색하고자 함이다. 연구방법은 심층면담과 참여관찰을 통한 일상생활 기술적 연구방법(ethnographic research method)을 적용하였고, 자료 수집은 예비조사를 실시한 후 2016년 1월부터 자료가 포화상태에 이른 2017년 3월까지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정보제공자는 신장기증자 7명, 간기증자 9명, 신장·간기증자 1명(신장과 간을 모두 기증함)으로 자료가 포화상태에 이를 때까지 계속 추가하는 방식으로 면담을 진행하여 최종적으로 생존기증자 17명이 참여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별적 심층면담 횟수는 정보제공자당 2회∼5회까지 이루어졌고, 1회 면담에 소요된 시간은 2∼3시간이었다. 자료분석은 Spradley(1980)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생존시장기기증자의 경험을 분석한 결과, 3개 영역, 19개 문화적 주제, 45개 범주, 187개 속성으로 분류되었다. 3개 영역은 「기증 전 과정의 실상」, 「기증 후 당면한 현실」, 「지원제도에 대한 갈망」으로 도출 되었다. 「기증 전 과정의 실상」의 문화적 주제는 ‘기증 전 건강한 몸’, ‘이식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 ‘의료진과 가족 및 주변지인의 기증권유와 강요’, ‘가족 및 주변지인의 기증만류’, ‘기증에 대한 양가감정’, ‘불충분한 정보로 인한 혼란’, ‘기증자 선별검사과정에서의 겪는 어려움’, ‘기증밖에 없는 선택’, ‘수술직전 복잡한 심경’이다. 「기증 후 당면한 현실」의 문화적 주제는 ‘수술직후 극심한 통증’, ‘기증 후 관리부족, 기증 후 정보부족’, ‘신체적 어려움’, ‘생명 나눔이 남긴 선물과 상처’, ‘사회생활 속의 고충과 부당대우’, ‘경제적인 부담감’, ‘신체회복 시기 및 일·직장복귀시기 지연’이다. 「지원제도에 대한 갈망」의 문화적 주제는 ‘기증자를 보호하기 위한 지원제도에 대한 갈망’, ‘정부의 법적·제도적 지원 촉구’이다. 생존기증자의 총제적인 경험과 미비한 생존기증자 지원제도의 문제점에 근거하여 생존기증자를 위한 지원체계 마련방안이 제시되었다. 「생존기증 전 기증과정에 대한 지원체계 마련방안」은 ‘기증자 동의확인 주체를 의료기관 보다 국가의 역할을 더 강화’, ‘장기기증 상담평가 시 독립적인 평가과정 제도 필요’, ‘기증 전 충분한 정보제공 및 표준화된 교육자료 개발’, ‘생존기증자 선정 기준에 대한 면밀한 검토 필요’, ‘생존기증자 선정 시 다면적인 기증자선별 검사 필요’이다. 「생존기증 후 경험에 기반 한 지원체계 마련방안」은 ‘기증자 사후관리에 대한 기증자 당사자 의견수렴 필요’, ‘기증 후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건강관리제도 마련’, ‘내부 장기를 적출한 생존기증자에 대한 장애인 인정 검토’, ‘유급휴가 및 휴직 등 기증 후 사후관리 및 기증자 가족지원제도 마련’, ‘기증자의 경제적 부담 경감을 위한 제도마련’, ‘알권리 지원을 위한 생존기증 포털사이트 구축’, ‘기증자를 보호하기 위한 법적제도 마련’, ‘생존장기이식에 대한 인식개선을 위해 교육 및 홍보강화’, ‘생존장기기증에 대한 실태조사 및 장기추적연구 필요’이다. 생존기증자가 겪는 어려움의 근본적인 문제는 생존기증자를 위한 법적·제도적 지원체계가 매우 부족하였기 때문이다. 생존기증자들의 말 못하는 고초는 지금까지 기증자 개인의 문제 및 가족사로 치부돼오면서, 온전히 기증자가 감당하는 몫이었다. 게다가 생존기증은 95% 이상 혈연간의 기증이기 때문에 기증자들이 자신들의 문제를 낱낱이 밝히고, 어떤 지원책을 요구함에 있어서 갈등을 겪고 있으며 소극적인 태도를 유지할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생존기증은 자신의 질병치료를 위해서가 아니라 타인의 질병 치료를 위해 살아있는 사람의 장기를 적출하는 것이기 때문에 단순히 장기를 적출하는 의료적 행위만이 아니라, 기증자를 둘러싼 다양한 문제를 안고 있다. 생존기증자의 지원체계 구축이 시급한 이유는 기증자에게 어떠한 불이익이나 차별대우가 있어서는 안 되며, 자신의 희생을 감수한 생명 나눔의 숭고한 행위는 가족이나 타인 간 기증의 구분 없이 존중 받아야 함이 마땅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생존기증자의 인권보호와 복지증진을 위하여 정부와 국가적 차원의 노력과 관심이 절실하며, 생존기증자 지원에 대한 중장기 계획수립과 법률개정 및 제도마련이 조속히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living organ donors are experiencing in a socio-cultural context in Korea and to find a way to establish a support system for living donors based on a deep understanding of these experiences. The research method is descriptive research using an ethno-graphic research method through in-depth interview and participation observation.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January 2016 after the preliminary survey through March 2017 when the data became saturated. The informants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7 kidney donors, 9 liver donors, and 1 kidney and liver donor(both kidney and liver were donated). Interviews were continued until the data reached the saturation level, finally 17 living donor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number of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ranged from two to five times per participant, and the time spent in one interview was two to three hours. Data analysis was done using the Spradley(1980) metho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xperience of living organ donors, the data was classified into 3 domains, 19 cultural themes, 45 categories, and 187 properties. The three domains were derived from 「the reality of the process before living donation」, 「the face of reality after living donation」, and 「the desire for a support system」. The cultural themes of 「the reality of the process before living donation」are ‘a healthy body before donation’, ‘recognizing the need for transplantation’, ‘donation invitation and coercion of medical staff, family members and acquaintances’, ‘donation dissuasion of family members and acquaintances’, ‘ambivalence regarding donation’, ‘confusion caused by insufficient information’, ‘difficulties in testing the donor screening process’, ‘a choice only donation’, and ‘complex feelings just before surgery’. The cultural themes of 「the face of reality after living donation」are ‘severe pain immediately after surgery’, ‘lack of healthcare after donation’, ‘lack of information after donation’, ‘physical difficulties’, ‘gifts and wounds left by life sharing’, ‘difficulties and unfair treatment in social life’, ‘economic burden’, and ‘delay in physical recovery and return to work’. The cultural themes of 「the desire for a support system」are ‘a desire for support systems to protect donors’ and ‘a call for legal·institutional support from the government’. Based on the experiences of the living donors and the problems of the poor living donor support system, a support system plan for the living donors was drawn up. For「establishing a support system for living donors before donation」, it was found that ‘it is necessary to make donor consent confirmation more important than that of the national medical institutions’, ‘establish an independent evaluation process system for evaluation of organ donation counseling’, ‘provide sufficient information before donation and develop standardized educational materials’, ‘a careful review of selection criteria for living donors’, and ‘multidisciplinary donor screening for living donor selection’. For「establishing a support system based on experience after living donation」, it was found that ‘it is necessary to collect a donor's opinion on post-donor care’, ‘organize a systematic and continuous health management system after donation’, ‘review of disability recognition for living donors who have removed internal organs’, ‘establish follow-up care and a donor family support system such as paid vacation and time off after donation’, ‘a system to reduce donors economic burden’, ‘a living donation portal site to support their right to know’, ‘a legal system to protect donors’, ‘strengthen education and publicity to improve perception of living organ transplantation’ and ‘survey for living organ donation and research on long-term follow-up study’. The fundamental problem of the living donor’s difficulties is the lack of a legal· institutional support system for living donors. The hardship that living donors experience has been considered as a personal problem or family matter by society and all of the weight was put on donors. In addition, since more than 95% of living donation is between those with a blood relationship, the reality is that donors struggle to identify their problems and ask for a support plan, which causes them to have a passive attitude. Living donation is not just for the treatment of one's own illness, but it is the removal of a living person's organs to treat other people's illnesses, which causes various problems surrounding the donor. The reason why a living donor's support system is urgently needed is that the donor should not be subjected to any disadvantage or discrimination, and that the noble act of sharing life by sacrificing oneself should be respected no matter if it was between families or strangers. Therefore, governmental and national level efforts and consideration are urgently needed to protect the human rights of living donors and promote their welfar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urgently promote mid and long term plans for the support of living donors, the revision of laws, and establishment of systems.

      •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헤어스타일의 레트로 경향 분석 및 디자인 개발

        정선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tro trends of hair styles appearing in fashion collections and suggest a new viewpoint in hair style design by grafting Art Déco style into hair style. Study methods were the combination of theoretical study and empirical study. In theoretical study, a retro concept, the background of retro fashion, and the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hair styles were considered with its focus on previous study and related literature on retro fashion, Art Deco style, and hair style. 397 photos with a striking retro trend were sampled from Mode et Mode, Firstview(www.firstview.com), and Vogue(www.vogue.co.kr, www.vogue.co.uk, www.voguevanity.it) from S/S collection in 1990 to F/W collection in 2005 and their trends were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empirical study developed hair style which applied Art Deco style by making reference to S/S fashion trend in 2006. 'Retro' is a shortening of 'retrospective' and means that design characteristics or images found in the past fashion are reconstructed according to modern people's taste. The background of retro fashion was modern people's emotion that escapes from harsh, mechanized, and materialized environment of modern society and becomes nostalgic for the past warmth and nature, repetition of certain periodicity as one of repeated fashions, and designers' intention to find fashion motive from the past, giving people familiar comfort when they realize the limitation of creating a new fashion. The characteristics of hair style were examined. A wig had a great vogue and hair decoration was splendid in ancient Egypt, while simple and classical hair styles were preferred in Greece and Rome. The medieval times were characterized by pigtail style and top chignon using a crown and hair decoration. In the Renaissance, decoration or hat which covered the head generally disappeared and attached importance on expressing the beauty of hair itself. From the Baroque to Rococo, hair styles became more splendid. In the modern age, hair styles tended to be simple but was still very splendid. One of typical hair styles of this time were a Pompadour style. In the early of the 20th century, hair style became short. In the 1920s when women acquired franchise, a variety of bob styles became popular, resulting in a big change of the history of hair style. In the 1930s and 1940s, womanlike styles appeared again and in the 1950s after war, social changes brought about diverse hair style. Since Audrey Hepburn and Marilyn Monroe, and Twiggy and Jacqueline have appeared as fashion icons in the 1950s and 1960s respectively, hair style was popularized. The 1970s was characterized by funky style, and the 1980s by natural styl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retro trends of hair style appearing collections from S/S in 1990 to F/W in 2005 was analyzed. A 1960s style accounted for the highest percentage(15.6%)(62), followed by the medieval style(13.1%)(52), the 1920s style which was symbolized by flapper look(11.8%)(47), 1970s style(9.0%)(36), the ancient Egypt style(8.56%)(34),the1950sstyle(8.3%)(33)andthe1930s style(7.30%)(29), the modern Renaissance style(5.0%)(20), the modern Baroque style(4.1%)(16), the modern Rococo style(3.5%)(14), the 1980s style(2.8%)(11), the modern style and the 1940s style(2.5%)(10), the ancient Greece style(1.7%)(7), the 1990s and 1910s style(1.5%), and the ancient Rome style(1.0%)(4). Typical 1960s style which was reproduced most after the 1990s was Afro style and Twiggy's short cut style. Jacqueline's bobbed hair, a straight back style, and a braid style were also popular. A medieval style such as a top chignon style was remarkably shown before 1994 collection, but with a variety of hair styles, it became decreased. Other styles included wearing one's hair in a braid on the shoulder and using a hairnet. The 1920s style applied geometric bob styles most. In the ancient Egypt style, a Cleopatra style continuously appeared in 1997, 2003, and 2004 collections. Based on this theoretical study, retro-trend hair styles were developed. Finally three hair styles which reflected the Art-Déco style were designed on the basis of Samsung Design Net, Interfashion Planning, and 2006's CFT S/S fashion trend. A design concept was 'Digital Flapper' which represented 1920s' flapper as a modern sense. The target was women at the age of 18-23 who had marked individuality and liked functional fashion. The first design was intended to express a haughty and bouncing image in the city using an elegant concentric circle and primary colors. The second design was a rhythmical 1920s bobbed style which two half-circles were expressed in the forehead like a picture with the harmony of black, red, blue, and silver. The third design expressed the exceptional oblique forehead and terraced hem line. On the upper head, image of tight Cloche of the 1920s was shape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like fashion, most hair styles borrow its characteristics or image from the past style to create new styles. It was found in the development of hair styles that patterns or geometric motive appearing the Art-Déco style are the source of rich design. 본 연구는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헤어스타일의 레트로 경향을 분석하고, 아르데코 양식의 특성을 헤어스타일에 접목시킴으로써 헤어스타일 디자인을 개발하여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이론적 연구와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이론적 연구에서는 레트로 패션, 아르데코 양식, 헤어스타일에 관한 선행연구와 관련 문헌을 중심으로 레트로 개념과 레트로 패션의 출현배경, 헤어스타일의 변천과 특징을 고찰한 다음, 모드 에 모드(Mode et Mode), 퍼스트뷰(www.firstview.com), 보그(www.vogue.co.kr, www.vogue.co.uk, www.voguevanity.it)를 중심으로 1990년 S/S 컬렉션부터 2005년 F/W 컬렉션까지 레트로 경향이 두드러지는 사진 397장을 추출하여 그 경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실증적 연구에서는 2006년 S/S 패션 트렌드를 참고로 아르데코 양식의 특징을 응용한 헤어스타일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레트로(Retro)’란 ‘레트로스펙티브(Retrospective)’의 단축형으로, 일반적으로 지나간 시대의 패션에서 디자인의 특성이나 이미지를 찾아서 현대인의 기호에 맞게 재구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레트로 패션이 출현하게 된 배경은 첫째, 현대 사회를 살아가면서 느끼는 각박함과 기계화되고 물질문명화된 환경에서 벗어나 과거의 넉넉함과 자연에 대한 향수를 느끼는 현대인의 정서가 반영되어 나타났고, 둘째, 레트로는 되풀이되는 유행의 하나이기 때문에 일정한 주기성을 가지고 반복하는 것이며, 셋째, 디자이너들이 새로운 유행을 창조하는데 한계에 달했을 때 유행의 모티브를 과거에서 찾아 사람들에게 익숙하고 낯설지 않은 편안함을 느끼게 해주는 패션을 창조하기 때문이다. 이를 바탕으로 1990년 S/S 부터 2005년 F/W 까지 컬렉션에 나타난 헤어스타일의 레트로 경향을 분석한 결과, 1960년대의 스타일이 15.6%(62)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중세 스타일 13.1%(52), 플래퍼 룩으로 대변되는 1920년대 헤어스타일 11.8%(47), 1970년대 스타일 9.0%(36), 고대 이집트 스타일 8.6%(34)순이었다. 그 밖에 1950년대 스타일 8.3%(33), 1930년대 스타일 7.3%(29), 근세 르네상스 스타일 5.0%(20), 근세 바로크 스타일 4.1%(16), 근세 로코코 스타일 3.5%(14), 1980년대 스타일 2.8%(11), 근대 스타일과 1940년대 스타일은 2.5%(10), 고대 그리스 스타일 1.8%(7), 1900년대와 1910년대 스타일 1.5%, 고대 로마 스타일 1.0%(4)로 나타났다. 위의 이론적 연구를 바탕으로 레트로 경향의 헤어스타일을 개발하기 위해서 삼성디자인넷과 인터패션플래닝, CFT 2006년 S/S 패션 트랜드를 참고로 아르데코 양식의 특징을 반영한 3점의 헤어스타일을 디자인하였다. 개성이 뚜렷하고 기능적인 패션을 선호하는 18세-23세의 여성을 타깃으로 ‘Digital Flapper’를 디자인 컨셉으로 설정하여 1920년대의 플래퍼를 모던한 감각으로 표현하였다. 이상으로 본 연구를 통해서 패션에서와 같이 헤어스타일에 있어서도 많은 스타일이 과거의 스타일에서 디자인의 특성이나 이미지를 찾아서 새로운 스타일을 창조함을 알 수 있었고 헤어스타일 개발을 통해 아르데코 양식에 나타난 문양이나 기하학적 모티브는 풍부한 디자인의 원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