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정용 미니 임플랜트 식립을 위한 상악 제2소구치와 제1대구치 사이 공간에 대한 해부학적 연구

        정서린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55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nterradicular space between the maxillary second premolar and the first molar, which is the preferred site for mini-implant palcement. Methods: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data of 85 patients (36 male, 49 female; 14-38 years old) were used in this study to measure the mesiobuccal root length of the maxillary first molar and the distance from cementoenamel junction (CEJ) to the most curved point of the mesiobuccal root of the maxillary first molar. The interradicular distance between the maxillary second premolar and the first molar, the buccolingual width of alveolar bone and cortical bone thickness at the plane 4, 6 and 8 mm apical to the CEJ were also measured. Results: The length of the mesiobuccal root of the maxillary first molar was 11.2 ± 1.1 mm, and the distance from CEJ to the most curved point was 6.4 ± 0.7 mm, which was about 57.4% of the root length. The interradicular distances were almost same at 4-mm, 6-mm plane but increased significantly between 6-mm, and 8-mm planes. Although the buccolingual widths of alveolar bone was increased apically, cortical bone thicknesses were not different among the 4-mm, 6-mm, and 8-mm planes. Conclusions: The interradicular distance does not increase between 4-mm, and 6-mm planes from CEJ because of the presence of the curvature of the mesiobuccal root of maxillary first molar. 8-mm plane from CEJ has more available space for mini-implant placement.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교정용 미니스크류가 자주 식립되는 부위인 상악 제2소구치와 제1대구치 사이 공간에 대해 평가하고자 함이다. 재료 및 방법: 85명(남자 36명, 여자 49명; 14~38세)의 Cone-beam computed tomography(CBCT)를 이용하여, 백악법랑경계로부터 상악 제1대구치 근심협측 치근의 길이와 만곡의 위치를 측정하고, 치근단측으로 4, 6, 8 mm의 지점에서 치근 사이 거리, 치조골의 협설 폭경, 피질골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치근단측방향으로 거리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 남녀, 좌우의 비교를 위해 t-검정을 이용하였다. 결과: 상악 제1대구치 근심협측 치근의 길이는 11.2 ± 1.1 mm이며, 만곡은 치근 길이의 57.4% 정도인 6.4 ± 0.7 mm에서 나타났다. 치근 사이의 거리는 백악법랑경계로부터 4, 6 mm 지점에서 거의 일정하였고, 6, 8mm 지점 사이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치조골의 협설 폭경은 치근단측으로 갈수록 증가하지만 피질골의 두께는 비교적 일정하였다. 결론: 상악 제1대구치 근심협측 치근의 만곡이 존재함으로써 치근 사이의 거리는 만곡이 존재하는 위치까지 백악법랑경계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증가하지 않고, 백악법랑경계로부터 8 mm 지점에서 유의하게 더 넓은 치근사이 거리를 갖는다.

      • 음악의 부재가 영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서린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55

        This study researches on how the absence of music has influence on the narrative in movies. Before the researching, it studies the functions of the film score and analyzes following movies <Pearl Harbor>, <Harry Potter and the Deathly Hallows: Part 2>, <4th Place>, and <No Country for Old Men> for those functions. In this way, it made researches on how the absence of music was used, the functions it has, and how it has influence on the narrative in the movies. The result shows that musical functions of the absence of music can be put into 3 categories : physical, psychological, and technical. These are same with 3 musical functions of film score. Therefore, the absence of music is an musical element in the whole flow of the film score, and it should be used with considering the narrative of the movie. In the movie, the absence of music is not just absence, but an essential element that delivers the narrative, brings out of the other cinematic elements, and organizes the movie with those elements. It is just like John Cage said “a perfect silence doesn't exist and everyday noise is also music”, and Robert Rauschenberg said “perfect naught doesn't exist and a dust and a shadow can be a picture”. There are many existing studies about analyzing film score itself, but they are insufficient for the influence of the absence of music in movies. Therefore, this study will be a help to composer attending to the field of film score, and be a boon to development of film score. 본 논문은 음악의 부재가 영화의 내러티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에 앞서 영화음악의 기능을 살펴보고, 영화 <진주만>, <해리포터와 죽음의 성물 2부>, <4등>,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를 영화음악의 기능을 기반에 두어 분석한 후, 이를 통해 음악의부재가 영화에서 어떠한 방법으로 사용되었는지, 어떠한 기능을 하는지, 음악의 부재가 영화의 내러티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음악의 부재는 영화음악의 세 가지 기능인 물리적 기능, 심리적 기능, 기술적 기능으로 나눌 수 있었다. 따라서 음악의 부재도 전체 영화음악의 흐름 중 하나의 요소이며 영화의 내러티브를 염두에 두고 사용해야 한다. 완전한 묵음은 없으며 일상적인 소음도 음악이라는 존 케이지의 주장과 완전한 무의 상태는 없으며 먼지와 그림자도 그림으로 본 로버트 라우센버그의 주장처럼, 영화에서 음악의 부재는 단순히 음악이 없는 부분이 아닌 영화의 내러티브를 전달해주는 영화적 요소들을 부각하고 함께 영화를 만들어가는 하나의 필수 요소로 보아야 한다. 기존의 발표된 논문 중 영화음악을 분석하는 논문들은 많았으나 음악의 부재가 영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논문이 영화음악 분야에 종사하고 있는 음악인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영화음악의 발전에 보탬이 되기를 기대한다.

      • 페미니즘 미술의 특성에 관한 연구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정서린 忠南大學校 大學院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몸이 기괴하게 뒤틀린 신체와 우연을 이용한 반추상적인 바다 이미지를 사용해 인간의 초자아(Super Ego)를 표현한 본인의 연작 혐오와 차별을 중심으로 연구되었으며, 이 작업을 페미니즘(Feminism)적 흐름 안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혐오나 차별이라는 감정은 한국 사회에서 심각하게 고심하던 주제는 아니었고 혐오와 차별이 중요 논제가 된 것 또한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여성 혐오, 인종혐오, 지역혐오, 장애인 혐오, 성 소수자 혐오…수많은 혐오와 이에 관련된 증오 범죄들은 사회가, 사회에 속해있는 인류가 함께 만들어낸 감정이자 결과이다. 그중에서도 여성 혐오는 남성 중심사상의 사회적, 역사적 이데올로기 속에서 오랫동안 존재해 왔으며 이 같은 성별에 의한 여성억압은 남성 중심 체제인 사회적 구조체계가 잡혀있는 정치, 사회, 경제, 문화, 예술 등 모든 분야에서 여성을 배제해 왔고 남성 우월적 방향으로 더욱이 견고해졌다. 이에 여성들은 잃어버린 여성의 주체성을 되찾기 위해 여성 해방 운동을 펼치게 되었으며 오늘날, 이 사회변혁 운동은 정치학을 넘어 문학, 종교, 예술 등 모든 문화에 적용되었다. 다른 여러 분야와 비슷하게 미술계 또한 가부장제와 여성 차별주의로부터 자유롭지 못하였다. 미술 안에서의 여성성은 마녀, 매춘부로서 ‘섹스’의 의미를 가지거나 교화시켜야 하는 존재로 혹은 처녀, 자애로운 어머니로서 성녀의 존재로 남성 지배적인 틀 안에 갇혀야만 하였다. 이런 남성 우월적인 미술사 안에서 페미니즘 이론이 예술, 특히 미술계 안에서 활성화된 것은 1960년대 말 당시의 미국 사회 청년들이 기성세대의 생활 의식을 거부하고 전쟁을 반대하며 일어난 월남 반전운동과 1970년대 전반적으로 일어났던 여권신장 운동 등의 반(反)보수적 분위기로 변화하기 시작하면서 라고 볼 수 있다. 특히 린다 노클린Linda Nochlin이 1971년에 발표한 「왜 위대한 여성 미술가가 없었는가?(Why Have There Been No Great Women Artists?)」 라는 논문이 <<아트 뉴스Art News>>지에 발표되며 미술 역사상 처음으로 남성 중심적인 미술사에서 페미니즘 미술을 등장시키게 된다. 본 논문은 미술사 안에서의 여성이 이미지에서 주체가 되는 역사적 이론을 탐구하며 본인의 작업을 페미니즘 미술 이론 안에서 분석하였다. 본인에게 있어 바다는 인류가 살아가고 있는 사회다. 이러한 사회 속에, 이 사회의 격동 속에서 여성 차별적 제도와 악습이 만들어진다. 이에 대한 피해자로 사용된 기괴하게 뒤틀린 인간의 신체는 여성 혐오적이자 남성 우월주의적 사회 안에서 뒤틀린 사회일원들의 초자아를 상징한다. 본인은 이러한 작업들을 통해 여성으로서 본인의 주체성을 확립하고 이를 통해 페미니즘 미술에 대해 고찰해보는 계기를 가지게 되었으며, 이러한 것을 바탕으로 페미니즘적 미술사의 의미영역 확장에 대해 모색하고자 한다. This research has been actively conducted on my series painting in theme of “Hatred and Discrimination” which expressed Super Ego of man through using bizarre image of twisted body and the coincidental semi-abstract image of sea. This topic is intended to study within the feminist perspective. The feeling of contempt or discrimination has not been regarded as a serious topic in Korean society, so it has not been long since it became an important social issue. Ranging from misogyny, racial discrimination to hatred towards certain local area, disabled and sexual minorities, these numerous hates and related hate crimes are the sentiment and consequences that society and the entire human race have created together. Amidst such hostilities, misogyny has long existed in male-dominated ideologies; and this oppression of women by gender has ruled out women in all areas including politics, society, economy, culture and art, that has even more contributed on solidifying the existing male-dominated perceptions. Upon this phenomenon, women started to speak up for liberation movement to regain the identity. Today this movement has been actively applied across all cultures, including literature, religion and art beyond politics. Similar to many other fields, the art world was not free from patriarchal system and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The image and role of femininity depicted in art had to be limited in a male-dominant frame as a witch, prostitute, being an object related to "sex" or being a virgin or a mother. Feminism theory began to gain attention, especially in the art world, as the social atmosphere among younger generation began to change into an anticonservative view, such as the antiwar protest of Vietnam War in the late 1960s and the feminist movement in the 1970s, against the older generation's beliefs. To be specific, Why Have There Been No Great Women Artists? published in 1971 by Linda Nochlin was first presented in Art News, marking the first advent of feminism in the long-been male-dominated art history. This paper analyzed my work based on feministic art theory by exploring the historical theory of women being the subject in images in art history. To me, the sea is a society where mankind lives. In this society, female discriminatory institutions and evil practices are created in the wave of this society. The bizarre image of the twisted human body used as a victim of this work represents the supernova of members of society who have been brainwashed in misogynistic and male chauvinistic norms. Through these activities, I had an opportunity to establish my own identity as a woman and examine feminist art. This study is also expected to explore the expansion of the meaning of feminist art history.

      • 맞벌이부부의 사회적 지지, 일-가족 전이 및 일-생활 균형 간의 관계 :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 Actor and Partner Effects

        정서린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자녀가 있는 맞벌이부부의 사회적지지, 일-가족 전이 및 일-생활 균형 간의 관계에 있어 이들 변수 간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자녀가 1명 이상 있으며, 막내자녀의 연령이 16세 이하이고, 부부가 모두 주당 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인 맞벌이부부 176쌍 352명이다. 조사도구는 가정환경조사서, 일-가족 갈등 척도, 일-가족 향상 척도, 일-생활 균형 척도, 배우자 지지 척도, 직장 지지 척도로 구성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Cronbach α 계수를 산출하고, 요인분석과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AMO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PIM)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통해서 얻어진 요약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맞벌이부부의 배우자 지지가 일-가족 갈등과 향상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알아본 결과 모형이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맞벌이부부의 직장 지지가 일-가족 갈등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알아본 결과 맞벌이부부의 아내와 남편이 자신의 직장 지지를 높게 지각할수록 아내와 남편의 일-가족 갈등이 낮아 자기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맞벌이부부의 직장 지지가 맞벌이 부부의 일-가족 갈등에 미치는 상대방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또 맞벌이부부의 직장 지지가 일-가족 향상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알아본 결과 맞벌이부부의 아내와 남편이 자신의 직장 지지를 높게 지각할수록 아내와 남편의 일-가족 향상이 높아 자기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맞벌이부부 중 아내가 자신의 직장 지지를 높게 지각할수록 남편의 일-가족 향상이 높아 상대방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남편의 직장 지지가 아내의 일-가족 향상에 미치는 상대방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세째, 맞벌이부부의 배우자 지지가 맞벌이부부의 일-생활 균형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알아본 결과 맞벌이부부의 아내가 남편의 지지를 높게 지각할수록, 남편이 아내의 지지를 높게 지각할수록 아내의 일-생활 균형과 남편의 일-생활 균형이 높아 자기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맞벌이부부 중 남편이 아내의 지지를 높게 지각할수록 아내의 일-생활 균형이 높아 상대방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아내가 지각하는 남편의 지지가 남편의 일-생활 균형에 미치는 상대방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맞벌이부부의 직장 지지가 맞벌이부부의 일-생활 균형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알아본 결과 맞벌이부부의 아내와 남편이 자신의 직장 지지를 높게 지각할수록 자신의 일-생활 균형이 높아 자기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맞벌이부부의 아내가 자신의 직장 지지를 높게 지각할수록 남편의 일-생활 균형이 높아 상대방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남편의 직장 지지가 아내의 일-생활 균형에 미치는 상대방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맞벌이부부의 일-가족 갈등이 맞벌이부부의 일-생활 균형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알아본 결과 맞벌이부부의 아내와 남편의 일-가족 갈등이 높을수록 일-생활 균형이 낮아 자기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맞벌이부부 중 아내의 일-가족 갈등이 높을수록 남편의 일-생활 균형이 낮아 상대방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남편의 일-가족 갈등이 아내의 일-생활 균형에 미치는 상대방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맞벌이부부의 일-가족 향상이 맞벌이부부의 일-생활 균형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알아본 결과 맞벌이부부의 남편과 아내의 일-가족 향상이 높을수록 일-생활 균형이 높아 자기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맞벌이부부 중 남편의 일-가족 향상이 높을수록 아내의 일-생활 균형이 높아 상대방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아내의 일-가족 향상이 남편의 일-생활 균형에 미치는 상대방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볼 때 아내의 직장 지지는 남편의 일-가족 향상에, 아내의 직장 지지와 아내의 일-가족 갈등은 남편의 일-생활 균형에 상대방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편이 지각한 아내의 지지와 남편의 일-가족 향상은 아내의 일-생활 균형에 상대방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아내의 일-생활 균형에는 남편의 일-가족 향상이, 남편의 일-생활 균형에는 아내의 일-가족 갈등이 영향을 미치는데 이는 남편의 일-가족 갈등은 필수적인 것으로 여겨지는 반면 아내의 일-가족 갈등은 선택적인 것으로 여겨지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로 생각된다. 아내가 자신의 일-가족 갈등으로 인해 가정 일을 남편에게 분담하도록 요구하고, 스트레스를 호소하는 일 등을 남편은 겪을 수 밖에 없는 당연한 현상으로 여기지 않아 남편의 일-생활 균형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다. 반면 아내는 남편의 일-가족 갈등을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임으로써 자신의 일-생활 균형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한편으로 아내의 일-생활 균형에는 일-가족 향상으로 인해 느끼는 남편의 감정 상태가 영향을 미치고, 남편의 일-생활 균형에는 일-가족 갈등으로 인한 아내의 집안 일에 대한 요구 증가가 영향을 미친다고 하겠다. 즉, 아내의 일-생활 균형에는 남편과의 정서적 관계가 영향을 미치지만 남편의 일-생활 균형에는 생활에서의 실제적인 요구가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어 맞벌이부부의 일-생활 균형을 위한 정책을 수립할 때에는 이러한 차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 대학원 준고령 학습자의 경험학습 과정 탐색 : 근거이론 방법

        정서린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대학원 고령학습자들이 학습과정에서 경험 활용과정을 탐색하기 위해 다음 세 가지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 번째는 대학원 준고령 학습자는 대학원 학습 과정을 어떻게 인식하는가? 두 번째는 대학원 준고령 학습자의 경험을 활용한 경험학습 과정은 어떠한가? 세 번째는 준고령 학습자들은 대학원 학습을 통해 어떤 변화를 경험하는가? 이러한 질문들 탐색하는 방법으로 질적 연구의 근거이론을 선택하였고 이를 위해 55세 이상의 나이에 대학원 석박사 과정에 입학하여 수학한 경험이 있는 5명을 심층 면접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하였다.이 자료들을 Strauss와 Corbin의 근거이론 자료 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여 167개의 개념과 31개의 하위범주, 11개의 상위 범주로 코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학원 고령학습자들이 학습과정에서 경험 활용과정에 있어 중심 현상은 ‘자아와의 조우’이다. 참여자들은 대학원이라는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고 반응하면서 의미 있으나 어려운 과업에 접하게 된다. 이러한 과업을 과거의 경험을 활용하고 반추하면서 극복해 가는 과정에서 학습자들은 끊임 없이 스스로와의 대화를 시도하며, 자신과 마주하게 된다. 경험은 학습 과정에서 짐임과 동시에 힘이다. 그들은 경험을 구체적으로 활용하며 문제를 해결하고 정체성을 확립하고 경험과 학업, 미래를 통합하면서 학습과정을 진행해 간다. 그 결과 심리적 학습전략을 개발하고 자아를 재구성하면서 새로운 환경을 구성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process of the experiential learning of the pre-older adults in a graduate school program. For this study, the following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First, how do pre-older adults feel about the learning process in a graduate school program? Second, how do pre-older adult learners use their former experiences in the learning process? Third, what is the effect from learning in a graduate school program? To investigate these questions, the interview,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as selected and the data was collected from in depth interviews with five people who have experienced the courses of graduate school from age 50’s to 60’s. Pre-older adults use their experiences in the learning process in a variety of ways. The experiences that they have accumulated for their whole lives serve as the driving force and hurdles simultaneously. Successful experiences contribute to self confidence but consecutives failures bring about negative self-prophesy and eventually academic abandonment. In this program, learners meet themselves in the process. Self encounter is the central phenomenon in the process of experiential learning of pre-older adult learners. In spite of the suffering in learning process, learners create a new defense mechanism and produce a new view of themselves through reflection on life. As learners mature, they envision a new future and a new environment, and they challenge themselves. Therefore, the driving force of the pre-older adults in experiential learning process can be identified as ‘a future-oriented self-reflection’. Pre-older adult groups who are seeking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re increasing more and more. In this situation, it is urgent to understand and illuminate their learning, so that we can find the methods to meet their needs. In conclusion, these steps will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learning experiences, growth and maturity of human beings.

      • 급성 신경학적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의 내원형태와 진료결과

        정서린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39

        배경과 목적 뇌졸중은 치명적인 질환으로 국내에서 사망과 후유장애의 주된 원인이 된다. 최근의 치료기술 발전은 뇌졸중에 연관된 신경학적 장애를 최소화하고 예후를 향상시켜 사망률 감소와 삶의 질 향상을 가능하게 했다. 이러한 효용에도 불구하고 많은 환자들은 전문적인 처치를 시행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병원에 증상 발생 후 3시간 내에 도착하지 못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한다. 이에 저자들은 신경학적 증상을 호소하는 응급환자들의 내원정보에 관한 분석을 토대로 개선이 가능한 요인을 찾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2005년도 4월 11일부터 5월 10일까지 15세 이상의 성인으로서 신경학적 증상을 주소로 서울아산병원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34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급성 신경학적 증상이 발현하고 3시간 이내에 응급센터로 내원하는 환자는 전체의 28.9%이고, 6시간 이내에 응급센터로 내원하는 환자는 전체의 39.9%이다. 연령, 성별, 위험인자 유무, 보호자 유무는 내원시간 지연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급성 신경학적 증상이 발현 후 내원수단은 직접 내원이 52.3%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였고, 소방구급차를 이용하여 이송되는 경우는 16.5%에 불과하였다. 소방구급차를 이용하여 응급의료센터로 직접 이송되는 경우는 지연시간이 7.4±12.4시간 소요되어, 다른 내원수단에 비하여 지연시간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짧았다(p=0.000). 최종진단이 뇌졸중인 군에 대한 분석시 증상 발현 후 3시간 이내에 응급센터로 내원한 환자는 전체 뇌졸중군의 25%였고 최종진단결과는 내원시간 지연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타원에서 전원되어 온 뇌졸중군에 대한 분석시 뇌 영상을 시행하지 않고 바로 온 경우 (n=18) 지연시간은 25.7±35.6시간이었고, 뇌 영상을 시행하고 온 경우(n=22) 지연시간은 58.0±67.9시간으로 두 군간 체류시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5). 결론 급성 신경학적 증상이 발생한 환자의 71.1%는 3시간 이내에 병원에 도착하지 못하여 많은 비율의 환자가 황금시간(증상 발현후 3시간) 이내에 병원에 도착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소방구급차를 이용하여 응급의료센터로 직접 이송되는 경우는 다른 내원수단에 비하여 지연시간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짧았으나 소방구급차를 이용하여 이송되는 경우는 16.5%에 불과하였다. 지역의료센터에서 뇌 영상을 시행하고 온 경우는 시행하지 않고 온 경우에 비하여 유의한 병원전 지연이 발생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소방구급차의 적극적인 이용, 일반인과 구급대원에 대한 교육, 지역병원에서의 응급진료지침과 이송지침의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중심단어: 뇌졸중, 병원전 지연, 응급센터 Background and Purpose: Stroke is a major cause of disability and death in Korea. With the recent advent of time-dependent thrombolytic therapy for ischemic stroke, it can improve neurological outcome and mortality. Despite its proven efficacy, large percentage of patients do not present at the hospitals within 3 hours of symptom onset. This study analysed a population with stroke symptoms and sought factors with prehospital delay. Methods: Between April 11, 2005, and May 10, 2005, We prospectively studied 346 patients with stroke symptoms in Emergency Medical Center Results: 29.9% of the patients arrived within 3 hours, and 39.9% patients arrived within 6 hours after the onset of stroke symptoms. Age, sex, risk factor of stroke, history of stroke, live alone does not appear to affect prehospial delay times. Only 16.5% of all participants were transported by EMS (Emergency Medical Service). Those who used EMS had a median prehospital delay time of 7.4±12.4 hours which was shorter than others(p=0.005). 25% of patients who finally diagnosed as a stroke at discharge arrived at hospital within 3 hours. The mean time to arrival in the emergency department was 25.7±35.6 hours for those who were referred from community hospitals without imaging, and 58.0±67.9 hours for patients from hospitals with imaging(p=0.005). Conclusion: The large percentage of population with stroke symptoms doesn't treated properly because they do not present within 3 hours of symptom onset. The use of EMS, public and rescue personnel education, community hospital emergency care guideline and transport guideline can reduce prehospital delay. Key Words: Stroke, Prehospital delay, Emergency department

      • Tumoral LINE-1 hypomethylation is associated with poor survival of patients with intrahepatic cholangiocarcinoma

        정서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DNA methylation changes occurring in cancer cells are characterized by both promoter CpG island hypermethylation and diffuse genomic hypomethylation. LINE-1 is half-million times repeated in the human genome in an interspersed manner and CpG sites located in 5’ untranslated region of LINE-1 are heavily methylated in normal cells and undergo demethylation in association with cancerization. However, little information is available regarding LINE-1 hypomethylation and its prognostic implication in intrahepatic cholangiocarcinomas. We analyzed 172 cases of intrahepatic cholangiocarcinomas for their methylation status at four CpG sites of LINE-1 using pyrosequencing and correlated LINE-1 methylation level with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Tumor differentiation, lymphatic invasion, and T stage were associated with a low average methylation level of LINE-1 at the four CpG sites; LINE-1 methylation level tended to be lower in high grade differentiation, lymphatic emboli, and higher T stage. Lower methylation status of LINE-1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ower overall survival in patients with intrahepatic cholangiocarcinoma and found to be an independent prognostic parameter. Our findings suggest that tumoral LINE-1 hypomethylation could be a molecular biomarker heralding poor prognosis of patients with intrahepatic cholangiocarcinoma. A further study is required to validate our findings.

      • 산소 관련 임신중독증 연구를 위한 3차원 체외 태반 칩 플랫폼 개발

        정서린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임신 중독증은 전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임신 관련 질병의 하나이다. 영양막 세포(Trophoblast) 침윤은 모체의 혈관 기능을 약화시켜 모체와 태아 사이 물질 교환의 통로인 관상동맥 확장을 유도한다. 만일 영양막 세포 침윤이 원활하게 발생하지 않을 경우 산모와 태아 모두에게 치명적인 임신중독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산소는 많은 질병들과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는데, 임신 초기 태반의 저산소 환경은 영양막 세포의 침윤과 분화를 촉진하여 관상동맥 확장을 유도한다. 임신 중독증 발병원인은 아직 뚜렷하게 밝혀진 것이 없으나, 일부 임신중독증 산모의 경우 초기 저산소 환경이 잘 구축되지 않는 것이 임신중독증과 연결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그 정도가 심각할 경우 만성적인 저산소증으로 연결될 수 있다. 허나 산과 질병 및 태반의 특수성에 의해 관련 연구 결과가 충분하지 않은 상황이기에 신뢰할 수 있는 체외 태반 모델의 개발은 임신중독증의 이해 및 치료약 개발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팀은 태반 모사 미세유체 칩 플랫폼을 개발하여 영양막 세포의 하나인 HTR-8/SVneo cells의 침윤 과정을 모사하고 산소 농도에 따른 침윤능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칩은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HUVECs) 채널과 HTR-8/SVneo cells 채널, 그리고 두 채널을 구분하는 collagen 채널로 구성된다. 원통형의 HUVECs vessel을 통해 생체 모사도를 높일 수 있었으며, 면역 염색을 통해 실시간 세포 이동 관찰, 혈관 형태의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산소 농도 조절이 가능한 챔버에서 세포배양을 진행하여 정상산소와 저산소 환경에서 세포의 움직임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저산소 환경에서 HTR-8/SVneo cells의 침윤능이 상향조절 되었으며, 침윤 이후 HUVECs tight junction 약화, 혈관 형태 변화, HUVECs apoptosis가 유발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