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헤어핀 권선이 적용된 IPMSM의 구동 속도별 고정자 슬롯 형상 파라미터 변화에 따른 AC동손 민감도 분석

        정상근(Sang-Geun Jeong),김태형(Tae Heoung Kim),강동우(Dong-Woo Kang) 대한전기학회 2021 전기학회논문지 P Vol.70 No.4

        High-output, high-efficiency, and light-weight technologies of electric motors are attracting attention. Among related technologies, the technology of improving SFF(Slot Fill Factor), which means the ratio of the coil area to the stator slot area, enables weight reduction through high power density. As a method of improving SFF, there is a hairpin winding method using a rectangular coil. This has the advantage of high output because it takes up more slot area than when using a general round coil. However, this winding method has limitations in achieving high efficiency with AC copper loss under specific operating conditions such as high frequency and high current. Therefore, the hairpin model considering the reduction of AC copper loss can maximize its advantages. In this paper, the cause of AC copper loss is analyzed to reduce AC copper loss, and the AC copper loss sensitivity to changes in stator shape parameters and driving speed is analyzed through simulation analysis.

      • KCI등재

        일란성 쌍태 중 일측 태아의 인어체기형 (Sirenomelia)

        정상근 ( Jeong Sang Geun ),김현철 ( Kim Hyeon Cheol ),김유신 ( Kim Yu Sin ),김윤아 ( Kim Yun A ),김조영 ( Kim Jo Yeong ),김지연 ( Kim Ji Yeon ),신승주 ( Sin Seung Ju ),김낙근 ( Kim Nag Geun ),강혜윤 ( Kang Hye Yun ),박정선 ( Park 대한산부인과학회 200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7 No.4

        Sirenomelia is a lethal congenital malformation characterized by single or fused lower limbs associated with other severe genitourinary and lower gastrointestinal tract anomalies. Associated anomalies include malformation of vertebrae and pelvis, oligohyd

      • 산업의 변화와 인공지능

        정상근,Jeong, Sang-Geun 한국통신학회 2016 정보와 통신 Vol.33 No.10

        본고에서는 플랫폼 산업으로 빠르게 재편되고 있는 산업계의 변화에 대해서 언급하고, 플랫폼 산업의 핵심 경쟁력 중 하나로써 인공지능을 살펴본다. 특히 최근 인공지능기술로 각광받고 있는 딥러닝과 플랫폼 비즈니스의 상호 상승작용을 고찰함으로써 향후 산업계에 필요한 핵심 경쟁력을 살펴본다.

      • KCI등재

        자궁근종이 있는 한국여성에서 자기공명영상 유도하 고집적 초음파수술: 초기 임상경험

        윤상욱 ( Sang Wook Yoon ),김경아 ( Kyoung Ah Kim ),황윤영 ( Youn Young Hwang ),이찬 ( Chan Lee ),차선희 ( Sun Hee Cha ),이선영 ( Sun Young Lee ),김용민 ( Yong Min Kim ),나영 ( Young Jeong Na ),정상근 ( Sang Geun Jung ),김승조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1 No.9

        목적: 본 연구는 자궁근종에 대한 완전한 비침습적 치료인 자기공명영상 유도하 고집적 초음파수술 (MRgFUS)에 대한 안전성과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방법: 증상이 있는 29명의 자궁근종 환자 (평균나이 39.1±5.8세)에서 자기공명영상 유도하 고집적 초음파수술을 시행하였다. 환자들의 증상은 치료 당일, 치료 후 3개월, 6개월 추적검사 시 자궁근종 증상 설문지를 통해 기록하였다. 치료 당일과 추적검사 시 이상반응에 대해서도 기록하였다. 결과: 치료 후 3개월에 83% 그리고 6개월에 90%의 환자에서 증상의 호전이 있었다. 치료 중이나 치료 후 추적검사 시 환자에게 심각한 이상반응은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에서 자기공명영상 유도하 고집적 초음파수술은 증상이 있는 자궁근종환자에 있어 증상의 호전을 유도하는 안전하고도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report is to review the safety and short-term efficacy of non-invas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guided focused ultrasound surgery (MRgFUS) on uterine myomas in Korean women. Methods: A total of 29 outpatient Korean women, whose mean age was 39.1±5.8 years, were treated using the MRgFUS system for their symptomatic uterine myomas. Patients` symptoms were recorded using a validated symptom-specific questionnaire on treatment day, and at follow-up visits, 3 and 6 months post treatment. Data on adverse events was recorded on each follow up period. Results: Symptom improvement was experienced by 83% of the patients at the three months follow-up, and 90% of the patients reported on improved quality of life by the six months follow-up. There were no serious adverse events during the treatments or the follow-up period. Conclusion: MRgFUS appears to be a safe and effective treatment for symptoms relief of uterine fibroids. Additional reports on longer follow up should verify long-term durability.

      • SCOPUSKCI등재

        표면개질에 의한 인상흑연 분체의 분산특성 연구

        김병곤,상근,헌생,상근,이재장,Kim, Byeong-Gon,Choe, Sang-Geun,Jeong, Heon-Saeng,Han, Sang-Geun,Lee, Jae-Jang 한국재료학회 2001 한국재료학회지 Vol.11 No.8

        천연흑연은 단위구조가 탄소육각망평면이 평행하게 배열된 층상으로 전기전도도 및 윤활성이 우수하나 소수성이 매우 강하며, 표면화학적 목성이 거의 없기 때문에 다른 물질과 흡착이 쉽게 일어나지 않아 분산이 매우 어려운 물질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타전위를 이용하여 흑연에 ABDM을 흡착시켜 표면특성을 소수성에서 친수성으로 변화시키고 수중현탁액 중에서 흑연입자의 분산 메커니즘을 DLVO이론을 이용하여 설명하였다. 흑연의 제타전위가 22.5mV가 되도록 ABDM의 흡착량 (20mg/g) 및 조건 (PH 10에서 12시간 흡착)을 만족시키면 분산안정성 (T$_{1/2}$) 이 44.5시간인 고분산성 흑연 현탁액을 제조할 수 있다. The surface of natural graphite has not only good electrical conductivities and lubrication properties but also has strong hydrophobicity. There are no functional groups and chemical properties on it. It is difficult to join with any other ions and to disperse in aqueous system. In order to increase dispersion ability throughout modification of surface property, it is necessary to let graphite have some function on its surface by the adsorption of surfactant molecules. In this study, using zeta potential adsorbed surfactant molecules(ABDM) on graphite surface and its surface Properties turn hydrophobic into hydrophilic. The dispersing mechanism of graphite particles in aqueous system has been explained using the DLVO theory, It is concluded that the high dispersable graphite suspension of which dispersing stability$(T_{1/2})$ is 44.5 hours at pH 10 and 22.5mV zeta potential can be produced.

      • KCI등재

        자궁내막암에 있어 수술 후 보조 방사선치료법과 수술 후 복합항암화학치료법의 임상 비교 연구

        최민철 ( Min Chul Choi ),박지현 ( Ji Hyeon Park ),김수현 ( Su Hyun Kim ),전경훈 ( Kyung Hun Jun ),정상근 ( Sang Geun Jung ),나영 ( Young Jeong Na ),이선영 ( Sun Young Lee ),이찬 ( Chan Lee ),황윤영 ( Yeun Young Hwang ),김승조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1 No.11

        목적: 자궁내막암의 수술 후 보조 치료로서 기존의 방사선치료와 paclitaxel과 platinum으로 이루어진 복합화학요법을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0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포천중문 의과대학 분당차병원 산부인과에서 조직학적으로 자궁내막암 진단을 받고 병기적 수술을 시행받은 10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조직학적으로 자궁내막양 선암 이외의 조직 양상을 보인 15명은 제외하였다. 수술 후 수술-병리적 결과에 따라 중등도 위험도 이상을 보인 58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하였다. 이 중 36명은 항암치료를 받았고, 방사선치료는 24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항암치료의 항암제는 paclitaxel 175 mg/m2과 carboplatin AUC5 (또는 cisplatin 50 mg/m2)을 3주 간격으로 총 3회에서 6회에 걸쳐 병용 투여하였고, 방사선치료는 4,500~5,040 cGy가 조사되었다. 결과: 총 58명 대상자의 평균 추적기간은 40.3개월 (7~64개월)이었다. 5년 생존율은 항암치료군이 91.3%였고, 방사선치료군은 91.4%로 나타났으며 (P=0.646), 5년 무병 생존율은 항암치료군이 91.0%, 방사선치료군은 82.8%의 결과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0.129). 항암치료의 가장 흔한 부작용은 혈액학적인 독성이었으나, 대부분 grade가 낮았고 보존적 치료로 조절되었다. 방사선치료군에서는 심각한 위장관계 독성을 5명 (20.8%)에서 보였고, 이 중 3명은 ileo-cecal bypass와 같은 수술적 중재를 요했으나 복통, 설사와 같은 증상은 수술 후에도 지속되었다. 결론: 자궁내막암에 있어 수술 후 보조 치료로서의 paclitaxel과 platinum의 복합화학요법은 유사한 치료 효과와 적은 독성의 측면에서 기존의 방사선치료를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앞으로 더욱 많은 전향적인 대규모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postoperative adjuvant paclitaxel and platinum (TC) chemotherapy and radiation therapy in women with uterine endometrial carcinoma. Methods: Total one hundred five patients were entered into this trial. Non-endometrioid histologic subtypes such as serous, clear cell and small cell types were excluded from the study because they have different biological potentials. Of 58 assessable patients, who were needed adjuvant treatment according to surgico-pathologic reports, after surgery, 34 were received TC chemotherapy and 24 were received radiation therapy. Chemotherapy consisted of paclitaxel 175 mg/m2 and carboplatin AUC 5 (or cisplatin 50 mg/m2) every 3 weeks for 3 or 6 cycles. Irradiation dosage was 4,500~5,040 cGy in 28 fractions. Results: In 58 evaluated patients, median follow-up time was 40.3 months (range 7~64 months). The 5-year overall survival and 5-year disease-free survival were 91.3% and 91.0% in 34 patients treated with TC chemotherapy, and 91.4% and 82.8% in 24 cases who treated with radiation therapy,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P=0.646, P=0.129). The most common adverse effect of TC chemotherapy was hematologic toxicity, which was manageable conservatively. The serious gastrointestinal complication of radiotherapy was noted in 5 patients (20.8%), three of these patients were received another bowel surgery, such as ileo-cecal bypass, however, symptoms were persisted after surgery. Conclusions: These data suggest that postoperative adjuvant TC chemotherapy is a promising treatment which could be substituted for radiation therapy, with major activity and a acceptable toxicity profile for the treatment of uterine endometrial carcinoma.

      • KCI등재

        상피성 난소암에서 Wnt 1과 β-catenin의 발현에 관한 연구

        임경란 ( Kyoung Ran Yim ),이찬 ( Chan Lee ),김용민 ( Yong Min Kim ),김광일 ( Kwang Il Kim ),김승조 ( Seung Jo Kim ),황윤영 ( Youn Yeung Hwang ),이선영 ( Seon Yeong Lee ),나영 ( Young Jeong Na ),정상근 ( Sang Geun Jeong ),오예은 대한산부인과학회 200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1 No.9

        목적: 난소종양과 정상난소상피조직을 이용한 면역조직화학염색법을 통하여 난소종양의 상피세포에서 Wnt 1과 β-catenin의 발현 양상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포천중문의과대학교 분당차병원 부인암센터에서 2000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얻어진 난소종양과 정상난소상피조직의 포르말린 고정조직과 파라핀 포매조직을 이용하여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였다. 실험 결과들은 SPSS 10.1을 이용하여 통계 분석하였으며, P<0.05인 경우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결과: 전체 난소상피조직 114예를 면역조직화학염색하였으며, 이 중 악성 종양은 54예였으며, 경계성 종양은 40예 그리고 양성 종양 12예, 정상난소상피조직이 8예였다. Wnt 1은 악성 종양의 51.9%, 경계성 종양의 32.5%, 양성 종양의 18.2%에서 면역조직화학염색에 양성 소견을 보였고, 모든 정상난소상피에서는 음성 소견을 보였다 (P<0.05). 상피성 난소암 중 투명세포 암 상피조직에서만 양성 소견을 보였다. β-catenin은 자궁내막모양 암의 28.6%에서 양성 소견을 보였다 (P<0.05). 결론: 난소상피조직을 이용한 본 연구 결과, Wnt 1의 과발현이 직접적으로 핵 세포질 내 β-catenin의 과발현을 유발시키지는 않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그러나 자궁내막모양암이나 투명세포암 등의 상피성 난소암의 발암 과정에 Wnt 1과 β-catenin이 관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보다 큰 규모의 연구를 통해 Wnt 신호의 다른 요소들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상피성 난소암의 발암 과정에서의 역할이 규명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기초로 하여 난소암의 조기 진단, 치료 및 새로운 생물표지자의 개발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We were trying to identify the expression of Wnt 1 and β-catenin in normal ovarian epithelium and epithelial ovarian tumor. Methods: We used archival formalin-fixed and paraffin-embedded tissues from Comprehensive Gynecologic Cancer Center and the Department of Pathology at Bundang CHA Hospital from 2000 to 2005.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Wnt 1 and β-catenin was performed on the ovarian epithelial tissues.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with SPSS 10.1 for Windows and significance was defined as P<0.05. Results: Of 114 cases, the cases were composed of 54 carcinomas, 40 borderline tumors, 12 benign tumors and 8 normal control ovarian tissues. Abnormal nucleocytoplasmic expression of β-catenin was found in 4 endometrioid carcinomas. The nuclear expression of β-catenin was found especially in the components of the endometrioid carcinoma (28.6%, P<0.05). Wnt 1 was overexpressed in all 9 clear cell carcinomas, but not frequent in the other types of malignant tumors (P<0.05). We fou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β-catenin nuclear localization and endometrioid carcinomas. And we foun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Wnt 1 expression and clear cell carcinomas. Conclusion: It does not seem that Wnt 1 over expression directly provoke the nuclear localization of β-catenin. But, deregulation of β-catenin and Wnt 1 may play a role in the pathogenesis of ovarian epithelial carcinogenesis of endometriod carcinoma and clear cell carcinoma. Evaluating this avenue of regulation of β-catenin and Wnt protein in ovarian epithelial carcinoma may provide a new direction for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in ovarian epithelial carcinoma and provide opportunities for making a certain biomarkers.

      • KCI등재

        난소암에서 IGF-2 와 H19 gene 의 promoter 이용과 발현정도의 변화

        김윤아 ( Kim Yun A ),이찬 ( Lee Chan ),김승조 ( Kim Seung Jo ),이선영 ( Lee Seon Yeong ),김인호 ( Kim In Ho ),나영 ( Na Yeong Jeong ),정상근 ( Jeong Sang Geun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7 No.3

        목적 : 난소암의 발암기전과 Insulin-like growth factor-2 (IGF-2), 그리고 H19 gene의 imprinting 상태, promoter 이용과 발현정도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는 8예의 정상난소조직, 11예의 양성난소종양, 9예의 경계성 종양과 20예의 악성종양 조직을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연구 방법 : 등록된 조직의 IGF-2와 H19을 PCR-RFLP 방법을 사용하여 이형접합성 분석을 하였으며, IGF-2의 promoter 특이발현을 살펴보고자 RT-PCR을 사용하였다. 결과 : 각 조직에서 IGF-2의 LOI (loss of imprinting)은 각각 정상 난소조직 (50%)> 양성종양 (60%) > 난소암조직 (71%) > 경계성 종양 (77%) 순으로 나타났다. H19 gene의 LOI는 정상과 양성종양의 난소조직에서는 관찰되지 않았고, 경계성 종양에서 100% (3/3), 악성종양에서 40% (2/5)로 나타났다. 각각의 난소조직에서 promoter P1, P2, P3와 P4의 이용도는 서로 다른 양상을 보였다. 암조직에서는 상대적으로 promoter P1, P2 이용이 높았으나 promoter P3 이용은 낮았다. 난소암조직에서 IGF-2의 발현은 높게 나타났으나 H19의 발현은 정상조직에 비해 낮음을 보였다. 결론 : 이상의 결과들을 보면 IGF-2의 LOI, promoter 사용의 deregulation IGF-2와 H19 발현정도의 변화가 난소암의 발생과 진행에 연관이 있으리라 생각된다. Objective : To establish the possible role of imprinting in ovarian cancer, we determined the imprinting status of both IGF-2 and H-19 genes in ovarian cancer, borderline tumors of ovary, benign ovarian tumor and normal ovarian tissues. Methods : An allelictyping assay was performed using a PCR-RFLP-based method for identification of heterozygous informative cases. The usage of Insulin-like growth factor-Ⅱ (IGF-2) promoters was examined by RT-PCR using promoter-specific primers. The mRNA expression of IGF-2 and H19 was quantified using a densitometer. Results : Loss of imprinting (LOI) of IGF-2 was observed in the order of borderline tumor (77%)>cancer (71%)>benign tumor (60%)>normal ovarian tissues (50%) respectively. And the LOI of H19 gene was not detected in the normal and benign tissues but observed in the borderline tumor and cancer tissues, respectively. The usage of promoter P1, P2, P3 and P4 were observed different pattern in normal, benign tumor, borderline tumor and cancer tissues. The activity of mRNA expression of promoter P4 was higher than other promoters. The cancer tissues predominantly used promoter P1, P2 with relative silencing of the promoter P3. The ovarian cancer tissues showed the higher expression levels of the IGF-2 but a down-regulation of the H19 relative to normal tissues.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LOI, deregulation of the IGF-2 promoters, and the altered expression levels of the IGF-2 and h19 gene might be associated with progression of ovarian canc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