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오선생예설분류(五先生禮說分類)』의 편차와 그 의의

        정경주 ( Kyeong Ju Jung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6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58 No.-

        이 글은 한강 정구의 저술인 『오선생예설분류』의 당초 편찬 과정과 편차를 중심으로 이 책의 편찬 의도를 살펴봄으로써, 이 책의 편찬 의의를 밝히고, 한국예학사에서 이 책이 가지는 중요성을 천명하려는 의도에서 집필되었다. 논의한 바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오선생예설분류』는 宋代 道學者들에 의하여 제기된 禮學 이론과 그들에 의하여 講究된 각종의 禮制에 대한 논의를 체계적으로 集成 分類 정리함으로써, 보다 정밀한 예학 논의와 연구의 바탕을 마련한 책이다. 이 책은 가정의 의식 표준을 제안하는 데 그친 『주자가례』의 정해진 體例와는 달리, 국가의 儀典과 가정의 儀式을 冠婚喪祭와 雜禮라는 하나의 통일된 체계로 분류함으로써, 가정의례와 국가의 典禮를 통합하는 예학체계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아왔다. 본고에서는 이 책이 송대 성리학자들의 예설을 분류 정리함으로써 성리학자들의 예학 관점과 예설 取捨의 이론을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조선예학의 학문논의의 전환점을 여는데 무엇보다 중대하게 기여하였다는 데 주목하였다. 이 책은 『가례』에 명시되지 않은 주자의 예설과 『가례』의 내용을 비교 검토할 수 있게 함으로써, 주자 예학의 본질을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게 하고, 나아가 주자가 『가례』를 편찬한 본디 의도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주자의 평소 또는 晩年 定論에 의거하여 『가례』를 수정할 수 있는 근거를 확보하였다. 이러한 관점은 『주자가례』의 관혼상제 세부 節次와 器物 규정의 해석에 골몰하였던 당시 학자들에게 예학을 통한 修齊治平의 이상 실현이라는 예학 實用의 시야를 열어줌으로써, 조선후기 예학 담론의 수준을 끌어올려 禮書 편찬과 예학 논의의 새로운 典範을 보여줌으로써 예학 논의의 시야를 확대하고 그 정밀도를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The book named as 「The classification of the five scholars` comments about Li-xie in Song dynasty[五先生禮說分類]」, was one of the innovative writings for Li-Xie in Joseon dynasty. That was written by Han-gang[寒岡] Jung-gu[鄭逑], one of the famous Li-Xie scholars. This book contains nearly every major statements of the five scholars such as Zhang-zai[張載], Cheng-hao[程顥], Cheng-Yi[程이], Si-ma Guang[司馬光], and Zhu-Xi[朱熹] in Song[宋] dynasty, for rituals. Jung-gu[鄭逑] classfied it into five chapter, such as Coming-of-age ceremony[冠禮], wedding[昏禮], funeral rites[喪禮], ancestral rites[祭禮], other manners[雜禮]. And there are such comments about family ritual[家禮], ritual of school[學校禮], community ritual[鄕禮], ritual of contries and kingdoms[邦禮], court ritual[王朝禮] and etc in the book. Due to this, many scholars suspected it that has received the main impact of the book, 「The conprehensive Exegesis of the text and commentaries on the Yi-Li[儀禮經傳通解]」, written by Zhu-Xi[朱熹]. In this paper, I do demonstrate the mistakes of that argument, and I point out that it is the most important thing that was designed to provide methods and principles in the study of Li-xie[禮學] for Joseon neo-confucian scholars. The most important principles of that were the principles of propriety[義起之禮], and the etiquette to follow the changing times[禮從時].

      • KCI등재

        제28회 퇴계학 국제학술대회 발표논문 : 단본청원(端本淸源)의 치평관(治平觀)과 퇴계 시의 진락(眞樂)

        정경주 ( Kyeong Ju Jung ) 퇴계학부산연구원 2015 퇴계학논총 Vol.26 No.-

        이 글은 퇴계선생의 학술 사상에서 세계 평화를 구현하는 방략이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대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 작성한 것이다. 퇴계는 평생 학문에 종사하였는데, 그 언론과 저술은 일찍이 요순(堯舜)과 공맹(孔孟)을 조술(祖述)하는 유가의 학문 범위를 벗어난 적이 없었다. 퇴계의 학문 종지는 주자의 학술을 계승하였으며, 주자의 학문 규모는 『대학(大學)』을 골간으로 하였다. 『대학』에서는 치국(治國)과 평천하(平天下)의 근본이 수신제가(修身齊家)에 있고, 수신제가의 근본이 성의 (誠意) 정심(正心)에 있다고 하였으니, 그것은 곧 인간의 도덕성을 함양하여야만 가정과 국가와 세계의 평화를 이룰 수 있다는 학문 신념의 체계이다. 퇴계는 가정과 국가와 세계의 평화를 이룩하기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거기에 관여하는 인간 개개인의 도덕성을 함양하여, 개인의 욕망을 절제하고 천리(天理)에 순응하는 삶의 진락(眞樂)을 체득하여 자발적으로 실천함으로써 가능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사상은 『大學』의 학문 이념에서 유래한 것으로, 퇴계 만년의 저술인 「성학십도(聖學十圖)」와 「무진육조소(戊辰六條疏)」를 비롯한 여러 저술에 나타나는 ‘단본청원(端本淸源)’이라는 말로 요약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퇴계의 저술에 보이는 단본청원의 사상 개념을 그 용례를 검토하여 밝히고, 그것이 세계평화를 위한 퇴계의 전망임을 부연하여 설명하였다. Toegye[退溪] Li-hwang[李滉] was the most prominent and influential Neo-confucian scholar in Joseon Dynasty. Confucian scholars thought it was able to make world peace through the moral training and home management. But any specific reference to international politics and specific comments on world peace does not appear in Li-hwang``s writings. This essay was written for investigating Li-hwang``s idea to the path for the peaceful world. The conten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main principle of Toegye Li-hwang``s academic ideas are well summarized in the ten chart for the study of the sages[聖學十圖], that dedicated to a young king newly ascended the throne. In the ten chart for the study of the sages, Li-hwang``s idea to the path for the peaceful world based on one of the confucian texts, The Great-Learning[大學]. The essence of the Great-Learning is that through self-cultivation one can bring order and harmony to one``s mind, personal life, family, state and the world as a whole. Toegye had pointed out the ultimate goal of The Great-Learning depends on rectifying person``s mind[正心] and making the thoughts sincere[誠意]. According to the explanatory notes of Zhu-Xi[朱熹], to rectify one``s mind and to make one``s thoughts sincere, there are required to follow the principle of nature and abstaining from one``s desire. Therefore, Li-hwang demanded upon scholars to a practice of ascetic life and to learn a real pleasure[眞樂]. Therefore, he was convinced that the real world peace is realizing inner peace of mind in the human individuals.

      • KCI등재

        격재갱운당송현시절구(格齋갱韻唐宋賢詩絶句)에 대하여

        정경주 ( Kyeong Ju Jung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4 石堂論叢 Vol.0 No.60

        이 글은 조선 초기의 인물 格齋孫肇瑞(1410경-1471경)가 지은 차운시집 『격재갱운당송현시절구』1책의 판본과 그 차운의 원본을 추정하기 위하여 작성하였다. 이 책은 『격재갱운당현시』격재갱운당현시와 『격재갱운송현시』를 합철한 책으로, 孫肇瑞가 만년에 『 唐賢詩範 』에 실려 있는 唐詩五言絶句163수와, 고려시대부터 전해졌던 편자 미상의 『宋賢詩』에실려 있는 宋詩七言絶句160수를 대본으로 하여 지은 次韻詩와 그 原韻詩를 함께 묶어둔 것을, 격재의 아들 孫胤漢이 성종 10년 기해년 (1479) 밀양의 본가에서 목판으로 간행한 것이다. 이 책의 印本은 조선 후기 영조 연간에 一直縣에서 발견되어 그 후손들이『격재선생문집』을 편성하는 주 자료로 사용하였으나 지금 전하지 않고, 현재 중국 북경대학도서관 소장본이 유일본으로 전한다. 북경대학도서관 소장본은 『격재갱운송현시』의 제27판이 결판된 상태로 전한다. 격재갱운당송현시절구에 실려 있는 唐賢詩의 원운시는 모두 해인사에 책판이 남아 있는 병오년 간본의 『唐賢詩範』과 일치한다. 이 책의 宋賢詩의 원운시에는 원작가가 명시되어 있지 않은데, 그중 상당수의 시는 지금 전하는 宋詩관련 문헌에서 찾기 어려운 것들이 적지 않다. 이 점에서 『격재갱운당송현시절구』는 무엇보다도 고려조 이래로 조선 전기까지 한국의 문인 학자들 사이에 시학교재로 널리 유포된 唐詩五言絶句및 宋詩七言絶句詩選集의 근거 문헌으로 가치가 높다. 차운시를 묶어 하나의 책으로 간행하는 것은 그 사례가 매우 드문데, 『격재갱운당송현시절구』는 한국에서 차운시의 전통을 보여주는 중요한 문헌이다. Gyeokjae-Gangwoon-Tangsonghyon Poetry[格齋갱韻唐宋賢詩] is one of the very old poetry editions in early Chosun Dynasty. This old anthology contains poetry of the 323 number, that rime along the rhymes[次韻] of Tang(唐) and Song(宋) poetry, written by Son-Josuh, who was one of the tragic bureaucracy in mid-15th century Joseon Dynasty. First edition of this anthology was published in 1479. The first edition was published by his son in the form of wood-block printing. But this anthology has been forgotten since the first edition was published. Nevertheless, the main content of the poems remain in the collection of his works that were edited in the late Joseon by his descendants. Recently, one of the first edition of this anthology was discovered in China, Peking University. In this paper, I estimated the origin of this book based on a number of different records. First, I have demonstrated that the origin text of the poetry with five words to each lines[五言絶句] of this book completely consistent with DanghyeonShibum[唐賢詩範] which was one of the collection of Tang-Poetry[唐詩] with five words to each lines[五言絶句], published in the mid Goryeo Dynasty in Haeinsa[海印寺]. Second, I have demonstrated the presence of the Songhyonshi[宋賢詩], which was one of the collection of Song-Poetry[宋詩] with seven words to each lines[七言絶句], in the early Joseon Dynasty. Gyeokjae-Gangwoon-Tangsonghyon Poetry[格齋갱韻唐宋賢詩], Son-Josuh[孫肇瑞], DanghyeonShibum[唐 賢詩範], Songhyonshi[宋賢詩], rime along the rhymes [次韻]

      • KCI등재

        기획논문 -대소헌 조종도의 행적과 사상 : 대소헌 조종도의 인물 현상에 대하여

        정경주 ( Kyeong Ju Jung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3 남명학연구 Vol.38 No.-

        이 글은 조선중기의 임진왜란 초기에 경상우도의 의병 봉기에 크게 기여하고, 정유재란을 당하여 고립된 황석산성에서 전직 군수로서의 직분을 지켜 순절하였던 대소헌 조종도가 한국의 인물사 내지 문화사에 있어서 가지는 의의를 점검하고, 역사 문화 인물로서 대소헌 조종도의 위상을 역대 문헌에 수록된 그 인물 형상의 특징을 통하여 개괄하고자 집질되었다. 본론에서는 먼저 대소헌과 관련된 문헌을 사망 직후의 에도를 표한 輓章과 祭文, 진지나 가문 기록으로서의 碑誌와 傳狀, 국가나 사림의 공식 추모 문자로서의 褒贈 追崇의 문자 등 세 층위로 나누어. 해당 인물에 대한 사적 애도와 공적 추모의 전개 양상을 점검하고, 다음으로 이들 문헌에 빈번하게 나타내는 인물 형상의 특징적인 징표를 大笑子와 烈丈夫라는 두 가지 개념으로 요약하고, 그 인물 형상의 성립 정착 과정을 추적하는 한편, 이 두 가지 징표가 가지는 인물사적 문화사적 의의를 간략하게 추론하였다. 결론에서는 대소헌 조종도가 남명 조식의 문도로서 학문을 성취하여 통달한 식견과 활달한 처신 및 왜란 도중 의병을 일으켜 국난에 헌신하고 황석산성에서 대의를 지켜 죽음을 감수한 행적으로 인하여, 그와 교유한 당대의 지인들은 물론 후대 사대부 지식인으로부터 대대로 추숭되고, 조정과 사림으로부터 누차 포증을 받아, 조선왕조의 역사에 있어서 유가 의리와 신념에 충실하여 죽음을 사양치 않은 인물 전형의 하나로 각인되었다고 논평하였다. Daesoheon (大笑軒) Jojongdo (趙宗道) was one of the famous patriots in Imjin war[壬辰倭亂] that had occurred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He had contributed greatly in to organize patriotic soldiers in west area of Gyeongsang Province [慶尙右道], and He dedicated the death for to the country in the isolated castle that built in Hwangseoksan[黃石山城] to combat the cruel Japanese invaders. In this article. I evaluated him as one of the very distinctive historical figures in Joseon Dynasty. I stated several distinctive aspect of the portraiture of him in the three perspective. I examined the various documents such as the funeral address, funeral odes, monumental inscriptions, biographical wrightings that had been written to commemorate his death. I divided it into three parts and I summarized it in two typical features. The first compliment for him was that he was the man with loud laughter[大笑子]. He laughed usual well. We do not know the background of the laughter. Some people did not know why he laughed. Sometimes, they also said he was crazy. However, his insights on things were very superior. His knowledge was vastly superior than the average person. His laugh was one of the security wise way to survive in a world turbid for political struggle. The second compliment for him was that he was a ‘Passionate heroic big man[烈丈夫]’. He could have escaped death. However, he did not avoid death. He was fulfilling its responsibilities as a ruler, and he kept the scholarly conscience. He even laughed in the face of death in front of the Japanese invaders′s blade. In addition, he was a great poet and stylist, and was one of the competent administrators. Therefore, he wa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figures among the numerous disciples of the Nammyeong school.

      • KCI등재

        부산의 문화지도 그리기 부산지역 고전문학의 창작 배경에 대하여

        정경주 ( Kyeong Ju Jung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1 石堂論叢 Vol.0 No.50

        In this paper, I attempt to outline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classical literature in Busan area. with three kinds of terms. First in terms of natural beauty, Busan that is located on the area of the the southeastern beach of Korea Peninsula, was recognized as a the free and comfortable area away from the political struggle. It was represented to some places such as Taejongdae[太宗臺] Haeundae[海雲臺] Molundae[沒雲臺] Dongnae-Spa[東萊溫川]. Second, in terms of histor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 Busan was recognized as a center of trade and contact with foreign cultures, or the strategic point of defense in southern Korea. It was represented to some places such as Busanjin[釜山鎭], Jwasuyoung[左水營], Dadaejin[多大鎭], Jeonggongdan[鄭公壇], Geumjeong Walls[金井山城]. Third, in terms of the distribution of participating writers, who can be divided into two layers such as foreign and native. Foreign writers have a critical perspective on the foreign culture in Busan Culture, in contrast to this, native writers have an attitude to enjoy foreign culture and their native environment. In conclusion, the classical literature of the Busan is clearly reflected in the openness and fluidity of Busan local culture.

      • KCI등재

        조선후기 機張의 人文 位相과 인물

        Jung Kyeong Ju(鄭景柱)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6 동양한문학연구 Vol.44 No.-

        기장은 예로부터 고을의 규모가 작아 기장에 관련된 문헌 기록은 다른 고을에 비하여 매우 엉성하다. 이 글에서는 기장의 인문 사적, 특히 기장 출신의 인물과 관련된 몇 가지 문헌 자료를 간략하게 소개함으로써 기장 문화의 한 특성을 지적하고, 앞으로의 연구 과제를 제안하였다. 먼저 『삼국사기』의 거도(居道) 일화의 장토야(張吐野)와, 『삼국유사』의 영취사(靈鷲寺) 일화에 나오는 굴정현(屈井縣)이 기장의 옛 지명일 가능성이 있으며, 차성(車城)과 기장(機張) 및 갑화량곡(甲火良谷)이 여기에서 유래했을 것이라고 추정하였다. 다음으로 조선후기에 편찬된 기장읍지의 기록으로 보면, 기장의 사회 경제적 조건이 동남 지역 다른 고을에 비하여 그리 나은 편은 아니지만, 근검 질박한 풍속으로 독득한 지역적 정체성을 형성하였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다음으로 조선 후기 기장에서는 17세기의 학자 오정(鰲亭) 김방한(金邦翰)에 연원을 두고 월천(月泉) 신오(辛澳)와 그 문도들로 이어지는 하나의 학맥이 있었으며, 그 학문과 문학의 기풍이 19세기까지 면면히 이어지고 있었음을, 『오정일고』와 『월천일고』 및 심노숭(沈魯崇)의 『남천일록』과 신광호(辛光浩)의 『풍월축』 및 김봉희(金鳳喜)의 『碧梧集』 등의 문헌으로 확인하고 연관된 인물들을 소개하였다. 마지막으로 기장의 독특한 인문 정신과 그 역사적 문화적 정체성을 검증하기 위한 대대적인 문헌 발굴과 이에 대한 정밀한 분석 토론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In this essay I introduced, historical geographical and cultural identity of County Gijang[機張郡] in Korea, and introduced some major historical characters in that area. First, I pointed out that Chaseong[車城] the old name of County Gijang[機張郡] have derived from Temple Chwijeongsa[鷲井寺]. Next, I pointed out thar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s of County Gijang was reportedly very frugal and hardworking as that appears in many old books and documents. Gim-Banghan[金邦翰], Sin-Oh[辛澳], Sim-Nosung[沈魯崇], Sin-Gwangho[辛光浩], Gim-Bonghui[金鳳喜] and other important figures are included in there. Next I introduced several figures who lived in that area. Finally, to define the locali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County Gijang[機張郡], we need more close collection of literature in there.

      • KCI등재

        치전 제문의 형식과 애도의 표현양상

        정경주(Jung, Kyeong-ju) 대동한문학회 2010 大東漢文學 Vol.32 No.-

        인간의 죽음을 애도하는 한문학의 고유한 문예양식의 하나로서 祭文의 개념에 대하여는 그동안 여러 논자들의 견해 가운데 일치하지 않는 부분이 있었다. 이 글에서는 상례의 弔喪 절차에 사용되는 致奠祭文을 일반 제의의 고축문과 구별하여, 그 형식상의 특성과 내용 진술의 양상과 그 특징을 논하였다. 이 논의를 통하여 제문 개념에 대한 일단의 혼선을 정리하고,인간의 죽음을 애도하는 치전제문을 告祝文이나 哀辭 등 다른 유사 양식과 변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몇 가지 특징들을 제시하였다. 치전제문은형식상으로 제의 절차의 한 부분으로 개입한다는 점에서 고축문과 유사한점이 있으나, 내용상으로는 특정한 인간의 죽음을 애도하는 내용을 담는다는 점에서는 애사와 유사한 점이 있다. 그러나 치전제문은 의식절차상의 기능에 있어서 여러 점에서 고축문과 구별될 뿐 아니라, 내용에 있어서도 인간관계의 단절에 따른 상실감과 좌절감을 기축으로 비탄과 회한의사적인 정서를 토로한다는 점에서 다른 유사 양식과는 변별될 수 있다. 치 전제문은 인간의 죽음에 직접 애도의 정서를 표하는 것을 미덕으로 여겼던 관습에서 유래한 문예양식으로, 인간관계의 도리를 존중하는 한문문학의 특징적인 장르의 하나라 할 것이다. The condolence for the death of a man, which called as Chijun-Jemun(致奠祭 文), is one of the traditional literary genre of the Korean classics written inChinese. There are still no agreement about the concept of Jemun(祭文) among scholars. In the course of the funeral, some mourners who are in a close relationship, offers sacrifices for the dead, and reads the eulogy to honor the dead. Then I call it Chijun-Jemun, in other word, condolence for the death of a man. The content and style of it is distinguished from the benediction(祝文) that is a brief introduction of the procedure in funeral or memorial service. The dominated emotion in Chijun-Jemun(致奠祭文) is feelings of loss and frustration caused by the severance of the human relationship. Death of a person gets a severance of relationship, the severance of relationships forces permanent split. Therefore, in this style, the recall of the human relationship and praise of the virtues of one person is converted into grief and regret. This phenomenon of discribing grief has been shaped by the Confucian tradition that respect the duty of human relationships.

      • KCI등재

        기조논문 : 한훤당 김굉필 도학의 전승 양상

        정경주 ( Kyeong Ju Jung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2 嶺南學 Vol.0 No.22

        한훤당 김굉필은 점필재 김종직으로부터 『소학』 공부의 중요성을 啓導 받고 소학동자로 자처하며 진지한 실천의 체험을 거쳐 높은 덕성을 성취하여 당대의 사우들과 후학들로부터 道學의 모범으로 존중을 받았던 사람이다. 그는 연산조의 사화에 화를 당하였지만 중종조 이후 엄연히 조선 道學의 淵源正脈으로 존숭되었으므로, 그의 학문 사상과 언행과 처신과 사업은 그 당대의 사우와 문도는 물론 이후의 조선조 학술 문화와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한훤당이 남긴 문헌과 언행에 대한 주요한 진술과 관련 사적은 조선 道學淵源의 근거로서 선현들의 진중하게 여겨 대대로 수집 보완을 거쳐 『景賢錄』에 수록되어 있는데, 그 가운데 한훤당의 시문 저술은 그다지 많지 않다. 『景賢錄』에서는 한훤당의 도학 성취의 실상을 한훤당 자신의 시문보다는 당대 사우들의 증언과 傳聞을 중심으로 서술하고 있다. 도덕의 성취는 그 인물의 덕행과 사업에 感化를 받은 사람들의 증언과 전문을 통하여 그 실체에 접근할 수 있기 때문일 것이다. 이 글에서는 조선중기에 퇴계 이황 등이 한훤당의 시문과 사적을 수습하여 편찬한 『경현록』의 편찬 體3에 감발받아서, 한훤당에 대한 傳聞과 행적에 나타나는 整齊 靜坐의 수양법과, 小學-大學의 학문 규모, 그리고 家範과 講會의 의식 절차 등 세 가지 사례를 중심으로 한훤당의 도학과 그 학풍이 그 후학들에게 계승 파급되어 조선조의 학문과 사회 기풍의 형성에 끼친 경과를 대략 추정하여 보았다. 성리학의 이념과 『소학』 규범의 이해와 실천을 근간으로 하는 도학의 불씨는 포은 정몽주와 야은 길재와 점필재 김종직을 통하여 한훤당에게 전해졌다. 조선의 도학은 한훤당에 이르러 『소학』과 『대학』의 학문 규모를 정립하고, 성리학의 학문 신념에 입각한 철저한 자기 규율과, 인간관계의 미덕을 진지하게 실천함으로써 인격 감화를 통해 도덕 문명을 구현할 수 있다는 하나의 전범을 수립하게 되었다. 이러한 전범은 한훤당의 문도를 비롯한 수많은 학자들에게 파급되어 더욱 정밀하게 다듬어지고, 더욱 깊고 넓게 확산되었다. 그러므로 한훤당은 조선 도학의 수현으로서 존숭될 당위성이 있다고 할 것이다. Kim-Koengp`il(金宏弼) was one of the excellent Confucian scholar of the Joseon Dynasty. As a confucian scholar, his academic interest focused on the moral practice. His moral practice was respected by subsequent generations scholars. For this reason, he was enshrined at the shrine of Confucius. He was the most representative figure who was first enshrined at the shrine of Confuciu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Nevertheless, he left very few writings. Therefore there was some difficult to identify his academic achievement and to prove his moral practice. For his acts, however, is said many anecdotes. From this perspective, in this paper, I noted his important academic impact into three. First, I focused on unique way to foster the spirit of Kim-Koengpil. His usual attitude to life was solemn and stately. His life he was constantly trying to maintain good habits. He taught it to his students that have to learn the habit of sitting correct posture in a quiet state[靜坐] He believed that it greatly help to improve to grasp the right mental attitude, to adhere to the principles of morals. These attitudes of day-to-day life was widely succeeded to the next generation Confucianists, and next generation of Confucianists embraced as it is one of the natural customs. Second, he specially emphasised on the two subjects in the traditional curriculum of Confucian, such as DAXUE[大學] and XIAOXUE[小學]. These two books, since Zushi`s[朱熹] detailed interpretation and through his editing and proofreading, was a part of the required reading for scholars. However, there were few scholars who regarded XIAOXUE as one of the basic study for Confucius Studie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Kim-Koengpil`S emphasis on the study of XIAOXUE, was handed down to his posterity scholars such as Lee-Hwang[李滉] and Cho-Sik[曺植]. ``Ten kinds of diagrams on the royal road to political[聖學十圖]`` written by Lee-Hwang and ``Notes on the many topics of study Confucius[學記類編]`` written by Cho-Sik, Include both diagrams for XIAOXUE and DAXUE[小學大學圖]. Third, he created a code of conduct for his family, said as Ka-Bum[家範]. It was not much that had been written for Family`s precept[家訓] in the early Joseon period. Then he inserted here in one special provisions. Monthly family gather in a certain place, and there they read and announce the regulations of Family`s precept[家 訓]. These sort of family periodic meetings is very similar to that proclaim the conventions of the countryside in Medieval Joseon society. These events was olso handed down to posterity, and remain in such form as the ceremony for the reading test[講會], that was performed in the village school of the late Jose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