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후기 현대미술의 인체조각에 표현된 자아 이미지 연구 : 후기 현대미술 작품과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전수연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논문은 후기 현대미술의 인체조각에 나타난 자아의 표현방법을 연구하고 본인의 작품과 후기 현대미술 작품을 비교 고찰함으로써 인간의 몸을 통한 존재적 자아의 의미를 파악하고자 한다. 고대로부터 지금까지 인간의 모습은 미술의 중요한 주체가 되었다. 인체의 해석과 그에 따른 표현 양식은 끊임없이 변모했는데, 특히 사회변화가 가속화된 20세기에 와서는 미술가에 의해 인체가 분해, 왜곡, 재구성되기 시작했다. 점차 급격한 산업화, 제1·2차 세계대전 등의 시대적 상황 속에서 ‘인간을 위한 예술’이라는 본질적인 변화가 일어나게 되었고, 작업의 주체이자 대상으로서 인체는 예술의 새로운 시각으로 그 영역을 차지하게 되었다. 이렇게 인체 조각은 과거의 조각가가 줄곧 사용해오던 재료인 나무나 돌 같은 관습적인 재료가 아닌 작가의 신체 그 자체가 미술의 전통적 재료를 대신하는 미술 형식으로 새롭게 등장하였다. 인체의 완벽한 시각적 재현의 노력에서 벗어나 작가는 자신의 신체를 미술의 매체 혹은 주제로 사용하기 시작한 것이다. 비대해진 문화 환경 속에서 새롭게 부각된 인체에 대한 관심은 자아에 대한 의식을 복귀시키고, 한 개인의 정체성을 특정화시키는 요소가 되기도 하였다. 특히 20세기 중반 포스트모던 시대에 통합한 인격과 이성적 주체로서의 인간을 전면적으로 거부하는 예술 철학적 경향에서 영향을 받았다고 볼 수 있다. 포스트모더니즘에서 비롯된 주체성과 정체성의 위기인식은 자의식의 확인과 욕망의 소재지인 육체의 위기를 가늠하기에 이르렀다. 요컨대, 나를 입증 할 수 있는 가장 구체적이고 물질적인 근거로서 ‘나의 몸’이 정체성 추적의 마지막 담보가 된 것이다. 불안정한 현대 사회 속에서 인간은 진정한 자아의 모습을 찾지 못하고 존재의 의미와 가치를 상실해 간다. 이러한 견지에서, 본 연구는 자아를 실현하기 어려운 현대 사회에서 확고한 자신에 관한 의식과 관념을 통해 정체성을 표현한 인체조각의 이미지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서론에서는 연구를 하게 된 목적, 그리고 방법 및 범위에 대해서 서술하였다. 본론은 2장과 3장으로 나누어 2장에서는 인체조각에 내재된 자아심리의 철학적 고찰로서 프로이트와 라캉의 이론을 중심으로 서술하였다. 그 후 자아 표현이 내재된 인체조각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하여 미술에서의 자아표현의 역할과 기능을 살펴보았고, 1945년 이후와 1980년대 이후 후기 현대미술로 나누어 시대적 자아표현의 현상과 인체조각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어서 인체조각에서 자아를 표현한 표본 작가로 루이스 부르주아(Louise Bourgeois), 키키 스미스(Kiki Smith), 마크 퀸(Marc Quinn), 천성명 등 4명을 선정하여 연구하였다. 그 후 자아심리와 본인작품과의 연관성을 해석하고, 본인 작품에 내재된 자아이미지를 연구하였다. ‘인체’를 연구한다는 것은 의식과 정신의 고민을 뜻하며 그러한 일련의 행위를 거치면서 스스로 좀 더 성숙한 인간이 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다. 따라서 ‘인체’에 대한 연구는 ‘자아’에 다가가기 위해 가장 선행되어져야 할 과제임과 동시에 결코 간과해서는 안 되는 중요한 문제로 보고 고찰해 볼 필요성을 가진다.

      • 아동 기질과 부모 양육 형태에 따른 행동발달의 차이 : 발달적 맥락에 따른 '조화의 적합성'에 관한 연구

        전수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한국 아동의 경우 기질적 유형과 부모의 양육형태가 어떻게 구분되며, 기질유형과 양육형태에 따른 아동의 사회행동발달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주요 연구문제는 부모의 특정 양육방식의 효과는 아동의 기질적 특성에 좌우되어 맥락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이었다. 아동 기질과 부모 양육 형태를 유형화한 결과 아동 기질은 쉬운 기질, 까다로운 기질, 더딘 기질로 나뉘어졌다. 그리고, 부모 양육 형태는 적대적 형태, 지배적 형태, 온정적 형태로 나뉘어졌다. 유형화된 아동 기질과 부모 양육 형태에 관한 연구에서는 온정적 양육 방식이 비교적 높은 행동발달을 유발하는 것으로 주장되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양육 형태에 따른 행동발달은 아동의 기질적 특성에 따라 각기 다른 효과를 갖는 것으로 예상되었다. 연구결과로는 쉬운 기질의 아동은 적대적 양육방식을 받았을 때 행동발달 점수가 가장 낮았으며, 더딘 기질과 까다로운 기질의 아동은 적대적 양육방식을 받았을 때 행동발달 점수가 가장 높았다. 또한, 까다로운 기질의 아동에게 부모는 적대적 양육 형태를 많이 보였으며, 쉬운 기질이나 더딘 기질의 아동에게는 온정적 양육태도와 지배적 양육 태도가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들은 아동의 행동발달에서 부모의 양육태도는 일방적 효과를 지니기보다는 아동 기질에 따른 상호작용이 존재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추후 연구에서 아동기질 유형과 부모 양육형태의 표현이 구체적인 문제상황이나 행동 표현에서 어떻게 다르게 드러나는가를 좀 더 자세히 탐색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at how classify child temperament types and parenting styles of Korea and how interact temperament types and parenting styles for child behavior development. Main subject of study was that the effect of a specific parenting style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context of child temperament. Through cluster analysis of child temperament and parenting, child temperament was classified as easy, difficult and slow-to-warm-up temperamental types. Parenting style was classified into three types : hostile, dominant, warm. Exiting studies insist that warm parenting style contributes a good development of children in the study of the child temperament types and parenting styles. But, there was a tendency that a specific parenting style has a different effect on the child's social behavior development depending on child temperamental types in this study. In the result, easy temperament children reported the lowest grade of behavior development with hostile parenting style; and difficult or slow-to-warm-up temperament children reported the highest grade of behavior development with hostile parenting in general. Also, Parents took hostile parenting style to deal with their difficult temperament children. in addition, the almost same proportion of matches were found between warm or dominant parenting styles and easy or slow-to-warm-up temperament childre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re is the interaction of parenting styles with child temperament rather than one-sided effect of parenting style in child behavior development.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to examine that how are child temperament types and parenting styles shown in concrete problem situation or behavior expression.

      • 취주 악기 중심 음악치료가 뒤시엔느형 근육디스트로피 환자의 폐기능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전수연 성신여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wind instruments centered music therapy on a pulmonary function of muscular dystrophy patients and the impact of music therapy on the quality of life.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7 male Duchenne muscular dystrophy patients who reside in muscular dystrophy housing facilities and whose average age is 16.7 years old. Music therapy focused on wind instruments for them was implemented for 4 weeks, 5 days per week. Before and after patients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 pulmonary function test and a survey were also conducted each time of therapy implementation. A pulmonary function was measured using pulmonary function measuring equipment, while the quality of life was surveyed with the index of subjective well-being and a welfare scale questionnaire. When comparing results of pulmonary function tests on the group before and after the therapy, the pre-therapy results showed FVC 3.34±0.6ℓ, FEV₁ 2.99±0.5ℓ, PEF 6.54±1.0ℓ/sec, and MVV 103.67±32.8ℓ/min and the post-therapy outcomes included FVC 3.41±0.6ℓ, FEV₁ 3.05±0.4ℓ, PEF 6.65±0.8ℓ/sec, and MVV 112.86±31.57ℓ/min; implying considerable improvements in all measurements. The pulmonary function test considering physical information showed a result that FVC(%) and FEV₁(%) were reduced by 0.14% and 0.43% for each, but PEF(%) and MVV(%) increased by 3.29% and 12.59% respectively. In the survey about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correspondents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quality of life after therapy as overall areas of the quality of life were improved from 75.8 to 87.0 points and areas of feeling about the life lowered from 3.2 to 2.1. In the welfare area, positiveness enhanced from 3 to 3.2 points while negativeness decreased to 2 points from 2.6 points. In conclusion, although some areas of the pulmonary function tests had decreases in measurement values,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ments in PEF(%) up to 3.29% and MVV(%) up to 12.59%.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wind instruments centered music therapy for muscular dystrophy patients give not only positive effects on physical functions but also psychological change. 본 연구는 근육디스트로피 환자의 폐기능 향상을 위해 취주 악기 중심의 음악치료가 환자의 폐기능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했다. 연구대상은 근육디스트로피 생활시설에 거주하는 뒤시엔느형 근육디스트로피 환자인 평균연령 16.7세의 남성 환자 7명으로 구성하였다. 취주 악기 중심의 음악치료를 주 5일 4주에 걸쳐 진행하였고, 환자들이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전후로 폐기능 검사와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폐기능은 폐기능 측정기기(PFT)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삶의 질은 주관적 삶의 질 척도(Index of well-bing)와 안위척도 설문을 통해 조사하였다. 집단의 폐기능 검사결과를 사전 사후로 비교했을 때, 실험 전 폐기능 검사는 FVC 3.34±0.6ℓ, FEV₁ 2.99±0.5ℓ, PEF 6.54±1.0ℓ/sec, MVV 111.14±33.9ℓ/min이고, 치료 후에는 각각 FVC 3.41±0.6ℓ, FEV₁ 3.05±0.4ℓ, PEF 6.65±0.8ℓ/sec, MVV 112.86±31.57ℓ/min으로 모두 호전을 보였다. 신체정보를 고려한 폐기능 검사결과는 FVC(%), FEV₁(%)에서 각각 0.14%, 0.43% 감소하였으나, PEF(%)와 MVV(%)는 각각 3.29%, 12.59%의 증가를 보였다. 주관적 삶의 질 설문에서는 전반적인 삶의 질 영역이 75.8점에서 87.0점으로 향상했고, 삶에 대한 느낌 영역은 3.2점에서 2.1점으로 낮아져 대상자가 느끼는 삶의 질이 긍정적으로 나타났음을 볼 수 있었다. 안위영역에서도 긍정형 문항에 대한 응답은 3점에서 3.2점으로 향상하였고, 부정형은 2.6점에서 2점으로 감소하였다. 연구결과, 폐기능 검사결과에서 일부 영역은 수치가 감소하기도 했으나PEF(%)가 3.29%, MVV(%)가 12.59%의 큰 향상을 보였고 대상자의 삶의 질과 안위 정도가 치료 전보다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취주악기 중심의 음악치료가 근육디스트로피 환자의 신체적 기능향상 뿐만아니라 심리적 변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 엔트리 프로그램을 활용한 색채대비 수업의 효용성에 대한 연구 : 특성화 고등학교 수업을 중심으로

        전수연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activities for color management class are mainly focused on the traditional method of standardized practical training. Practice activities in traditional classes, which are evaluated by coloring worksheets with the relevant coloring tools, can help learners understand the curriculum content, but the researcher felt that the uniform activities can lower their interest. This study began with the question; which supplementary programs can be used so that the students of characterized high school can understand the visual effects of colors more effectively and actively interact in the color management class. The aim of the study was to remove the limitations of the coloring tools and break free from the traditional methods through the usage of media, leading to increase of learning quality. Using “Entry Software”, which is a software that can actively use, modify, and supplement colors in various forms, we developed and demonstrated a program that can express complementary contrast and chromatic contrast among color contrast effects. This demonstration class was performed in 2019 with the 50 2nd year high school students of Y Design Characterized High School located in Eunpyeoung-gu, Seoul. The class was done by progressing the contents of the color contrast curriculum, using Entry as the auxiliary program to express express complementary contrast and chromatic contrast, and then applying it directly onto the activity sheet in the form of a design program in order to express the contrast effect. Prior to progressing the demonstration class, the researcher went through the process of collecting data from studies on color contrast and practice cases through media in art education. In April 2019, the participants in the specialized research class were taught the theory of color contrast and practiced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 that directly expresses the effect of color contrast using tools on the activity sheet. In September 2019, we developed Entry Software, capable of expressing express complementary contrast and chromatic contrast, using the collected data. In October 2019, a class of 50 high school second graders, who practiced the traditional method, conducted a practice activity using the software, and went on to taking part in expression activity using the design program tool after finishing a color contrast course of the same unit. From the participants, we collected pre-and post-test questionnaires divided into four areas: interest in practical activities, satisfaction, utilization, and understanding of color subjects. Through a serious of processes,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learners’ status when using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 as a practical activity in the color contrast class and when using the Entry software. Through this, the researcher found that the interest and utilization of learners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class using the Entry software. In particular, the learners were most interested in being part of the new activity using the Entry software, away from the traditional analog method. In addition, it was concluded that the learners can store and manage the activity data in the media, which can be used for other purposes, as they frequently use other design related programs. Satisfaction of the learners also increased by simply indirectly experiencing various colors. The researcher concludes that if the practice of using the media program in various actual education fields increases, it is likely to enhance the learning effect of the students. This study is about the utility regarding how much of the factors can be changed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when using Entry as an auxiliary program and traditional method, and holds the significance of having created a data applicable in the actual education field. Furthermore, in order to use this program in non-specialized high school or other subjects, it is necessary to follow up discussion and studies regarding the composition of theory class and the linkage of whether it can be us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other subjects. 색채 관리 수업에 대한 활동은 전통적인 수업 방식에서 출발한 획일적인 실습활동이 주를 이루고 있다. 채색도구를 이용하여 활동지에 교과내용과 관련된 색채를 칠하여 평가받는 형태의 전통적인 수업에서의 실습 활동은 학습자들로 하여금 교과 내용에 대한 이해를 시켜줄 수는 있겠지만, 획일화된 활동으로 인한 흥미는 떨어질 수 있다고 느꼈다. 본 연구에서는 특성화 고등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색채 관리 교과 수업 중 색의 시각적인 효과에 대한 내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이해하고 학습자들이 적극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실습 활동에서 활용할 수 있는 보조 프로그램에는 어떤 것이 있을지에 대한 고민으로 시작하였다. 채색도구로 인한 한계를 없애고 전통적인 수업 방식에서 벗어나 미디어를 활용해 흥미로운 학습을 하여 학습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색채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다양한 형태로 수정과 보완이 가능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인 ‘엔트리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색의 대비 효과 중 보색대비와 채도 대비를 표현해낼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 시범 수업을 진행하였다. 2019년 서울시 은평구 소재의 특성화 고등학교인 Y 디자인 고등학교 2학년 50명 학생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수업의 진행은 색채대비 교과 내용을 진행 한 뒤, 실습 활동에서 채도 대비와 보색 대비를 엔트리를 보조 프로그램으로써 활용하여 표현해내고 이것을 디자인 프로그램 형태로 되어있는 활동지에 직접 적용하여 대비 효과를 표현해내는 방식으로 한다. 본 연구자는 시범 수업에 들어가기에 앞서 색채대비 교과 내용에 맞는 색채 대비에 관한 문헌 고찰과 미술교육에서 미디어를 통한 실습 활동을 한 사례를 찾아 자료수집 과정을 거쳤다. 2019년 4월 특성화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색채 대비 교과 이론을 수업하고 활동지에 채색도구를 이용하여 색의 대비 효과를 직접 표현하는 전통적인 수업 방식의 실습을 진행하였으며, 2019년 9월 수집된 자료를 이용해 채도 대비와 보색 대비를 표현할 수 있는 엔트리 소프트웨어 개발을 하였다. 2019년 10월 이를 활용해 전통적인 수업 방식에서의 실습 활동을 한 특성화 고등학교 2학년 50명을 대상으로 동일한 단원의 색채 대비 교과 수업을 진행한 뒤에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실습 활동과 디자인 프로그램 툴을 이용한 표현 활동을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실습 활동에 대한 흥미도, 만족도, 활용도, 그리고 색채 교과이론에 대한 이해도의 4가지 요소로 영역을 나눈 사전 설문지와 사후 설문지를 수집하였다. 일련의 과정을 통해 색채대비 수업에서 실습 활동으로 전통적인 수업 방식을 했을 때와 엔트리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진행을 했을 때의 학습자들의 상태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연구자는 엔트리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수업에서 학습자들의 흥미도와 활용도가 크게 상승한 것을 확인했다. 특히 학습자들은 아날로그적 활동인 전통적인 수업 방식에서의 실습 활동에서 벗어나 새로운 형태인 엔트리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실습활동이라는 점에 가장 흥미를 느꼈다. 또한 디자인 관련 프로그램을 주로 사용하는 학습자들의 특성상 활동 자료를 미디어에 저장 및 관리할 수 있어, 타 교과에 활용할 가능성이 있다는 결론이 나왔다. 다양한 색채를 눈으로 간접 체험하는 것만으로도 만족도 역시 상승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제 교육 현장에서도 다양한 방법으로 미디어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실습을 진행할 경우, 학생들의 학습 효과도 증진될 가능성이 보인다는 결론이 나왔다. 본 연구는 엔트리를 색채 대비 수업의 보조 프로그램으로 활용하였을 때, 전통적 수업 방식에서의 실습 활동과 비교하여 위의 요소를 얼마나 변화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효용성에 관한 연구이며, 실제 교육 현장에서도 유용하게 작용할 수 있는 자료를 개발했다는 것에 의의를 둔다. 나아가 특성화 고등학교가 아닌 인문계 고등학교 혹은 타 교과에서 이 프로그램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이론수업에 대한 구성과 타 교과에서의 특성에 맞게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연계성 등 후속 논의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다문화가정 대상 국내 예술치료 연구의 동향 분석

        전수연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 사회는 다양화 시대로 빠르고 광범위하게 다인종·다문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다문화가정의 급격한 증가에 따라 언어 문제와 문화 적응 문제, 자녀양육 문제, 교육 문제, 편견과 차별의 문제들이 드러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에 대해 정부에서는 지원 정책의 일환으로 교육 지원과 취업 지원, 의료 지원, 긴급 지원, 생활 지원을 시작하였다. 다문화가정에 대한 연구는 언어와 복지, 교육 분야에서 주로 이루어져 왔으며, 예술치료 분야에서도 심리적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6년부터 2013년까지 발표된 총 46편의 국내학술지를 중심으로 다문화가정을 대상으로 예술치료가 다뤘던 문헌에 대하여 분석했다. 우선 다문화가정 대상 예술치료 선행연구를 통해 다문화가정이 당면하고 있는 문제를 어떻게 정의하고 있는지에 대하여 문헌고찰을 통해 살펴보았고, 선행연구들을 조사·분석하여 시기와 연구 대상·연구 문제에 따라 다문화가정 예술치료 연구의 연구 대상과 연구 문제, 연구 방법, 치료 방법과 치료 목표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연구 편수는 2012년 이후 연구의 수가 감소됨을 확인하였으며, 연구 대상은 주로 결혼이주여성과 초등학생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 문제는 자아존중감 향상과 사회성 향상, 이중문화스트레스 감소에 관한 연구가 주로 진행되었으며, 연구 방법은 사례연구를 통한 집단치료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다. 치료 방법으로는 미술치료와 문학치료 방법이 주로 사용 되었으며, 치료 목표는 치료 방법에 따른 사전·사후 평가를 통한 효과성 검증이 주요 목표였다. 본 연구자는 다문화가정 대상 예술치료 연구의 동향 분석을 통해 연구 대상과 연구 문제, 치료 방법과, 치료 목표에 대한 경향성을 정리하여 후속 연구 시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또한 사회적으로 지속적인 관심이 대두되고 있는 다문화가정 문제에 대해 예술치료 연구가 보다 전문적이고 장기적이며, 지속적으로 연구되기를 기대한다.

      • 서울시 내 건강취약지역의 건강증진을 위한 도시공원의 요소 연구 : 서울시 금천구를 중심으로

        전수연 인천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고령화 시대로 급속하게 들어선 현대 사회에서 개인의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는 적절한 의료서비스 제공이라고 할 수 있다. 서울시는 다른 도서지역에 비해 의료 접근성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25개의 자치구 간의 건강 수준 격차가 큰 편이다. 건강수준격차를 줄이고 건강형평성 향상을 제고 하기 위하여 이 연구는 도시공원과 건강증진의 연관성을 알아보고, 도시공원의 건강증진요소를 도출하여 건강취약지역인 금천구의 공원을 중심으로 적용요소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건강증진과 도시공원의 연관성을 연구한 기존 선행연구들을 고찰하여, 건강증진과 도시공원이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분석하였다. 선행연구마다 건강증진요소의 물리적 특성에 대하여 각각 다르게 서술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공원의 건강증진요소를 접근성, 안전성, 편의성, 쾌적성, 운동유발환경으로 정의하였다. 도출한 분석틀을 사용하여 금천구의 도시공원 중 도시자연공원 2곳, 근린공원 2곳, 어린이공원 2곳, 총 6곳의 공원을 현장조사 함으로써 건강증진요소별 특성과 공원별 요소 특성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 현장조사를 통해, 공원의 전반적인 건강증진요소와 공원별로 충족한 요소가 상이함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건강증진요소의 중요도가 정해져 있지 않기 때문에 특정 한 요소만 나타나거나, 두 세가지 요소가 측정될 경우 공평한 비교가 불가하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앞으로 건강취약지역의 건강증진을 위한 도시공원의 물리적 환경요소들을 연구하는 것에 있어 도움이 되고자 한다. In modern society, which has rapidly entered the aging era, an important factor for maintaining individual health is the provision of appropriate medical services. Although Seoul has higher access to medical care than other island areas, the gap in health levels between 25 autonomous districts is wide. In order to reduce the health level gap and improve health equity,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parks and health promotion factors and analyze the application factors centering on parks in Geumcheon-gu, a health-vulnerable area. By examining previous studies that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promotion and urban park, it was analyzed that health promotion and urban park are closely related. Each previous study described different physical characteristics of health promotion factor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health promotion factors of urban parks were defined as accessibility, safety, convenience, comfort, and exercise-inducing environment. Using the derived analysis framework, a total of six parks, two urban natural parks, two neighborhood parks, two children's parks, were surveyed on-site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health promotion factor and each park. Through an on-site survey in this study, the overall health promotion needs of the park.It was analyzed that the satisfied factors were different for each cow and park. And since the importance of health promotion factors is not determined, it can be seen that a fair comparison is impossible when only one specific factor appears or two or three factors are measured. This study aims to be helpful in studying the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s of urban parks for the promotion of health in vulnerable areas in the future.

      • 혈액 고정제가 열에 노출된 혈흔의 증강에 미치는 영향

        전수연 순천향대학교 법과학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일반적인 범죄현장에서 발견된 혈흔은 패턴의 확산 및 번짐을 방지하기 위해 혈액 고정 과정이 필수적으로 선행된 후에 혈흔 증강 시약을 사용해야 한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화재가 발생한 현장에서 발견될 수 있는 열에 노출된 혈흔 증거물에 대해서는 혈흔 증강 시약을 사용하기 전, 고정 과정이 선행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타일에 유류된 혈족적을 전기로에 넣고 열에 노출시킴으로써 열만으로 혈흔이 완전히 고정되는 지 알아보았다. 또한 혈흔이 열만으로 고정되지 않았을 경우엔 혈액 고정제인 5-sulfosalicylic acid (5-SSA) 혹은 methanol을 각각 적용하여, 혈흔 증강 시약을 사용함에 있어 어떤 고정제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100 ℃와 200 ℃에 혈족적을 각각 5분, 15분, 30분 노출시킨 후 혈액을 고정하지 않고 acid yellow 7 (AY7)을 처리하여 혈흔의 번짐 정도를 관찰한 결과, 혈족적이 유류된 표면 색과 열에 노출된 시간에 상관없이 100 ℃에 노출된 혈족적은 혈흔이 번져서 고정되지 않았고, 200 ℃에 노출된 혈족적은 혈흔이 번지지 않아 열에 의해 혈흔이 고정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100 ℃이하의 온도에 노출된 혈흔의 증강을 위해서는 고정 과정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 100 ℃에서 각각 5분, 15분, 30분 노출된 혈흔을 5-SSA 및 methanol로 고정한 후 1,2-indanedione/zinc (1,2-IND/Zn), AY7 및 Bluestar로 증강한 결과, 각 혈흔 증강 시약마다 적합한 혈액 고정제가 다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2-IND/Zn는 혈액 고정제로 고정하는 것보다 고정 과정을 거치치 않고 바로 시약을 적용하였을 때 시약의 형광을 관찰하기가 더 용이하였으며, 고정제로 고정하지 않아도 혈흔이 번지지 않았다. AY7의 경우, 5-SSA로 혈흔을 고정한 후 시약을 적용하는 것이 methanol로 고정하였을 때보다 우수한 혈흔 고정 효과를 보였으며, 시약의 형광 세기도 더 강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Bluestar는 methanol로 고정했을 때, 고정제를 적용하지 않은 혈흔에 비해 발광성이 저하되는 결과를 보였지만, 식별이 가능할 만큼의 좋은 발광성을 나타냈으며 그와 동시에 우수한 혈흔 고정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열에 노출된 혈흔을 1,2-IND/Zn로 증강하고자 할 때는 고정 과정 없이 시약만을 사용하고, AY7으로 증강하고자 할 때는 5-SSA를, Bluestar로 증강하고자 할 때는 methanol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It is known that bloodstains found at crime scenes should be used fixing process is necessarily preceded to prevent the spread of bloodstain patterns. However, it is not known whether the fixing process should precede the use of blood-enhancement reagents for bloodstain evidence of exposed to heat that could be found at the fire scene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bloodstains are completely fixed bloody footwear impression by heat. If the bloodstains are not fixed by heat on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which blood fixer is most effective in using blood-enhancement reagents by applying the blood fixer 5-sulfosalicylic acid (5-SSA) or methanol respectively. As a result of observing the degree of bloodstain smearing by treatment with acid yellow 7 (AY7) without fixing process after exposing the bloodstains at 100 ℃ and 200 ℃ for 5 minutes, 15 minutes, and 30 minutes respectively, the bloody footwear impression exposed to 100 ℃ was not fixed due to the spread bloodstains, and the bloody footwear impression exposed to 200 ℃ was completely fixed by heat, regardless of the time of exposure to heat and the surface color. Therefore the fixing process must be preceded for the enhancement of bloodstains exposed to temperature below 100 ℃. After fixing the bloodstains exposed at 100 ℃ for 5 minutes, 15 minutes, and 30 minutes respectively with 5-SSA or methanol, enhanced with 1,2-indanedione/zinc (1,2-IND/Zn), AY7 and Bluestar, it was confirmed that suitable blood fixer are different for each blood-enhancement reagents. 1,2-IND/Zn was easier to observe reagent fluorescence when the reagent was applied directly without a fixing process than when fixed with blood fixer, and blood did not spread without fixing with blood fixer. In the case of AY7, it was confirmed that applying the reagent after fixed the bloodstains with 5-SSA showed better bloodstain fixing effect than when fixed with methanol, and the reagent fluorescence intensity was also strong. In the case of Bluestar, when it was fixed with methanol, the luminescence was lowered than that of bloodstains without fixing process, but it showed luminescence sufficiently enough to be discern, and at the same time, it had an excellent blood fixing effect. Therefore, when enhancing heat-exposed bloodstains with 1,2-IND/Zn, the fixing process is unnecessary; in addition, 5-SSA is appropriate for enhancing it with AY7 and methanol is suitable for Bluestar-enhancement.

      • 음주운전자의 성격군집별 운전확신, 도덕 규범 및 문제음주

        전수연 전북대학교 행정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aim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drunken drivers according to their NEO-FFI scores.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155 drunken drivers registered in the 1st class of DUI(Driving under the Influence of Alcohol) school in the Jeonbuk Branch of Road Traffic Safety Authori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luster with higher extraversion showed higher scores in driving behavior. This means that the more active and excited, the more confident they are in driving. Second, cluster with higher conscientiousness and lower neuroticism showed lower scores in problem drinking. This means that a class characterized by self-management, responsbility and prudence are less likely to drink and drive. Third, cluster with higher conscientiousness and lower neuroticism showed higher scores in driving behavior. This is the opposite of the problem, it is very difficult to predict the possibility of drunken driving. Finally, all clusters showed similar scores in moral codes. However, the moral codes score was very low compared to the scores of driving behavior or problem drinking. It can be inferred that the moral codes has more influence on drunken driving than on driving behavior or problem drinking. A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driving behavior, problem drinking and moral codes and characteristics of drunken drivers according to their NEO-FFI scores. I hope that this study could be a little help for everyone working to reduce a drunken driving.

      • 공공도서관 자원봉사 운영체계에 대한 연구 : 광주ㆍ전남 지역을 중심으로

        전수연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conducted to seek for plans to improve volunteer activity management of public libraries efficiently by analyzing librarians and volunteers' perception of volunteer activities in public libraries. To this end, this study carried out a survey of 102 librarians and 85 volunteers who work in public libraries in GwangjuㆍJeonnam region, and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s the result of librarians' perception, 55% or more subjects answered that "the most necessary work for volunteer activities" is “volunteer work for users", followed by 'simple tasks(19.1%)'. In addition, according to "volunteers' activities", 'classification and organization of bookshelf(20.5%)', followed by 'guidance for users and order maintenance tasks(17.9%). To improve volunteer work in libraries, librarians need to increase motivation through changing their perception of volunteer workers. Second, only 7.3% of study subjects, libraries had workers for volunteer work and more than 75% of the subjects didn't have work guidelines for volunteer work. In terms of recruitment and deployment of volunteer workers, most libraries carried out them passively and rarely conducted education and evaluation. To look into effects of volunteer workers' retention will of activities, this study selecte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relationship satisfaction, satisfaction of management characteristics, and satisfaction of activities as independence facto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tention will of activities among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nd most volunteer workers wanted to continue volunteer activities regardless of age, religion, academic background, job, and financial status. Second, with respect to relationship satisfaction factors, three sub-factors relationship with related employees, relationship with co-volunteer workers, and relationship with subjects for volunteer work were all significant. The reason is that this factor is important to be managed by institutions. Third, in terms of satisfaction factors of management characteristics, education and acknowledgement & reward were significant among four sub-factors education, guidance & management, acknowledgement & reward, and evaluation. Fourth, regarding satisfaction of activities, relationship with retention will of activities was very significant. In order for library employees to understand what volunteer workers feel, they need to look at closely and communicate regularly, and accordingly it needs to perform deployment of tasks, guidance, and improvement measures considering volunteer workers' satisfaction. Libraries should not only solve shortage of volunteer workers but also manage systematically for continuance and development of volunteer activities. To this end, libraries need to have a realistic system for volunteer activities through librarians and volunteer workers' perception. When libraries make such efforts to practice, quality services of public libraries would be made. 이 연구의 목적은 공공도서관 자원봉사에 대한 사서와 자원봉사자의 인식을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공공도서관 자원봉사를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광주ㆍ전남지역의 공공도서관에서 근무하는 사서 102명과 자원봉사자 8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서의 인식조사 결과 “자원봉사자 활용이 가장 필요한 업무”에 조사대상자의 55% 이상이 ‘이용자 봉사’라고 응답하였으며, 다음으로는 ‘기타 단순 업무’가 19.1%로 나타났다. 또한 “자원봉사자의 활동 내용”을 살펴보면 ‘배가 및 서가정리’가 20.5%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이용자 안내 및 질서유지 업무’가 17.9%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도서관 자원봉사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사서들의 자원봉사자에 대한 인식전환을 통한 동기 부여의 확산이 필요하다. 둘째, 자원봉사 전담직원이 있는 경우는 7.3%에 그쳤으며 또한 조사대상 도서관 중 75% 이상이 자원봉사 업무 지침을 보유하고 있지 않았다. 자원봉사자의 모집과 배치부분에서도 대부분의 도서관이 수동적인 방법으로 실시하고 있으며 자원봉사에 대한 교육과 평가도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자원봉사자의 활동지속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독립변수로 인구사회학적 특성, 대인관계 만족, 관리특성 만족, 활동 만족도 요인을 설정하였다. 조사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 요인 가운데 성별에 따른 활동지속의지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연령, 종교, 학력, 직업, 경제 상태에 상관없이 대부분 활동을 지속하고자 하는 의지를 보여 주었다. 둘째, 대인관계 만족 요인의 경우에는 세 가지 하부요인인 담당직원과의 관계, 동료자원봉사자와의 관계, 봉사대상자와의 관계 모두 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기관의 입장에서 적극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는 중요요인이기 때문이다. 셋째, 관리특성 만족 요인의 경우에는 네 가지 하부요인인 교육, 지도와 관리, 인정 및 보상, 평가 요인 중 교육과 인정 및 보상 요인이 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활동 만족도의 경우에는 활동지속의지와의 관계가 매우 유의적인 결과를 보여주었다. 도서관 직원들은 봉사자가 느끼는 부분을 알아내기 위해 주의 깊은 관찰이나 주기적인 대화를 실행하고,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획득한 봉사자의 만족도를 고려한 업무배치, 지도 및 개선조치가 이루어 져야 한다. 도서관은 자원봉사의 존속과 발전을 위해서 자원봉사자를 인력부족 문제 해결차원을 넘어 보다 체계적인 관리를 해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서 도서관은 사서와 자원봉사자의 인식을 통한 현실적인 자원봉사활용 체제를 갖추어야 한다. 도서관에서 이러한 노력이 실행 될 때 자원봉사활동이 다양한 영역에서 보다 체계적이고 전문적으로 나타나며, 공공도서관에서의 질적인 서비스가 이루어질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