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과 명ㆍ청시기의 토지 매매문서 비교 연구

        전경목(全炅穆) 한국국학진흥원 2010 국학연구 Vol.17 No.-

        전통시기에 한국과 중국은 상호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커다란 영향을 끼쳐왔다. 정치ㆍ경제ㆍ사회의 여러 측면은 말할 것도 없고 양 국민의 일상생활에까지 절대적인 영향을 주고받았다. 본고에서는 한국의 조선과 중국의 명ㆍ청 시기에 민간에 널리 사용되었던 토지매매문서의 형식을 비교하여 양국 문서의 특징을 살펴보고 나아가 양국 사회와 문화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조선의 전답문권의 구성 요소는 ① 문기 작성일, ② 매득자買得者 성명, ③ 문기 기두식起頭式, ④ 방매放賣 이유, ⑤ 매물賣物의 소종래所從來, ⑥ 매물의 소재지, ⑦ 매물의 면적, ⑧ 매물의 가격, ⑨ 방매 절차, ⑩ 책임문언責任文言, ⑪ 문서 작성 관련자의 서압署押이었다. 이에 비해 중국 명ㆍ청 시기의 매지계賣地契는 ① 방매자放賣者 인적 사항(거주지와 성명), ② 매물의 소종래所從來, ③ 매물의 위치와 번지 및 사지四至, ④ 방매 사유, ⑤ 중개인선정, ⑥ 매득자買得者 인적 사항, ⑦ 가격 결정 절차, ⑧ 방매 절차, ⑨ 책임문언責任文言, ⑩ 문서 작성 사유事由, ⑪ 문서 작성 연월일, ⑫ 문서작성관련자 서압署押, ⑬ 기타(매물이 많을 경우, 종류 및 면적 등을 부록으로 기록)가 구성 요소였다. 조선의 전답문권과 중국의 매지계를 비교했을 때 가장 두드러진 차이점은 중개인의 존재여부이다. 중국에서는 토지를 방매할 때 우선 중개인을 선정하였다. 그러면 그가 방매자를 대신하여 매득자를 물색하고 가격을 방매자와 매득인 간에 합의하여 결정했다. 그러나 조선에서는 중개인이 없었다. 또 토지를 방매할 때의 절차가 양국이 달랐다. 중국에서는 토지를 팔 때 먼저 친척중에 이를 사들일 사람이 있는지를 묻고, 없을 경우에는 이웃사람에게 문의하였으며, 그들도 의사가 없을 때 비로소 타인에게 방매할 수 있었다. 그러나 조선은 이러한 절차를 전혀 거치지 않았다. 이러한 사실을 통해 중국은 조선과 비교하여 혈연과 지연 공동체적인 성격이 훨씬 강하였음을 알 수 있다. 반면 조선은 중국에 비해 토지소유권이 훨씬 배타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중국과 한국에서 사용하였던 문서의 비교를 통해 양국의 사회와 문화를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려는 연구는 이제 시작에 불과하다. 앞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19세기 『儒胥必知』 編刊의 특징과 의의

        전경목(Chon Kyong-mok) 한국학중앙연구원 2006 장서각 Vol.0 No.15

        『유서필지』는 조선후기에 널리 사용되던 公 · 私文書의 서식들을 예시한 책일 뿐만 아니라 최초로 이들 문서의 체계를 세우려고 했다는 점에서 고문서학적으로 한층 큰 의미 있는 책이다. 이 책의 편찬자와 편찬 시기는 알려져 있지 않은데 편찬자는 서리 출신의 한 명 또는 여러 명일 것이며 편찬 시기는 아무리 빨라야 정조 9년(1785) 이후이며 아무리 늦어도 헌종 10년(1844) 이전일 것으로 추정된다. 이 책은 4차례 편찬 과정과 한 두 차례의 교정 과정을 거친 후 헌종 10년에 처음으로 서울무교동에서 간행되었으며 그 이후 전주 등 지방 각지에서 여러 차례 인쇄되어 민간에 널리 유포되었다. 이 책은 <목록>, <범례>, <본문> 및 <부록>으로 구성되어 있다. <목록>과 <범례>에는 이 책에 어떤 종류의 문서가 수록되어 있는지를 일목요연하게 살펴볼 수 있도록 작성되었으며 <범례>에는 각 문서의 작성 원칙 등이 밝혀져 있다. <본문>에는 총 7종 45건의 사문서 서식이 자세히 소개되어 있다. <부록>에는 244항목의 이두와 6종의 공문서 서식이 수록되어 있다. 이 책의 편찬 특정은 첫째 단순히 문서식을 예시하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문서의 작성과 처분 등 소송의 전 과정 등을 이해할 수 있도록 편찬되어 있다. 둘째, 문 서식을 쉽게 터득하고 이를 이용해서 곧바로 문서를 작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간행의 의의는 이전에 소량으로 필사 유포되던 사례집과는 달리 다량으로 인쇄되어 널리 보급되었기 때문에 당시 사회와 문화에 커다란 영향력을 끼쳤다는 점이다. 이 책의 가치는 단순히 조선후기에 널리 알려진 문서의 서식을 보여주는 책에 머물지 않고 조선후기 출판사와 문화사의 여러 면들을 동시에 보여주는 책이라는 사실에 있다. 앞으로 학계에서 이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Yuseopilji is a very important book because not only the book has rich examples of official and private documents, but also is a first product to systematize documents. We don't know of the editor and the publication's date. But I assum that the editor were one or more than petty officials(書吏) and the publication',s date was between King Jeong-jo 9th year(1785) and King Heon-jong 10th year(1844). This book was publicatied firstly in Mukyo-dong of Seoul at King Heon-jong 10th year after having four times editings and one or two times correctings processes. And then Yuseopilji was publicated in Jeonju and other local cities and spreaded out. Yuseopilji consisted of 'A table of contents', 'Explanatory notes', 'Text' and 'Supplement'. We can obtain detailed informations about kinds of documents through 'A table of contents' and the principles of making out documnets through 'Explanatory notes'. And in 'Text' there were 45 private documents' formates that were divided by 7 catagories. In addition, there were 244 Idu-writings and 6 official documents' formats in 'Supplement'. The characteristics of Yuseopilji's publication are as follows. First, the book was edited not for just showing examples of making out documents but for showing ligal proceedings. Second, the book aimed to understand making out documents easily. The meaning of Yuseopilji's publication was to effect to the society and culture by a large amount printings different from former times. Yuseopilji is not a book only to show various examples for making out documents. The book has a meaning for studying a history of publication and culture in the late Joseon period. I expect the studies activated.

      • KCI등재

        양반가에서의 노비 역할 : 전라도 부안의 우반동김씨가의 사례를 중심으로

        전경목(Chon Kyoung-Mok) 역사문화학회 2012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15 No.1

        필자는 본고에서 전라도 부안의 우반동에 世居했던 扶安金氏家에서 노비들이 어떠한 역할을 했는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먼저 이 부안김씨의 中興祖로 알려진 김홍원은 농장을 관리하던 사내종 우세와 집안일을 도맡아서 한 군석을 소유하고 있었다. 그 중 군석은 이 가문의 戶奴였는데 그는 집안의 모든 일을 주관하였을 뿐 아니라 상전을 대신하여 관에 탄원서를 제출하고 세금도 납부하는 등 執事奴 역할을 하였다. 이에 따라 상전도 그에 걸맞은 대우를 해주려고 노력하였다. 김홍원과 그의 조상들은 전라도 용담현과 임실현의 섬진강과 금강 상류 근처에서 물을 막아 논을 개간하고 부안현의 주을래리의 바다에 漁場을 조성하였는데 이러한 일들은 모두 협동심이 강하고 숙련이 잘 된 사내종들이 있어야만 가능하였다. 부안김씨가 경제적으로 기반을 다질 수 있었던 것은 바로 이와 같은 사내종이 있었기에 가능하였다. 또 김홍원은 1597년에 일본군이 조선을 再侵하자 그의 家奴 중 용맹하고 충성심이 강한 사내종들을 데리고 의병활동을 전개하였다. 그의 사내종들은 비록 군사 훈련을 받지는 않았지만 개간 등을 통하여 체계적으로 조직되고 잘 훈련되어 있었는데 전쟁터에 나가서는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고 선봉에 서서 싸웠기 때문에 곳곳에서 커다란 戰功을 세울 수 있었다. 김홍원은 그들의 승리 덕택에 하루아침에 정3품 通政大夫가 되고 그 이후 여러 관직에 임명되었다. 물론 김홍원이 이와 같이 여러 관직을 역임하게 된 것은 그의 능력과 노력 등이 바탕이 되었지만, 의병 활동으로 그의 이름이 널리 알려지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은 부정할 수 없다. 부안김씨는 자신들이 소유하고 있는 노비 덕택에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경제적 또는 정치적으로 부상할 수 있었지만, 그들 때문에 고통을 겪기도 했다. 많은 노비를 소유했던 부안김씨가 戊申亂을 배후에서 지원하고 또 이 집안 노비 출신이 반란군을 지휘한다는 소문 때문에 김홍원의 후손들은 사형을 당하거나 옥살이를 하기도 했다. 그러나 대체적으로 우반동의 부안김씨는 자신 소유의 노비들을 잘 관리하였다. 손재주 좋은 노비들에게 각종 생필품 등을 제작하도록 하고 어업에 종사하는 외거노비들에게는 신공 대신 물고기를 바치도록 해서 家內에서 사용하거나 혹은 京鄕의 친인척에게 선물하기도 했다. 또 부안김씨는 부안과 그 인근 고을에 있던 경화사족의 농장에서 생산된 곡식이나 생필품 등을 자신들이 소유하고 있던 선박을 통해 서울과 경기 등지로 운송해주는 등 갖은 편의를 제공하며 경화사족과 교류하였는데 바로 이 집안에 사공노릇을 하는 사내종들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결론적으로 부안김씨가 해안가의 궁벽한 마을에 세거하고 있으면서도 양반으로서의 가세와 지체 및 명성을 유지하고 살 수 있었던 원인 중의 하나는 바로 이와 같은 노비들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The author examined concretely for the research what roles slaves served in Buan Kim lineage who had lived in Ubandong in Buan, Jeolla-do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Kim Hong-Won, known to be an ancestor who restored the family fortunes of Buan Kim lineage, owned male slaves Woose who managed a farm and Gunseok who held the domestic reins in the Kim's house. Out of slaves, Gunseok was a chief slave of the Kim's family, which served him not only as a manager of all the household chores, but also a butler who filed in a petition to the authorities and paid taxes in place of his master. Accordingly, his master made efforts to treat him to be commensurate with his duties. The Buan Kim lineage developed rice paddy fields in the vicinity of the upper regions of Geum River and Seomjin River in Yongdam-hyeon and Imsil-hyeon of Jeolla-do by blocking water from the rivers, and also developed fishing grounds at sea of Jooeulrae-ri in Buan-hyeon. These developments could be all attributed to male slaves who have a strong spirit of team work and good skills. What brought an economic base to the Buan Kim linage was all their efforts. In 1597 when Japanese armies invaded Joseon territory again, Kim Hong-Won raised a guerrilla force with his brave, loyal male slaves. Although the slaves did not receive military exercise, they were well organized and trained through development of rice paddy fields and fishing grounds; they were not afraid of death at war, fighting in the vanguard and distinguishing themselves in war. Resulting from their contribution to war, Kim Hong-Won became Tongjeongdaebu 3rd rank of Jeong, which enabled him to enter government service. There is no doubt that he filled various government posts based on his ability and efforts, however, it cannot be denied that his guerrilla force was the opportunity to make him widely known. The slave efforts did not always bring a fortune. Although the Buan Kim linage could emerge from an economic, political perspective, the Kim's family had to go through difficulties and challenges. For example, some of his descendants were executed or put into jail for a rumor that the Kim's family, who owned a lot of slaves, was de facto power behind the Musin Revolt in 1728 and slaves from the Kim's family led rebel forces of the revolt. None the less, the Buan Kim lineage of Uban-dong mostly managed slaves well. For example, the Kim's family allowed dextrous slaves to create various daily necessities and out-resident slaves to dedicate fish for slave tribute, which used inside the house or offered as a present for relatives or acquaintances living in Seoul and local areas. The Kim's family carried out exchange with Gyonghwasajok(京華士族, noble of Seoul) by delivering the daily necessities and crops produced in farms which Gyonghwasajok owned in Buan and its neighboring villages by ships the Kim's family owned. In conclusion, although the Buan Kim lineage lived in a remote corner of the coast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the Kim's families could live maintaining their fortunes and reputation as yangban (noble family); it is their slaves who could make this possible.

      • KCI등재

        조선후기 학동들의 탄원서 학습

        전경목 전북사학회 2016 전북사학 Vol.0 No.49

        In the late Joseon period, not only children of the nobility but children of the middle class or commoners went to village school and library and learned letters and read Confucian scripts. Unlike children of the nobility who became officials through state examination, however, they finished studying basic Confucian scripts at village school and library and became government employees such as local officials and chiefs of town. So when they studied at village school and library, they tried to learn how to write petition and while doing so, they used collection of forms or books of examples which were collections of petition forms. While reading such petitions, they had to be able to distinguish what was exaggerated and what was false in order to handle their work well later. Generally, ways of reading petition included (1) understanding the whole context, (2) understanding litigation strategies, (3) distinguishing truth or false of the contents of the document, (4) reading the petitions of plaintiff and defendant together. On the other hand, strategies to write petition under false accusation were (1) suggesting advantageous grounds or developing different logic, (2) emphasizing helpful behaviors and reducing unlawful behaviors, (3) suggesting opposite fact or pointing out logical loophole, (4) strategy of pretending to be the weaker, (5) revealing the corruption of the other person or relevant person. Reading and writing strategies of petition were like spear and shield so they were even contradictory to each other but children who were not from noble families in the late Joseon period focused on learning them.

      • KCI등재

        사회사 연구와 고문서

        전경목(Chon Kyong-Mok) 한국사학회 2006 史學硏究 Vol.- No.81

        이 글은 그 동안 학계에서 고문서를 이용하여 어떻게 사회사 연구를 해왔으며 또 앞으로 어떠한 점들이 보완되었으면 좋겠는가를 살펴보기 위하여 작성된 것이다. 그런데 사회사 전반에 대한 기존의 연구 성과를 검토하고 연구 방향을 전망하는 연구는 이미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몇차례 이루어진 바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최근에 이루어진 사회사 연구 그것도 주로 고문서를 활용한 연구에 대해서만 중점적으로 살펴보고 아울러 앞으로 고문서를 이용한 사회사 연구에서 보완되어야 하는 점들에 대해 언급하는 것으로 글을 마치겠다.<br/> 최근에 미야지마 히로시는 그의 논문에서 조선에 신분이 존재했던 이유는 시장 경제가 발달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진단하였다. 정만조와 오영교 등은 경기와 강원 지역의 동족마을을 조사하여 이 지역 사족들이 삼남 지역의 사족과는 달리 향촌 사회에 대해서 거의 관심이 없었고 오로지 중앙정계에 관심이 있었다고 주장하였다. 문숙자는 분재기를 분석하여 조선시대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으며 문옥표 등은 경상도 안동의 의성김씨 고문서를 분석하여 의성김씨의 역사와 문화에 대해 새롭게 조명하였다. 김건태와 손병규 등은 호적을 이용해서 다양한 연구를 시도하였으며 차명수 등은 족보를 이용해서 18세기-20세기에 이르는 인구의 추이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들의 연구는 호적과 족보를 이용하고 다양한 시각과 분석 방법 등을 동원하였다는 면에서 주목받을 만한 것들이었다. 김현영은 일본과 중국 등과의 비교 연구를 통하여 고문서의 수집과 보존에 대해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br/> 끝으로 고문서를 이용한 사회사 연구에서 보완되었으면 하는 사항에 대해 간단히 언급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왕이나 왕족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왕과 왕족은 조선사회를 구성하고 있는 엄연한 존재이며 더군다나 정치, 사회, 문화적으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였기 때문에 이에 대해 결코 소홀히 취급할 수 없다. 둘째, 조선시대 여성에 관한 연구도 사회사 분야에서 중요하게 취급되어야 할 과제 중의 하나이다. 여성은 사회의 절반을 차지하는 한 구성원이었기 때문에 마땅히 사회사 분야에서 대상으로 삼지 않을 수 없다. 셋째, 도시사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도시는 근대화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을 뿐 아니라 오늘 날에는 그 영향력이 가히 절대적이라고까지 말할 수 있기 때문이다. 넷째, 사회사에 관한 각종 이론이나 방법론에 대해서도 끊임없이 관심을 가져야 한다. 역사학 연구자들이 이론이나 방법론에 무지한 채 사회사를 연구해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다섯째, 사회사 연구자들이 고문서에 대한 환상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다. 최근 생활사나 문화사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마치 고문서가 과거의 모든 것을 알려줄 수 있는 보물지도처럼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고문서는 단편적인 사실을 제공하고 있는 하나의 자료에 불과할 뿐이다. 따라서 잃어버린 역사를 복원하려면 고문서 이외의 다른 자료에서 더 많은 사실들을 찾아내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overview the historical manuscripts(古文書) in perspective of social history(社會史), and what methodology will be applicable in theresearch of social history. This paper intend to concentrate on recent trend of social historical studies which is using historical manuscripts. In addition to this I have corborated several suggestions for social historical studies, which is by and large using historical manuscripts.<br/> Miyazima Hiroshi has focused through recent work that the Joseon dynasty's staus system was maintained because of lack of market economy development during that period. Jeong Man-Jo, Oh Yeong-Gyo and others scholarly work also suggests that the aristocrats(士族) of Kyeonggi and Kangwon province have not been concerned in their local society, and just they were indulged in government politicis. Another scholar, Moon Sook-Ja has asserted that the changing phase was based on the distribution of property's documents(分財記) during the Joseon dynasty. Mun Ok-Pyo and others research work is focusing on the Eu-Seong(義城) Kim family's history and culture through their historical manuscripts. Kim Geon-Tae, Son Byoeng-Gyu and other scholars has also attempted to focus the work by using census registers(戶籍), and Cha Myeong-Su's study on population which is based on genealogical books(族譜). Kim Hyeon-Yeong has tried to highlight the comparative study of China and Japan through the collection of historical manuscripts, and its preservation.<br/> Finally, I would like to suggest some historical tenets that will be helpful for complemation of social historical studies using historical manuscripts. First, the study of King and royal family must be highlighted because they were also social members of Joseon dynasty, and they have influenced greatly in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aspects during that period. Second, women's study will be applicable to purge their position in Joseon period. Third, the study of city of history can be provided valuable facts regarding the activities of social groups. Forth, It needs to mention that the social historians must be concerned about their theories and methodologies. Fifth, the new scholars and researchers have to get rid of their fantasy because the historical manuscripts are just a material that provide us a historical fragment and valubale sources. Therefore, we need to find other materials for demobilizing the history.

      • KCI등재

        조선후기 탄원서 작성과 修辭法 활용 - 고문서학과 한문학의 연구 접점 시론 -

        전경목(Chon, Kyoung-mok) 대동한문학회 2017 大東漢文學 Vol.52 No.-

        현재 남아있는 탄원서를 살펴보면, 서당에서 이를 교육시켰을 것으로 추정되는 18세기 후반부터 새로운 흐름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다양한 수사법을 동원해서 탄원서를 작성하는 경향이 그것인데 이는 한문 교육이 양반 이외의 다른 계층으로 점차 확산되고 또 권리나 소유에 대한 인식이 향촌사회 까지 차츰 정착되는 것과 궤를 같이한다. 본고에서는 이를 실증하기 위해, 여러 학습교재와 실제 탄원서를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려고 한다. 우선 탄원인의 처지나 심정 등을 잘 드러내기 위해 어떠한 어휘나 단어를 선택하고 무슨 수사 기법을 동원해 문장을 작성 했는지 알아보겠다. 주로 표현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므로 이를 본 논문에 서는 ‘표현으로서의 수사법’이라 부르겠다. 이어서 탄원하려는 의도와 목적이 정확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논리적으로 글 전체를 어떻게 구성했느냐를 고찰해보겠다. 탄원자의 의도가 충분히 전달되도록 전략적으로 글을 구성 한다는 점에서 ‘소송 전략으로서의 수사법’이라 칭하겠다. 아울러 조선시대에 수사법을 활용해서 원고나 피고를 돕거나 혹은 그들을 대신해서 소장을 작성해주는 사람을 外知部라 했는데 이들이 탄원서 작성에 개입한 흔적을 실제 탄원서에서 찾아보겠다. 이어 서당에서 어떤 수사 기법을 학습했는지에 대해서도 간략하게 알아보려고 한다. New trend had been appeared since late eighteenth century when was estimated to educate to write petition in the village schools. That was writing petition with a variety of rhetoric reflecting the education of Chinese had been expanded to the classes beside noblemen and the perception of right or possession had been settled up to the countryside communities. To prove these, two aspects are reviewed on multiple textbooks and real petitions. First thing is to understand what vocabularies and words were used and what rhetoric techniques were applied to express the position or feeling of the persons to claim petition. Since it is focused mainly on the expression, it is called as ‘rhetoric as the expression’ in this article. The next thing is to investigate how overall writing was organized logically so as to clearly deliver the intention and the purpose of petition. It is called as ‘rhetoric technique as the strategy of lawsuit’ in terms of strategic writing organization so as to deliver the intention of the person who claimed the petition sufficiently. In addition, it was called as Oejibu that was the person to write the petition to assist the plaintiff or the defendant using rhetoric, or on behalf of them. The evidences of their involvements will be reviewed in the real petitions. Then, it will be reviewed how they learned rhetoric in the village schools.

      • KCI등재

        조선후기 소 도살의 실상

        전경목 조선시대사학회 2014 朝鮮時代史學報 Vol.70 No.-

        In Joseon Dynasty, agriculture was the back bone of national economy. Therefore, policies related to the agriculture took the higher priority than others. During the busy farming season, the subject mobilization is prohibited to have them focusing in farming. And, plowing using cows were promoted because plowing fields using cows were efficient for the deeper plowing depth greatly increasing the production. Therefore, from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strong policy had been enforced to prohibit cow slaughtering. Reviewing records related to this policy, it is easily considered that the cow slaughtering was completed prevented from the Early Josheon Dynasty. However, according to currently remaining old documents, number of petitions requesting for approval to slaughter cows finds to be more than expected. Therefore, this study reveals the actual scene by investigating what cases allowed to slaughter cow and how the approval was requested. According to petitions, the cow slaughtering was requested in case of cow’s injury, disease, accidental death or sudden death or to prepare foods for family rites or to cure or care old parents. Regional chiefs sometimes rejected, but mostly approved requests because such requests were determined to be corresponded to unavoidable cases only to be allowed from circumstances. On the other hands, according to detail reviews on petitions for cow slaughtering, numerous suspicious parts are found. Ages of cows requested for slaughtering were only 1~2 years olds so that the price for beef would have been high in market. Some accidental or sudden death claimed to be happened for unknown reasons are highly possible to be manipulated cases. And some approvals are questionable as being used for many slaughters. Also, from the fact, more than 10 petitions were preserved in one family, implies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f professional cow slaughter or beef seller or mediator in the family. The policy prohibiting cow slaughtering was establish basically without considering the various realities in Joseon society. Thus, the law existed, but was not complied. And the enforcement was repeatedly reinforced and loosen. The gap between the law and the reality was large. However, performing the policy flexibly by adjusting was failed. Since corrupted regional chiefs and slaughters were filling their greedy desires using such gaps, the policy failure became more severe. 조선시대에는 농업이 국가의 근간이었으므로 여러 정책 가운데 농업과 관련된 것을 중시했다. 농번기에는 노동력을 농사에 집중하기 위해 백성을 동원하지 못하게 했으며 우경을 널리 장려했다. 소를 이용해 밭을 가는 것이 효율적이고 또 깊이갈이를 해서 생산력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조선초기부터 소를 도살하지 못하도록 강력한 정책을 시행했다. 따라서 이와 관련된 기록들을 보면 조선초기부터 소의 도살이 완전히 근절되었다고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현재 남아있는 고문서를 살펴보면 소 도살을 위해 허가를 요청하는 청원서가 의외로 많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러한 청원서를 분석해서 어떠한 경우에 소의 도살을 요청했는지를 살펴보고 그 실상을 살펴보겠다. 청원서에 따르면 소의 부상이나 질병, 각종 사고사와 돌연사, 각종 祭祀의 祭需, 늙은 부모의 치료와 봉양 등을 위해 소 도살을 요청했다. 수령은 이러한 요청을 받고 거부한 경우도 가끔 있었지만, 대부분 허락했다. 그 이유는 이러한 요청이 외형상 허락할 수밖에 없는 부득이한 경우에 해당된다고 판단했기 때문이었다. 한편, 소 도살을 요청한 청원서를 자세히 살펴볼 경우 의심나는 부분들이 적지 않다. 도살을 요청하는 소의 연령이 기껏해야 1~2년생이어서 쇠고기를 판매할 경우 높은 가격을 받을 수 있고, 우연히 발생했다고 주장하는 사고사나 돌연사가 오히려 인위적으로 조작되었을 가능성이 높으며, 허가를 얻은 후 이를 이용해 여러 차례 도살을 하지 않았나 하는 의구심이 들기 때문이다. 또 소 도살을 요청하는 청원서가 한 집안에서 10여 장이 넘게 소장되어 있었다는 점에서 혹시 소를 전문적으로 도살해 판매하거나 혹은 이를 중개하는 업자의 존재 가능성도 점쳐진다. 소 도살을 금지하는 정책은 기본적으로 조선사회의 여러 현실을 고려하지 않은 정책이었다. 그 결과 법은 존재하되 지켜지지 않았고, 단속은 강화되었다가 느슨해지기를 반복했다. 법과 현실 사이의 간극이 매우 컸으나 이를 조정해서 신축성 있게 정책을 시행하는 데 실패했다. 탐학한 수령이나 도살업자들은 바로 그러한 간극을 이용해서 자신들의 탐욕을 채워 나갔기 때문에 정책은 더욱 실패할 수밖에 없었다.

      • KCI등재

        김득문이 가문의 전래문서를 정리한 까닭

        전경목 전북사학회 2015 전북사학 Vol.0 No.46

        Currently, it is informed that only approximately 100 ancient documents have been handed down and most of them are preserved documents by the families around the country. Reason why these ancient documents are well preserved which are indispensable to study the history and culture at the traditional period is that members in each family valued and made effort to preserve them as they were. But, there are almost no related studies because our academic world didn’t pay attention to these ancient documents. In this study, the case study was tried targeting Buan Kim Family who have been living for generations in Wooban-dong, Buan-gun, Jeolla-do. Person who has arranged the ancient documents which have been handed down to Buan Kim Family is Kim Deukmun(1732~1767). He arranged all the letters which have been handed down to his family and identified who sent and received individually and after recording these he put all these letters together and kept them in the envelopes. Through these works, he discovered Kyung-Hwa-Sa-Jok in Hanyang who have exchanged with his ancestors and he tried to restore the social network by contacting them. Additionally, he discovered the lands and slaves which he couldn’t arrange and figure out, made the documents to receive the notarization again and received the notarization and caught and returned escaped slaves. But unfortunately, he encountered lawsuits because he beat the slaves to death in this process. Reason why Kim Deukmun arranged the ancient documents was he was adopted. After his step-father dies, there was no one who told his property conditions or social network with Kyung-Hwa-Sa-Jok at all. Therefore, he couldn’t help figuring out his lands and slaves through handed down documents in his family after adoption and restoring the social network with Kyung-Hwa-Sa-Jok at Hanyang. Even though Kim Deukmun barely restored the social network, unfortunately he died right away and his efforts turned out to be in va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