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ncidence of Wolf Teeth in Jeju Ponies and Jeju Pony Crossbreds

        양재혁,쟈넷한,황규계,임윤규 한국임상수의학회 2015 한국임상수의학회지 Vol.32 No.3

        Wolf teeth have been reported with incidence rate of 13% to 31.9% in horses of both sexes. However,there is no report about the incidence of wolf teeth in pony breeds. In order to determine the incidence of wolf teethin Jeju Ponies and Jeju Pony crossbreds, oral examination and palpation of the interdental space of ponies at the JejuRace Park were performed from 2006 to 2010.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a total of 90 (3.4%) of the 2,675examined Jeju Ponies and Jeju Pony crossbreds had wolf teeth. Among 30 Jeju Ponies that had wolf teeth, 22 weremale (73.3%) and 8 were female (26.7%). Among 60 Jeju Pony crossbreds that had wolf teeth, 25 were male (41.7%)and 35 were female (58.3%). In Jeju Ponies, wolf teeth were most common in 3-years-old, followed by ≥ 4-yearsold,then 2-years-old. For Jeju Pony crossbreds, wolf teeth were most common in 3-years-old, followed by 2-yearsold,then ≥ 4-years-old. In conclusion, the incidence of wolf teeth in Jeju Ponies and Jeju Pony crossbreds wasconsiderably lower than what has been reported for horses in other countri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이태준, 사적영역으로서의 동양

        자넷 풀(Janet Poole),한상희(번역자)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08 亞細亞硏究 Vol.51 No.2

        The essays and fiction of prominent writer and editor, Yi T’aejun, perform a Romantic reworking of the Confucian figure of the solitary scholar- gentleman into that of the lonely artist, supposedly isolated from the realms of politics and commercial business and developing his sensibility in the privacy of his own home. As in all forms of Romanticism, however, this textual subjectivity figures rather a relationship or accomodation to a transforming society. My interest here lies in elaborating some of the terms of that accommodation, which I call Yi’s private Orient: in a colonized society undergoing assimilation into a wartime Japanese empire, what might it mean to construct a notion of selfhood in a cultural notion of a Pan-Asian past? Through an examination of the chronotope of the Orient produced in Yi’s essay collection Mus?rok and his short story S?gyang, this paper considers the question of subjectivity in the late colonial period.

      • KCI등재

        박물관과 무형문화유산 보호 - 박물관의 참여 증진과 사회적 기능 강화

        자넷 블레이크 국립민속박물관 2018 International Journal of Intangible Heritage Vol.13 No.-

        유산은 보편적 가치를 보유하면서도 해당 유산을 보유한 지역 및 공동체에 특별한 의미를 갖는 이중적 성격을 띠고 있으며, 이러한 특징은 유산을 보호하고 박물관에서 제시하는 과정에서 도전과제를 안겨 준다. 20세기 중반 이래로 국제 문화정책은 주로 ‘유산은 보편적이며 전 세계적인 가치’라는 이해를 바탕으로 수립되었다. 그러나 오늘날 유산이 유산 보유 지역 및 공동체에 갖는 중요성에 관한 이해가 제고되고 있다. 이러한 이중성은 특히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보호협약(UNESCO’s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UNESCO 2003)의 이행에 어려움을 초래했다. 이 협약의 채택에 따라, 기념물, 유적지, 유물, 사물을 중시하는 것에서 주로 동시대 인류의 기술, 지식, 노하우에 존재하는 살아있는 유산을 보호하는 방향으로 정책과 입법의 패러다임이 전환되었다. 2015년 유네스코 총회에서 채택된 ‘박물관 및 소장품 보호와 증진, 다양성과 사회적 역할에 관한 권고(Protection and Promotion of Museums and Collections, their Diversity and their Role in Society)’는 무형문화유산 보호를 위한 박물관의 역할을 논하는 매우 중요한 문서이다. 이 권고는 유무형문화유산의 보존, 연구, 전승이 모든 사회와 사회적 결속, 지속 가능한 발전에 갖는 지대한 중요성뿐 아니라, 이를 달성하기 위해 박물관이 수행할 수 있는 중심적 역할을 인정하는 혁신적 문서이다. 최근 국제 정책과 입법에서 문화유산, 특히 무형문화유산이 공동체를 위한 사회·문화적 자원 및 때로는 경제적 자원이 될 수 있는 잠재력을 보유한다는 사실이 인정받고 있다. 더욱이, 현재 국제법은 문화유산의 식별, 보호, 관리에 공동체가 참여하도록 함으로써 문화유산 보호 패러다임을 보다 민주화 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본 논문은 문화유산의 강조점이 세계적 가치에서 지역적 가치로 전환되는 모습을 살펴보고, 이 과정에서 문화유산의 무형적 측면을 보호하기 위해 박물관이 수행할 수 있는 역할을 검토한다.

      • KCI등재

        미국 선교사 애니 베어드 소설의 문화 번역 양상 연구

        자넷윤선리 ( Janet Yoon-sun Lee ) 한국문학언어학회 2021 어문론총 Vol.90 No.-

        애니 베어드(1864-1916)는 19세기 말부터 부산, 대구와 평양 등지에서 활동하였던 북장리교 계열의 미국인 여성 선교사이다. 그는 숭실학당과 숭의여학교에서 강사로 가르치면서 동식물학, 생리학, 역사 관련 교과서를 한국어로 번역 및 제작하였으며 수필과 소설을 비롯한 다양한 작품을 남겼다. 본 논문은 애니베어드의 소설을 분석하며 텍스트에 드러난 문화 번역 양상을 고찰하였다. 분석대상은 애니 베어드의 초기작으로 1905년 평양에서 한국어로 출간한 『□별젼』과 1909년 미국에서 영어로 출판한 『Daybreak in Korea: A Tale of Transformation in the Far East』이다. 이 소설들은 공통적으로 조선 여성의 가혹한 생활여건과 억압적 현실을 드러내며 신여성으로의 변화를 통한 구원과 회심이란 주제를 내재화하고 있으며 조선의 전통적 서사 장르와 개신교의 복음주의가 결합하는 혼종적 양상을 보여준다. 이에 본고는 애니 베어드 소설에서 조선 여성 수난담이 기독교적 메시지로 전환되는 양상에 주목하며 저자가 어떤 방식으로 조선의 고소설 장르를 선교 문학과 결합하였는지 논하였다. 또한 이들 소설을 하나의 문화 번역 양상으로 보고 한국이란 특수성에 경도된 본질주의에 가까운 토착주의나 서양의 동양에 대한 낭만주의와 같은 거대 담론과 차별화되는 부분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베어드 소설이 이질적 문화 간의 친밀성을 재구성하고 재현하는 과정에서 제국-식민지의 위계적 질서를 뒤흔드는 하나의 실천적 공간을 구성하고 있음을 밝혔다. The article explores the missionary novels, written in Korean and English, by Annie Baird (1864-1916). Baird was born in 1864 in Indiana, U.S.A. and served as a missionary and school-founder in Chosŏn Korea from 1891 until she died in 1916. Baird has been known for her missionary works, but she was also an accomplished writer who wrote and published textbooks, articles, and novels. This study illuminates her earlier writings in Korean and English, published around the 1900s and defines her role as a mediator between Chosŏn culture and Western Christianity. The analysis is focused on The Story of Sait Pyel (1905), written in vernacular Korean, and The Daybreak in Korea: A Tale of Transformation in the Far East (1909), published in America. This study also traces how the author adopts traditional Korean narrative elements and genre by mimicking the format of domestic fiction. The author not only employs the setting of “evil step mother and good adopted daughter” but recreates it into a religious story in which a poor girl’s perseverance is being rewarded when her stepmother obsessed with shamanism converts to Christianity. Similarly, The Daybreak in Korea fictionalizes the life of a Korean girl, Pobai, who suffers from early marriage and is enslaved by the husband’s family. The encounter with missionaries again transforms the girl’s view of life and her dramatic transformation even impresses her neighbors. The story seeks the possibility of building an ideal Christian community with Korean people. Through textual analysis of those novels, the article examines the aspect of cultural translation in Annie Baird’s works and explores how Baird positions herself as a missionary as well as a migrant who settled in Korea. Instead of touting cultural superiority or imperial power over the colonized land, her novels feature the theme of hybridity and co-existence between heterogeneous cultures by imagining the intimate space where American missionaries and Korean people converse, exchange, and share feelings with each other. In such settings, the power of intimacy serves to overcome the presence of discrepancy, difference, and outlandishness in customs and practices. Annie Baird’s fiction therefore functions as a “contact zone” where multifarious elements and practices are exchanged and interacted, while revealing diversity in the practice of cultural translation.

      • Movement of Metal Nanoparticle and GNP mediated Photothermal Impact in Arabidopsis

        구연종 ( Yeonjong Koo ),자넷부라암 ( Janetbraam ) 한국환경농학회 2018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8 No.-

        The basic information to develop nanoparticle as a functional material is discovering nanoparticle movement in plant tissues. Two different methods were carried out to tracking nanoparticle in Arabidopsis. First, Arabidopsis was exposed to CdSe/CdZnS QDs with three different coatings, anionic, cationic, and relatively neutral, and nanoparticle movement was dramatically changed from the particle absorption into the plant root cell to the particle localization in plant leaves. T. ni caterpillars that fed on Arabidopsis exposed to QDs had reduced performance, and QD fluorescence was detected in both T. ni bodies and frass, demonstrating trophic transfer of intact QDs from plants to insects. Second, gold nanoparticle was applied to test the biological responses to photothermal effects of nanoparticles. The uptake of gold nanoparticle through Arabidopsis roots and translocation to leaves are reported through the photoacoustic signal detection. Furthermore, Arabidopsis leaves harboring GNPs and exposed to continuous laser or noncoherent light show elevated temperatures across the leaf surface and induced expression of heat-shock regulated genes. Overall,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metal based nanoparticles are strong candidate as a substance carrier for manipulating plant physi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