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번역)『박통사』(상)의 난해어

        김양진(Kim, Ryang-jin),장향실(Chang, Hyang-sil) 국어국문학회 2014 국어국문학 Vol.- No.166

        This article aims lexicologically to research difficulty words which we could not understand the meaning of declinable words in the (Beonyeok)Baktongsa(朴通事) volume one. By this research, we find out meaning of several verbal words, as follows "japsoeu-[잡소으-](lesson 1 ), hyang-nario-[향나리오-](lesson 2), bopnol-[봅놀-](lesson 19), al-[알-](lesson 26), gatalh?-[가탈하-](lesson 33), and also uncovered meanings of abjective words like s?m?itgap-[사밋갑-](lesson 6), s?lgap-[살갑-](lesson 6), p?n[펀](lesson 13) etc.. This thesis present the reason why gatalh?-[가탈하-] means ‘totter’, ‘stagger’ and ‘stagger’. And also it was a significant research which find out ‘s?m?itgap-[사밋갑]-’ means ‘considerate(생각이) 깊-’ and the word of p?n[펀]means ‘p?l-[펄-]’ as meaning of ‘bluish green’. In fact, it was the controversialword. There were controversies in interpreting the meaning of these words.Of course still there were lots of unsolved words in (Beonyeok)Baktongsa(朴通事), those are wait for in-depth research.

      • KCI등재

        중국어와 일본어 모어 화자의 한국어 음절 종성 산출 차이 연구

        장향실 ( Hyang Sil Chang ) 우리어문학회 2016 우리어문연구 Vol.55 No.-

        본고는 한국어 음절 종성에 대한 일본어와 중국어권 화자의 산출 차이에 대해고찰하였다. 중국어권 학습자와 일본어권 학습자는 공통적으로 한국어의 종성 ‘ㄱ, ㄷ, ㅂ’ 등을 제대로 발음하지 못하는데, 그 이유는 학습자의 모국어인 중국어 및 일본어와 목표어인 한국어의 음절 구조가 다르기 때문이다. 그런데 주목을 요하는 것은 두 언어권 학습자의 발음 산출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점이다. 중국어권 학습자들은 대개 음절 종성을 탈락시켜 발음하는 경향이 강한 반면, 일본어권학습자들은 음절 종성을 후행 음절의 초성으로 재음절화하여 발음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한국어의 CVC 음절을 가지는 단어에 대해 일본어권 학습자는 CV.CV로 산출하는 데 비해 중국어권 학습자는 CV로 산출하는 것이다. 이에 대해 기존의 음운론 연구에서는 외국인 학습자의 목표어 음절 종성 발음은 목표어의 음절종성이 가진 특성에 영향을 받는다고 하였다. 하지만 한국어의 같은 종성 자음에 대해 두 언어권 학습자가 달리 산출한다는 것은, 그 원인이 학습자 모어의 음절구조 및 음절화 원리에서 비롯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본어와 중국어의 음절 구조 특징 및 음절화 원리를 살펴보았다. 특히 두 언어가 모두 기본적으로 CV 음절 구조를 가지는 언어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산출 결과가 나오는 원인에 대해 주목하였다. 분석 결과일본어권 학습자가 한국어의 CVC 음절을 CV.CV로 산출하는 이유는 그들이 한국어의 음절 종성을 일본어의 촉음 廷와 발음 ん로 대응하는 데서 비롯되는것으로 파악된다. 일본어권 화자는 한국어의 종성을 일본어의 촉음이나 발음으로 대응시키는데, 이들은 CV-Q.CV, CV-N.CV의 구조로만 나타나야 하는 음절 구조 제약을 가진다. 이 때문에 한국어의 CVC 음절을 CVC.CV구조로 발화하는 것이다. 중국어권 학습자의 경우, 한국어 종성 탈락은 그들이 하나의 형태소를 하나의 음절로 인식하여 음절화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하나의 형태소(문자)를 하나의 음절로 인식하기 때문에 한국어를 인식할 때에도 음절 단위로 표기되는 한국어의 표기에 많이 견인되어 오류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This thesis aims to investigate different outputs of Korean syllable-final consonant that are pronounced by Chinese and Japanese learners. The Chinese and Japanese who are learning Korean samely pronounce Korean syllable-final consonant incorrect especially, syllable final consonant ㄱ, ㄷ, ㅂ. The inaccuracy results from the difference in syllable structure among the Korean, Chinese, and Japanese. Other study on Korean phonology regard the error of foreign learners`` pronounce as being due to the nature of syllable-final consonant of target language. But different output of syllable-final consonant in Korean between Chinese and Japanese learners shows that the causes of error result from the syllable structure of foreigners`` mother tongue. By the way, it is different that the output of Korean syllable-final consonant pronounced by Chinese and Japanese learners. The Chinese learners are generally apt to eliminate syllable-final consonant of Korean. But the Japanese learners usually resyllabicate the consonant in coda as the next initial consonant. It means that the Chinese learners pronounce the word which is CVC syllable structure like CV syllable structure word. But the Japanese pronounced like CV.CV structure word. The reason for the Japanese learners output as CV.CV structure in pronounce CVC structure word is that the Japanese learners unconsciously regarded the syllable-final consonant as Japanese ``廷`` or ``ん``. As result, the Japanese learners outputs as CV-Q.CV CV-N.CV structure. But the Chinese learners`` eliminating the syllable-final consonant are resulted from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which is the certain syllable boundary. The Chinese learners are affected by the characteristic of their syllable structure. This thesis investigated the outputs of Korean syllable-final consonant produced by foreign learners, especially Janpanese and Chinese learners. The foreign learners`` error are caused by the syllable structure of their mother tongue.

      • KCI등재
      • KCI등재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음운규칙 습득 연구

        장향실 ( Hyang Sil Chang ) 이중언어학회 2011 이중언어학 Vol.46 No.-

        This thesis aims to research on Chinese learners` acquisition process for Korean phonological rules, and on which rules are easy to acquire and which are not. And also, I am going to make clear factors that affect acquisition process for Korean phonological rules with quickness and easiness. For this study, this thesis researched a group of students studying Korean at Korean Language and Culture Center in K University. The process of research is as follows; Step 1. Selecting Korean phonological rules for research. Step 2. Making sentences including selected phonological rules. Step 3. Recording and transcribing speeches of each student. Step 4. Analyzing each speech. Selecting Korean phonological rules, I considered two facts. First, these rules are shown and explained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level 1, 2, 3 students. Second, even though not shown in textbooks they were needed to learn for Chinese learners. Results of research are as follow. First, The acquisition of Korean phonological rules closely related with the presenting order of phonological rules. But the frequency of experiencing and contacting rules, such as changing to plain plosive, are acquired regardless the presenting order of phonological rules. Second, in cases of being interference of mother tongue, the acquisition of phonological rules are not acquired for a long time. Finally, the simple rules are acquired with easiness, but difficult rules in finding patterns like the simplification of consonant cluster are delayed.

      • KCI등재

        조선 초기 몽골어 교육과 교육정책의 배경

        장향실 ( Chang Hyang-sil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9 인문학연구 Vol.0 No.41

        이 연구는 조선 초기 몽골어 교육 정책의 배경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조선에서는 사대교린을 외교 정책의 기조로 삼았는데, 이를 위해 사역원을 설치하고 중국어, 몽골어, 여진어, 일본어 통역관을 양성하였다. 당시 명이나 여진, 일본의 경우 조선과 인접하고 있었기에 중국어, 여진어, 일본어 교육의 필요성을 쉽게 짐작할 수 있다. 하지만 몽골의 경우 원(元)이 중원에서 쫓겨났을 뿐만 아니라 북원(北元)이 조선과 국경을 접하고 있었던 것도 아니어서, 몽골어 교육의 필요성을 쉽게 가늠할 수 없다. 몽학은 조선 초기 한학과 함께 가장 먼저 설치되었고 또 중시되었는데, 본고에서는 그 이유를 군사적, 외교적 측면에서 찾았다. 선초에는 명과 몽골, 즉 북원의 군사적 긴장 상태가 지속되었으며, 이로 인해 조선 세종에서 단종, 성종에 이르는 시기까지 국경 지역의 경계는 심각한 수준이었다. 특히 명의 영종이 포로로 잡히는 토목지변(土木之變)은 조선으로 하여금 전쟁이 임박했다고 여길 정도의 위협을 느끼게 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국제 정세에 대한 주시와 지속적 첩보 활동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며, 첩보 활동은 통사나 사신, 현지인 등을 활용해 이루어졌다. 그리고 통사나 사신, 첩보활동을 하는 체탐자는 언어 소통 능력이 기반이 되어야 활동이 가능하므로 몽골어 교육이 정책적으로 중요하게 취급될 수밖에 없었다. 몽골에 대한 정보를 탐색하고, 침략에 대비하거나 교린을 위해서는 몽골어를 구사할 수 있는 인력의 양성이 반드시 필요했던 것이다. 물론 당시 몽골어 중시 정책의 배경에 오직 군사적, 외교적 목적만이 있었다고 보지는 않는다. 조선 초기 몽골어 교육 중시의 배경에는 동북아시아 지역에서 몽골어가 가진 사회·문화적 영향력도 중요하게 작용했을 것이다. 몽골어는 원(元)이라는 대제국의 영향 하에 오랜 기간 동북지역에서 광역 소통어로 막강한 기능을 했기 때문이다. This thesis aims to research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Mongolian language education and its policy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keynote of the foreign policy in Joseon Dynasty was the submission to the stronger and the friendship among neighboring countries. For this foreign policy, the government of Joseon established the Sayeogwon(司譯院), institute for translation and foreign language education and educated Chinese, Mongolian, Manchurian, and Japanese translators. It is understandable that Chinese, Manchurian, and Japanese translators’ education because they borders on Joseon. But the Mongolian education is not understandable. At that time, Yuan(元) Dynasty were already driven out of the center of the China. Joseon Dynasty did not border on Yuan Dynasty. It means that there were no apparent reasons for Mongolian education in Joseon Dynasty. For all that, Joseon government regarded the Mongolian education as important. This thesis research on the reason why Joseon government put emphasis on the Mongolian education. The military Tension escalated between the Ming(明) Dynasty and the Northern Yuan[北元] during the 15th century. Particularly, the Joseon government was shocked by the disaster at Tomok[土木之變] that is the accident Emperor of Ming became a prisoner of war by Oirats the westernmost group of the Mongols. Joseon thought that Oirats military could invade the Joseon peninsula. Joseon government tried to reinforce national defense and patrol a border. And Joseon government did the espionage activities, dispatching a envoy, and diverse international exchange at border area for the reinforcement of national defense. These activities were based on communications with Mongolian. That is the reason why Joseon government established the Sayeogwon(司譯院) and regarded the Mongolian education as important. Joseon needed to train the translator for national defense. Of course, there are other reasons, for examples the trade of horses, cotton clothes, and others. And the Mongolian still maintain the status as international and cultural language at the north eastern Asia. As is generally known, Yuan Dynasty ruled the Korea and North East Asia for considerably long period.

      • 조선시대 외국어 교육의 목표와 내용

        장향실(Hyang sil Chang) 국제한국어교육문화재단 2018 국제한국어교육 Vol.4 No.1

        본고에서는 조선시대의 중국어 교육에 대해 살펴보았다. 외국어 중 가장 중시된 언어가 중국어였기에, 중국어 교육에 대한 고찰을 통해 당시 외국어 교육의 면모를 구체적으로 살필 수 있다. 조선은 ‘사대교린’의 외교 정책을 폈기에 외국어를 통역할 통역관이 필요하였고, 이 때문에 사역원을 설치하여 외국어 교육 및 통역을 관장하게 하였다. 조선의 사역원에서 이루어진 외국어 교육은 특수 목적, 즉 통역을 전문으로 하는 역관(譯官) 양성이라는 목적으로 이루어진 것이기에, 당시 외국어 교육의 모든 면모를 살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조선에서 공교육으로 실시된 대표적인 외국어 교육이었기에 사역원의 외국어 교육을 살피는 것은 조선의 외국어 교육을 이해하는 데 기초가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 사역원에서 이루어진 중국어 교육을 통해 당시 중국어 교육의 목표와 내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먼저 역과 시험을 통해 당시 교육의 목표를 분석해 보았다. 역과의 평가 영역은 강서(講書), 사자(寫字), 역어(譯語)였는데, 이를 통해 사역원의 교육 목표를 세 가지로 도출해 낼 수 있다. 첫째는 고문(古文) 읽기능력과 유학의 기초 소양을 기르는 것, 둘째는 중국어 구어의 표현능력과 이해능력을 향상시키는 것, 셋째는 번역 능력을 기르는 것이다. 또한 당시 과시에 채택된 책, 그리고 실록에 가장 많이 언급된 역학 교재 중회화 교재를 중심으로 교육의 내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폈다. 『노걸대』, 『박통사』, 『직해소학』, 『오륜전비』가 대표적 회화 교재인데, 이 교재들을 통해 무역 업무 수행하기나 일상생활에서 의사소통하기, 유교의 내용이나 표현을 구어체로 이해하고 표현하기와 같은 기능을 학습했음을 알 수 있다. 무역 업무나 일상생활에서 의사소통하기, 유교의 내용이나 표현을 구어체로 이해하고 표현하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데 어려움이 없도록 고안된 것이다. 즉 역관의 업무를 수행하는 데 어려움이 없도록 내용을 고려하여 교재를 채택한 것이다. (상지대학교) This thesis aims to research the Chinese language education in Joseon dynasty. Chinese is the most important foreign language in Joseon dynasty. Researching the Chinese language education could be the proper example for researching foreign language education system in Joseon dynasty. The principle of foreign policy is the submission to the stronger and good-neighbor relations(事大交隣) in Joseon dynasty. For this foreign policy, there was the institution named Sayeokwon(司譯院) for training and selecting official interpreters(譯官). The foreign language education system contents in Sayoekwon did not give whole informations concerning the foreign language education during the Joseon dynasty. But it could be the proper case study for researching the foreign language education in Joseon dynasty. The examination for official interpreters was consisted of the reading and explanation(講書), writing(寫字), and translation(譯語). These kinds of test explained why the examination constructed. As follows; the ability to read the archaic texts and well-grounded in Confucianism. The ability of Chinese colloquial expression and understanding, and the ability to translate Chinese into Korean or Korean into Chinese. And texts for education were the Four Books like Nogeoldae(老乞大), Baktongsa(朴通事), Oryunjeonbi(五倫全備), and Jikhaesohak(直解小學). These books were useful for developing conversational abilities for daily and social conversation and dialogues about trading and Confucian values. (Sangji University)

      • KCI등재

        번역노걸대박통사범례(飜譯老乞大朴通事凡例)가 부재된 원본(源本) 『번역노걸대(飜譯老乞大)』, 『번역박통사(飜譯朴通事)』에 대한 연구

        장향실(Hyang Sil Chang) 한국어학회 2013 한국어학 Vol.61 No.-

        This thesis aims to research on BeonyeokNogeoldae and BeonyeokBaktongsa, that is, the original text of BeonyeokNogeoldae-Baktongsa Beomrye. Up to now, it is inferred that BeonyeokNogeoldae-Baktongsa Beomrye in Saseongtonghae is the introductory notes of BeonyeokNogeoldae and BeonyeokBaktongsa known by the oldest versions written in Korean. But there is no obvious evidence for that. An(1996) raised objections for that. This thesis is going to add several evidences for An`s objections. In conclusion, this thesis make it clear that there is no definite evidence for relationship between BeonyeokNogeoldae-Baktongsa Beomrye in Saseongtonghae and BeonyeokNogeoldae and BeonyeokBaktongsa known by the oldest versions written in Korean. It means that it quite reasonable to call BeonyeokNogeoldae and BeonyeokBaktongsa as EonhaeNogeoldae and EonhaeBaktongsa. The name of BeonyeokNogeoldae and BeonyeokBaktongsa were originated from BeonyeokNogeoldae-Baktongsa Beomrye. On the other hand, this thesis researched on the characteristics in original text of BeonyeokNogeoldae-Baktongsa Beomrye. An(1996) insisted the this book consisted of Chinese sentences and notes for every words how to pronounce in Korean. But in this thesis, I inferred that it contains notes for difficult words. Of course, the fact that BeonyeokNogeoldae-Baktongsa Beomrye was reprinted in Saseongtonghae, basically it is a phonetic book, tell us the pronunciation of Chinese character in the BeonyeokNogeoldae-Baktongsa was regarded as important

      • KCI등재

        신북방 지역 한국어 교육의 현황 및 발전을 위한 제언

        장향실(Hyang Sil Chang)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2021 현대사회와 다문화 Vol.11 No.4

        본 연구에서는 신북방 지역의 한류 및 한국어 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육의 발전 방안에 대해 제안하였다. 신북방 지역에서 한류의 영향력과 한국어 교육의 확산 정도는 국가별로 차이가 큰 편이나, 본고에서는 향후 정책 시행의 효율성 등을 고려하여 세 가지 그룹으로 분류해 보았다. 이어 현황을 토대로 본고에서는 이 지역에서의 한국어 교육의 지속과 확대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신북방 지역 대상 국가에 대한 기초 연구가 좀 더 활성화되어야 한다. 둘째, 신북방 지역의 국가별 기초 연구를 토대로 한국어문화 교육의 블록화[권역화]를 하고, 블록별 거점 지역을 설정하여 거점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어와 한국 문화 교육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셋째, 해당 국가 혹은 해당 블록에 특화된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넷째, 한류와의 연관성 속에서 한국어 교육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This thesis aims to research the phase of Korean wave and Korean education in New Northern Areas, and then propose to implement for Korean education in this regions. Each countries are different from the diffusion of Korean education and the influence of Korean wave’s in New Northern Areas. But this thesis sets up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influence of Korean wave and so on. This thesis propose implements for Korean education in New Northern Areas. First, basic research should be activated for in the New Northern Areas. Second, It is necessary grouping several areas in New Northern Areas for Korean education according to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by basic research. And then establish the hub of Korean education of each areas. Third, it is necessary educational programs for foreign teachers specializing in each area or country. The forth, It is necessary creative teaching methods connecting with Korean wave.

      • KCI등재

        한국어 교재 대화문의 전형성과 구성 요건

        김서형(Kim, Seo-hyung),장향실(Chang, Hyang-sil) 한국언어문학회 2012 한국언어문학 Vol.83 No.-

        This study investigated ‘typicality’, one of important conditions dialogue in Korean language materials have. Under former inquiries, this study brought out necessity to divide ‘typicality’ and ‘authenticity’ and suggested that the dialogue should be considered in the typicality aspect. On survey, ‘typicality’ can be represented as a general and exemplary model and referred to something that it is across into most native speaker’s mind identically and it is also predictability contents by them. ‘Typicality’ held in common among members of society have representative more than anything. Though these notions, we have picked out three principles; continuity, generality and natural working typical dialogue. When these principles can be satisfied with situational and linguistic elements of the dialogue, ‘typicality’ is established. While, it surveyed a questionnaire about some standard of native speakers’ judgments as complements to fill a gap between the intention of materials-writers and the intuition of the general public. The survey said that the subjects, 50 native speakers majoring Korean language and culture, judged ‘typicality’ based on continuity and generality and considered that ‘participants in dialogue is typical of theme, theme and expression are appropriate to participants’ relation, conversation content/circumstance is suitable for theme and question and/or answer is predictable.’ In this respect, It is needed that a material planer and writer should consider the correlation of ‘participants in dialogue’ and ‘theme, conversation content/circumstance and expressions’, when they construct and recast new Korean language materials.

      • KCI등재

        원주 방언의 음운 연구

        송인성 ( Song In-seong ),장향실 ( Chang Hyang-sil ),권기현 ( Kwon Ki-hyon ),김은철 ( Kim Eun-cheol ) 우리어문학회 2018 우리어문연구 Vol.62 No.-

        이 연구에서는 원주 방언의 음운론적 특징을 살피고자, 원주 9개 지역의 70세 이상 남녀 제보자를 대상으로 방언 조사를 실시하였다. 원주 방언에 나타난 음소 목록은 자음 19개, 단모음 10개, 이중모음 11개이다. 원주 지역 70세 이상 남녀 화자는 /ㅔ/와 /ㅐ/를 구별하였고, /ㅟ/와 /ㅚ/를 주로 단모음으로 발음 하였다. 그리고 /ㅢ/의 경우 주로 어두 위치에서 이중모음으로 발음하는 특징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음운현상의 경우 체언 말 자음의 교체, 자음군단순화, 구개음화, 유기음화가 표준어 규정과 다른 양상을 보였고, 또한 표준어에서 인정하지 않는 움라우트, 단모음화, 전설모음화 현상 등이 관찰되었다. 흔히 원주 방언을 중부 방언의 하위 부류로 분류하는데, 이번 조사의 결과 원주 방언은 중부 방언의 대표어라 할 수 있는 경기 방언과 음운현상 면에서 상당히 다른 양상을 보였다. 따라서 중부 방언권에 속한 언어들에 대한 정밀한 연구를 통해 중부 방언에 대한 세분화가 필요하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of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in Wonju dialect. For this study, we conducted a dialect survey of Wonju dialect speakers aged 70 years and over. The phonemes of Wonju dialect are 19 consonants, 10 monothongs and 11 diphthongs. The male and female speakers over 70 in Wonju dialect distinguish /ㅔ/ and /ㅐ/, and pronounce /ㅟ/ and /ㅚ/ as monothong. And it is obseved that pronoucing /ㅢ/ as diphthong in word-initial position. There were different aspects in consonant alternation regarding noun final, consonant cluster simplification, palatalization and aspiration from standard Korean. And phonological phenomena not obverved in standard Korean such as umlaut, monophthongization, vowel fronting were observed. Although Wonju dialect is classified as a subclass of the central dialect,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ed that Wonju dialect is quite different from Gyeonggi dialect in phonological aspects which could be said as representative of the central diarec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fine the central dialect through more detailed studies on the central dial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