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쓰기와 쓰기수업 경험에 대한 고등학생 필자 사례연구

        장은섭 ( Eun Seob Jang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5 청람어문교육 Vol.53 No.-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의 개인적 글쓰기 및 쓰기수업에서 겪었던 경험과 인식에 질적으로 접근한 사례연구(case study research)이다. 연구 참여자들은 인문계 여자 고등학생 210명이며, 총 3회에 걸쳐 작성한 쓰기와 수업 경험에 대한 생활담(life-story)을 자료로 패러다임 모형에 적용하여 그 양상을 살펴보았다.그 결과, 고등학생들은 ‘쓰기수업 부재’라는 중심현상을 경험하고 있었다. 인과적 조건으로 형식적인 글쓰기지도와, 맥락적 조건으로 쓰기경험 부족, 입시위주의 수업, 쓰기결과의 점수화에 대한 부담감을 꼽고 있었다. 이로 인해 자신감 결여 및 쓰기 즐거움 인식 등의 중재적 조건이 형성되었다. 이후에 쓰기 및 쓰기수업 가치에 대한 재인식 또는 외면의 작용/상호작용의 대응 결과, 쓰기수업의 본질 회복을 위한 유익한 쓰기수업실행에 대한 욕구를 드러내거나, 반대로 쓰기교육 환경을 초래한 교육현실에 대한 불신을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고등학생으로서 필자들이 겪는 쓰기와 쓰기수업 경험은 그들의 쓰기인식 및 정체성 형성에 깊이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며, 향후 학습자로서 필자들을 대상으로 한 쓰기수업과 교육 환경에 대한 보다 신중한 접근이 요구된다. This is case study research with a qualitative approach on the experience and awareness of personal writing and academic writing of high school student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210 female high school students, submitting information for the research in the form of three life-stories about writing and the experience of writing class. As a result, high school students are experiencing a central phenomenon called “absence of writing instruction.” Using causal terms with formal writing instruction and contextual conditions heavily accounted for the lack of writing experience. The class focused only on writing grades and results on college entrance exams. Because of this, lack of self-confidence and awareness of writing for pleasure were built by negotiated terms. To create a useful writing class, it is necessary to re-conceptualize the value of writing and the way students interact with it This way, students can have a positive experience. Students should approach writing with awareness, deep thinking and a sense of identity.

      • KCI등재

        디지털 환경에서 매체활용 국어수업에 대한학생과 교사의 인식 연구 -읽기 수업을 중심으로-

        장은섭 ( Eun Seob Jang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4 청람어문교육 Vol.49 No.-

        본 연구는 디지털 교육환경에서 중·고등학교 국어 수업시간에 이루어지고 있는 전통적 매체 및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국어 수업, 특히 읽기영역에 주목한 수업실태 및 국어교사와 중·고등학생들의 매체수업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전국의 국어교사 135명과 중·고등학생 1,31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방식을 통해 수집된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국어수업에서 매체를 활용하는 목적에 대해 두 집단 모두 학습자의 흥미와 집중력에 도움이 된다는 반응이 가장 높았다. 한편 교사들은 수업 및 학교업무 과중(41.5%)과 활용하는 데 큰 어려움이 없다(28.7%)는 이유로 매체수업을 위한 연수를 받지 않았으며, 실제 읽기 수업에서도 교과서 및 지도서에 딸린 멀티미디어 학습 자료를 가장 많이 이용하는 등 매체수업에 대한 적극적인 이해와 실행양상을 보여주지 못하였다. 또한 읽기수업 과정 중에 학습자의 동기 및 흥미를 유발하는 수업도입부(50%)와 학습요약 및 정리(21%)과정에 매체활용이 치우쳐있었다. 이것은 매체의 교육적 기능가운데, 매개적 보조역할에만 한정된 결과로 읽기수업의 목표에 따른 모든 수업맥락에 대한 검토가 미흡함을 보여주는 부분이다. 매체는 수업을 구성하는 다양한 요인들 가운데 하나이지만, 급변하는 디지털 교육환경에서 간과해선 안 될 효과적인 의사소통의 도구임에는 분명하기 때문이다. This study examined Korean language instruction, combining traditional and digital media, to instruct a class of senior secondary school students through a digital educational environment. The reading section of the content focused on the actual condition of the class, teachers of Korean, and the media used for classe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particular, the responses noted that learners’ interests and concentration were the top purposes for using media in the classroom. On the other hand, teachers which hindered active understanding and practice in writing classes. Also, regarding parts of the reading class, the introduction of class (50%) and the summary and organization (21%) of class motivated and interested learners more when media was used. That is, media was one among diverse factors organizing class, but it was a tool for effective communication not to overlook in the rapidly changing digital education environment

      • KCI등재

        국어 교사의 쓰기경험과 쓰기수업 및 교육에 대한 사례연구

        장은섭(Jang Eun-Seob) 한국리터러시학회 2013 리터러시 연구 Vol.- No.7

        본 연구는 국어 교사의 개인적인 쓰기경험과, 교사로서 쓰기수업 상황에서 겪었던 경험과 인식에 기술적으로 접근한 사례연구이다. 연구 참여자들은 초·중·고등학교 국어 교사 5명이며, 이들과의 심층인터뷰 내용을 패러다임 모형에 적용하여 그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국어 교사들은 ‘쓰기수업 부재’라는 중심현상을 경험하고 있었다. 인과적 조건으로 개인적 쓰기경험 및 자신감 부족과 교사양성과정에서 체계적인 쓰기지도 미흡을 꼽고 있었다. 관련된 맥락적 조건으로는 성적?입시에 대한 과중한 부담감과 학생의 쓰기지식 부족과 무관심 등을 꼽았다. 이로 인해 쓰기교사로서 역할에 대한 자각을 겪거나, 쓰기수업 전문성 부족에 대한 자신감 결여가 중재적 양상으로 두드러졌다. 이후에 쓰기수업 부재에 따른 작용 및 상호작용의 대응 결과, 쓰기수업에 대한 재개념화는 교사들의 쓰기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수업실행의 자신감으로 이어졌다. 반면 자신의 쓰기수업에 무성의했거나 학생에 대해 방관으로 일관했던 경우에는, 쓰기수업 현실에 대해 외면하는 경우가 잦았고 내적 갈등 또한 지속되는 양상을 보였다. This is case study research on the experience of a Korean language teacher focusing on writing. The study participants are 5 teachers of Korean in primary, middle, high schools, by applying the aspect to a paradigm shape in the content of in-depth interviews. As a result, teachers of Korean are experiencing central phenomenon-“absence of writing instruction.” As a casual condition, individual writing experience as well as lack of confidence in teachers preparation for courses show the methodical insufficiency of writing instruction. Related contextual conditions accounted for a heavy burden, lack of students’ writing knowledge, and indifference about grades and entrance examinations. From this, the lack of self-confidence stood out as intervening in respect of the lack of writing class professionalism. As a result of the absence of writing class and interaction, a reconceptualization of writing class maintained that positive awareness and the teachers confidence in his/her own writing performance is critical. On the other hand, the cases that assumed students had an indifferent attitude, showing insincerity on their(teachers) own writing class, were shown to be an aspect of inner conflict and indifference about the reality of writing class.

      • KCI등재

        국어교육과 교과서 ; 고등학교 국어교과서에 대한 학생과 교사들의 평가 연구

        장은섭 ( Eun Seob Jang ) 국어교육학회 2011 國語敎育學硏究 Vol.42 No.-

        최근 우리나라 교과서 제도는 표면적으로는 점진적으로 보이지만, 실제적으로는 획기적이고 혁신적이라고 할 만한 변화를 보이고 있다. 2008년 8월, 고등학교 국어교과서가 검정으로 전환되었고 이러한 조치는 그동안 제기되어 왔던 국정제의 폐단을 막을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결과로 받아들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의 교과서는 대체로 공급자 측에서 수요자인 교사, 학생에게 주어진 교과서, 만들어진 교과서와 같은 수동적인 교과서관이 지배적이었다. 이제부터라도 공급자 중심에서 벗어나 학습자의 학습을 온전하게 담보할 수 있는 수요자 관점의 교과서 접근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현재 국어교과서를 배우고 있는 전국의 고등학교 1학년 학생 918명과 수업을 담당하는 국어 교사 81명을 대상으로 선택형 설문지를 통해 검정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대한 평가와 반응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국어교과서에 대해 학생집단은 30.6%, 교사집단은 42.0%가 대체로 만족한다는 평가를, 학생집단 15.2%, 교사집단 13.6%가 대체로 불만족스럽다는 반응을 보였다. 또한 평가 내용 중 간과해서는 안 될 부분이 학생 54.0%, 교사 44.4%가 보통이다라고평가한 점이다. 양쪽 집단 모두 과반수에 이르는 높은 수치로 이 반응을 공급자 측과 교과서 연구자들은 절대``괜찮다``라고 오인해서는 안 될 것이다. 교과서는 어디까지나 교육과정을 담아내는 ``그릇``의 역할을 담당하면 된다. 즉, 교과서를 만드는 일 자체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만들어진 교과서의 내용에 대해 수요자의 의견을 적극 반영하여 끊임없이 수정 보완하는 체제와 태도가 필요하다. It seems the system for Korean textbooks has recently been progressive. It actually is on the verge of one of the most revolutionary change. In Aug 2008, the adapting system for Highschool Korean textbooks has been shifted to the authorization system, and it is expected to provide a positive result compatible with the desire to prevent some negative effects from the government-designation system. Yet, textbooks in Korea has been all passive that textbooks supplied to or made for consumers such as teachers and students are dominant. Instead of being perspective of suppliers, approaches with consumer- centered aspect for textbooks which could assure learners` learning are needed. This study has surveyed 918 highschool freshmen who are studying current Korean textbooks and 81 Korean teachers to examine how the authorized highschool Korean textbooks are being measured and responded by students and teachers.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multiple choice questions. The results show that 30.6% of students and 42.0% of teachers were satisfied, and 15.2% of students and 13.6% of teachers were not satisfied with the current Korean textbooks. What is notable here is that majority of respondents(54.0% of students, 44.4% of teachers) said they are neither satisfied nor dissatisfied with the current textbooks. Suppliers and textbook researchers should never consider it as It`s OK. Textbooks are the medium of curriculum, which means what`s even more important than making textbooks is the attitude and the system to modify and supplement the textbooks by reflecting consumers` opinions on contents of it.

      • KCI등재

        실제적 쓰기 평가를 위한 이론적 검토

        장은섭 ( Jang Eun-seob ),최승식 ( Choe Seung-sik )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18 국어교육 Vol.0 No.160

        This research started from exploration about the analysis and writing process of the writer in a writing evaluation, but it was processed as results completing of the writer, which made the source of trouble about our actual conditions in education. For another training of evaluation and extended implement, the writer assessment was reached including every process with practicing essay writing. Authentic assessment meant the assessment offering a practical help for writer’s growing as assessment with the essence and situation of writing. That is, with the sympathy and response of member evaluation, the assessment was not end in a writing education. The education content had to produce as starting of education. For this, the viewpoint of writing assessment was to show the class as it is.

      • KCI등재

        쓰기 평가에 대한 국어교사의 인식 및 실태 조사 연구

        장은섭 ( Eun Seob Jang )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15 국어교육 Vol.0 No.15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how the awareness and conditions of 125 teachers of Korean about write assessment having in middle and high school. this research was analyzed with questionnaire surveys. As a result, it is shown that students` writing abilities were helped in the area of awareness. However, it seemed that the satisfaction level was not high with the practice of assessment, Perhaps due to some difficulties. Regarding the factor of the writing assessment, the value and belief of teachers about writing was remarkable, and teachers` writing awareness and knowledge was also affected highly. With the problems in writing assessment, teachers judged the system and purpose of academic reports, not the progress of students` writing. This is due to the lack of instruction and assessment time and the school culture of focusing on entrance examinations and grades. It was difficult for teachers` awareness to easily change, but the writing assessment directly, and indirectly needed improvement from the education community, using teachers` viewpoints and changes in recognition about improvements to writing as a form of social communication.

      • KCI등재

        반복 읽기에서의 독자반응 양상 연구 -고등학생 독자의 사례를 중심으로-

        장은섭 ( Eun Seob Jang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1 한국어문교육 Vol.9 No.-

        본 연구는 독자들의 서로 다른 다양한 사회문화적 배경 요인들이 한번 읽기와 반복 읽기(repeated reading)에서 어떤 다양한 반응들을 보여주는지 질적인 사례연구(case study)의 방법을 통해 살펴보았다. 우리가 독서를``글로부터 의미를 재구성하는 과정``나아가 그 목표 또한 글의 의미를 이해하는 것으로 삼는다면, 이때 독자는 반복 읽기를 통해 스키마를 활성하고 텍스트에 제시 되어 있는 정보를 구조화하면서 개념들을 조직, 문맥에 맞게 변형, 텍스트의 정교한 이해로 나아갈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반복 읽기는 텍스트의 이해와 기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읽기 전략인 것이다. 덧붙여 읽기가 단순하게 글자를 해독하는 과정이 아니라 독자와 텍스트, 읽기 상황 등이 복합적으로 상호작용하면서 이루어지는 의미 구성 과정이라는 점에서 독자의 역할도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도 독사의 반응을 살펴보기 위해 실험, 관찰, 설문지 조사, 인터뷰, 심층면접 등의 다중적인 정보원(multiple sources of information)들을 포함, 사례 전체에 대한 총체적 분석(holistic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한번 읽기에서 얻지 못한 정보를 반복 읽기에서 찾으려는 독자 자신의 능동적인 결정과 맞물려 개인의 다양한 환경요인들이 어떻게 활성화되는지 살펴 볼 수 있었다. 이렇듯 반복 읽기는 독자로서 우리 자신이 정보를 얻기 위해서든 단순히 감흥의 즐거움을 느끼기 위해서든 한번 읽기를 통해 만족스러운 수준까지 이해에 미치지 못했을 때, 유창성을 획득하고 텍스트의 이해를 높이기 위한 읽기 전략으로 빈번하게 사용한다는 점이다. 이것은 결코 인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황이 아니며 독자 자신의 능동적인 결정과 맞물려 의도적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더욱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various reactions in one-time reading and repeated reading of high-school students depended on social-cultural background factors with case-study. Reading is not only comprehension of text but also meaning construction process, so consideration of role and response of readers is important. Repeated reading reinforces information in text, the information modifies and vitalizes schema of readers. Readers can read text more actively by restructuring it with the information. Eventually repeated reading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omprehension and remembrance of text. Schema and literacy to different people calls different responses, and active readers take active part in reading text without repeated reading. Nevertheless, in this study, repeated reading is confirmed that makes readers understand and remember text effectively and changes emotional attitude of readers positively.

      • KCI등재

        대학수학능력시험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연구

        장은섭 ( Eun Seob Jang ) 청람어문교육학회 ( 구 청람어문학회 ) 2011 청람어문교육 Vol.44 No.-

        본 연구는 대학수학능력시험에 대한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인식을 그림과 글짓기를 통해 살펴보았다. 2010년 11월 수능을 치룬 고등학교 3학년 학생 205명을 대상으로 수능을 마치고 난 후 느낌과 생각을 그림으로 그리고 이에 대해 설명하는 글을 써보도록 하였다. 학생들이 반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감정표현(express emotion), 학생들의 은유·상징(metaphor of student), 1회 평가·시험환경(culture of testing), 분노(anger, fire), 힘·권력·사회문제(power, politics), 시험거부·자포자기(rejection of testing), 평가가 필요함·성취감(sense of accomplishment), 쉬운·홀 가분한(easy), 주위와의 관계(relationship)의 9개의 카테고리로 분류되었다. 특히 전체 사례 수 가운데 가장 높은 빈도 76.6%에 이르는 ``감정표현’ 부분은 따로 세분화하여 허무함, 부담·스트레스, 절망·두려움, 슬픔, 긴장, 짜증·화가 남, 힘겨움, 감정변화, 평온함, 무관심으로 분류하였다. 이를 통해 연구자는 수능에 대한 학생들의 긴장감, 스트레스, 분노, 격리감 등 부정적 정서의 민감성 측면을 지적하고 평가의 부정성들을 완화시킬 수 있는 시험 문화 개선과 한 번의 수능 시험에 따른 결과로 결정되는 진학의 평가 제도에 대해, 교육당국 그리고 일선 학교로부터 질적·양적 평가의 고른 기회를 부여할 수 있도록 변화를 촉구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senior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Korea Scholastic Aptitude Test(KSAT). Researchers have studied demands of all walks of life in this society for KSAT`s change, and have investigated the perceptions of students which is the most important main stream. in November of 2010, after students completed their KSAT, 205 students were asked to draw or write their thoughts or feelings about the test. Nine categories were constructed from the themes in students drawing and written description:Express emotion, Metaphor of student, Culture of testing, Anger/Fire, Power/Politics, Rejection of testing, Sense of accomplishment, Easy, and Relationship. Each of these categories classified and analysed was thoroughly supported by drawings and writings of the students about KSAT. Researchers in this study pointed out the sensitivity of negative emotions such as nervous, stressful, angry, isolated. They also emphasized the need to improve testing culture and evaluation system of college admission, and to provide students more opportunity to be evaluated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by educational authorities and schools.

      • KCI등재

        자유학기제 국어수업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 및 실태조사 연구

        장은섭(Jang Eun seob)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7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전국의 중학생 671명을 대상으로 자유학기제 국어수업에 대한 인식과 실태를 설문지 방식으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자유학기제 시행 이후 수업 만족도, 수업 및 평가 방식의 다양성, 학생중심의 수업 운영 등 모든 항목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있다는 반응을 보였다. 국어수업 방식 측면에서 교사 중심의 설명식 수업이 감소한 반면, 토의토론 수업, 모둠별 협동수업 등 학생들의 참여가 높은 수업이 일반학기에 비해 늘어났다. 평가 방식도 지필식 총괄평가는 줄어들었고 자기성찰 평가, 학생동료 평가 등 학습자와 동료 중심으로 평가의 기회가 확대되었다. 학생들은 자유학기제에서 다양하고 흥미 있는 수업 방식의 경험과 시험 및 평가 의 부담감이 줄어든 점을 긍정적인 변화로 꼽았고, 반면 수행평가 과제에 부담감을 갖거나 평소 수업 태도가 산만해져 공부에 대한 관심이 떨어졌다는 아쉬움도 드러냈다. 자유학기제는 학교교육 측면에서 교육적으로 의미 있는 정책은 분명하다. 다만 성급하게 추진되는 과정에서 불거진 부작용과 우려도 목소리에도 귀 기울여야 할 것이다. 정책의 추진 과정에서 관련 연속성을 확보한 만큼 그동안 제기된 문제점은 물론, 향후 지속적인 구성원들의 의견 수렴 과정 및 정책적 보완을 통해 교육적 효과를 높일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how the awareness and conditions of Middle School Students of Free-semester program Korean Language instruction. researchers surveyed 671 middle school students from all over the country. As a result of the survey, Students showed positive changes in all items such as Free-semester program after class, freedom of instruction and evaluation, and student-centered instruction management. Teacher-centered lessons in Korean language classes decreased, and instruction with more active participation of students increased. As for the evaluation method, the evaluation of general purpose evaluation was reduced, and students evaluation opportunities such as self-reflection evaluation and student peer evaluation were expanded. The free semester system is an educationally meaningful policy, but it is necessary to raise educational effectiveness through the process of collecting opinions and policy supplementation, as the side effects are being raised promptl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