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실제적 쓰기 평가를 위한 이론적 검토

        장은섭 ( Jang Eun-seob ),최승식 ( Choe Seung-sik )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18 국어교육 Vol.0 No.160

        This research started from exploration about the analysis and writing process of the writer in a writing evaluation, but it was processed as results completing of the writer, which made the source of trouble about our actual conditions in education. For another training of evaluation and extended implement, the writer assessment was reached including every process with practicing essay writing. Authentic assessment meant the assessment offering a practical help for writer’s growing as assessment with the essence and situation of writing. That is, with the sympathy and response of member evaluation, the assessment was not end in a writing education. The education content had to produce as starting of education. For this, the viewpoint of writing assessment was to show the class as it is.

      • KCI등재

        국어교육과 교과서 ; 고등학교 국어교과서에 대한 학생과 교사들의 평가 연구

        장은섭 ( Eun Seob Jang ) 국어교육학회 2011 國語敎育學硏究 Vol.42 No.-

        최근 우리나라 교과서 제도는 표면적으로는 점진적으로 보이지만, 실제적으로는 획기적이고 혁신적이라고 할 만한 변화를 보이고 있다. 2008년 8월, 고등학교 국어교과서가 검정으로 전환되었고 이러한 조치는 그동안 제기되어 왔던 국정제의 폐단을 막을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결과로 받아들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의 교과서는 대체로 공급자 측에서 수요자인 교사, 학생에게 주어진 교과서, 만들어진 교과서와 같은 수동적인 교과서관이 지배적이었다. 이제부터라도 공급자 중심에서 벗어나 학습자의 학습을 온전하게 담보할 수 있는 수요자 관점의 교과서 접근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현재 국어교과서를 배우고 있는 전국의 고등학교 1학년 학생 918명과 수업을 담당하는 국어 교사 81명을 대상으로 선택형 설문지를 통해 검정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대한 평가와 반응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국어교과서에 대해 학생집단은 30.6%, 교사집단은 42.0%가 대체로 만족한다는 평가를, 학생집단 15.2%, 교사집단 13.6%가 대체로 불만족스럽다는 반응을 보였다. 또한 평가 내용 중 간과해서는 안 될 부분이 학생 54.0%, 교사 44.4%가 보통이다라고평가한 점이다. 양쪽 집단 모두 과반수에 이르는 높은 수치로 이 반응을 공급자 측과 교과서 연구자들은 절대``괜찮다``라고 오인해서는 안 될 것이다. 교과서는 어디까지나 교육과정을 담아내는 ``그릇``의 역할을 담당하면 된다. 즉, 교과서를 만드는 일 자체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만들어진 교과서의 내용에 대해 수요자의 의견을 적극 반영하여 끊임없이 수정 보완하는 체제와 태도가 필요하다. It seems the system for Korean textbooks has recently been progressive. It actually is on the verge of one of the most revolutionary change. In Aug 2008, the adapting system for Highschool Korean textbooks has been shifted to the authorization system, and it is expected to provide a positive result compatible with the desire to prevent some negative effects from the government-designation system. Yet, textbooks in Korea has been all passive that textbooks supplied to or made for consumers such as teachers and students are dominant. Instead of being perspective of suppliers, approaches with consumer- centered aspect for textbooks which could assure learners` learning are needed. This study has surveyed 918 highschool freshmen who are studying current Korean textbooks and 81 Korean teachers to examine how the authorized highschool Korean textbooks are being measured and responded by students and teachers.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multiple choice questions. The results show that 30.6% of students and 42.0% of teachers were satisfied, and 15.2% of students and 13.6% of teachers were not satisfied with the current Korean textbooks. What is notable here is that majority of respondents(54.0% of students, 44.4% of teachers) said they are neither satisfied nor dissatisfied with the current textbooks. Suppliers and textbook researchers should never consider it as It`s OK. Textbooks are the medium of curriculum, which means what`s even more important than making textbooks is the attitude and the system to modify and supplement the textbooks by reflecting consumers` opinions on contents of it.

      • KCI등재

        국어 교사의 쓰기경험과 쓰기수업 및 교육에 대한 사례연구

        장은섭(Jang Eun-Seob) 한국리터러시학회 2013 리터러시 연구 Vol.- No.7

        본 연구는 국어 교사의 개인적인 쓰기경험과, 교사로서 쓰기수업 상황에서 겪었던 경험과 인식에 기술적으로 접근한 사례연구이다. 연구 참여자들은 초·중·고등학교 국어 교사 5명이며, 이들과의 심층인터뷰 내용을 패러다임 모형에 적용하여 그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국어 교사들은 ‘쓰기수업 부재’라는 중심현상을 경험하고 있었다. 인과적 조건으로 개인적 쓰기경험 및 자신감 부족과 교사양성과정에서 체계적인 쓰기지도 미흡을 꼽고 있었다. 관련된 맥락적 조건으로는 성적?입시에 대한 과중한 부담감과 학생의 쓰기지식 부족과 무관심 등을 꼽았다. 이로 인해 쓰기교사로서 역할에 대한 자각을 겪거나, 쓰기수업 전문성 부족에 대한 자신감 결여가 중재적 양상으로 두드러졌다. 이후에 쓰기수업 부재에 따른 작용 및 상호작용의 대응 결과, 쓰기수업에 대한 재개념화는 교사들의 쓰기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수업실행의 자신감으로 이어졌다. 반면 자신의 쓰기수업에 무성의했거나 학생에 대해 방관으로 일관했던 경우에는, 쓰기수업 현실에 대해 외면하는 경우가 잦았고 내적 갈등 또한 지속되는 양상을 보였다. This is case study research on the experience of a Korean language teacher focusing on writing. The study participants are 5 teachers of Korean in primary, middle, high schools, by applying the aspect to a paradigm shape in the content of in-depth interviews. As a result, teachers of Korean are experiencing central phenomenon-“absence of writing instruction.” As a casual condition, individual writing experience as well as lack of confidence in teachers preparation for courses show the methodical insufficiency of writing instruction. Related contextual conditions accounted for a heavy burden, lack of students’ writing knowledge, and indifference about grades and entrance examinations. From this, the lack of self-confidence stood out as intervening in respect of the lack of writing class professionalism. As a result of the absence of writing class and interaction, a reconceptualization of writing class maintained that positive awareness and the teachers confidence in his/her own writing performance is critical. On the other hand, the cases that assumed students had an indifferent attitude, showing insincerity on their(teachers) own writing class, were shown to be an aspect of inner conflict and indifference about the reality of writing class.

      • KCI등재

        디지털 환경에서 매체활용 국어수업에 대한학생과 교사의 인식 연구 -읽기 수업을 중심으로-

        장은섭 ( Eun Seob Jang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4 청람어문교육 Vol.49 No.-

        본 연구는 디지털 교육환경에서 중·고등학교 국어 수업시간에 이루어지고 있는 전통적 매체 및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국어 수업, 특히 읽기영역에 주목한 수업실태 및 국어교사와 중·고등학생들의 매체수업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전국의 국어교사 135명과 중·고등학생 1,31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방식을 통해 수집된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국어수업에서 매체를 활용하는 목적에 대해 두 집단 모두 학습자의 흥미와 집중력에 도움이 된다는 반응이 가장 높았다. 한편 교사들은 수업 및 학교업무 과중(41.5%)과 활용하는 데 큰 어려움이 없다(28.7%)는 이유로 매체수업을 위한 연수를 받지 않았으며, 실제 읽기 수업에서도 교과서 및 지도서에 딸린 멀티미디어 학습 자료를 가장 많이 이용하는 등 매체수업에 대한 적극적인 이해와 실행양상을 보여주지 못하였다. 또한 읽기수업 과정 중에 학습자의 동기 및 흥미를 유발하는 수업도입부(50%)와 학습요약 및 정리(21%)과정에 매체활용이 치우쳐있었다. 이것은 매체의 교육적 기능가운데, 매개적 보조역할에만 한정된 결과로 읽기수업의 목표에 따른 모든 수업맥락에 대한 검토가 미흡함을 보여주는 부분이다. 매체는 수업을 구성하는 다양한 요인들 가운데 하나이지만, 급변하는 디지털 교육환경에서 간과해선 안 될 효과적인 의사소통의 도구임에는 분명하기 때문이다. This study examined Korean language instruction, combining traditional and digital media, to instruct a class of senior secondary school students through a digital educational environment. The reading section of the content focused on the actual condition of the class, teachers of Korean, and the media used for classe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particular, the responses noted that learners’ interests and concentration were the top purposes for using media in the classroom. On the other hand, teachers which hindered active understanding and practice in writing classes. Also, regarding parts of the reading class, the introduction of class (50%) and the summary and organization (21%) of class motivated and interested learners more when media was used. That is, media was one among diverse factors organizing class, but it was a tool for effective communication not to overlook in the rapidly changing digital education environment

      • KCI등재

        쓰기 평가에 대한 국어교사의 인식 및 실태 조사 연구

        장은섭 ( Eun Seob Jang )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15 국어교육 Vol.0 No.15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how the awareness and conditions of 125 teachers of Korean about write assessment having in middle and high school. this research was analyzed with questionnaire surveys. As a result, it is shown that students` writing abilities were helped in the area of awareness. However, it seemed that the satisfaction level was not high with the practice of assessment, Perhaps due to some difficulties. Regarding the factor of the writing assessment, the value and belief of teachers about writing was remarkable, and teachers` writing awareness and knowledge was also affected highly. With the problems in writing assessment, teachers judged the system and purpose of academic reports, not the progress of students` writing. This is due to the lack of instruction and assessment time and the school culture of focusing on entrance examinations and grades. It was difficult for teachers` awareness to easily change, but the writing assessment directly, and indirectly needed improvement from the education community, using teachers` viewpoints and changes in recognition about improvements to writing as a form of social communication.

      • KCI등재

        반복 읽기에서의 독자반응 양상 연구 -고등학생 독자의 사례를 중심으로-

        장은섭 ( Eun Seob Jang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1 한국어문교육 Vol.9 No.-

        본 연구는 독자들의 서로 다른 다양한 사회문화적 배경 요인들이 한번 읽기와 반복 읽기(repeated reading)에서 어떤 다양한 반응들을 보여주는지 질적인 사례연구(case study)의 방법을 통해 살펴보았다. 우리가 독서를``글로부터 의미를 재구성하는 과정``나아가 그 목표 또한 글의 의미를 이해하는 것으로 삼는다면, 이때 독자는 반복 읽기를 통해 스키마를 활성하고 텍스트에 제시 되어 있는 정보를 구조화하면서 개념들을 조직, 문맥에 맞게 변형, 텍스트의 정교한 이해로 나아갈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반복 읽기는 텍스트의 이해와 기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읽기 전략인 것이다. 덧붙여 읽기가 단순하게 글자를 해독하는 과정이 아니라 독자와 텍스트, 읽기 상황 등이 복합적으로 상호작용하면서 이루어지는 의미 구성 과정이라는 점에서 독자의 역할도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도 독사의 반응을 살펴보기 위해 실험, 관찰, 설문지 조사, 인터뷰, 심층면접 등의 다중적인 정보원(multiple sources of information)들을 포함, 사례 전체에 대한 총체적 분석(holistic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한번 읽기에서 얻지 못한 정보를 반복 읽기에서 찾으려는 독자 자신의 능동적인 결정과 맞물려 개인의 다양한 환경요인들이 어떻게 활성화되는지 살펴 볼 수 있었다. 이렇듯 반복 읽기는 독자로서 우리 자신이 정보를 얻기 위해서든 단순히 감흥의 즐거움을 느끼기 위해서든 한번 읽기를 통해 만족스러운 수준까지 이해에 미치지 못했을 때, 유창성을 획득하고 텍스트의 이해를 높이기 위한 읽기 전략으로 빈번하게 사용한다는 점이다. 이것은 결코 인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황이 아니며 독자 자신의 능동적인 결정과 맞물려 의도적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더욱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various reactions in one-time reading and repeated reading of high-school students depended on social-cultural background factors with case-study. Reading is not only comprehension of text but also meaning construction process, so consideration of role and response of readers is important. Repeated reading reinforces information in text, the information modifies and vitalizes schema of readers. Readers can read text more actively by restructuring it with the information. Eventually repeated reading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omprehension and remembrance of text. Schema and literacy to different people calls different responses, and active readers take active part in reading text without repeated reading. Nevertheless, in this study, repeated reading is confirmed that makes readers understand and remember text effectively and changes emotional attitude of readers positively.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국어교과서 ‘한 학기 한 권 읽기’ 단원 구성 양상 분석

        장은섭 ( Jang Eun-seob )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18 국어교육 Vol.0 No.16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Korean textbooks are structured in terms of the Read One semester,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promotion of reading education as well as the students' awareness of reading. The subjects of the 9th volume of the middle school Korean language textbooks, reflecting the 2015 revision curriculum, were studied. The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riteria based on the curriculum and school setting. As a result of the study, assignments for “reading, sharing opinions, and expressing” reflecting specific contexts of language use were suggested for all the textbooks . However, the level varied, while a general standard for high quality textbooks is required. The process of reading and the presentation of strategy are also different, and more specific guidance is needed from the learner's perspective.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reading unit, we should consider the actuality of the language and encourage voluntary reading. Therefore, a one-semester reading unit is needed to facilitate a successful reading experience.

      • KCI등재

        ‘한 학기 한 권 읽기’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 및 실태 조사 연구

        장은섭 ( Jang Eunseob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9 한국어문교육 Vol.28 No.-

        이 연구에서는 전국의 중학생 625명을 대상으로 ‘한 학기 한 권 읽기’ 활동에 대한 인식과 실태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중학생들은 ‘한 학기 한 권 읽기’ 활동에 대해 대체로 부정적인 반응보다 독서에 대한 호기심과 흥미를 통해 자신감과 긍정적인 태도 형성에 도움이 되었다고 밝혔다. 다만, 읽을 책을 선정하면서 여전히 교사 주도의 모습과 읽은 책의 장르가 문학작품에 치중된 모습을 보였다. 특히, 한 권 읽기 활동을 교과 수행평가에 반영하는 경우가 많아 학생들에게 심리적 부담감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또한, 충분한 독서 시간을 확보하지 못해 다소 형식적인 활동에 그쳤다는 아쉬움도 드러냈다. ‘한 학기 한 권 읽기’ 활동은 학교 읽기 교육과 독서 진흥 측면에서 분명 의미 있는 시도임은 분명하다. 다만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교육 구성원들의 지속적인 의견 수렴과 실제적인 실행을 통해 교육적 효과를 높일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awareness and the current status of Read One Semester by surveying 625 middle school students. The survey result showed that Read One Semester through reading curiosity and interest helped students build confidence and positive attitudes. However, it also showed there was a teacher-led tendency in selecting books to read and that the genres of books students read were from mostly those of literature. The ‘Read One Semester’ program often posed a psychological burden on students as its result was often reflected on the performance assessment in curriculum. In addition, many responded with regret that due to insufficient time to read, the book reading eventually ended up being just a formal activity. It is clear that ‘Read One Semester’ is a meaningful attempt in terms of school reading education and reading promotion. However, for its successful settlement, it is necessary to raise its educational effectiveness through the feedback from members and practical implementation.

      • KCI등재

        대학작문교육의 위상과 실행 요건 연구

        장은섭(Jang Eun-seob),최승식(Choe Seung-sik) 한국리터러시학회 2010 리터러시 연구 Vol.- No.1

        우리 사회가 본격적인 지식기반사회로 접어들면서 많은 대학들은 새로운 시대적 변화에 맞추어 대학 교육을 개혁하고 있는데 이때, 중요한 부분이 교육과정에 대한 개혁이다. 특히 교양교육은 전공 분야의 경계를 뛰어넘어 모든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하고 운영하는 과정으로 범교과적이고 유용한 교과목으로 구성되는데, 대부분의 대학에서 빠짐없이 개설되고 또 강조하고 있는 과목이 대학작문이다. 작문교육의 강화 배경에는 작문 고유의 성격과 학문 발달 외에도 시대와 사회 그리고 대학의 요구가 반영되어 있다. 즉, 새로운 지식에 대한 이해와 자신의 사고를 표현하는 과정이 매우 중요한 능력으로 주목받으면서 언어능력뿐만 아니라, 의사소통으로 분류할 수 있는 간학문간, 통섭의 인식들이 구체화된 대학작문이 대학 교양교육과정에서 핵심과목으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대학작문은 대학 전체 교육과정의 근간이 되는 ‘이해와 표현’을 다루고 다른 학문과의 소통을 이루는 과목으로서, 전 학년에 걸쳐 고르게 이수하여 체계적인 교육을 받아야 하는 과목으로 그 위상이 정립되어야 한다. 본고에서는 그에 따른 실행조건으로 다음의 네 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 전체 대학교육과정을 이끌어 나가는 과목으로서 대학작문교육이 차지하는 위상을 정립해야 한다. 둘째, 글쓰기 교육을 전체적인 틀 아래에서 조정하고 지도할 대학 내 통합기구가 필요하다. 셋째, 내용적인 측면에서 작문교육을 통해서 도달하고자 하는 글쓰기 하위영역의 성취기준을 명확히 제시해야 한다. 넷째, 인적 자원 면에서, 작문교육을 전공한, 대학작문교육을 담당할 전임 교수의 부족은 시급히 해결해야 될 문제이다. 작문교육은 전공을 공부하기 위한 기초 지식뿐만 아니라 대학 졸업 이후에도 사회 활동을 스스로 할 수 있도록 이끌어 주는 균형 잡힌 인간형으로 육성해 주는 교육이다. 이상의 논의처럼, 현재 대학 교양교육의 핵심 과목으로서 요구받고 있는 대학작문교육의 체계적인 실행을 위해 위상에 대한 관점과 조직, 내용, 구성에 대하여 획기적인 변화가 요구된다. As we enter a knowledge-based society, many colleges are trying to change their curricula to follow the rapid changes in people’s needs. The focus lies on the revolution of education and curricula. One of the most commonly college requirements or non-major curriculum and most emphasized is ‘college composition’ which i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important courses that the students should take. Enforcement of college composition is not only based on the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mposition itself, but the requirements of both college and society. Furthermore, concepts of interdisciplinary and consilience have become important. Thus, composition is considered to be the center of college courses. Composition is no longer limited to ‘understanding and expressing’ what is related to the major courses, but extends to integration of all subjects. Therefore, composition must be adjusted as a course that requires systematic instruction. This article suggests four conditions to adjust composition as a systematic instructed course. Firstly, placement of the composition should be reconsidered as it leads the entire college courses. Secondly, centralized and integrated organization for composition is needed. Thirdly,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subcategory must be clearly presented within subject context. Fourthly, trained and qualified instructors are needed to teach this course. Composition not only provides foundation for studying in college, but also educates one to become individual who can engage in social interactions. As described above, college composition education requires epoch-making chan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